KR20080105017A - 건축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017A
KR20080105017A KR1020080113080A KR20080113080A KR20080105017A KR 20080105017 A KR20080105017 A KR 20080105017A KR 1020080113080 A KR1020080113080 A KR 1020080113080A KR 20080113080 A KR20080113080 A KR 20080113080A KR 20080105017 A KR20080105017 A KR 2008010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struction
high temperature
foame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211B1 (ko
Inventor
해 식 김
Original Assignee
해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 식 김 filed Critical 해 식 김
Priority to KR102008011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211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6Minerals of vulcanic origin porous, e.g. pum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combinations of materials fully covered by groups E04C2/04 and E04C2/08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2장이 판체 사이에 불연심재를 구성하되, 상기 불연심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기공이 많은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진주암과, 자석, 인조운모, 시멘트 및 동물성기폭제를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흡음과 단열효율의 향상과 함께 판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에 불연효과가 뛰어나 화염이 퍼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2장의 판체(10)(10)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2장의 판체(10)(10) 사이에 불연심재(20)를 위치시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불연심재(20)는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천연광물인 진주암(21)과,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자석(22)과, 시멘트(23)와, 인조운모(24), 동물성기폭제(25)가 혼합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용 판넬, 불연판넬, 내/외장판넬

Description

건축용 판넬{INCOMBUSTIBLE PANE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지하의 이중벽이나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 및 칸막이벽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2장이 판체 사이에 불연심재를 구성하되, 상기 불연심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기공이 많은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진주암과, 자석, 인조운모, 시멘트 및 동물성기폭제를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흡음과 단열효율의 향상과 함께 판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는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용 판넬은 일반 주택의 건축이나 공장 및 상업용 건물 구축시 내, 외부벽면을 마감하는데 사용하게 되는데, 각각의 판넬을 끼워 맞추는 조립식이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있어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축용 판넬은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단열재의 표면에 금속재질의 마감판이 접착 고정되고, 상기 마감판의 양측에는 연결요부와 연결돌부를 형성하여 상호 치합되어 각각의 건축용 판넬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건축용 판넬의 내부에 구비되는 심재가 통상 발포스티로폼 외에 유리섬유를 충진하는 경우가 있으며, 발포스티로폼의 경우에는 단열과 방습 등에 상당한 효과를 가지고 경량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화재에 상당히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화재시에는 마감판에 화염이 있어도 내부의 단열재가 녹아 없어지거나 쉽게 화염이 전도되어 화재를 부추키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화재시 상당히 많은 연기와 더불어 유독가스가 발생함으로서 질식사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내부의 심재로 유리섬유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화재시 급격하게 화재가 번지는 경우는 없으나, 유리섬유의 특성상 취급이 까다로운 단점을 가지고 많이 또는 장기간 취급시에는 인체에 상당한 악영향을 주게 되는 위험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 건축용 판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668802호인 무기불연성 내화판넬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15∼38 중량%, 팽창질석 및 팽창퍼라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경량골재 22∼35 중량%, 급결제 1∼5 중량%, 나프탈렌계 고성능감수제인 유동화제 0.2∼0.8 중량%, 황토 1∼5 중량% 그리고 물 35∼55 중량%를 첨가한 혼합물 100 부피%에 대하여 기포를 첨가 혼합하여 30∼65 부피%의 기공율을 갖도록 조성된 혼합물이 성형틀에 주입되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조성물의 거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고 내열도가 높아서 화재발생시 인체에 유해한 연기나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약 1100℃ 이상의 고온에서 판재의 형태 붕괴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수축률이 약 1% 이내로 유지되며, 또한 국내에 매장량이 풍부하고 전국 각지에 산재돼 있는 황토를 활용함으로써 국내 자원의 부가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어느 정도의 불연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하더라도 황토와 같은 재질의 특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고 중량이 무거울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등록특허 10-0783662호인 건축물용 판넬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한 쌍의 금속판의 사이에 판체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판체는 12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천연광물인 진주암(흰색)25%, 자석(금색) 30%과 자석(황색) 30% 및 시멘트 15%를 혼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판의 사이에 고정되는 판체가 12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기공이 많은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진주암(흰색) 25%, 자석(금색) 30%과 자석(황색) 30% 및 시멘트 15%를 혼합하여 형성함으로써 화재발생 시 다이옥신 등의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은 완전 불연재의 역할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진주암, 자석은 고온으로 가열되어 다기공성으로 발포 형성된 것이므로 흡음, 단열효율의 향상과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바 있는 등록특허 제10-0783662 호의 경우, 판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에 대해 구성비율을 한정하고 있음으로써, 구성비율을 정확하게 맞추어 제조하기 곤란하고 구성비율을 정확하게 맞추려면 별도의 비율을 측정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 및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건축용 판넬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2장의 판체의 사이에 심재를 장입하여 구성된 건축용 판넬의 심재를 다기공체로 발포 형성된 진주암과, 자석 및 시멘트와, 운모, 동물성기폭제를 혼합 형성함으로써, 불연효과의 상승을 가져옴과 동시에 판넬을 경량으로 유지하여 판넬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흡음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판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은,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2장의 판체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2장의 판체 사이에 불연심재를 위치시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불연심재는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천연광물인 진주암과,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자석과, 시멘트와, 인조운모, 동물성기폭제가 혼합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은,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2장이 판체 사이에 불연심재를 구성하되, 상기 불연심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기공이 많은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진주암과, 자석, 인조운모, 시멘트 및 동물성기폭제를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흡음과 단열효율의 향상과 함께 판넬의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에 불연효과가 뛰어나 화염이 퍼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명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의 구성요부인 불연심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은,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2장의 판체(10)(10)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2장의 판체(10)(10) 사이에 불연심재(20)를 위치시켜 구성된 건축용 판넬로서, 상기 불연심재(20)는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천연광물인 진주암(21)과,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자석(22)과, 시멘트(23)와, 인조운모(24), 동물성기폭제(25)가 혼합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불연심재(2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2장의 판체(10)(10)들은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불연효과를 갖는 재질이면 관계치 않는다.
상기 불연심재(20)를 이루는 구성 중 진주암(21)은, 암석이 작은 진주 모양의 조각으로 부서지는 동심원상의 균열을 가진 천연 광물로서, 진주암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열처리하면 비중이 매우 낮기 때문에 경량(輕量) 벽 플라스터와 콘크리트 혼합재에서 모래대신 사용이 가능하며, 다공성(多孔性)이므로 열 및 음향 절연체로 이상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은,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기공이 많게 체적을 팽창시킨 천연광물인 진주암과, 자석 및 시멘트를 혼합형성하여서 된 것이므로 화재발생 시 인체에 매우 유해한 발암물질이나 다이옥신 등의 유독가스가 일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완전한 불연재이기 때문에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공이 많은 다기공성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흡음 및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벼운 무게로 경량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판넬의 구성요부인 불연심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체 20 : 불연심재
21 : 진주암 22 : 자석
23 : 시멘트 24 : 인조운모
25 : 동물성기폭제

Claims (1)

  1. 석고보드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2장의 판체(10)(10)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고 2장의 판체(10)(10) 사이에 불연심재(20)를 위치시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불연심재(20)는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천연광물인 진주암(21)과, 고온으로 가열하여 다기공체로 발포시킨 작은 입자의 자석(22)과, 시멘트(23)와, 인조운모(24), 동물성기폭제(25)가 혼합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KR1020080113080A 2008-11-14 2008-11-14 건축용 판넬 KR10107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0A KR101077211B1 (ko) 2008-11-14 2008-11-14 건축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0A KR101077211B1 (ko) 2008-11-14 2008-11-14 건축용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017A true KR20080105017A (ko) 2008-12-03
KR101077211B1 KR101077211B1 (ko) 2011-10-26

Family

ID=4036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080A KR101077211B1 (ko) 2008-11-14 2008-11-14 건축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882A (zh) * 2016-10-18 2022-05-24 吉野石膏株式会社 附有磁性层的石膏基建材、磁性接缝处理材、附有磁性层的石膏基建材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874Y1 (ko) 2001-07-31 2001-12-01 주식회사 아텍스 건축자재용 판넬
KR100783662B1 (ko) 2007-02-12 2007-12-07 해 식 김 건축물용 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882A (zh) * 2016-10-18 2022-05-24 吉野石膏株式会社 附有磁性层的石膏基建材、磁性接缝处理材、附有磁性层的石膏基建材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211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7633A (en) Building material for modular construction
KR101932135B1 (ko)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성 표면마감재의 조성물 및 시공방법
CN202347723U (zh) 轻质水泥复合环保隔音墙板
CN102173717B (zh) 一种高强轻质环保保温防火板的生产方法
KR100696092B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200440458Y1 (ko) 건축용 경량단열패널
KR20130032766A (ko) 불연 세라믹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0658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4342A (ko) 단열·경량콘크리트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5017A (ko) 건축용 판넬
JPH07300913A (ja) 軽量断熱防火パネル
KR102193350B1 (ko) 글라스 울 복합패널
JPH01160882A (ja) 無機質系断熱材
CN202347725U (zh) 一种新型保温隔音复合墙板
KR200400157Y1 (ko) 건축용 경량단열패널
KR101083648B1 (ko) 철망체가 내삽된 건축용 판넬
KR100783662B1 (ko) 건축물용 판넬
KR20050015828A (ko) 고단열 고강도 자기발포 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하여파렛트형의 경량 프리캐스트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20072Y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20060096965A (ko) 인조대리석 단열, 보온, 판재의 제조방법
ES2841130B2 (es) Material de construccion aligerado para la elaboracion de prefabricados
ES2781675B2 (es) Material de escayola de rapido fraguado y aligerado con polimeros en granza
KR20090109843A (ko)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친환경 벽체패널 구조
KR200351299Y1 (ko) 단열 벽체
RU171733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