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074A -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074A
KR20080102074A KR1020070048413A KR20070048413A KR20080102074A KR 20080102074 A KR20080102074 A KR 20080102074A KR 1020070048413 A KR1020070048413 A KR 1020070048413A KR 20070048413 A KR20070048413 A KR 20070048413A KR 20080102074 A KR20080102074 A KR 20080102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hamber
test tray
transfer mechanism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9926B1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926B1/en
Publication of KR2008010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A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by transferring two test trays at the same time. A first transfer unit(100) includes a first barrier groove connecting with a barrier jaw of a first test tray. A second transfer unit(200) includes a second barrier groove connecting with a barrier jaw of a second test tray.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move at the same time.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move at the same time.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re combined in an elevating rod(300).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get on/off at the same time by an elevation of the elevating rod.

Description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그를 구비한 테스트 핸들러,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테스트 핸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test handl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또는 제2 테스트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3 is a front view of a first or second tes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of a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제1이송기구 200: 제2이송기구100: first transfer mechanism 200: second transfer mechanism

110: 제1걸림홈 210: 제2걸림홈110: first locking groove 210: second locking groove

300: 승강봉 310: 연결부재300: lifting bar 310: connecting member

320: 벨트 330: 회전바320: belt 330: rotating bar

340: 지지프레임 345: 엘엠가이드340: support frame 345: LM guide

350: 회전봉 355: 홈350: rotating rod 355: groove

본 발명은 테스트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는 테스트 트레이를 이송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hand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test tray containing a semiconductor device.

일반적으로, 메모리 또는 비 메모리 반도체 소자는 생산 후 여러 가지 테스트 과정을 거친 후 출하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하는데 사용되는 장치가 테스트 핸들러이다.In general, a memory or non-memory semiconductor device is shipped after various test procedures after production, such a device used to test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 test handler.

테스트 핸들러는 상온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의 성능 테스트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에서도 반도체 소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를 테스트하게 된다.The test handler not only tests the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t room temperature but also tests whether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perform normal functions even in extreme conditions of high or low temperatures.

따라서,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반도체 소자를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로 조성하기 위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며 반도체 소자의 성능 테스트가 수행되는 테스트 챔버, 및 상기 테스트 챔버와 연결되며 반도체 소자를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ly, the test handler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the test chamber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performing a performance tes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test chamber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to form the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It comprises a second chamber for returning to a room temperature state.

또한, 상기 테스트 핸들러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고 수용된 반도체 소자를 상기 제1챔버, 테스트 챔버, 및 제2챔버로 이송하기 위해서 테스트 트레이를 포함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est handler includes a test tray for accommod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and transferring the accommodated semiconductor device to the first chamber, the te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테스트 핸들러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 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test hand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테스트 핸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test handler.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테스트 핸들러는 회전부(10), 제1챔버(20), 테스트 챔버(30) 및 제2챔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10), 제1챔버(20), 테스트 챔버(30) 및 제2챔버(40) 사이를 테스트 트레이(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테스트 트레이(1)에는 반도체 소자가 수용되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test handler comprises a rotating part 10, the first chamber 20, the test chamber 30 and the second chamber 40, the rotating part 10, the first The test tray 1 moves between the chamber 20, the test chamber 30, and the second chamber 40. The semiconductor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1.

이와 같은 종래의 테스트 핸들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test handler as follows.

우선, 상기 회전부(10)에서 수평상태의 테스트 트레이(1)를 90도 회전하여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상태로 위치시킨다. First, the test tray 1 in a horizontal state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rotating unit 10 to position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다음,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1)를 상측의 제1챔버(20)로 이송시킨 후 제1챔버(20)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테스트 조건에 맞는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한다. Next, the test tray 1 in the vertical stat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first chamber 20 and sequentially moved in the first chamber 20 to be heated or cooled to a temperature that meets the test conditions.

다음,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1)를 하측의 테스트 챔버(30)로 이동시킨 후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Next, the test tray 1 in the vertical state is moved to the lower test chamber 30, and then a test is performed on the semiconductor device.

다음,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1)를 하측의 제2챔버(40)로 이송시킨 후 제2챔버(40) 내에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온으로 복귀시킨다. Next, the test tray 1 in the vertical state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econd chamber 40 and then returned to room temperature while sequentially moving in the second chamber 40.

다음,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1)를 상측의 회전부(10)로 이송시킨 후 회전부(10)에서 90도 회전하여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상태로 위치시킨다. Next, the test tray 1 in a vertical stat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rotating part 10, and then rotated 90 degrees in the rotating part 10 to position the test tray in a horizontal state.

다음, 테스트 결과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분류하여 언로딩한다. Next, the semiconductor devices are classified and unloade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함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에 대해서 상기 공정의 진행을 완료한 후 다른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에 대해서 상기 공정을 반복 진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에 대해서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in tes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is manner, after completing the process of one test tray after the process of the other test tray is not repeated, but a plurality of methods It is preferable to sequentially input the plurality of test trays and to sequentially process the plurality of test trays.

그러나,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에 대해서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하더라도 각각의 공정 단계 사이에서 테스트 트레이를 이송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However, even if the process is sequentially performed for a plurality of test trays, a more efficient method for transferring the test trays between the respective process steps should be consider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투입하여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에 대해서 상기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다 보면, 상기 테스트 챔버(30)에서 테스트를 완료한 제1테스트 트레이가 상기 제2챔버(40)로의 이송을 대기하고 있고 상기 제1챔버(20)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제2테스트 트레이가 상기 테스트 챔버(30)로의 이송을 대기하고 있다. In more detail, when the plurality of test trays are inserted and the processes are sequentially performed on the plurality of test trays, the first test trays that have completed the test in the test chamber 30 are the second chambers 40. The second test tray, which is waiting for the transfer to) and heated or cooled in the first chamber 20, is waiting for the transfer to the test chamber 30.

이와 같은 상황에서, 종래의 경우 제1테스트 트레이를 제2챔버(40)로 이송한 후 그 다음에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30)로 이송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In this situa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first test tray to the second chamber 40 and then transferring the second test tray to the test chamber 30 was used.

따라서,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가 상기 테스트 챔버(30)로 이송되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져 그 만큼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the waiting time before the second test tray is transferred to the test chamber 30 is long,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함으로써 생산 효율 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그를 구비한 테스트 핸들러,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a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which can further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by simultaneously transferring two test tray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테스트 트레이의 걸림턱과 결합하는 제1걸림홈을 구비한 제1이송기구 및 제2테스트 트레이의 걸림턱과 결합하는 제2걸림홈을 구비한 제2이송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는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fer mechanism having a first locking groove coupled to a locking jaw of a first test tray, and a second locking groove coupled to a locking jaw of a second test tray. And a second transfer mechanism, wherei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simultaneously move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thereby providing a test tray transfer device. .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로 조성하기 위한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며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하는 테스트 챔버; 상기 테스트 챔버와 연결되며,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챔버; 및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테스트 완료된 제1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챔버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챔버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제2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기 위한, 전술한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를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핸들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first chamber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A test chamber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configured to test a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the test chamber and for return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to a room temperature state; And a first transfer mechanism for transferring the first test tray, which has been tested in the te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and simultaneously transferring a second test tray heated or cooled in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It provides a test handler comprising a test tray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second transfer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한 후 테스트 트레이를 회전부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회전부에서 제1챔버로 이송한 후 상기 제1챔버 내에서 상기 테 스트 트레이에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1챔버에서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챔버내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챔버내에서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2챔버에서 회전부로 이송한 후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상태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1챔버에서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하는 단계는, 전술한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를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semiconductor device; Loading the prepared semiconductor device in a test tray and rotating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in a rotating part;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rotating unit to the first chamber and then applying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to the test tray in the first chamber;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Performing a test on a semiconductor device loaded in the test tray in the test chamber;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test chamber to a second chamber; Returning the test tray to a room temperature state in the second chamber; And rotating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after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rotating unit, wherein the test tray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te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at the same time using the test tray transfer device including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described above. do.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Test Tray Feed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또는 제2 테스트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or second test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는 제1이송기구(100) 및 상기 제1이송기구(100)와 연결된 제2이송기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a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상기 제1이송기구(100)는 제1테스트 트레이(T)의 걸림턱(도 3의 도면부호 150a참조)과 결합하는 제1걸림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이송기구(200)는 제2테스트 트레이(T)의 걸림턱(도 3의 도면부호 150b)과 결합하는 제2걸림홈(210)을 구비한다.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includes a first locking groove 110 coupled with a locking step (see reference numeral 150a of FIG. 3) of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The second test groove (T)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groove 210 coupled with the locking step (reference numeral 150b of FIG. 3).

상기 제1이송기구(100)의 제1걸림홈(110)은 제1테스트 트레이(T)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50a)과 결합하고, 상기 제2이송기구(200)의 제2걸림홈(210)은 제2테스트 트레이(T)의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50b)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에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제2테스트 트레이(T)가 동시에 결합된다. The first locking groove 110 of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is coupled to the locking jaw 150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locking mechanism of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is coupled. The groove 210 is coupled to the engaging jaw 150b formed below the second test tray T, so that the first test tray T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 And the second test tray T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는 승강봉(30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봉(300)이 승강하면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제2테스트 트레이(T)가 동시에 이송되게 된다.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re coupled to the lifting bar 300. Therefore, when the lifting rod 300 is raised and lowere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re lif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test tray T. Will be transported at the same time.

도 2에는 제1이송기구(100), 제2이송기구(200) 및 승강봉(300)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도 2에 따른 테스트 테레이 이송장치가 한 쌍을 이루어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제2테스트 트레이(T)를 이송하게 된다. FIG. 2 illustrates a test tray transfer device including a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nd a lifting rod 300, but the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FIG.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test tray T are transferred.

또한,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 2이송기구(200)는 상기 제1 테스트 트레이 및 제2 테스트 트레이가 이송공간으로 진입할 때 방해가 되어서는 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는 제1테스트 트레이(T)가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공간으로 진입할 경우에 상기 제1 테스트 트레이(T)의 진입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되고, 상기 제2 테스트 트레이(T)가 테스트 핸들러의 제1챔버로부터 테스트 챔버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공간으로 진입할 경우에 제2 테스트 트레이(T)의 진입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된다. 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should not be disturbed when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enter the transfer spac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when the first test tray (T) enters the transfer space for the transfer to the second chamber from the test chamber of the test handler The second test tray T should not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first test tray T, and when the second test tray T enters the transfer space for being transferred from the first chamber of the test handler to the test chamber, It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entry of T).

따라서,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T)가 이송공간으로 진입할 경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봉(300)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승강봉(3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승강봉(300)에 결합된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T)가 이송공간으로 진입할 경우에 진입공간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T)가 이송공간으로 진입을 완료한 경우에는 상기 승강봉(300)이 반대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승강봉(300)이 반대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T)와 결합하게 된다. Therefore, the lifting bar 300 is rotatably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test tray T do not interfere when entering the transfer space. When the lifting bar 300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coupled to the lifting rod 300 rotate together to form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2 When the test tray (T) enters the transfer space, the entry space is given.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T) has completed the entry into the transport space, the lifting bar 300 is rotated in reverse. As such, when the lifting bar 30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lso rotate together to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T.

이와 같이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는 상기 승강봉(300)의 승강에 의해서 승강함으로써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제2테스트 트레이(T)를 동시에 상하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승강봉(30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함으로써 제1테스트 트레이(T) 및 제2테스트 트레이(T)가 이송위치로 진입할 경우에 그 진입공간을 부여하고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T)가 진입을 완료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T)와 결합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re moved up and down by lifting up and down the lifting rod 300 to simultaneously move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test tray T up and down simultaneously. When the first test tray (T) and the second test tray (T) enters the transfer position by rotating by the lifting rod 300, the entry space is provided and the first and the first When the second test tray T completes the entry, the test tray T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T.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봉(300)이 승강하기 위한 구성과 상기 승강봉(300)이 회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lifting the lifting bar 300 and a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lifting rod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우선, 상기 승강봉(300)이 승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for the lifting bar 300 to move up and down will be described.

도 4a는 상기 승강봉이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상기 승강봉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4a shows the lifting rod is lowered and Figure 4b shows the lifting rod is raised.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승강봉(300)은 연결부재(310)를 통해 벨트(3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벨트(320)의 일단은 회전바(330)에 감겨있고, 상기 벨트(320)의 타단은 소정의 지지프레임(340)에 감겨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40)에는 엘엠가이드(34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310)는 상기 지지프레임(340)의 엘엠가이드(345)와 연결되어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s 4a and 4b, the lifting bar 300 is connected to the belt 32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10. One end of the belt 320 is wound around the rotation bar 330, and the other end of the belt 320 is wound around a predetermined support frame 340. The support frame 340 is provided with an LM guide 345, the connection member 310 is connected to the LM guide 345 of the support frame 340.

따라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회전바(3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바(330)에 감겨진 상기 벨트(3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벨트(3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벨트(320)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310)가 상기 지지프레임(330)의 엘엠가이드(335)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10)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310)에 연결된 승강봉(300)이 승강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bar 330 is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the belt 320 wound around the rotation bar 330 is rotated, and when the belt 320 is rotated, the belt ( The connecting member 310 connected to the 320 is elevated along the LM guide 335 of the support frame 330. As such, when the connection member 310 is elevated, the lifting rod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10 is elevated.

한편, 상기 승강봉(300)이 상승할 경우, 상기 승강봉(300)은 그 둘레를 둘러싸고 형성되는 회전봉(350)의 내부를 통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350)에는 길이방향으로 홈(3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350)에 형성된 홈(355)을 통해 상기 승강봉(300)에 결합된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회전봉(35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봉(300)이 상기 회전봉(350)의 내부를 통해 상승할 경우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는 상기 회전봉(350)의 홈(355)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봉(300)이 하강할 경우도 상기 회전봉(350)의 홈(355)을 통해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하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ing bar 300 is raised, the elevating bar 300 is rais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rotating rod 350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In this case, a groove 355 is formed in the rotary rod 3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coupled to the elevating rod 300 through the groove 355 formed in the rotary rod 350.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od (350). Therefore, when the lifting bar 300 ri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rotary bar 350,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long the groove 355 of the rotary rod 350 Will rise. Even when the lifting bar 300 descends,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descend through the groove 355 of the rotary rod 350.

이와 같이, 상기 승강봉(300)이 승강함으로써 상기 승강봉(300)에 연결된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승강하게 되고, 결국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에 각각 결합된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가 동시에 이송되게 된다. As such,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mechanisms 100 and 200 connected to the lifting rods 300 are lift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rods 300, and eventually, the first transfer mechanisms 100 and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re transferred simultaneously.

다음, 상기 승강봉(300)이 회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 configuration for the lifting bar 300 to rotate will be described.

도 4a및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승강봉(300)은 회전봉(350)에 의해 둘러 싸여지게 되고, 상기 회전봉(350)은 링크 구조물(36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봉(350)에는 길이방향으로 홈(3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350)에 형성된 홈(355)을 통해 상기 승강봉(300)에 결합된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회전봉(35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s 4a and 4b, the lifting bar 300 is surrounded by a rotating rod 350, the rotating rod 350 is connected to the link structure 360. In addition, the rotating rod 350 has a groove 35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coupled to the lifting bar 300 through the groove 355 formed in the rotating rod 35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od (350).

따라서, 상기 링크 구조물(360)에 의해 상기 회전봉(3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승강봉(300)이 상기 회전봉(35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rotating rod 350 is rotated by the link structure 360, the lifting bar 30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350.

이때, 상기 승강봉(300)의 일단은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 연결부재(31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봉(350)이 회전할 때 상기 승강봉(300)이 상기 연결부재(31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elevating rod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10 via a bearing, so that the elevating rod 300 on the connecting member 310 when the rotating rod 350 is rotated It becomes rotatable.

다시 말하면,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가 이송공간으로 진입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봉(350)이 시계방향(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의 진입로를 벗어난 위치로 함께 회전함으로써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의 진입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가 이송공간으로 진입을 완료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봉(350)이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반향)으로 회전하여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가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와 결합하게 되어,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의 이송을 준비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enter the transfer space, the rotating rod 35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tray rotate. The mechanism 200 rotates together to a position outside the entrances of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entry of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In addition, when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has completed the entry into the transfer space, the rotating rod 3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to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first transfer tray. When the two transfer mechanisms 200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s, the two transfer mechanisms 200 are coupled to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thereby preparing the transfer of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이상과 같은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ocess of simultaneously transferring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using the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우선, 상기 링크 구조물(360)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봉(350)과 승강봉(300)을 회전시킨 후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를 이송위치로 진입시킨다. First, the rotary bar 350 and the lifting bar 300 are rotated using the link structure 360, and then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are moved to a transfer position.

다음, 상기 링크 구조물(360)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봉(350)과 승강봉(300)을 원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기구(100)의 제1걸림홈(110)과 제1테스트 트레이 상측의 걸림턱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2이송기구(200)의 제2걸림홈(210)과 제2테스트 트레이 하측의 걸림턱을 결합시킨다. Next, by using the link structure 360 to rotate the rotary bar 350 and the lifting bar 300 to the original state, the first locking groove 110 and the first test tray upper side of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The engaging jaw of the,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210 of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nd the engaging jaw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est tray.

다음,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와 결합된 승강봉(300)을 하강시켜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하강시킨다. 상기 승강봉(300)을 하강시키는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바(330)가 회전하고, 회전바(300)의 회전에 의해 벨트(320)가 회전하고, 벨트(320) 의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310)가 하강하는 공정을 통해 수행된다.Next, the lifting bar 300 coupled with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is lowered to simultaneously lower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In the step of lowering the lifting bar 300,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bar 330 is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the belt 3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ar 300, The connection member 310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belt 320.

다음,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링크 구조물(360)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봉(350)과 승강봉(300)을 회전시켜 상기 제1이송기구(100)와 제1테스트 트레이 간의 결합 및 상기 제2이송기구(200)와 제2테스트 트레이 간의 결합을 해제한다. Next, when the lowering of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is completed, by using the link structure 360 to rotate the rotating rod 350 and the lifting bar 300 by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firs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test tray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and the second test tray is released.

다음,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와 결합된 승강봉(300)을 상승시켜 상기 제1이송기구(100) 및 제2이송기구(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그 다음의 제3테스트 트레이 및 제4테스트 트레이의 이송을 준비한다. Next, the lifting bar 300 coupled with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is raised to retur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100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200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n, the transfer of the next third test tray and the fourth test tray is prepared.

<테스트 핸들러><Test handl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는 회전부(400), 제1챔버(500), 테스트 챔버(600) 및 제2챔버(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ating part 400, the first chamber 500, the test chamber 600 and the second chamber 700.

상기 회전부(400)는 상기 제1챔버(500)로 이송될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상기 제2챔버(700)에서 이송된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부(400)의 근방에는 테스트할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하기 위한 로딩부 및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분류하여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딩부가 설치된다. The rotating unit 400 serves to rotate the test tray to be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500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and also to horizontally rotate the test tray transferred from the second chamber 700 in a vertical state. It serves to rotate. Although not shown, the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tested into the test tray and the unloading unit for classifying and unload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from the test tray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rotating unit 400.

상기 제1챔버(500)는 반도체 소자를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로 조성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제1챔버(500) 내에서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는 테스트 트레이(T)를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테스트 조건에 상응하는 온도 조건으로 반도체 소자를 가열 또는 냉각하게 된다. The first chamber 500 is a space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The first chamber 500 moves the test tray T for accommod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first chamber 500 step by step.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heated or cooled to a temperature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상기 테스트 챔버(600)는 상기 제1챔버(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1챔버(500)에서 이송된 테스트트레이(T)가 푸쉬유닛(610)과 테스트기(620) 사이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푸쉬유닛(610)이 테스트트레이(T)에 수용된 반도체 소자를 밀어 상기 테스트기(620)와 접속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The test chamber 600 is formed below the first chamber 500 and is a space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and the test tray T transferred from the first chamber 500 is The semiconductor device is positioned between the push unit 610 and the tester 620, and the push unit 610 pushes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T to connect the tester 620 to test the semiconductor device. .

상기 제2챔버(700)는 상기 테스트 챔버(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제2챔버(700) 내에서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는 테스트트레이(T)를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반도체 소자를 상온 상태로 복귀시킨다. The second chamber 70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test chamber 600 and is a space for return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to a room temperature state. The test tray accommodates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second chamber 700 ( The semiconductor element is returned to room temperature while moving T) step by step.

한편, 이와 같은 회전부(400), 제1챔버(500), 테스트 챔버(600) 및 제2챔버(700)를 통해서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공정이 진행되게 되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챔버(500), 테스트 챔버(600) 및 제2챔버(700)에 걸쳐서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이송장치가 형성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est trays are sequentially transferred through the rotating part 400, the first chamber 500, the test chamber 600 and the second chamber 700, and the process proceeds,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a transfer device may be formed to simultaneously transfer a plurality of test trays over the first chamber 500, the test chamber 600, and the second chamber 700.

상기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는 상기 테스트 챔버(600)에서 테스트 완료된 제1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챔버(700)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챔버(500)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제2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600)로 이송하기 위한 것 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transfers the first test tray tested in the test chamber 600 to the second chamber 700 and simultaneously transfers the second test tray heated or cooled in the first chamber 500. As the transfer to the test chamber 600,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상기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해 동시에 이송되는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는 소정의 프레임에 복수개의 캐리어 모듈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소정의 프레임에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의 걸림홈와 결합하는 걸림턱(도 3의 150a 및 150b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simultaneously transported by the test tray feeder ar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arrier modules in a predetermined frame, and the catching jaw coupled to the catching groove of the test tray feeder in the predetermined frame. (See 150a and 150b in Fig. 3).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반도체 소자를 준비한다. 상기 반도체 소자는 메모리 반도체 소자 및 비메모리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다. First, a semiconductor element is prepared. The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memory semiconductor device and a non-memory semiconductor device.

다음, 준비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한 후 테스트 트레이를 회전부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한다. Next, after loading the prepared semiconductor device in the test tray, the test tray is rotated in a vertical state in the rotating unit.

이 공정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회전부(400) 근방의 로딩부에서 수평상태의 테스트 트레이에 반도체 소자를 로딩한 후, 회전부(400)에서 수평상태의 테스트 트레이를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emiconductor device is loaded in a test tray in a horizontal state in a loading unit near the rotating unit 400, and then the horizontal test tray is rotated in a vertical state in the rotating unit 400. Can be done.

다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회전부에서 제1챔버로 이송한 후 상기 제1챔버 내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를 부여한다. Next, the test tray is transferred from the rotating unit to the first chamber, and the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is given to the test tray in the first chamber.

이 공정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챔버(500) 내에서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는 테스트 트레이를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반도체 소자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by heating or cooling the semiconductor device while moving the test tray accommod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by one step in the first chamber 500.

다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1챔버에서 테스트 챔버로 이송한다. Next, the test tray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이 공정은 전술한 도 2, 도 4a 및 도 4b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This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FIGS. 2, 4A and 4B described above.

다음, 상기 테스트 챔버내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Next, a test is performed on the semiconductor device loaded in the test tray in the test chamber.

이 공정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테스트트레이에 수용된 반도체 소자를 푸쉬유닛(610)에 의해 테스트기(620)와 접속시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may be connected to the tester 620 by the push unit 610 to perform a test on the semiconductor device.

다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한다. Next, the test tray is transferred from the te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이 공정은 전술한 도 2, 도 4a 및 도 4b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This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FIGS. 2, 4A and 4B described above.

다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챔버내에서 상온 상태로 복귀시킨다. Next, the test tray is returned to a room temperature state in the second chamber.

이 공정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챔버(700) 내에서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는 테스트트레이를 한 스텝씩 이동시키면서 반도체 소자를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process may be performed to return the semiconductor device to a room temperature while moving the test tray accommod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in the second chamber 700 by one step.

다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2챔버에서 회전부로 이송한 후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상태로 회전시킨다. Next, the test tray i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rotating unit, and the test tray in the vertical state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state.

이 공정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회전부(400)에서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상태로 회전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스트 트레이가 수평상태로 회전된 후에는 회전부(400) 근방의 언로딩부에서 테스트 결과에 따라 반도체 소자를 상기 테스트 트레이로부터 분류하는 공정을 거쳐 반도체 소자의 제조를 완료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rotating unit 400 may be a process of rotating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in a horizontal state.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test tray is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the unloading unit near the rotating unit 400 undergoes a process of classifying the semiconductor device from the test tray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hereby completing the manufactur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한편, 상기 공정은 복수개의 테스트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수행되게 되며, 그 경우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1챔버에서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는 공정과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하는 공정은 전술한 도 2, 도 4a 및 도 4b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Meanwhile, the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plurality of test trays are continuously transferred, in which case,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an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te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Is performed using the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FIGS. 2, 4A and 4B.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y simultaneously transferring two test trays.

Claims (13)

제1테스트 트레이의 걸림턱과 결합하는 제1걸림홈을 구비한 제1이송기구 및 제2테스트 트레이의 걸림턱과 결합하는 제2걸림홈을 구비한 제2이송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It includes a first transfer mechanism having a first locking groove coupled to the locking jaw of the first test tray and a second transfer mechanism having a second locking groove coupled to the locking jaw of the second test tray,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는 동시에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제2테스트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An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simultaneously move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는 승강봉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승강봉의 승강에 의해서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가 동시에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is coupled to the lifting rod, the test tray transfe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is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by lifting the lifting rod.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승강봉은 연결부재를 통해 벨트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벨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봉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The elevating rod is connected to the belt through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elevating rod is lif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elt.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벨트의 일단은 회전바에 감겨있고, 상기 벨트의 타단은 소정의 지지프 레임에 감겨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엘엠가이드와 연결되어 있어, One end of the belt is wound on a rotation bar, the other end of the belt is wound on a predetermined support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LM guid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가 회전하고, 상기 벨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엘엠가이드를 따라 승강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승강봉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The bel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bar, and the lifting ro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is lifted by the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vating guide of the support frame by the rotation of the belt.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는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가 이송위치로 진입할 경우에는 그 진입공간을 부여하고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가 진입을 완료한 경우에는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와 결합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provide an entry space when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enter the transfer position, an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when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complete the entry. A test tray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o engage with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는 승강봉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및 제2 테스트 트레이의 진입공간을 부여하고 상기 제1및 제2테스트 트레이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are coupled to the lifting rod, an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lifting rod, thereby opening the entrance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And a test tray conveying apparatus which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trays.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승강봉은 회전 가능하도록 그 일단이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벨트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승강봉은 회전 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벨트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One end of the elevating rod is rotatab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elt, and the elevating rod is rotatable and the test tray transpor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elt.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승강봉은 회전봉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회전봉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봉에 결합된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는 상기 회전봉에 형성된 홈을 통해 회전봉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The lifting rod is surrounded by a rotating rod, the rotating rod is formed with a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coupled to the lifting ro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od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rotating rod ,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봉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봉의 홈을 따라서 상기 승강봉에 결합된 제1이송기구 및 제2이송기구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The elevating rod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d, and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coupled to the elevating rod along the groove of the rotary rod is lifted.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회전봉은 링크 구조물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링크 구조물에 의해 상기 회전봉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The rotary rod is connected to the lin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rod rotates by the link structure. 반도체 소자를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로 조성하기 위한 제1챔버; A first chamber for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며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챔버; A test chamber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configured to test the semiconductor device in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상기 테스트 챔버와 연결되며, 테스트 완료된 반도체 소자를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챔버; 및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the test chamber and for returning the tested semiconductor device to a room temperature state; And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테스트 완료된 제1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챔버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챔버에서 가열 또는 냉각된 제2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기 위한,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핸들러.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est tray tested in the test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hamber and the second test tray heated or cooled in the first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test chamber. A test handler comprising a test tray fee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테스트 트레이 및 제2테스트 트레이는 상기 제1이송기구 및 제2 이송기구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핸들러. And the first test tray and the second test tray have a locking step coupled to a locking groove of the first transfer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fer mechanism.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챔버는 상기 테스트 챔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챔버는 상기 테스트 챔버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핸들러. And the first chamber is formed above the te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is formed below the test chamber. 반도체 소자를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semiconductor device; 준비된 반도체 소자를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한 후 테스트 트레이를 회전부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단계;Loading the prepared semiconductor device in a test tray and rotating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in a rotating part;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회전부에서 제1챔버로 이송한 후 상기 제1챔버 내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고온 또는 저온의 극한 상태를 부여하는 단계;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rotating unit to the first chamber and then giving an extreme state of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to the test tray in the first chamber;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1챔버에서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는 단계;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상기 테스트 챔버내에서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로딩된 반도체 소자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test on a semiconductor device loaded in the test tray in the test chamber;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하는 단계;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test chamber to a second chamber;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상기 제2챔버내에서 상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Returning the test tray to a room temperature state in the second chamber; And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2챔버에서 회전부로 이송한 후 수직상태의 테스트 트레이를 수평상태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And rotating the test tray in a vertical state after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second chamber to the rotating unit. 이때,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제1챔버에서 테스트 챔버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트레이를 테스트 챔버에서 제2챔버로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At this time,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test chamber and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test tray from the test chamber to the second chamber, transfer of the test tr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simultaneously using the device.
KR1020070048413A 2007-05-18 2007-05-18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0899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13A KR100899926B1 (en) 2007-05-18 2007-05-18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13A KR100899926B1 (en) 2007-05-18 2007-05-18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074A true KR20080102074A (en) 2008-11-24
KR100899926B1 KR100899926B1 (en) 2009-05-28

Family

ID=4028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413A KR100899926B1 (en) 2007-05-18 2007-05-18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926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772B1 (en) * 2000-10-10 2003-03-19 미래산업 주식회사 Handler of horizontal type for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412151B1 (en) * 2000-10-20 2003-12-24 미래산업 주식회사 Tray transfer for handler
KR20030029266A (en) * 2001-10-05 2003-04-14 (주)테크윙 Test handler
KR20030052459A (en) * 2001-12-21 2003-06-27 (주)제이티 Operating Method and device of fixtare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926B1 (en)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188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JP4658106B2 (en) Push block for handler and handler with the same
TWI506287B (en) A probe card conveying mechanism, a probe card conveying method and a probe device
JP2004031901A (en) Wafer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sensor box
KR100855203B1 (en) Test Tray and Test Handler Device using the same
JP3197885B2 (en) Module IC handling method and carrier handling method for module IC handler
WO2017158852A1 (en) Prober
JP2023143951A (en) Prober
KR20200033288A (en) Inspection system
JP6425027B2 (en) Prober and wafer chuck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
KR100899926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Test Tray, Test Handl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TWI716983B (en) Workpiece storage system, method of storing workpie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workpiece using the same
KR101552692B1 (en) Camera module test system and camera module controller
JP6519780B2 (en) Probe card type temperature sensor
JP5894825B2 (en) Probe apparatus and wafer transfer unit
KR100945215B1 (en) Test Handler
KR20070025328A (en)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902292B1 (en) Transfering apparatus of tray, Handler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transfering apparatus, Transfering method of the tray using the handl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the handler
KR100980210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a test tray and Test Handler using the same
JP2000131386A (en) Chamber of ic module handler
JP2010014593A (en) Inspec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901983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a test tray and Test Handler using the same
JP2018022813A (en) Prober
JP2014165234A (en) Probe device and wafer loader
KR101003134B1 (en) The test handler of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heating of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