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328A -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328A
KR20080100328A KR1020080109597A KR20080109597A KR20080100328A KR 20080100328 A KR20080100328 A KR 20080100328A KR 1020080109597 A KR1020080109597 A KR 1020080109597A KR 20080109597 A KR20080109597 A KR 20080109597A KR 20080100328 A KR20080100328 A KR 2008010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button
vowel
inpu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겸
Original Assignee
김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겸 filed Critical 김민겸
Publication of KR200801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 자판과 같은 적은 수의 키를 지닌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 알파벳입력;

Description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Alphabet input device and method in keypad }
도1. 3개 모음요소를 적용한 사례
도2. 도1을 4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반복선택방법 적용 관점에서 풀어 표현한 사례
도3. 4개 모음요소를 4개의 버튼에 배정한 사례
도4. 도3을 반복선택방법 적용 관점에서 풀어 표현한 사례
본 발명은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 자판과 같은 적은 수의 키를 지닌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 등의 디지털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초기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는 문자를 입력하는 수단도 포함하게 되었 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므로 키패드에 포함된 버튼의 수는 그 한계를 지니게 된다. 한편, 각 언어의 알파벳은 키패드에 포함된 12개의 키의 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전화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패드 상의 버튼들을 하나 또는 2 이상 조합하여 그 알파벳을 표현하여야 한다.
키패드를 통한 한국어입력 분야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기술적 난제(모호성의 제거, 암기용으로의 활용, 입력의 편리성/간편성, 적은 입력타수로의 입력 등등)를 해결할 수 있는 한국어 입력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출원인의 선출원의 내용 중 한국어에서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을 위주로 묶어, 그리고 이외의 몇가지 내용을 묶어 우선권주장 출원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타 언어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타 언어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타 언어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한국어에서 모음요소를 활용한 방법
과거 알파벳을 구성하는 획소를 각 버튼에 배정하고, 각 획소(예. →, ↓, ↙, ↘, ⊃, O 등등)의 조합으로 알파벳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한 현재 한국에서 한국어의 모음만을 3개의 모음요소(ㅡ, ., ㅣ=> 즉, 획소)로 분리하여 각 모음요소의 조합으로 키패드에서 알파벳을 입력하는 사례가 있었다.
한국어에 있어서 모음은 몇개의 모음요소(획소)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ㅡ, ., ㅣ 3개의 모음요소(편의상 간단히 “3모음”으로도 부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고, ㅡ, ., :, ㅣ 의 4개 모음요소(편의상 간단히 “4모음”으로도 부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ㅡ, ㅣ는 모음 자체로 존재하므로,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입력방법에서 모음요소를 활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국어의 모음을 3개의 모음요소를 조합하여 혹은 4개 모음요소를 조합하여 한국어의 모든 다양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를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알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1. 10자음 3모음법
먼저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기본 알파벳으로 10개의 자음평음(기본자음)과 3개의 모음요소와 경음과 격음을 컨트롤처리방법(기본자음과 컨트롤의 조합으로 입력)에 의하여 입력하기 위한 경음컨트롤, 격음컨트롤 등의 15가지 요소를 생각할 수 있다. 이를 12개의 버튼을 구비한 3*4키패드에 배정하고 입력하여야 하므로, 9개의 버튼에 10개의 기본자음 중 경음과 격음이 존재하지 않는 기본자음(편의상 “9버튼 탈락자음” 혹은 “10-9자음” 혹은 더 간단히 “-9자음” 이라 부름)을 제외하고 나머지 9개의 기본자음을 9개의 버튼에 배정하고, 3개의 모음요소 하나하나와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 9버튼탈락자음 3가지를 임의로 2개씩 그룹핑하여 나머지 3개의 버튼에 배정할 수 있다. 9개의 버튼에 배정된 기본자음은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모음요소를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된 컨트롤 혹은 9버튼 탈락자음은 배정된 버튼 3타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10자음 3모음법” 혹은 “경음/격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된 컨트롤 혹은 9버튼 탈락자음을 배정된 버튼 3타로 선택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한국어 키패드를 암기용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10개의 각 숫자버튼에 10개의 기본자음이 각각 배정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도1은 이러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1에서 “ㅎ”이 9버튼 탈락자음으로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되어 숫자버튼인 [0] 버튼에 배정되었는데, 이는 “ㅎ”이 격음 및 경음이 존재하지 않고, 가장 사용빈도가 낮아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지 못하더라도 불편을 덜 주면서, 순서로도 가장 마지막에 있어 한국인에게 자연스러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도1에서 나머지 기본자음 역시 사전순서대로 각 숫자버튼에 배정되었으므로, 사용자에게 좋은 위치식별성(가독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컨트롤 후입력 적용시 ㅋ = ㄱ + {격음(컨트롤)} = [1]+[*]+[*] 으로, ㄲ = ㄱ + {경음(컨트롤)} = [1]+[#]+[#] 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일본어의 사례에서와 처럼 한국어에서 모음 “ㅡ”와 “ㅣ”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으로 격음컨트롤과 격음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ㅔ” 혹은 “ㅖ”의 경우에는 모음 “ㅣ”가 연속하여 나오기도 하나, 앞에 모음요소 “.” 이 선행하므로 “##”을 누른 것이 컨트롤을 선택한 것이 아니고 모음을 입력한 것임을 시스템이 알 수 있다. 선출원에서 컨트롤을 굳이 버튼에 표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단지 해당버튼을 눌러 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으면 된다고 하였는데, 격음컨트롤을 모음 “ㅡ”와 함께 그룹핑하여 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을 2번 눌러 격음컨트롤을 선택하는 것을 기억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경음컨트롤을 모음 “ㅣ”와 함께 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모음 “ㅣ”가 배정된 버튼을 2번 눌러 경음컨트롤을 선택함을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성질 역시 출원인 발명에서 권리로써 보호받고자 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며, 후술하는 4모음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출원인이 제시한 실시예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응용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출원인의 발명의 권리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이를 편의상 “선모양 모음요소(“ㅡ”, “ㅣ”) 버튼 이용 격음/경음 컨트롤처리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1의 사례에서 모음요소 “.”을 [0] 버튼에 배정하고, 숫자 “0”안에 암시적으로 배치(숫자 “0” 안의 빨간점)함으로써, 모음요소 “.”을 암시적을 배치할 수 있다. 결국 외형적으로 키패드상 단 하나의 알파벳만을 간결하게 배치하여 한국어 입력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격음/경음컨트롤처리 10자음 3모음법에서 격음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지 않고, 격음의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을 2번 누름으로써(즉, 은닉형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격음반복선택 경음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혹은 경음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지 않고, 경음의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을 2번 누름으로써(즉, 은닉형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이는 경음, 즉 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를 편의상 “경음반복선택 경음컨트롤처리 반복선택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는 격음과 경음 모두를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지 않고,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격음과 경음 모두를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경우, 반복선택순서는 기본자음(1타) ? 경음(2타) ? 격음(3타)로 되도록 할 수도 있고(이는 경음, 즉 쌍자음을 기본자음의 조합으로 입력하고, 격음을 기본자음이 속한 버튼 3타로 입력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기본자음(1타) ? 격음(2타) ? 경음(3타) 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편의상 전자의 경우를 “先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 이라 부르기로 하고, 후자의 경우를 “先격음 반복선택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본 단락에서 설명한 몇가지를 통칭하여 편의상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 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만의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혹은 경음만의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선경음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선격음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반대로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을 유지하면서, 격음만의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경음만의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고, 경음, 격음 모두의 컨트롤처리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혹은 경음은 컨트롤처리방법으로만 입력하고, 격음은 반복선택방법으로만 입력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격음은 컨트롤처리방법으로만 입력하고, 경음은 반복선택방법(즉, 기본자음의 조합)으로만 입력할 수도 있다. 예시한 바와 유사한 조합이 더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편의상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반복선택 혼용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격음과 경음의 입력방식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경우를 일반적으로 지칭하여, 편의상 “10자음 3모음법”이라 하기로 한다. 경음과 격음의 입력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입력방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격음과 경음의 입력에 모두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격음/경음 반복선택 3모음법” 적용시에 발생하는 모호성의 빈도는 약 140 글자에 한 글자꼴로 삼성전자社의 입력시스템에서 약 15글자에 한글자 꼴로 발생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적게 발생한다. 격음 혹은 경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던,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던, 각 숫자버튼에 격음 혹은 경음을 추가로 배정하고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1.2. 10자음 4모음법
도1의 사례를 풀어 도2에서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도2에서도 도1에서와 동일한 입력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도2에서 보듯이 이는 한국어의 모음 “ㅕ” 혹은 “ㅛ” 등을 입력시 필요한 모음요소 “:(경우에 따라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획으로 작용하나 여기서는 편의상 수평방향의 획 ‘:’ 으로 표시)” 를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하여 같은 버튼에 배정하고, 모음요소 “.”, “:” 을 각각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배정된 버튼 1타, 2타로 각각 선택하되, 모음요소 “:”을 명시적으로 버튼상에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도2에서와 같이 명시적으로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키패드에 표시된 알파벳을 선택하도록 하더라도 결과는 같다. 그러나 모음요소 “:”을 굳이 버튼상에 표시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모음요소 “.”의 조합(즉 “:” = “.” + “.” = [0]+[0])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결국 도1 역시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를 이용하되,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 9버튼탈락자음 3가지 중의 하나를 모음요소 “.”과 모음요소 “:” 와 함께 그룹핑하여 임의의 버튼에 배정하고, “.”, “:” 그리고 함께 배정된 9버튼 탈락자음(도1의 사례에서)을 각각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하되, 모음요소 “:”을 버튼상에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10자음 3모음법”과 같은 결과이나, 편의상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3모음법” 혹은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 복선택 4모음법” 혹은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모음요소법”이라 부른다. 경음과 격음은 전술한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사실상 같은 결과이나 특별히 별도의 명칭을 붙여 설명하는 것은 도1역시 4개의 모음요소를 활용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되, 모음요소 “:”를 단지 버튼상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말하려 함이고(도1과 같이 표시하지 않더라도 입력방법과 입력시스템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도2에서와 동일), 이는 기존의 삼성전자社의 한글입력시스템이 단지 3개의 모음요소만을 활용하는 접근방법 이었음에 반하여, 출원인이 제시한 입력시스템은 다른 관점(4개의 모음요소 활용)에서 볼 수 있는 것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도3은 모음요소 “:”을 모음요소 “.”과 함께 그룹핑하지 않고, 각기 다른 그룹으로 그룹핑한 경우를 보여준다. 즉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가 각각 다른 버튼에 배정되며, 이를 편의상 “10자음 4모음법” 혹은 “4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4모음법은 3모음법과 통하는 점이 많으므로 비교적 간단히 설명하며, 3모음법에서 설명한 내용중 4모음법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4모음법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용어 역시 3모음법에서 사용한 용어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모음법에서 마찬가지로 10개의 기본자음 중 격음과 경음이 존재하지 않는 2개의 기본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을 8개의 버튼에 각각 배정하고, 4개의 모음요소 하나하나와 격음컨트롤, 경음컨트롤, 8개의 버튼에 배정되지 않은 2개의 자음( 편의상 “8버튼 탈락자음” 혹은 “10-8자음” 혹은 더 간단히 “-8자음” 이라 부름)을 각각 2개씩 그룹핑하여 모음요소는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하고, 함께 배정된 컨트롤 혹은 탈락자음들은 배정된 버튼 2타로 입력(즉,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도 10개의 기본자음이 각 숫자버튼에 배정되도록 함으로써 암기용으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음요소 “.”을 모양이 유사한 [0] 버튼에 배정하고, 숫자 “0” 안에 표시함으로써 버튼상 간결한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혹은 숫자안의 표시를 생략해도 모양이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음), 모음요소 “:”을 모양이 유사한 [8] 버튼에 배정하고, 숫자 “8” 내부에 표시함으로써(혹은 숫자안의 표시를 생략해도 모양이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음) 버튼당 외형적으로 단 하나의 알파벳만을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3에서와 같이 모음 “ㅡ”, “ㅣ”가 배정되는 버튼이 [*] 버튼 및 [#] 버튼인 경우 한국어의 다양한 모음을 입력시 인접한 버튼을 누르게 되어 운지거리를 적게하는 효과가 있다.
4모음법의 경우도 격음과 경음의 입력에 있어서, 3모음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편의상 “격음/경음 반복선택 4모음법”이라 부른다. 또한 3모음법에서의 사례와 같이 반복선택방법을 혼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편의상 “격음/경음 컨트롤처리 반복선택 혼용 4모음법”이라 한다.
도3의 키패드 역시 반복선택방법 관점에서 도4와 같이 풀어 표현할 수 있다. 도2와 도4를 비교해 보면, 도1과 도3의 차이를 명확히 알 수 있게된다. 도4는 도2에서 [0]버튼 2타로 선택하던 모음요소 “:”을 [8]버튼으로 옮겨 1타로 입력하도록 한 것과 같은 결과이다(물론 기본자음의 배치는 도2와 도4가 약간 다르지만 이는 통일하면 되므로). 또한 점2개로 이루어진 모음요소 “:”을 수평방향의 모음요소 “:”와 수직방향의 모음요소 “..”로 나누어 적용할 수도 있으며, 굳이 이름을 붙인다면 5개 모음요소(“ㅡ”, “.”, “:”, “..”, “ㅣ”)를 이용한 “5모음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3의 4모음법에 비하여, 입력타수, 인식능력 향상 등의 면에서 우수한 점이 별로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모음요소 “.” 과 “:”을 [*] 버튼 및 [#] 버튼에 배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도3에서와 같이 모음요소를 숫자 안에 표시함으로써, 표면적으로 단 하나의 알파벳만 배치할 수 없게 된다.
도3을 기준으로 입력예를 들면 ㅕ = : + ㅣ = [8]+[#], ㅑ = ㅣ + : = [#]+[8], ㅠ = ㅡ + : = [*]+[8] 이 되며, 8버튼 탈락자음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입력시, ㅁ = [8]+[8], ㅎ = [8]+[8] 이 된다. 만약 모음요소 “:”을 모음요소 “.” 이 배치된 버튼 2타로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면, “ㅎ”은 선출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배정된 버튼 3타로 입력하도록 하면 된다.
입력예로, "워" 혹은 “웨”의 경우 모음 "ㅡ"와 "ㅣ" 사이의 점모양의 모음 요소 ".."은 모음요소 ":"으로 입력하면 된다. 시스템에서 일시적으로 "유 + ..." 를 입력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유" 다음에 모음 "ㅣ"가 나올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워"를 입력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10자음 점(點)모음요소 반복선택 3모음법”에서도 “워”의 경우 “ㅡ”와 “ㅣ” 사이의 점모양의 모음요소를 입력시 모음요소 “.”을 두번 입력하는 것으로 혹은 모음요소 “:”을 한번 입력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중의 일부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 키패드에서 한국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3개의 모음요소(ㅡ, ., ㅣ)를 이용한 방법은 10개의 자음평음과 3개의 모음요소, 그리고 2개의 컨트롤(경음, 격음) 도합 15개의 요소를 4*3 키패드 내에 그룹핑하고 배정하여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되, “3개의 모음요소”와 “2개의 컨트롤 및 1개의 자음평음(9버튼 탈락자음)”을 각기 그룹핑하여 배정한 것이다.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를 이용한 방법은, 10개의 자음평음과 4개의 모음요소, 그리고 2개의 컨트롤 도합 16개 요소를 4*3 키패드 내에 그룹핑하고 배정하여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되, “4개의 모음요소”와 “2개의 컨트롤 및 2개의 자음평음(8버튼 탈락자음)”을 각기 그룹핑하여 배정한 것이다.
두가지 방법 모두에서 심플코드(특히 음절기준 이니셜코드)의 자연스러운 활용을 위하여 10개의 자음평음이 10개의 숫자버튼에 배정되도록 배려한 사례를 보였다.
출원인이 제시한 3모음법(앞에서 제목을 붙인 여러가지 3모음법을 통칭)과 4모음법은 특정언어(여기서는 한국어)의 여러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을 적용하여도 거의 모호성 없이 혹은 전혀 모호성없이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키패드에 표시된 알파벳을 반복선택방법을 이용하여 입력함에 있어서, 특히 한국어를 입력함에 있어서, 출원인이 선출원에서 제시한 “언어제한 입력방법” 중에서도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중에서도 “한국어제한 반복선택방법”에 최적화된 한국어 입력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사실상 선출원에서 출원인이 제시한 바, 한국어등에 있어서,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의 쌍을 각 버튼에 배정하고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출현규칙(즉, 단어생성규칙, 알파벳 결합규칙)을 이용하여 반복선택방법에서의 모호성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을 보인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 혹은 4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도1 ~ 도4에서 한국어의 모음(요소) "ㅡ", "ㅣ" 가 연속하여 나오지 않으며, 연속하여 나오는 경우(선출원의 예시에서 "ㅖ")에도 모음을 입력한 것인지 컨트롤을 입력한 것인지를 알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모음요소와 함께 배정된 경음컨트롤, 격음컨트롤을 반복선택방법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유사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1.3.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4모음법 및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4모음법
도1에서 격음과 경음을 컨트롤처리방법에 의하여 입력하더라도, "이허 <=> 아히", "이혀 <=> 아허 <=> 야히" 와 같은 경우에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다(양자의 풀코드 값은 모두 같으므로). 예시에서 모음 "ㅣ" 대신 "ㅡ"가 사용된 경우도 같으며, 이와 유사한 다른 경우도 한국어를 아는 사람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단어에서 이러한 경우가 다수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선출원에서 언급한 "연타지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의 설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도3의 4모음법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3에서는 "아허 <=> 야히"와 같은 경우는 없으나, "이며 <=> 야미" 와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많은 경우는 아니며 시간지연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 발생횟수는 실제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사용빈도에 기초하여 조사해 볼 수 있으나, 수백 글자에 한글자 꼴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사실상 이로 인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1와 같은 3모음법에서 9버튼 탈락자음(예시 도면에서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경음 혹은 격음)으로 간주하여 입력하면 모호성없이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ㅎ = ㅇ + {격음} = [8]+[*]+[*] 으로 입력하는 것이었다. 이를 편의상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5와 유사한 형태의 4모음법에서도 8버튼 탈락자음(예시 도면에서 "ㅎ"과 "ㅁ")을 컨트롤 처리방법에 의하여(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ㅁ"을 "ㄴ"의 변형알파벳으로, "ㅎ"을 "ㅇ"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 모호성 없이 입력할 수 있다. 편의상 "완전컨트롤처리 4모음법"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 / 4모음법에 의하여 9버튼/8버튼 탈락자음을 입력하는 것은 심플코드의 활용과 관련하여 자연스러움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3모음법에서 9버튼 탈락자음(예에서 "ㅎ")을 해당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과 컨트롤의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을 제시한다(컨트롤 후입력의 경우만 적용되며 예시 설명). 예를 들어 도1의 3모음법에서 ㅎ = . + {격음} = [0]+[*]+[*] 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9버튼 탈락자음을 해당 알파벳이 배정된 버튼 1타로 입력되는 모음요소 "." 의 변형알파벳 처럼 입력하는 것이다. 이 방법 역시 모호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면서, "ㅎ"의 입력에 [0]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심플코드의 활용에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편의상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이는 4모음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ㅎ"을 앞 글자가 종자음(받침)이 있는 글자로 끝나고(예. "각") 그 다음에 "ㅎ" 입력시, 일시적으로 "가고+ㅡ"로 인식될 수 있으나, 역시 모음 "ㅡ"+"ㅡ"에 대하여 연속하여 나올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사용자가 컨트롤을 선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고"의 모음요소 "."이 격음컨트롤과 결합할 수 없으므로 ".+ㅡ+ㅡ"가 "ㅎ"을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앞글자가 종자음 없이 모음요소 "."과 결합할 수 있는 모음(예. "ㅣ", "ㅡ", "ㅏ", "ㅜ" 등)으로 끝난 경우는 "ㅎ"을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된 값 "0**" 에서 "0"는 일시적으로 앞 모음과 결합되고, 모음 "ㅡ"+"ㅡ"가 입력된 것으로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마찬가지로 시스템이 "**" 입력값이 컨트롤을 선택 한 것을 알 수 있고, 선행하는 모음요소 "."과 결합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ㅎ"을 입력한 것을 알 수 있게된다. 조금 더 나아가 앞 글자가 모음요소 "."과 결합할 수 없는 모음(예. "ㅣ", "ㅏ", "ㅜ" 를 제외한 나머지 모음)으로 글자가 끝난 경우는 [0] 버튼 입력시 "ㅎ"을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간주하고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0] 다음 "**" 이 입력되더라도 결국 "ㅎ"을 입력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3모음법(4모음법도 포함)에서 탈락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버튼으로는 모음 "ㅡ"가 배정된 버튼이 이용되어야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출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ㅔ", "ㅖ"의 경우가 한국어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4모음법 역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3에서 [8] 버튼에 배정된 "ㅁ"을 입력시, ㅁ = [8]+[*]+[*] 로 입력할 수 있다. 탈락자음배정버튼이용 완전컨트롤처리 4모음법에서의 입력 사례는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2.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
선출원에서 "연타지연시간"과 "이타지연시간" 을 하나의 버튼에 3개 이상의 알파벳이 배정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표준 영어키패드에서 연타지연시간을 0.1초로 설정하여 [2] 버튼이 0.1초 이내에 2번 눌러지면, B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간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 버튼이 연속 3번 눌러졌을 때(즉, [2]+[2]+[2]), 첫번째 입력값과 두번째 입력값(즉, 첫번째 [2] 버튼과 두번째 [2] 버튼) 사이의 지연시간 간격이 연타지연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예. 0.1 초) 이내이고, 두번째 입력값과 세번째 입력값 사이의 지연시간 간격이 연타지연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예. 0.1초) 이내이면(즉 [2] + 0.1초 이내 + [2] + 0.1초 이내 + [2]), C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2] 버튼이 연속 3번 눌러졌을 때(즉, [2]+[2]+[2]) 전체 입력시간이 연타지연시간의 2배(예. 0.2초) 이내이면, C 를 입력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선출원 및 본출원에서 언급한 각종의 지연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타지연시간 ≤ 이타지연시간 ≤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
3가지 지연시간은 모두 같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연타지연시간보다는 이타지연시간을 길게, 그리고 이타지연시간보다는 일시적 언어제한해제 지연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3.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서버 시스템간의 호응
선출원(우선권 주장을 통한 2000년 출원)에서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프 로그램은 단말기(클라이언트)측에 탑재될 수도 있고, 서버측에 탑재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서버측에 탑재되는 경우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숫자로된 입력값을 서버측에 전송하고 서버측에서 입력값을 해석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단말기)와 서버로 이루어진 전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측에서 입력값을 해석하여 문자열을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형태도 가능하다고 하였다. 이 역시 출원인의 모든 문자입력방법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4. 4*3 키패드 외의 별도의 버튼의 사용
앞에서 4*3키패드내에서 한국어의 입력을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4*3 키패드 이외의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모음요소 혹은 모음요소의 일부를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모음요소 "."을 별도의 버튼에 배정하게되면 함께 배정된 탈락자음 "ㅎ"은 배정된 버튼 1타로 선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3에서 모음요소 "."과 ":"을 별도의 버튼(하나의 버튼에 2개를 둘 수도 있고, 각각을 2개의 버튼에 둘 수도 있음)에 배정하면, 8버튼 탈락자음 "ㅁ"은 배정된 버튼 1타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되, 문자입력모드에서 자주사용되지 않는 상이동버튼, 하이동버튼, 혹은 좌이동버튼을 사용할 수도 있다.
5. 한국어 고어 알파벳의 입력
본 발명에서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한국어의 고어를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어에 있어서 현대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고어(소실 알파벳)로는 모음은 아래아(“ㆍ”으로 표시), 자음은 반치음(삼각형 “ㅿ”으로 표시), 여린 히읗(“ㅎ”에서 점이 없는 상태로 “ㆆ”로 표시), 옛이응(“ㅇ”에 위에 점이 붙은 모양으로 “ㆁ”로 표시), 순경음("ㅂ"아래에 원이 붙은 모양으로 "ㅸ"으로 표시") 등이 있다.
고어중에서 모음 아래아의 경우는 비교적 현대어에 있어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ㄱ.ㅁ.고을”이라는 상호에서, 또 한글과 컴퓨터사에서 만든 유명한 워드프로세서 “ㅎ.ㄴ글” 등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ㄱ.ㅁ.고을”에서 “ㄱ+.”이 한 글자이고 “ㅁ+.”이 한 글자이며, “ㅎ.ㄴ글”에서 “ㅎ+.+ㄴ”이 한 글자이나 특허청 편집기에서 아래아를 지원하지 않아 이와 같이 표기함). 예에서와 같이 모음 아래아는 각종 상호에서 많이 사용되므로 전화번호부 등의 입력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모음 아래아는 모음요소 “.”과 동일한 모양이므로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 1타로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 자연스럽게 모음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다. 모음 아래아 다음에 연속하여 다른 모음이 나오는 경우는 없으므로 입력규칙은 변화가 없다(만약 그러한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고어의 모음 아래아가 자주 사용되지 않으므로 아래아 다음에 연속하여 다른 모음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하면 된다). 물론 모음요소 “.”이 배정된 버튼이 두번 눌려지면, 이는 모음 아래아가 두번 연속하여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ㅕ” 혹은 “ㅖ”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음 “ㅣ” 다음에 모음요소 “.”이 두번 연속하여 눌러지면, 모음 “ㅑ” 혹은 모음 “ㅒ”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다.
고어의 자음 역시 기본자음(자음 평음)의 변형알파벳으로 간주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치음 “ㅿ” 는 “ㅅ”의 변형알파벳(예. 격음)으로 간주하고, 여린 히읗 “ㆆ”은 “ㅇ”의 변형알파벳(예. 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고, 옛이응 “ㆁ”는 “ㅇ”의 변형알파벳(격음 혹은 경음)으로 간주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순경음 "ㅸ"의 경우도 입력방법을 정의할 수 있으나(예. “ㅂ”과 “ㅇ”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오토마타 처리), 현대 한국어에서 사실상 사용되지 않는 알파벳이고 또 "ㅂ"의 변형알파벳으로 경음 "ㅃ"과 격음 "ㅍ"이 모두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 자세히 언급하지 않는다.
고어의 자음을 입력하는 것은 출원인의 다른 선출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단 출원인의 선출원 중 모음요소(ㅡ, ., ㅣ)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모음 아래아를 자연스럽게 그리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키패드를 통하여 현대 한국어에서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고어 알파벳까지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모음요소를 활용한 국내 삼성전자社의 입력방법에서도 모음 아래아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비교적 현대어에서도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 모음 아래아를 입 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6. 병행입력방법 적용시의 특성
선출원에서 "단축/풀 병행입력방법" 혹은 간단히 "병행입력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는 예를 들어, 풀입력방법을 기본입력모드로 하는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매 입력값이 입력될 때마다 시스템이 입력값을 조사하여, 입력값이 특정 풀입력방법의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스템이 인식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다(이를 편의상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이라함). 혹은 반대로 단축입력방법을 기본입력모드로하는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매 입력값이 입력될 때마다 시스템이 입력값을 조사하여, 입력값이 검색대상이 되는 심플코드의 색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시스템이 확인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풀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 이었다(이를 편의상 "단축우선 병행입력방법"이라 함).
풀입력방법으로 "부분전체선택방법"을 사용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풀코드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 입력값을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이 쉽게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풀입력방법으로 반복선택방법을 적용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풀코드를 위반하는지 명시적으로 알 수 없다. 그러나 풀입력방법으로 언어제한 반복선택방법 적용시 입력값이 특정언어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ㅡ, ., ㅣ)를 활용한 방법(도1의 사례)에서,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단축코드로 하는(즉, 검색대상이 되는 심플코드의 색인에 사용된 심플코드가 음절기준 이니셜코드라는 의미)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입력값으로 "12~"가 입력되면, 두번째 입력값 "2"가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한국어 음절(글자)를 형성하는 풀코드를 이루지 못하는 것을 시스템이 인지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한국어를 아는 사람은 모두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지만, 도1과 유사한 형태에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사용자가 심플코드(음절기준 이니셜코드)를 입력하면, 대부분의 경우 2번째 입력값이 입력되는 순간 입력값이 심플코드인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특성이 있는 것이다.
이 역시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를 활용한 한국어제한 입력방법에서 입력값이 한국어의 단어생성규칙을 위배하는 순간 시스템이 입력값을 심플코드(단축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한국어의 3개 모음요소를 이용한 도1에서 입력값으로 "100~"이 입력되면(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시스템은 사용자가 "겨" 혹은 "교" 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ㄱ+.."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출력할 수도 있으나, 4번째 입력값이 모음요소 "ㅡ" 혹은 "ㅣ"가 입력되지 않고 숫자버튼이 입력되면,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룰 수 없으므로 그 순간 입력값을 심플코드(단축코드)로 인식하고 심플코드 색인을 참조하여 입력값에 대응되는 어구를 출력(시각적 수단 혹은 청각적 수단)할 수 있다. 결국 도1과 유사한 형태에서 풀우선 병행입력 방법 적용시 최대 4번째 입력값이 입력되면 시스템은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를 알 수 있게된다(경음/격음 컨트롤처리 3모음법 적용시).
마찬가지로 4개의 모음요소(ㅡ, ., :, ㅣ)를 이용한 도3에서, 풀우선 병행입력방법 적용시, 사용자가 "18~" 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거" 혹은 "고" 를 입력하기 위하여 "ㄱ+."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하고 출력할 수 있으나, 3번째 입력값으로 숫자버튼(자음에 대응되는)이 입력되면, 입력값이 풀코드를 이룰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입력값을 심플코드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최대 3개의 버튼이 입력되면, 시스템은 입력값이 풀코드인지 심플코드인지를 알 수 있게 되는 좋은 특성이 있다(경음/격음 컨트롤처리 4모음법 적용시).
도1과 도3에서 기본자음(자음평음)의 각 숫자버튼 배정이 다르게 되어 있으나, 도1과 도3은 단지 예시일 뿐이므로 자음평음의 배치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1에서는 [0] 버튼에 "ㅎ"을 암시적으로 배정하였고, 도3에서는 모음요소 "."을 숫자 "0" 안에 암시적으로 배정하였으나, 이 역시 동일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편의상 도1과 유사하게 3개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입력방법을 "3모음 한국어 입력방법(더 간단히는 3모음방법 혹은 3모음법)"이라 부르고, 도3과 유사하게 "4개의 모음요소를 활용한 입력방법을 "4모음 한국어 입력방법(더 간단히는 4모음방법 혹은 4모음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7. 3모음법 키패드와 4모음법 키패드간의 호환성 및 암기용키패드와 숫자만 표시된 일반키패드에서의 적용
도1의 키패드와 도3의 키패드에서 기본자음이 배정된 버튼이 조금 다르게 되어 있으나, 양자의 기본자음배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동일한 키패드에서 10자음 3모음법(예. 도1에서 설명한 방법) 혹은 10자음 4모음법(예. 도3에서 설명한 방법) 중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좋은 특성(양자간의 호환성)이 있다. 더 나아가 각 숫자버튼에 한국어 자음평음을 배정한 "암기용" 키패드에서도 사용자는 10자음 3모음법, 혹은 10자음 4모음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3모음방법 혹은 4모음방법에 익숙한 사용자는 키패드에 자음평음이 표시되어 있지 않는 키패드에서도 심플코드의 활용 및 3모음법 또는 4모음법에 의한 한국어 입력이 가능할 것이다. 숫자만 표시된 키패드혹은 암기용으로 10개의 숫자버튼에 자음평음만이 표시된 키패드에서 심플코드를 활용하는 것, 그리고 3모음방법 4모음방법에 의한 한국어 입력을 이용하는 것 등이 출원인의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한 것이다.
키패드에서 알파벳을 효율적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본 출원은 한국어의 모음요소를 이용한 방법을 중심으로 선출원의 내용을 묶은 국내우선권주장 출원이다. 청구범위는 편의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용어를 옮겨 놓으나, 추후 전문변리사와의 상담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할 예정 이다(변리사와의 상담에서 추후 보정이 가능하다고 함).

Claims (6)

  1.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서, 상기 키패드상 다수로 구비된 버튼 중 모음 "ㅡ"가 배치된 [ㅡ]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모음 “ㅡ”가 입력되고, 모음 "ㅣ"가 배치된 [ㅣ]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모음 "ㅣ"가 입력되며, 상기 키패드상 다수로 구비된 버튼 눌러짐에 의하여 한국어 자음을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한국어 자음중 일부의 자음인 제1자음은, 상기 키패드상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에 의하여 입력되고,
    (b) 상기 제1자음이 아닌 일부의 자음인 제2자음은,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 이후 상기 [ㅡ]버튼 또는 [ㅣ]버튼중 하나의 버튼의 2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며,
    (c) 상기 제1자음과 제2자음이 아닌 자음인 제3자음은,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 이후 상기 [ㅡ]버튼 또는 [ㅣ]버튼 중 상기 제2자음의 입력에 사용된 모음버튼이 아닌 모음버튼의 2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장치
  2.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서, 상기 키패드상 다수로 구비된 버튼 중 모음 "ㅡ"가 배치된 [ㅡ]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모음 “ㅡ”가 입력되고, 모음 "ㅣ"가 배치된 [ㅣ]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모음 "ㅣ"가 입력되며, 상기 키패드상 다수 로 구비된 버튼 눌러짐에 의하여 한국어 자음을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한국어 자음중 일부의 자음인 제1자음은 상기 키패드상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에 의하여 입력되고,
    (b) 상기 제1자음이 아닌 일부의 자음인 제2자음은 상기 [ㅡ]버튼 또는 [ㅣ]버튼중 하나의 버튼의 2번 눌러짐 이후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며,
    (c) 상기 제1자음과 제2자음이 아닌 자음인 제3자음은 상기 [ㅡ]버튼 또는 [ㅣ]버튼 중 상기 제2자음의 입력에 사용된 모음버튼이 아닌 모음버튼의 2번 눌러짐 이후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장치
  3.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서, 상기 키패드상 다수로 구비된 버튼 중 모음 "ㅡ"가 배치된 [ㅡ]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모음 “ㅡ”가 입력되고, 모음 "ㅣ"가 배치된 [ㅣ]버튼의 한번 눌러짐으로 모음 "ㅣ"가 입력되며, 상기 키패드상 다수로 구비된 버튼 눌러짐에 의하여 한국어 자음을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한국어 자음중 일부의 자음인 제1자음은 상기 키패드상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에 의하여 입력되고,
    (b) 상기 제1자음이 아닌 일부의 자음인 제2자음은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한번 눌러짐 이후 상기 [ㅡ]버튼 또는 [ㅣ]버튼중 하나의 버튼의 2번 눌러짐으로 입력되며,
    (c) 상기 제1자음과 제2자음이 아닌 자음인 제3자음은 상기 제1자음이 배치된 버튼의 2번 반복눌러짐으로 입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음은 대응되는 격자음과 경자음이 존재하지 않는 5개 자음(ㄴ, ㄹ, ㅁ, ㅇ, ㅎ)중 하나의 자음이 탈락된 9개 평자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의 9개 평자음이고,
    상기 제2자음은 상기 평자음인 제1자음에 “평자음-격자음”의 관계로 대응되는 격자음이고,
    상기 제3자음은 상기 평자음인 제1자음에 “평자음-경자음”의 관계로 대응되는 경자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음은 “ㄱ, ㄴ, ㄷ, ㅁ, ㅂ, ㅅ, ㅇ, ㅈ, ㅎ” 의 9개 평자음이고,
    상기 제2자음은 상기 평자음인 제1자음에 “평자음-격자음”의 관계로 대응되는 격자음이고,
    상기 제3자음은 상기 평자음인 제1자음에 “평자음-경자음”의 관계로 대응되는 경자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자음 입력장치
KR1020080109597A 2000-09-19 2008-11-05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0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036 2000-09-19
KR20000055036 2000-09-19
KR20000081475 2000-12-26
KR1020000081475 2000-12-26
KR1020010000878 2001-01-06
KR20010000878 2001-01-06
KR20010017231 2001-03-31
KR1020010017231 2001-03-31
KR20010043248 2001-07-18
KR1020010043248 2001-07-18
KR20010046078 2001-07-24
KR1020010046078 2001-07-24
KR1020010049832 2001-08-18
KR20010049832 2001-08-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97A Division KR100889890B1 (ko) 2000-09-19 2001-09-19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328A true KR20080100328A (ko) 2008-11-17

Family

ID=275671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97A KR100889890B1 (ko) 2000-09-19 2001-09-19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20080109597A KR20080100328A (ko) 2000-09-19 2008-11-05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97A KR100889890B1 (ko) 2000-09-19 2001-09-19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89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45U (ko) * 2018-08-16 2020-02-26 도종명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58B1 (ko) * 2001-10-27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KR100741639B1 (ko) * 2005-12-23 2007-07-20 윤필규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62A (ko) * 1997-11-14 1999-06-05 김용선 전화기 번호판 및 입력 키보드 활용 한글조합방법
KR100351644B1 (ko) 1999-10-05 2002-09-10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18722B1 (ko) * 1999-10-05 2001-12-28 윤종용 한글 조합 방법
KR20000054571A (ko) * 2000-06-12 2000-09-05 이규갑 휴대전화기 숫자판에서의 한글입력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45U (ko) * 2018-08-16 2020-02-26 도종명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890B1 (ko) 2009-03-20
KR20020022623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27510A (ja) テンキー・キーボードのための多言語入力方法エディタ
KR20080100328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046826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322914B1 (ko)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787610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61731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10105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4523030A (ja) キーパッドでの字母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318722B1 (ko) 한글 조합 방법
US7032175B2 (en) Collision-free ideographic character 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al languages
KR100804316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680579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981866B1 (ko) 자음버튼 눌러짐과 [ㅡ]버튼 또는 [ㅣ]버튼의 두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한국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0995732B1 (ko) 키패드에서의 중국어 병음을 포함한 로마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57000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058638B1 (ko) 버튼의 3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7128B1 (ko) 자음의 입력과 [ㅡ] 또는 [ㅣ] 중 하나의 버튼 2번 누름에 의한 키패드에서의 한국어 글자 입력방법 및 그 장치
EP1400889A2 (en) Improved keyboard for the configuration of texts
KR100855410B1 (ko) 키패드에서의 한국어를 포함한 글자 입력방법
JP2004199356A (ja)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字予測付きアルファベット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70109148A (ko)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80011305A (ko) 키패드에서의 수학 연산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73570A (ko) 키패드에서의 수학 연산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