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299Y1 - 단열 벽체 - Google Patents

단열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299Y1
KR200351299Y1 KR20-2004-0004572U KR20040004572U KR200351299Y1 KR 200351299 Y1 KR200351299 Y1 KR 200351299Y1 KR 20040004572 U KR20040004572 U KR 20040004572U KR 200351299 Y1 KR200351299 Y1 KR 200351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rable
heat insulating
curable plat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섭
Original Assignee
김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섭 filed Critical 김흥섭
Priority to KR20-2004-0004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단열 벽체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측에 평판형 구조로 결합되고 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화성 판재와; 상기 경화성 판재 내에 삽입되어 경화성 판재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불연성 보강 망체로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벽체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고, 내열 성능도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단열 벽체{Adiabatic panel}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벽 또는 파티션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단열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 양측에 석고재와 같은 경화성 판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경화성 판재에는 보강 망체가 삽입되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한 단열 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단열 벽체는 건축물의 내벽에 부착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하거나 공간 구획 등을 목적으로 파티션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단열 벽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진 스티로폼(1)의 양쪽면에 철판(5)으로 이루어진 외판이 각각 부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열 벽체는, 단열재인 스티로폼(1) 양쪽에 철판(5) 등 금속재가 부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고, 특히 열전도체와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화재 등 내열 성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두께를 가진 단열재의 양측면에 보강 망체가 삽입된 경화성 판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고, 내열 성능도 향상될 수 있는 단열 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단열 벽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단열 벽체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열재 20 : 경화성 판재
30 : 보강 망체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단열 벽체는, 일정 두께를 가진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측에 평판형 구조로 결합되고 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화성 판재와; 상기 경화성 판재 내에 삽입되어 경화성 판재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불연성 보강 망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성 판재는 석고재, 질석 모르타르, 백색 시멘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고, 상기 보강 망체는 화이버글래스(fiber glas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벽체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 벽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구조로 형성된 단열재(10)와, 상기 단열재(10)의 양측면에 평판형 구조로 결합되고 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화성 판재(20)와, 상기 경화성 판재(20) 내에 삽입되어 경화성 판재(20)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보강 망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10)는 일정한 두께와 넓이를 가진 판상 구조로 형성되고, 이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통상 일반적으로 스티로폼이라고 불리는 EPS(expanded polystyr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10)는 난연 성질을 높이기 위해 난연재가 첨가된 경질의 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화성 판재(20)는 불연성 방화 재료인 석고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석고재는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톱밥·섬유·펄라이트 등을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고 용액으로 반죽해서 상기 단열재(10)의 양측면에 도포하여 판상(板狀)구조로 경화시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성 판재(20)는 불연 재료인 질석 회반죽, 질석 모르타르, 백색 시멘트 등 상기 단열재(10) 양측면에서 소정 두께로 도포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딱딱하게 굳는 경화성 불연재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 망체(30)는 불연성 재료이고 메쉬(mesh)가 작은 화이버글래스(fiberglass) 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이버글래스 천은 유리섬유 연사를 느슨한 천의 형태로 직조하여 직물 형태로 만든 것으로 직물형 화이버글래스(Fabric type fiberglass)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상기 보강 망체(30)는 상기 경화성 판재(20)를 상기 단열재(10)의 측면에 도포하여 성형할 때 내부에 삽입되어 경화됨으로써 경화성 판재(20)와 일체로 구성되어 경화성 판재(20)의 인장 및 압축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 벽체는, 상기 단열재(10)의 양측면에 석고재와 같은 경화성 판재(2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벽체의 무게가 가볍게 되고, 또한 경화성 판재(20) 내에 보강 망체(30)가 삽입되어 구성되므로 경화성 판재(20)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석고재 또는 화이버글래스 등의 내열재료가 이용되므로 내열 성능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단열 벽체의 외벽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직포, 철판, 나무판, 벽지, 페인트 등을 부착하거나 칠하게 되면 더욱 미려한 외면을 장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단열 벽체는, 단열재의 양측면에 보강 망체가 내재된 경화성 판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벽체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고, 내열 성능도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정 두께를 가진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양측에 평판형 구조로 결합되고 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화성 판재와; 상기 경화성 판재 내에 삽입되어 경화성 판재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불연성 보강 망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판재는 석고재, 질석 모르타르, 백색 시멘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망체는 화이버글래스(fibergla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
KR20-2004-0004572U 2004-02-21 2004-02-21 단열 벽체 KR200351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72U KR200351299Y1 (ko) 2004-02-21 2004-02-21 단열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72U KR200351299Y1 (ko) 2004-02-21 2004-02-21 단열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299Y1 true KR200351299Y1 (ko) 2004-05-20

Family

ID=4934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72U KR200351299Y1 (ko) 2004-02-21 2004-02-21 단열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2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00B1 (ko) * 2015-04-23 2016-06-08 이병화 조립형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649969B1 (ko) * 2015-10-08 2016-08-22 주식회사 다진인더스트리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300B1 (ko) * 2015-04-23 2016-06-08 이병화 조립형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649969B1 (ko) * 2015-10-08 2016-08-22 주식회사 다진인더스트리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73B1 (ko)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및 후발포 수성연질 단열재를 이용한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KR102331339B1 (ko) 연결부의 화염침투방지 기능이 향상된 샌드위치패널
KR20080096874A (ko) 황토보드로 마감된 칸막이 패널 및 이의 설치구조
KR200415142Y1 (ko) 건축용 복합보드
KR20180007647A (ko)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성 표면마감재의 조성물 및 시공방법
KR20170059711A (ko) 건축용 단열재 및 골조 일체형 불연보드
KR20080001307U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복합 판넬
KR200271175Y1 (ko) 발포된 진주암과 질석을 이용한 불연 내, 외장제 패널
KR200351299Y1 (ko) 단열 벽체
KR200367715Y1 (ko) 마그네슘을 주원료로 한 벽체 패널 구조체
KR20110114342A (ko) 단열·경량콘크리트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00125U (ko) 건축용 경량단열패널
JPH01160882A (ja) 無機質系断熱材
KR20100099386A (ko) 내화용 샌드위치 판넬
KR20120010094A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KR20140029607A (ko) 경량 방화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방화벽체 모듈
JP6874273B2 (ja) パネル構造体
KR200400157Y1 (ko) 건축용 경량단열패널
KR0138273B1 (ko) 건축용 벽체판넬(dry wall panel)의 제조방법
KR200396362Y1 (ko) 욕실이나 발코니의 에어덕트 및 파이프덕트 벽체구조
KR100643315B1 (ko) 단열, 차음성을 보이는 석고보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627B1 (ko) 질석보드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56633Y1 (ko) 조립식 복합패널
KR100639482B1 (ko) 단열 강화 보드를 이용한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KR200399772Y1 (ko) 건축용 시멘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