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874Y1 - 건축자재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874Y1
KR200254874Y1 KR2020010023251U KR20010023251U KR200254874Y1 KR 200254874 Y1 KR200254874 Y1 KR 200254874Y1 KR 2020010023251 U KR2020010023251 U KR 2020010023251U KR 20010023251 U KR20010023251 U KR 20010023251U KR 200254874 Y1 KR200254874 Y1 KR 200254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ilding materials
present
foaming agent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텍스
Priority to KR2020010023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874Y1/ko

Links

Landscapes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및 실내에서 장식용도로 사용하는 건축자재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유리섬유와 같은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소재(1)를 석고와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모델링 파우더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시간 및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소재 배합시 식물성 기포제 또는 동물성 기포제를 투입해줌으로써 완성된 건축용 판넬 내부에는 다수의 기포(2)가 존재하도록 하여 전체중량이 가볍게되도록 하되, 그 두께를 종래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요구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순수 무기질의 불연제로만 제작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건축자재용 판넬{A panel as building materials}
본 고안은 실내 및 실내에서 장식용도로 사용하는 건축자재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포가 다수 형성되어 매우 가벼우면서도 내화성이 좋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 및 조각판제 기타 부착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건축자재용 판넬은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하고 고열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내구성과 내화성을 구비하여야 하고, 건물 전체의 하중을 가볍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하므로 중량이 가볍게 제조될 것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용 판넬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고와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최근 개발되어진 모델링 파우더를 주 소재(10)로 사용하고 있는데, 대개의 경우 상기 소재(10)의 혼합물을 물비 약 30%의 비율로 믹스(Mix)한 다음, 요구강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유리섬유 또는 기타 부자재(20)에 합침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제조상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뿐 아니라, 제품에 변형이 발생하기쉬우므로 시공상에 문제점이 많다.
또한, 우레탄폼을 주자재로 사용할 경우, 우레탄폼이 수지계열이므로 인화성이 강하고 연소시에는 치명적인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정부에서도 생산을 금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섬유와 같은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소재를 석고와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모델링 파우더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시간 및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소재 배합시 식물성 기포제 또는 동물성 기포제를 투입해줌으로써 완성된 건축용 판넬 내부에는 다수의 기포가 존재하도록 하여 전체중량이 가볍게되도록 하되, 그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요구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순수 무기질의 불연제로만 제작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자재용 판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용 판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용 판넬의 제조공정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재 2 : 기포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용 판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용 판넬의 제조공정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석고,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모델링 파우더에 소량의 물을 섞어 적당하게 반죽을 만든 다음, 이에 식물성 기포제인 E.V.A. 나 동물성 기포제를 섞어 기포(2)를 만들면서 함께 믹스해준다.
기포제로 주로 사용하는 E.V.A(Ethyrene Vinyl Acetate)는 발포입자(비중 0.07∼0.08)와 목질섬유등을 혼합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성개선제로서, 시멘트입자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포제를 사용하여 다량의 기포를 만든다음 이 기포를 물비 30∼33%로 혼합한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모델링 파우더 모르타르에 넣어 믹스하면 이 기포군이 고르게 혼합되어지므로 스폰지처럼 많은 기포를 함유한 시멘트모르타르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시멘트모르타르를 원하는 형태대로 몰드에 부어 양생한 다음 탈형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자재용 판넬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물비를 약 33%로 사용함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자재의 용도 및 설치장소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건축 상식과도 크게 다를 바 없다.
즉, 본 고안의 구성을 다시 살펴보면, 석고 혹은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모델링 파우더를 소재(1)로 한 건축자재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소재(1)와 물과의 혼합공정중에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포제를 투입함으로써 그 내부에 기포(2)가 다수 형성되어있으며, 유리섬유등의 부자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요구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소재(1)가 두껍게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은 종전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요구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기포(2)가 다수 존재하므로 가볍고 흡음성이 좋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리섬유와 같은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소재(1)를 석고 혹은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모델링 파우더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시간 및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에 수축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소재 배합시 식물성 기포제 또는 동물성 기포제를 투입해줌으로써 완성된 건축용 판넬 내부에는 다수의 기포(2)가 존재하도록 하여 전체중량이 가볍게되도록 하되, 그 두께를 종래 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요구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순수 무기질의 불연제로만 제작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석고, 시멘트의 혼합물 또는 모델링 파우더를 소재(1)로 한 건축자재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소재(1)와 물과의 혼합공정중에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포제를 투입함으로써 그 내부에 기포(2)가 다수 형성되어있으며, 유리섬유등의 부자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요구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소재(1)가 두껍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판넬.
KR2020010023251U 2001-07-31 2001-07-31 건축자재용 판넬 KR200254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51U KR200254874Y1 (ko) 2001-07-31 2001-07-31 건축자재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51U KR200254874Y1 (ko) 2001-07-31 2001-07-31 건축자재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874Y1 true KR200254874Y1 (ko) 2001-12-01

Family

ID=7310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251U KR200254874Y1 (ko) 2001-07-31 2001-07-31 건축자재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211B1 (ko) 2008-11-14 2011-10-26 해 식 김 건축용 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211B1 (ko) 2008-11-14 2011-10-26 해 식 김 건축용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568B2 (en) Composite panel based on cementitious mortar with properties of transparency
KR100975644B1 (ko)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WO2008063665A1 (en) Masonry block and associated methods
KR200254874Y1 (ko) 건축자재용 판넬
US6773794B2 (en) Construction panel
US20130119293A1 (en) Translucent lightweight concrete
KR100730658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813152B1 (ko) 단열 및 내화성능이 향상된 흑연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244B1 (ko) 불연성 패널 제조 방법
JPH01160882A (ja) 無機質系断熱材
KR0138273B1 (ko) 건축용 벽체판넬(dry wall panel)의 제조방법
CN108529949A (zh) 一种轻质蒸压加气混凝土板材料及制备方法
KR20140024135A (ko) 건축용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0785917B1 (ko) 외장보드 및 외장보드 제조방법
JPH09175850A (ja) 機能強化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及び各種成形された 造形物の製造方法。
JPH0243437A (ja) 軽量ブロック、軽量ブロック構築物および簡易建築物ならびに軽量ブロック構築物の構築方法
CN102731027A (zh) Eps不燃保温建筑材料及制造方法
KR20050015828A (ko) 고단열 고강도 자기발포 경량 콘크리트를 이용하여파렛트형의 경량 프리캐스트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9152457A1 (en) Patterned panel system with integrated decorative surfaces
KR100425369B1 (ko) 내ㆍ외장용 콘크리트 판넬
KR100671458B1 (ko) 시멘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FI20195673A1 (fi) Paloa kestävä rakenne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sekä paloa kestävän rakenteen käsittävä rakennuselementti
JPH1129939A (ja) 繊維強化コンクリート打設用使い捨て型枠および建物用無筋コンクリート基礎
KR200268788Y1 (ko) 발포 플라스틱 타일
JP2000239030A (ja) ガラス発泡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