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461A -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461A
KR20080103461A KR1020080048046A KR20080048046A KR20080103461A KR 20080103461 A KR20080103461 A KR 20080103461A KR 1020080048046 A KR1020080048046 A KR 1020080048046A KR 20080048046 A KR20080048046 A KR 20080048046A KR 20080103461 A KR20080103461 A KR 2008010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sheet
embossing
embossed
absorbent articl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9016B1 (ko
Inventor
타카히로 카토
히로미 타치카와
신스케 나가하라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23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399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엠보싱부(4A~4D)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상층과 열수축한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층이 적층되어 엠보싱부(4A~4D)에서 접합되며, 상기 상층측의 면에 다수의 볼록부(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는 3개 이상의 엠보싱부(4A~4D)에 둘러싸인 영역의 대략 중앙부에 정점(61)을 가진다. 엠보싱부(4A~4D)의 볼록부(6)측의 윤곽인 엠보싱 윤곽(43)은 볼록부(6)측에 굴곡 또는 만곡한 형상을 가지며, 엠보싱 윤곽(43)이 상기 볼록부(60)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6)를 둘러싸는 엠보싱부(4A~4D)로서, 서로 이웃하는 엠보싱부간에 표면 시트의 밀도가 볼록부의 정점(61)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밀도보다 높은 중간부(62A~62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6)는 엠보싱부(4A~4D) 및 중간부(62A~62D)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흡수성 물품, 표면 시트, 섬유재료, 엠보싱, 볼록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액 흡수체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표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요철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요철을 가지는 표면 시트에 의하면, 요철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저감하므로 끈적거림이나 습기참(stuffiness)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요철을 가지는 표면 시트를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형성한 경우에는,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와의 사이에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된다. 섬유밀도가 높은 엠보싱부에 있어서는 섬유밀도가 낮은 비엠보싱부에 비해 모관력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배설된 액은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비엠보싱부로부터 엠보싱부를 향해 이행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표면 시트의 두께방향으로의 액의 이행이 스무스해진다.
이러한 표면 시트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원형의 엠보싱부를 산재 형상이면서도 갈지자 형상으로 형성한 표면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신장시킨 상태의 플라스틱 시트에 장방형 형상의 엠보싱부를 소정의 패턴으로 마련함으로써 엠보싱부를 신장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플라스틱 시트의 신장 상태를 해방함으로써 엠보싱부 이외의 영역을 수축시켜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요철을 형성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7215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2002-16029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원형 엠보싱부가 마련된 표면 시트에 있어서는,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는 주로 엠보싱부에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로부터 각 엠보싱부를 향해 형성될 뿐이다. 그 때문에, 액의 확산 및 액의 두께방향으로의 이행을 한층 스무스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 보다 여러 방향을 향해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마련된 표면 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엠보싱부는 플라스틱 시트에 마련한 것으로서, 상기 엠보싱부의 형성에 의해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액의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방향을 향해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를 마련하여, 액의 확산 및 액의 두께방향으로의 이행이 신속하게 행해지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상층과 열수축한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층을 가지며,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이 서로 적층되어 상기 엠보싱부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층측의 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3개 이상의 상기 엠보싱부에 둘러싸인 영역의 대략 중앙부에 정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볼록부측의 윤곽인 엠보싱 윤곽은 상기 볼록부측에 굴곡 또는 만곡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엠보싱 윤곽이 상기 볼록부의 주위에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3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는 엠보싱부로서 이웃하는 엠보싱부간에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가 상기 볼록부의 정점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보다 높고 상기 엠보싱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보다도 낮은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엠보싱부 및 상기 중간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이하, 제1발명이라고 할 때는, 이 발명을 말한다).
본 발명은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다수의 상기 엠보싱부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그 중심을 통과하는 적어도 2축의 장축을 가지며,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싱부는 그 장축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고,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싱부간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는 상기 엠보싱부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이하, 제2발명이라고 할 때는, 이 발명을 말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와, 이들 양 시트간에 개재되어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상층측의 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표면 시트는 액투과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월경 혈액 등의 점성액을 재빠르게 흡수하는 생리용 냅킨의 표면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의하면, 여러 방향을 향해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마련되므로 액의 확산 및 액의 두께방향으로의 액의 이행이 신속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액 나머지나 끈적거림이 감소하여, 종래보다도 장착자에 대한 드라이감이 한층 향상한다.
또한, 장착시에 있어서의 장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의 감소에 따라 마찰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경감한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엠보싱부(4)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 시트이다.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는 제1발명 및 제2발명의 일실시형태이다.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2)과 열수축한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층(3)을 가지고 있다. 상층(2)과 하층(3)은 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 상층(2)과 하층(3)은 다수의 엠보싱부(4)에서 접합되어 있다.
표면 시트(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2)측의 면에 다수의 볼록부(6)가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볼록부(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엠보싱부(4A~4D)에 둘러싸인 영역(7)의 대략 중앙부에 정점(61)을 가지고 있다. 엠보싱부(4A~4D) 각각의, 볼록부(6)측의 윤곽인 엠보싱 윤곽(43)은 표면 시트(1)를 평 면에서 봤을 때 상기 볼록부(6)측에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싱 윤곽(43)은 2개의 직선부(44, 45)로 이루어지며, 2개의 직선부(44, 45)는 90도의 각도를 이루어 단부끼리가 결합하고 있다.
엠보싱 윤곽(43)은 개개의 볼록부(6)의 주위에 그 볼록부(6)를 둘러싸도록 4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6)를 둘러싸는 엠보싱부(4A~4D)로서, 이웃하는 엠보싱부간, 즉, 엠보싱부(4A)와 엠보싱부(4B)의 사이, 엠보싱부(4B)와 엠보싱부(4C)의 사이, 엠보싱부(4C)와 엠보싱부(4D)의 사이, 및 엠보싱부(4D)와 엠보싱부(4A)의 사이의 각각에, 표면 시트(1)의 밀도가 상기 볼록부(6)의 정점(61)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1)의 밀도보다도 높고 상기 엠보싱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보다도 낮은 중간부(62A~62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6)는 엠보싱부(4A~4D) 및 중간부(62A~62D)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또, 2개의 직선부(44, 45)로 이루어지는 엠보싱 윤곽(43)은, 이웃하는 엠보싱부 각각의 하나의 직선부(44, 45)끼리가 동일 직선(L4) 상에 위치하는 것이 중간부(62)의 밀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다수의 엠보싱부(4) 각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그 중심(41)을 통과하는 적어도 2축의 장축(L1, L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최단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는 그 장축 L(L1, L2)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고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엠보싱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십자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로로 긴 장방형 형상의 2개의 봉형상체가 각각의 중앙부 에 있어서 서로 교차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봉형상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이 장축(L1, L2)이며, 장축(L1, L2)끼리의 교점이 중심(41)이다.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2) 및 하층(3)의 2층의 섬유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층(2) 및 하층(3)은 다수의 엠보싱부(4)에 있어서 엠보싱에 의한 압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층(2)은 엠보싱부(4)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되어 다수의 오목부(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5)간의 비엠보싱부, 즉 엠보싱부(4)에 둘러싸인 영역은 볼록부(6)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층(2)에는 그 전역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1) 전체적으로도 그 전역에 걸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부(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41)을 통과하는 2축의 장축(L1, L2) 및 2축의 단축(S1, S2)을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2축의 장축(L1, L2)의 길이는 동등하고, 2축의 장축(L1, L2)은 서로 그 중점에서 직교하고 있다. 2축의 단축(S1, S2)의 길이도 동등하고, 그것들은 서로 그 중점에서 직교하고 있다. 즉, 엠보싱부(4)는 십자형상을 하고 있으며, 기계방향(MD방향) 및 그 직교방향(CD방향)에 대하여 십자형상이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십자형상에 있어서의 장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은 그 폭이 선단(42)까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2개의 엠보싱부(4, 4)의 중심(41, 41)을 이은 선(P1)의 수직이등분선(P2)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이웃하는 엠보싱부(4, 4)의 장축(L)의 선단(42)끼리가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엠보싱부(4)에 있어서의 4개의 선단(42) 각각이,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의 선단(42)과 마주 보는 배치로 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1)의 평면방향 전역에 걸쳐 다수의 엠보싱부(4)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엠보싱부(4) 각각이 그 중심(41)을 통과하는 2축의 장축(L1, L2)을 가지고 있으며,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가 그 장축(L)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표면 시트(1)에는 여러 방향을 향해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되어, 표면 시트(1)의 액의 확산 및 두께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이 향상한다.
또, 볼록부(6)를 둘러싸는 엠보싱부(4A~4D) 중 이웃하는 엠보싱부간에 위치하는 중간부(62A~62D)(도 7 참조), 특히 이웃하는 장축에 끼워진 영역(62)에는,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간을 잇는 선 Z-Z를 따른 표면 시트(1)의 두께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표면이 위쪽(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볼록형상을 이루는 중간볼록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볼록부(63)는 엠보싱부 표면으로부터의 높이(T1')(도 6 참조)가 중앙볼록부(6)의 엠보싱부 표면으로부터의 높이(T2')(도 4 참조)보다 낮다.
중간볼록부(63)의 존재로 인해, 섬유의 밀도가 볼록부(6)의 정점(61)으로부 터 중간볼록부(63)의 꼭대기부를 향해 낮아짐과 함께, 중간볼록부(63)의 정점으로부터 중간볼록부의 양단에 위치하는 엠보싱 근방부(64)를 향해서도 구배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볼록부로부터 인입(引入)된 액은 엠보싱부를 향해 인입됨과 함께, 이웃하는 엠보싱와 엠보싱의 사이에도 중간볼록부를 가져 종래보다도 인입력이 한층 향상하므로, 액의 투과성뿐만 아니라 액 확산성은 한층 향상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에 있어서는, 볼록부(6)는 엠보싱 윤곽(44, 45)에 면한 부분(65)(도 7 참조)이 상기 볼록부(6)의 다른 부위보다도 단단하다. 그 때문에, 엠보싱에 의해 형성되는 볼록부(6)의 형상 유지성이 향상하여, 표면 시트(1)에 쿠션감을 부여하여 착용자에게 우수한 장착감을 준다.
엠보싱부(4)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1)의 구성 섬유가 압밀화되어 있어, 비엠보싱부인 볼록부(6)에 비해 표면 시트(1)의 두께가 얇아져 있다. 즉, 엠보싱부(4)에 있어서의 섬유밀도는 볼록부(6)에 있어서의 섬유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또, 엠보싱의 조건에 따라서는, 섬유가 용융 고화하여 필름과 같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6)는 4개의 엠보싱부(4)에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층(2)의 두께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6)에 있어서의 4개의 상기 엠보싱부(4)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먼 정점(61)에 있어서 가장 두꺼워져 있으며, 정점(61)으로부터 엠보싱부(4)를 향해 서서히 얇아져 있다. 그 때문에, 섬유밀도는 정점(61)에 있어서 가장 낮아져 있으며, 정점(61)으로부터 엠보싱부(4)를 향해 서서히 높아져 있다. 또한, 도 3에는 볼록부(6)를 둘러싸는 엠보싱부가 4개인 예를 나타냈지만, 볼록부(6)를 둘러싸는 엠보싱부는 3개 이상이며, 5개, 혹은 6개라도 된다.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에는 중간볼록부(6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웃하는 엠보싱부(4, 4)의 간격(W1)(도 3 참조)이 좁게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영역(62)은 엠보싱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그 때문에,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에 있어서의 상층(2)의 두께(T1)는 정점(61)에 있어서의 상층(2)의 두께(T2)에 비해 얇아져 있다. 그 결과, 상층(2)의 두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점(61)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을 향해 서서히 얇아져 있으며, 섬유밀도는 정점(61)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을 향해서 서서히 높아져 있다. 중간볼록부(63)는 이웃하는 엠보싱의 대향하는 장축 사이가 볼록하며, 볼록부는 능선형상의 이랑이거나, 상기 이랑을 가지면서 중간지점에서 꼭대기부를 가져도 된다. 능선형상의 이랑은 엠보싱 장축간에 평행하게 존재하는 경우나, 장축간을 가로질러 장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점(61)으로부터 엠보싱부(4)를 향해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됨과 함께, 정점(61)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을 향해서도 밀도 구배가 형성된다.
구성 섬유간의 공극이 적은 고밀도부분에 있어서는 구성 섬유간의 공극이 큰 저밀도부분에 비해 모관력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1)에 밀도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배설된 체액은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저밀도부분으로부터 고밀도부분으로 인입되어 신속하게 이행한다.
엠보싱부(4)의 밀도는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액의 확산성을 높이면서 또한 양호한 촉감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3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16개/㎠이다. 또,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의 간격(W1)(도 3 참조)은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를 강화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mm이다. 최단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간격(W1)이 0.5mm 미만이면, 특히 이웃하는 엠보싱부(4, 4)끼리가 연결되어 격자형상의 엠보싱부가 되면, 하나의 볼록부(6)로부터 다른 볼록부(6)로의 액의 평면방향의 확산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 하나의 엠보싱부(4)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1.0~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0㎟이다.
장축(L)의 길이(W2)와 단축(S)의 길이(W3)의 비(W2/W3)는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액의 확산성을 높이고 양호한 촉감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6이다.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간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의 밀도는 장착시의 드라이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엠보싱부(4)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의 밀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부(4)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의 밀도(ρ1)에 대한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간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의 밀도(ρ2)의 비율(ρ2/ρ1)은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7배 이상이다
표면 시트의 밀도의 비율은 이하에 기재하는 2개의 방법 (1) 및 (2)의 어느 것을 사용해서 계측할 수 있다.
(1)표면 시트의 평량이 대략 균일(똑같음)할 경우(혹은 대략 균일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절단면의 두께를 계측한다.
(2)표면 시트의 평량이 불균일할 경우(혹은 불균일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의 절단면에 있어서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를 계측한다.
여기에서, 표면 시트의 평량이 대략 균일한지 여부의 판단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10개 이상의 흡수성 물품에서 표면 시트를 꺼내어 각각의 평량을 계측했을 때에, 표준편차(σ)의 3배 값(3σ)이 평균(μ)의 10% 이내이며, 외관상 섬유 불균일이 보여지지 않으면, 대략 균일이라고 판단한다. 단, 미소한 영역에서 조성이 다른 점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1)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면에서 봤을 때의 표면 시트의 절단 부분은, 엠보싱부(4)와 엠보싱부(4)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직선적 부위(여기의 두께가 가장 두껍다), 및 엠보싱부(4)와 엠보싱부(4)와의 최단 거리에 있는 직선적 부위의 적어도 2개소를 선정한다. 이 때, 절단에 의한 두께의 회복을 될 수 있는 한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절단한 샘플의 각 계측부(각 절단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부)의 양단 및 그 이외의 엠보싱부(4)를 가지도록 샘플을 작성한다.
단면의 계측은 JEOL 제조 전자현미경 JCM-5100을 사용하여 스퍼터 시간 30초(Pt), 가속 전압 10KV의 조건으로 실시하는데, 계측부 양단의 엠보싱부(4)의 적어도 한쪽이 촬영되거나, 혹은 복수매의 화상을 조합하여 상기 엠보싱부(4)를 알 수 있는 상황으로 하여, 촬영 화상으로부터 각 계측부의 두께를 계측한다. 또한, 화상 계측은 인쇄물 혹은 PC 화면상의 어느 쪽을 사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1)의 방법에 있어서는, 엠보싱부(4)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의 두께를 엠보싱부(4, 4)간의 두께로 나누어 밀도의 비율로 한다.
다음으로 (2)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면을 계측하는데, (1)의 방법으로 행하는 측정에 더하여, 확대 배율 500~1000배의 단면을 더불어 촬영한다. 확대 촬영 화상 각각의 대상 측정 부위이면서 폭방향(평면방향)으로 섬유 갯수가 3~7개인 영역에 있어서, 화상해석장치(넥서스(Nexus) 제조 뉴큐브(NEWQUBE) ver. 4.20)를 사용하여 섬유의 최근접 중심간 거리를 구한다.
상기 계측에 있어서는 두께방향으로 대략 전체적으로 계측하고, 또한 최근접 중심간 거리의 중복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 단면에 대해서는 적어도 3개소, 바람직하게는 5개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소 계측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한다.
(2)의 방법에 있어서는, 엠보싱부(4)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의 최근접 중심간 거리를 엠보싱부(4, 4)간의 최근접 중심간 거리로 나누어 밀도의 비율로 한다.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에 있어서는, 엠보싱부(4) 각각이 그 중심(41)을 통과하는 2축의 장축(L1, L2)을 가지며,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가 그 장축(L)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표면 시트(1)에는 여러 방향을 향해 구성 섬유의 밀도 구배가 형성되어, 표면 시트(1)의 액의 확산 및 두께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이 향상한다.
상세하게는, 표면 시트(1) 상에 배설된 체액은 정점(61)으로부터 볼록부(6)를 둘러싸는 4개의 엠보싱부(4)를 향해서 강하게 인입됨과 함께,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을 향해서도 인입된다. 그 결과, 체액은 정점(61)으로부터 엠보싱부(4)의 방향 및 엠보싱부(4, 4)간의 영역(62)의 방향으로 여러 방향을 향해 확산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액의 확산 및 액의 두께방향으로의 이행이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 배설된 체액이 표면 시트(1) 속을 신속하게 이행하여 표면 시트(1)의 하면측에 배치된 흡수체 등으로 재빠르게 이행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액 나머지가 저감되고, 나아가서는 표면 시트(1)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의 표면의 흰색을 유지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 대신에, 만일 원형의 엠보싱부(4)를 마련하여 이웃하는 엠보싱부(4, 4)의 간격을 좁게 형성한 경우에는, 표면 시트(1) 전체 면적에 차지하는 엠보싱부(4)의 면적의 비율이 커져,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액의 투과성이 저하함과 함께 촉감도 저하한다.
즉, 제1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1)에 의하면, 보다 면적이 작은 엠보싱부(4)에 의해 효율적으로 표면 시트(1)의 밀도 구배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엠보싱에 의해 압축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표면 시트(1)의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엠보싱부(4)의 형상을 2축의 장축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표면 시트(1)에 있어서의 볼록부(6)의 융기 형성을 높이는 효과도 가진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는 그 엠보싱부(4, 4)들간의 영역(62)의 엠보싱부(4, 4)간의 중앙부에 중간볼록부(63)가 형성된다. 따라서, 표면 시트(1)의 밀도 구배는 정점(61)으로부터 평면방향의 여러 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형성되어, 배설된 체액을 보다 분산하여 확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점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당히 적용된다.
도 8의 (a)~(c)에는, 각각,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제2~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의 형상 및 배치 패턴이 나타나 있다. 제2~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는 모두 그 중심(41)을 통과하는 적어도 2축의 장축(L)을 가지고 있다. 또,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는 엠보싱부(4)의 장축(L)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2~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와 마찬가지로, 최단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가 2개의 엠보싱부(4, 4)의 중심(41)을 이은 선의 수직이등분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 및 배치 패턴의 엠보싱부(4)를 가지는 제2~제4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표면 시트(1)와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와는 형상이 다르지만, 동일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의 형상은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의 형상에 비해 십자형상의 장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부분의 폭이 그 선단(42)을 향해 서서히 넓어져 있다. 또, 선단(42)은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엠보싱부(4)의 선단(42)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축의 선단(42)이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은 엠보싱 가공시에 상층(2)이 절단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는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자형상을 가지며, 중심(41)을 통과하는 3축의 장축(L1, L2, L3)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장축(L1, L2, L3)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각도는 120도로 되어 있다. 3축의 장축(L1, L2, L3)의 길이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각 엠보싱부(4)는 최단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의 장축의 선단(42)끼리가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고, 6개의 엠보싱부(4)에 둘러싸인 볼록부(6)가 6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4)는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 개의 선이 60도의 각도를 가지고 방사형상으로 연장되는 별표(*)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심(41)을 통과하는 3축의 장축(L1, L2, L3)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장축(L1, L2, L3)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각도는 120도로 되어 있다. 3축의 장축(L1, L2, L3)의 길이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각 엠보싱부(4)는 최단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의 장축의 선단(42)끼리가 마주 보게 배치되어 있으며, 3개의 엠보싱부(4)에 둘러싸인 볼록부(6)가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에는, 타원형상을 가지는 4개의 엠보싱부(4a)가 그 타원형상의 긴 지름방향의 일단이 중심을 향하고 또한 4개의 엠보싱부(4a)가 서로 근접하도록 형성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엠보싱부(4a)가 서로 매우 근접한 상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엠보싱부(4a)의 집합체가 실질적으로 하나의 엠보싱부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엠보싱부(4a)의 집합체를 하나의 엠보싱부(4)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4개의 엠보싱부(4a)는 그들의 집합체를 하나의 십자형상의 엠보싱부(4)로 간주한다.
도 10에는, 복수개의 도트형상의 엠보싱부(4b)가 십자형상을 형성하도록 집합함으로써 형성된, 거시적으로 봐서 십자형상의 엠보싱부(4)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엠보싱부(4b)의 집합체가 실질적으로 하나의 엠보싱부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엠보싱부(4b)의 집합체를 하나의 엠보싱부(4)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복수개의 엠보싱부(4b)는 그들의 집합체를 하나의 십자형상의 엠보싱부(4)로 간주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바람직한 하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1)는 예를 들면 비열수축성 섬유재료 또는 하층의 섬유보다도 열수축 온도가 높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상층(2) 및 상층의 섬유보다도 열수축 온도가 높은 수축전의 열수축성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층(3)을, 열 등의 엠보싱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융착시킨 후, 열을 가하여 하층(3)을 수평방향으로 열수축시키면, 상층은 열수축이 일어나지 않거나, 하층보다는 열수축이 작기 때문에 또한 상하층이 엠보싱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하층은 수축하면 상층은 영향을 받아 줄어들려고 하는데, 뒤틀림이 생기고, 이 튀틀림은 상층에 볼록한 융기가 되어 나타난다. 상세히 서술하면, 열 엠보싱에 의한 열 융착은, 예를 들면, 다수의 소정 형상을 가지는 엠보싱 핀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엠보싱면(엠보싱 롤의 둘레면 등)을 상층(2)과 하층(3)과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상층(2)측으로 눌러 붙이고, 각 핀에 열압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층(2) 및/또는 하층(3)의 구성 섬유를 용융시켜 행해진다. 상층(2)에 의해 형성되는 볼록부(6)는 엠보싱부를 덮도록 튀어나온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하층(3)의 열수축은, 예를 들면, 하층(3)을 열수축성 섬유로 구성하거나 또는 하층(3) 중에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시켜 두고, 상층(2)과 하층(3)을 열 융착시킴과 동시에 또는 양자를 열 융착시킨 후에, 하층(3)을 가열 처리함으로써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층(3)을 수평방향으로 열수축시킴으로써, 상층(2)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융기 형성성이 높아져, 보다 부피가 크고 촉감이 좋은 표면 시트(1)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층의 섬유층을 적층하여 표면 시트(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1)의 두께방향으로의 액의 투과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2층의 섬유층의 사이에는 계면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2)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이나 부피가 큰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란, 부직포화되기 전의 상태의 섬유집합체이다. 즉,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카드 웨브에 가해지는 후처리, 예를 들면 에어 스루(air-through)법이나 캘린더법에 의한 가열 융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섬유끼리가 매우 느슨하게 얽혀 있는 상태의 섬유집합체이다.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를 상층(2)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층(2)과 하층(3)을 접합시킴과 동시에 또는 접합시킨 후, 상층(2) 중의 섬유끼리를 열 융착시킨다. 또, 부피가 큰 부직포로서는, 에어 스루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레진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층(2)의 구성 섬유는 실질적으로 열수축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거나, 또는 하층(3)의 구성 섬유의 열수축 온도 이하에서 열수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2)의 평량은 충분한 밀도 구배를 형성하는 관점 및 표면 시트(1)의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5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g/㎡이다.
하층(3)으로서는 카드법에 의해 형성된 웨브나 열수축성을 가지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층(3)의 구성 섬유로서는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며 또한 열수축성을 가지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러한 섬유의 예로서는 잠재 권축성 섬유를 들 수 있다. 하층(3) 중의 잠재 권축성 섬유의 함유 비율은 40~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가열되기 전에 있어서는 종래의 부직포용 섬유와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고, 또한 소정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나선형상의 권축이 발현하여 수축하는 성질을 가지는 섬유이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예를 들면 수축율이 다른 2종류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를 성분으로 하는 편심 심초형(core-sheath type)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다. 그 예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평9-296325호 공보나 일본국 특허 제275933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하층(3)은 예를 들면 이러한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시켜 두고, 상층(2)과의 열 융착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가열에 의해 상기 섬유의 권축을 발현시켜 수축시킬 수 있다.
하층(3)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0~5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g/㎡이다.
이들의 상층(2) 및 하층(3)으로 구성되는 표면 시트(1)는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20~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35~80g/㎡이다.
표면 시트(1)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1)는 두께가 크고 부피가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1)는 제1~제4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층 구조로 되어 있었지만, 단층의 섬유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부피가 큰 섬유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층(3)으로서는 열수축성의 것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열수축성을 가지지 않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1)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각 구성을 적당히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6~도 9에 나타내는 각 형상의 엠보싱부(4)를 2이상 조합시켜 사용해도 된다.
또, 엠보싱부(4)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된다.
흡수성 물품은 주로 오줌이나 월경 혈액 등의 배설 체액을 흡수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는,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이 포함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의 흡수에 사용되는 물품을 널리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은 전형적으로는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양 시트간에 개재되어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피부접촉면 및 그것과는 반대측(통상, 속옷 등의 의류측)으로 향해지는 비피부접촉면을 가지며, 표면 시트는 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되고, 이면 시트는 비피부접촉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는 상층측의 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및 이면 시트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체로서는, 펄프 섬유 등의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집합체 또는 이것에 흡수성 폴리머를 보유시킨 것을,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피복 시트로 피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이나, 상기 필름과 부직포와의 라미네이트 등의 액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는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흡수성 물품은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른 각종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부재는 당업자에게 공지이다. 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을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상의 좌우 양측부에 1쌍 또는 2쌍 이상의 입체 가드를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제1층의 제조
다이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심초형 복합 섬유 [NBF(SH) (상품명), 2.2dtex×51mm]를 원료로 하여 카드법으로 평량 22g/㎡의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1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core) 성분, 폴리에틸렌을 초(sheath) 성분으로 하는 것이었다.
(2)제2층의 제조
다이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의 잠재 나선형상 권축섬유 [L(V) (상품명), 2.2dtex×51mm]를 원료로 하여 카드법으로 평량 22g/㎡의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2층으로서 사용하였다.
(3)입체 시트 재료의 제조
제1층과 제2층을 중첩시켜 초음파 엠보싱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하였다. 접합부는 십자형상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엠보싱로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가 십자형상의 장축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늘어서는 패턴을 형성하고 있었다. 양자를 접합한 후, 130℃±10℃의 열풍을 5~10초간 통과시켜, 제2층의 잠재 권축 섬유를 권축시키고, 제2층을 수축시킴과 함께 접합부간의 제1층을 볼록형상으로 돌출시켜,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입체 시트 재료를 제조하였다. 열 수축후의 표면 시트의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의 간격(W1)은 1.6mm이며, 십자형상의 장축(L)의 길이(W2)는 2.8mm, 단축(S)의 길이(W3)는 1.1mm였다. 또, 엠보싱부(4)의 밀도는 6.86개/㎠이었다.
(비교예 1)
(1)제1층의 제조
다이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심초형 복합 섬유 [NBF(SH) (상품명), 2.2dtex×51mm]를 원료로 하여 카드법으로 평량 22g/㎡의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1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 성분, 폴리에틸렌을 초 성분으로 하는 것이었다.
(2)제2층의 제조
다이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의 잠재 나선형상 권축섬유 [L(V) (상품명), 2.2dtex×51mm]를 원료로 하여 카드법에 의해 평량 22g/㎡의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2층으로서 사용하였다.
(3)입체 시트 재료의 제조
제1층과 제2층을 중첩하여 초음파 엠보싱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하였다. 접합부는 원형이며, 도 11에 나타내는 패턴으로 다수의 핀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양자를 접합한 후, 130℃±10℃의 열풍을 5~10초간 통과시켜, 제2층의 잠재 권축섬유를 권축시키고, 제2층을 수축시킴과 함께 접합부간의 제1층을 볼록형상으로 돌출시켜, 다수의 볼록부를 가지는 입체 시트 재료를 제조하였다. 열 수축후의 표면 시트의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의 간격(W1)은 2.2mm이며, 원형의 엠보싱부의 직경(W4)은 2.0mm이었다. 또, 엠보싱부(4)의 밀도는 6.86개/㎠이었다.
(비교예 2)
(1)제1층의 제조
다이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심초형 복합 섬유 [NBF(SH) (상품명), 2.2dtex×51mm]를 원료로 하여 카드법으로 평량 22g/㎡의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1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 성분, 폴리에틸렌을 초 성분으로 하는 것이었다.
(2)제2층의 제조
다이와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심초형 복합 섬유 [NBF(SH) (상품명), 2.2dtex×51mm]을 원료로 하여 카드법으로 평량 22g/㎡의 카드 웨브를 제조하고, 이것을 제2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심초형 복합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 성분, 폴리에틸렌을 초 성분으로 하는 것이었다.
(3)입체 시트 재료의 제조
제1층과 제2층을 중첩시켜 초음파 엠보싱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하였다. 접합부는 도 3의 패턴과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었다. 양자를 접합한 후, 실시예에 기재된 샘플의 조정방법과 마찬가지로 130℃±10℃의 열풍을 5~10초간 통과시켜, 다수의 엠보싱부를 가지는 시트 재료를 제조하였다. 표면 시트의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엠보싱부(4, 4)의 간격(W1)은 2.1mm이며, 십자형상의 장축(L)의 길이(W2)는 2.8mm, 단축(S)의 길이(W3)는 1.1mm이었다. 또, 엠보싱부(4)의 밀도는 4.08개/㎠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얻어진 표면 시트에 대해서, (1)피부와의 접촉 면적, (2)피부와의 마찰 계수 및 (3)흡입 잔존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피부와의 접촉 면적
냅킨 착용시에 장착자가 느끼는 끈적거림, 습기참의 양호 불량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피부와 냅킨 표면의 접촉 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표면 시트에 대해서,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샘플을 60mm×8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무가압의 상태 및, 상부에 투명한 무게 5g의 아크릴판을 두고, 또한 아크릴판 위에 250g의 추를 설치하여 6.25gf/㎠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각 샘플의 표면형상을 키엔스(Keyence)사 제조, 고정밀도 형상계측시스템 KS-1100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화상을 캡쳐하였다. 캡쳐한 화상을 키엔스사 제조, 형상 해석 어플리케이션 KS-Analyzer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무하중 상태에서 6.25gf/㎠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두께방향으로 변화한 부분을 추출하고, 2값화 처리함으로써 장착시에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의 화상을 얻었다. 이 화상을 프린터로 인쇄하고,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화상 캡쳐에는 샘플의 중앙부를 사용하고, 광원으로서 [선라이트 SL-230K2; LPL(주)사 제조]를 2대 사용하고, CCD카메라(HV-37; 히타치덴시(주)사 제조)와 렌즈(Nikon 제조 Ai AF Nikol 24mmF2.8D)를 F마운트에 의해 접속하고, 넥서스 제조 뉴큐브(Ver.4.22)를 이용해서 화상의 캡쳐·처리를 행하고, 접촉 면적을 측정한 후, 샘플 전체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접촉 면적률」을 산출하였다.
(2)피부와의 마찰 계수
냅킨 착용시에 장착자가 느끼는 피부와의 마찰 느낌의 양호 불량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피부와의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표면 시트에 대해서, 피부와의 마찰계수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샘플인 표면 시트를 50mm×50mm의 크기로 잘라 내어, 훅이 달린 추(중량 211g, 세로 63mm×가로 63mm×두께 7mm)에 양면 종이 테이프를 사용하 여 샘플의 접착면이 이면이 되도록 접착하였다. 샘플을 접착한 추를 샘플의 표면이 하측이 되도록 아크릴판 위에 정치하고, 훅에 와이어를 부착하고, 활차를 개재하여 오리엔텍사 제조 인장시험기 텐실론(Tensilon) RTC-1210A에 부착하였다.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샘플을 접착한 추를 끌어당겨 아크릴판 위를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였다. 기록된 차트의 하중의 평균값을 마찰력으로 하여, 샘플을 접착한 추의 중량으로부터 마찰 계수를 산출하였다.
(3)액 흡수 속도
냅킨 착용시에 장착자가 느끼는 드라이감의 양호 불량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표면 시트에 대해서 피부로부터 액을 흡수하는 흡액 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표면 시트의 흡수 속도는, 흡수 폴리머의 흡수 속도를 측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DW법에 준하여, DW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장치(Demand Wettability Tester)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의사(擬似) 월경 혈액의 액면을 등수위(等水位)로 세트한 샘플 대[30mmø, No.2 여과지를 유리 필터 No.1 위에 둔 대] 위에, 표면 시트 샘플을 60mm×80mm의 크기로 잘라 내어, 각각 흡수 시트(펄프 200g/㎡ 및 흡수 폴리머 50g/㎡로 이루어진다) 위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서 접착하여 얻은 평가 샘플을 표면 시트가 하측이 되도록 설치하였다. 설치한 시점의 급수량을 0으로 하고, 240초 후 및 600초 후의 흡액량(이 흡액량은 의사 월경 혈액의 수위의 저하량을 나타내는 뷰렛의 눈금으로 측정된다)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흡액량의 값을 소정 시간당의 흡액 속도로 하였다.
실시예 (십자 엠보싱· 열권축성 섬유) 비교예 1 (둥근 형상 엠보싱· 열권축성 섬유) 비교예 2 (십자 엠보싱· 통상 섬유)
피부와의 접촉 면적 39% 63% 43%
피부와의 마찰 계수 0.26 0.33 0.29
액 흡수 속도 240초 2.5cc 1,5cc 0.8cc
600초 6.7cc 4.7cc 2.7cc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부 접촉면측의 상층에 있는 볼록부가 융기하여 피부면을 향해서 비교적 뾰족해진 형상의 볼록함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부에 볼록부가 접촉할 경우, 볼록의 꼭대기부에서 피부에 접하고, 비교적 꼭대기부의 찌그러짐이 적은 것에 의해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적어져, 그 결과, 피부와의 마찰 계수가 낮게 억제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비교예 1이나 2는, 볼록부가 비교적 완만해서, 조금 찌그러져도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넓어져 피부와의 마찰 계수가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 액흡수성 속도에 있어서는, 실시예에서는 재빨리 액 흡수가 일어나 피부에 대한 끈적거림의 개선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상기 각 측정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피부에 대한 자극 물질을 포함하는 월경 혈액이나 오줌 등 배설물을 표면에 남기지 않고 재빠르게 흡수시킬 수 있는 표면구조를 유지함과 함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하여 피부와 마찰력을 경감함으로써, 통기성이 높아 피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피부에 대하여 마찰 자극이 적은 표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착용자에게 쾌적한 장착감을 제공함과 함께 가려움이나 염증 등의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엠보싱부의 형상 및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X-X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Y-Y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Z-Z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표면 시트의 엠보싱부의 형상 등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 모식평면도이다.
도 8의 (a)~(c)는 각각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제2~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엠보싱부의 형상 및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도 3 대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엠보싱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엠보싱부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 1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엠보싱부의 형상 및 배치 패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Claims (8)

  1.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상층과, 열수축한 열수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층을 가지며,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이 서로 적층되어 상기 엠보싱부에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층측의 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3개 이상의 상기 엠보싱부에 둘러싸인 영역의 대략 중앙부에 정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볼록부측의 윤곽인 엠보싱 윤곽은 상기 볼록부측에 굴곡 또는 만곡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엠보싱 윤곽이 상기 볼록부의 주위에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는 엠보싱부로서 이웃하는 엠보싱부간에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가 상기 볼록부의 정점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보다 높은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엠보싱부 및 상기 중간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섬유는 열처리에 의해 나선형상의 권축을 발현하는 권축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윤곽이 2개의 직선부로 이루어지고, 이웃하는 엠보싱부 각각의 하나의 직선부끼리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십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엠보싱 윤곽에 면한 부분이 상기 볼록부의 다른 부위보다도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6. 섬유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다수의 상기 엠보싱부 각각은 평면에서 봤을 때 그 중심을 통과하는 적어도 2축의 장축을 가지며,
    최단 거리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싱부는 그 장축방향의 대략 연장선 상에 존재하며,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싱부간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도는 상기 엠보싱부로 둘러싸인 영역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 시트의 밀 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밀도는 1~32개/㎠이며, 또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싱부의 간격은 0.5~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8. 제1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이면 시트와, 이들 양 시트간에 개재되어 배치된 액유지성의 흡수체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상층측의 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80048046A 2007-05-23 2008-05-23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KR101459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37138 2007-05-23
JP2007137138 2007-05-23
JP2008123723A JP4343992B2 (ja) 2007-05-23 2008-05-09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JP-P-2008-00123723 2008-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461A true KR20080103461A (ko) 2008-11-27
KR101459016B1 KR101459016B1 (ko) 2014-11-07

Family

ID=4028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046A KR101459016B1 (ko) 2007-05-23 2008-05-23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833A (ko) * 2014-09-02 2017-04-17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KR20210060442A (ko) * 2018-09-18 2021-05-2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및 표면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7376B2 (ja) * 1997-01-31 2003-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3783919B2 (ja) 2000-09-14 2006-06-07 大王製紙株式会社 布様外観を呈する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0665456B1 (ko) * 2000-10-12 2007-01-04 가오가부시끼가이샤 3차원적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입체시트 재료
JP3886400B2 (ja) 2002-03-22 2007-02-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1833A (ko) * 2014-09-02 2017-04-17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KR20210060442A (ko) * 2018-09-18 2021-05-2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및 표면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016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3992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TWI695714B (zh) 吸收性物品用之正面片材及具備該正面片材之吸收性物品
EP3338748B1 (en) Absorbent article
TWI572338B (zh) Fiber sheet
JP5374345B2 (ja) 生理用ナプキン
TWI231754B (en) Absorbent article
JP3587831B2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2011067484A (ja) 吸収性物品
JP2008073396A (ja) 吸収性物品
JP2007143698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5093A (ja) 吸収性物品
JP2012005701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17086621A (ja) 吸収性物品
EP1127563B1 (en)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5094173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8265B2 (ja) 吸収性物品
JP4219223B2 (ja) シート材料
EP1813239B1 (en) Absorptive article
KR20080103461A (ko)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TWI238711B (en) Topsheet of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having the same
JP2012090689A (ja) 吸収性物品
JP2005095209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6632343B2 (ja) 吸収性物品
JP2015112340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2022030813A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