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148A -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09148A KR20070109148A KR1020060041715A KR20060041715A KR20070109148A KR 20070109148 A KR20070109148 A KR 20070109148A KR 1020060041715 A KR1020060041715 A KR 1020060041715A KR 20060041715 A KR20060041715 A KR 20060041715A KR 20070109148 A KR20070109148 A KR 200701091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character
- consonant
- specific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7)
- 기본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 및 기본모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모음키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문자키와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a) 상기 다수 개의 문자키 중 특정 문자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의 변형문자를 출력하는 단계;(b)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의 중복문자를 출력하는 단계;(c)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수 개의 문자키 중 다른 특정 문자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를 조합한 조합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d) 상기 특정 문자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2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문자, 상기 중복문자 및 상기 조합문자가 한글에 없는 경우에는 재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제 1 자음의 격음을 상기 변형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제 1 자음의 경음을 상기 중복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 및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다른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과 상기 다른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조합한 복자음을 상기 조합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기본모음의 복모음을 상기 변형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기본모음의 복모음을 상기 변형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다른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 및 상기 다른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다른 기본모음을 합성한 제 1 합성모음을 상기 조합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과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을 조합한 초중성을 상기 조합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상기 제 2 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부호를 상기 제 2 문자로서 출력하되,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에는 상기 기본부호가 상기 제 2 문자로서 추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상기 단계 (d) 이후에,(e) 상기 기본부호를 출력한 후 상기 특수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부호의 변형부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상기 단계 (d) 이후에,(f) 입력모드 전환키를 입력받아 영문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g)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영문 알파벳의 대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키패드는 상기 입력모드 전환키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문자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영문 알파벳의 소문자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키를 입력받아 키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 입력부, 문자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출력부로 하여금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키 입력부는 기본자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자음키와 기본모음이 할당된 키 버튼인 다수 개의 모음키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문자키 및 특수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구비하되,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는 각각 다수 개의 상기 기본자음 중 격음 및 경음이 있는 기본자음이 제 1 자음으로 할당되고, 상기 다수 개의 기본자음 중 상기 격음 및 상기 경음이 없는 기본자음이 제 2 자음으로 할당되며,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는 각각 다수 개의 상기 기본모음 중 하나의 기본모음과 하나의 기본부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자음은,'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이되, 상기 제 1 자음은 'ㄱ, ㄷ, ㅂ, ㅅ, ㅈ'이고, 상기 제 2 자음은 'ㄴ, ㄹ, ㅁ, ㅇ'이며,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는 5 개의 키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모음은,'ㅏ, ㅓ, ㅗ, ㅜ, ㅡ, ㅣ'이되,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는 6 개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a) 상기 다수 개의 문자키 중 특정 문자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의 변형문자를 출력하는 프로세스;(b)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특수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의 중복문자를 출력하는 프로세스;(c)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수 개의 문자키 중 다른 특정 문자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1 문자를 조합한 조합문자를 출력하는 프로세스; 및(d) 상기 특정 문자키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제 2 문자를 출력하는 프로세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변형문자, 상기 중복문자 및 상기 조합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한글에 없는 경우에는 재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a)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제 1 자음의 격음을 상기 변형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b)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제 1 자음의 경음을 상기 중복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c)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 및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다른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과 상기 다른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을 조합한 복자음을 상기 조합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a)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기본모음의 복모음을 상기 변형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b)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제 1 문자인 기본모음의 복모음을 상기 변형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c)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다른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 및 상기 다른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다른 기본모음을 합성한 제 1 합성모음을 상기 조합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c)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다른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 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1 자음과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모음을 조합한 초중성을 상기 조합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d)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자음키 중 특정 자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자음키에 할당된 제 2 자음을 상기 제 2 문자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d)에서,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문자키가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 중 특정 모음키인 경우, 상기 특정 모음키에 할당된 기본부호를 상기 제 2 문자로서 출력하되, 상기 다수 개의 모음키에는 상기 기본부호가 추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상기 프로세스 (d) 이후에, (e) 상기 기본부호를 출력한 후 상기 특수키가 입력되면 상기 기본부호의 변형부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상기 단계 (d) 이후에, (f) 입력모드 전환키를 입력받아 영문입력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스 및 (g) 상기 특정 문자키와 상기 특수키가 동시에 입력되면 상기 특정 문자키에 할당된 영문 알파벳의 대문자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키패드는 상기 입력모드 전환키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문자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영문 알파벳의 소문자가 추가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입력의 문자 입력 방법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715A KR100777815B1 (ko) | 2006-05-09 | 2006-05-09 |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41715A KR100777815B1 (ko) | 2006-05-09 | 2006-05-09 |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9148A true KR20070109148A (ko) | 2007-11-15 |
KR100777815B1 KR100777815B1 (ko) | 2007-11-22 |
Family
ID=3906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17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7815B1 (ko) | 2006-05-09 | 2006-05-09 |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781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605B1 (ko) * | 2010-10-27 | 2011-06-09 | 한일 |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0705A (ja) * | 2000-03-06 | 2000-11-30 | Voc Direct:Kk | 携帯用通信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システム |
KR100414416B1 (ko) * | 2000-09-28 | 2004-01-07 |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
KR20010070793A (ko) * | 2001-06-08 | 2001-07-27 | 강병주 | 휴대전화 및 전화기의 번호판을 이용한 한글입력 시스템 |
KR100415728B1 (ko) * | 2001-12-11 | 2004-01-2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
KR100504602B1 (ko) * | 2004-07-09 | 2005-08-03 | 주식회사 리코시스 | 시프트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편이성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입력방법 |
KR20060025256A (ko) * | 2004-09-15 | 2006-03-21 | 김상근 |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2006
- 2006-05-09 KR KR1020060041715A patent/KR10077781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605B1 (ko) * | 2010-10-27 | 2011-06-09 | 한일 |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7815B1 (ko) | 2007-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4731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US20040105714A1 (en) |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 |
KR100579814B1 (ko) |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100750653B1 (ko) |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0777815B1 (ko) |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
KR100754453B1 (ko) | 특수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병행 입력 방법, 그를 위한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450587B1 (ko) |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 |
KR100457191B1 (ko) |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20110088311A (ko) |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0392353B1 (ko) |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 |
KR10069725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 |
US20050225537A1 (en) |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 |
KR100428691B1 (ko) |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616225B1 (ko) |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20030089190A (ko) |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 |
KR100437509B1 (ko) | 축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베트남어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 |
KR200318329Y1 (ko) |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 |
KR200257092Y1 (ko) |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갖는 한글 입력 장치 | |
KR100556863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점자 키패드 구조 및 그 입력 방법 | |
KR20010064214A (ko) | 휴대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 |
KR100613628B1 (ko) | 숫자 및 문자입력장치 | |
KR20030094811A (ko) | 통신기기용 다국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국어입력방법 | |
KR20060091359A (ko) | 한글 입력 방법 | |
KR20030042273A (ko) |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 |
KR20010077632A (ko) | 모음의 출현빈도를 고려한 전화기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