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325A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325A
KR20080099325A KR1020087022294A KR20087022294A KR20080099325A KR 20080099325 A KR20080099325 A KR 20080099325A KR 1020087022294 A KR1020087022294 A KR 1020087022294A KR 20087022294 A KR20087022294 A KR 20087022294A KR 20080099325 A KR20080099325 A KR 20080099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patch
peeling
solid surface
peel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우에마츠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첩부제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박리 필름을 떼어낼 수 있는 박리 필름을 피복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점착성을 갖는 함수성의 고체와, 상기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첩부제로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에서 돌출되는 고체에 대한 비점착부, 또는 고체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체에 점착되지 않는 늘어짐부를 구비한 것인 외용 점착제.
첩부제

Description

첩부제{SKIN PATCH}
본 발명은 소염ㆍ진통ㆍ냉각 등을 목적으로 한 함수성 외용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인뿐만 아니라 고령자 등이라 하더라도 외용 첩부제에 점착되어 있는 박리 필름의 박리 작업을 용이하게 그리고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령화 또는 중노동(hard work)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요통, 관절통, 어깨 결림 등의 대증 요법으로서, 소염ㆍ진통 작용 또는 냉각 작용을 갖는 첩부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파프제 등의 첩부제 (10) 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색이나 살색 등의 지지체 (20) 와 당해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점착성을 갖는 고체 (膏體 ; 30) 와, 그 고체의 전체면을 피복하는 1 장의 박리 필름 (40)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부의 첩부제에서는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필름 (40) 의 중앙부에 파단선 (50) 을 형성하여, 첩부제를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박리 필름을 파단시키고, 노출된 고체 (30) 를 환부에 임시 고정시키고, 파단된 박리 필름을 떼어내면서 붙이는 첩부제 (10) 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그러나, 이들 첩부제에서는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붙일 때에,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도 4 에 나타낸 일반적인 첩부제 (10) 에서는 박리 필름 (40) 을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 (10) 의 단부를 손가락으로 문질러 박리 필름 (40) 을 들뜨게 할 필요가 있어, 대부분의 환자는 고령자로서 손가락끝의 움직임이 유연하지 않기 때문에, 이 작업이 곤란하고 귀찮았다.
상기의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5 에 나타낸 첩부제가 개발된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첩부제 (10) 자체를 좌우로 억지로 잡아당겨 박리 필름 (40) 을 파단시키기 때문에, 첩부제에 주름이 생겨, 만일 좌우의 박리 필름을 떼어내어 환부에 붙여도, 한 번 첩부제를 환부로부터 떼어내어 주름을 없애고 나서 다시 붙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작업 때문에 고체 자체의 점착력이 저하되어, 일상 생활의 동작으로도 첩부제가 벗겨져 떨어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나아가서는 고령자는 종래의 도 6 에 나타낸 종래의 박리 방법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첩부제 (10) 의 단부를 문질러 박리 필름 (40) 을 떼어내어, 박리 필름 (40) 이 파단선부 (50) 에서 파단됨으로써, 다시 단부로부터 문질러 박리 필름을 떼어낸다고 하는 동일한 작업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박리 필름의 박리 방법이 필름 자체에 크게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환자는 그것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체에 점착시키는 박리 필름을 2 장의 박리 필름으로 구성하고, 1 장의 박리 필름의 단부를 고체의 중간 부 위에서 상측으로 접어 구부리고, 접어 구부러진 박리 필름의 상측에 2 장째인 박리 필름을 중합시켜, 박리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 첩부제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및 3).
또한, 지지체의 1 측변에 고체를 도포하지 않는 부위를 실시한 것, 또는 지지체 및 고체의 한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보호 시트의 일부를 노출시킨 첩부제도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및 5).
그러나, 고체를 2 장의 박리 필름으로 피복시키는 경우에는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또 하방에 위치하는 박리 필름의 단부를 상방으로 접어 구부리는 설정이 균일하게 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체 상의 1 측변에 고체를 도포하지 않는 부위를 실시한 것에서는 붙이고 있는 동안에 그 부위로부터 벗겨져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체 및 고체의 한 모서리 부위를 절단하여 보호 시트의 일부를 노출시킨 것은 노출부를 그다지 크게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고령자가 노출부를 잡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12305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19622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51717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5960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75961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종래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의 박리 방법에 익숙한 환자라도, 첩부제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박리 필름을 떼어낼 수 있는 박리 필름을 피복한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본적 양태로서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첩부제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점착성을 갖는 함수성의 고체와, 상기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첩부제이다.
보다 구체적인 하나의 양태로서, 청구항 2 에 기재된 첩부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전체 변에서 돌출되는 고체에 대한 비점착부를 갖는 것인 외용 첩부제이고, 또 청구항 3 에 기재된 첩부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임의의 1 변 또는 2 변에서 돌출되는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를 갖는 상기의 외용 첩부제이다.
또 다른 구체적 양태로서, 청구항 4 에 기재된 첩부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체에 점착되지 않는 늘어짐부를 구비한 것인 외용 첩부제이다.
또한, 청구항 5 에 기재된 첩부제는 청구항 2 또는 3 에 기재된 외용 첩부제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체에 점착되지 않는 늘어짐부를 구비한 것인 외용 첩부제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첩부제에 있어서는 청구항 4 또는 5 에 기재된 첩부제에 있어서의 고체에 점착되지 않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늘어짐부가, 외용 첩부제의 길이 방향 고체면의 상하 방향에 형성된 것인 외용 첩부제이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외용 첩부제는 고체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을 고체면보다 큰 것을 사용하고,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를 형성함으로써, 박리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에서 제안되는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에 있어서는 박리 필름과 고체의 면적차로부터 발생되는 단차, 즉 박리 필름의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는 박리 필름을 고체면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시작점이 되는 것으로서, 첩부제의 단부를 손가락으로 문지르지 않고도 용이하게 박리 필름의 박리 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손끝이 야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령자 등이라 하더라도 무의식 중에 용이하게 박리 필름을 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만일 박리 필름의 박리 방법을 잘못했다 하더라도, 종래대로 첩부제의 지지체 단부를 손가락으로 문지름으로써, 아무런 문제도 없이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누구라도 무의식 중에 상기의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박리 필름의 박리 방법을 필름 자체에 표기할 필요가 없어, 거기에 드는 비용이 경감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고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은 1 장이기 때문에, 박리 행위에 드는 시간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은 2 분할 박리 필름보다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잘못 붙이는 등의 문제도 경감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점착성을 갖는 함수성의 고체와, 상기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첩부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박리 필름으로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CPP), 연신 폴리프로필렌 (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합성지, 합성 수지를 단체 또는 라미네이트하여 복합시킨 것이나, 알루미늄박, 증착 필름과 상기 소재를 라미네이트시킨 것, 및 상기 단일 소재 또는 복합 소재에 실리콘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 나아가서는 인쇄 또는 착색을 실시한 것이 사용된다.
박리 필름의 두께는 6㎛ ∼ 200㎛, 바람직하게는 12㎛ ∼ 75㎛ 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의 두께가 6㎛ 보다 작아짐에 따라, 그 얇기 때문에 제조시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박리 필름의 두께가 200㎛ 보다 커짐에 따라, 제조시에 있어서의 재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어, 더욱 박리 필름 자체도 보다 고가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당해 박리 필름에는 박리 행위시에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부는 박리 필름의 전체면 또는 국부적인 지점, 예를 들어 손잡이 부분 등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에 있어서의 엠보스 가공의 유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고 잡기 쉬운 것이라면, 다이아몬드 무늬, 격자형, 육각형 무늬, 파형, 기타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첩부제의 제품 (판매) 명칭이나 주의 사항 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박리 필름에 문자, 기호, 일러스트 등을 표시 또는 착색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에 있어서의 지지체로는 직포, 부직포, 라미네이트품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신축성의 유무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의 구체적인 재료로는 종이, 면, 대마, 황마 등의 인피 섬유, 마닐라삼 등의 엽맥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등의 수모(獸毛) 섬유나, 비단 섬유, 깃털 섬유 등의 단백 섬유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나, 재생 단백 섬유 등의 재생 섬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섬유나 프로믹스 등의 반합성 섬유, 나일론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폴리옥시메틸렌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비스티아졸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등을 단체 또는 복합한 직포, 부직포로 가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지지체는 그 인장 강도, 두께, 신축성 등을 붙이는 부위에 따라 고려하고, 또 약물의 지지체에 대한 이행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에서 사용하는 고체는 기제에 약물을 함유시키거나 함으로써, 외용의 파프제 등의 첩부제로서 유효하게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 고체는 피부에 대한 약효 성분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도록 수분을 함유하고, 또한 점착성을 가지며, 상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연화되지 않아, 고체가 피부에 남지 않는 적당한 응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고체를 구성하는 기제에 함유되는 증점제로는 고체에 수분을 30% ∼ 80% 정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보수성을 갖는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증점제의 구체예로는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한천, 아라비아검, 트라간트검, 카라야검, 펙틴, 전분 등의 식물계, 크산탄검, 아카시아검 등의 미생물계, 젤라틴, 콜라겐 등의 동물계 천연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오스계, 가용성 전분, 카복시메틸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전분계 등의 반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비닐계,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아크릴계, 기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겔 강도가 강하고, 또한 보수성이 우수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평균 중합도 20,000 ∼ 70,000 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20,000 보다 작아짐에 따라 증점 효과가 부족해지고, 충분한 겔 강도를 얻을 수 없어지며, 또 평균 중합도가 70,000 보다 크면 증점 효과가 지나치게 강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에는 상기한 수용성 고분자를 2 종류 이상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강이온 고분자와 고분자 콤플렉스를 형성시켜, 한층 더 겔 강도가 큰 탄성 겔을 얻을 수 있다.
고체 성분으로서의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충전제로서 카올린, 산화아연, 탤크, 티탄,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메타규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인산칼슘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용해 보조제 또는 흡수 촉진제를 배합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것으로서 탄산프로필렌, 크로타미톤, 1-멘톨, 박하유, 리모넨,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약효 보조제로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1-멘톨, 티몰, 박하유, 노닐산바닐릴아미드, 고추 액기스 등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나 항산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그 밖에, 고체 성분으로서, 고체를 보다 강고하게 함과 함께 보수성을 갖게 할 목적에서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중합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러한 가교제는 증점제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염을 선택한 경우에는 분자 중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Ca, Mg, Al 등의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탄산염 등의 무기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글루콘산염, 스테아르산염 등의 유기산염, 산화아연, 무수규산 등의 산화물,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등의 다가 금속 화합물 등인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또는 중합제로서 아디프산, 티오글리콜산, 에폭시 화합물 (에피클로르히드린), 알데히드류, N-메틸올 화합물, Al, Ti, Zr, Sn, V, Cu, B, Cr 등의 화합물 등의 착화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또는 중합제로서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애시드 화합물 또는 그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산이나 타닌산 및 그 유도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또는 중합제로서 퍼옥사이드, 폴리술폰아지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증점제에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를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또는 중합제로서 다관능 히드록시 화합물, 폴리아민, 요오드,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철, 수은 납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젤라틴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 또는 중합제로서 포름 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디알데히드 전분 등의 알데히드류, 글루옥살, 부타디엔옥사이드 등의 디에폭시드류, 디비닐케톤 등의 디케톤류,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선택한 경우에는 가교제로서 수산화리튬, 수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붕산나트륨 등의 다가 금속염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연염, 알루미늄염은 가교 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 첨가되는 다가 금속염의 농도는 증점제 (또는 수용성 고분자) 1 당량에 대해 0.5 ∼ 1.5 당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0.5 당량 미만이면, 가교 반응이 지나치게 느려 겔 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또 다가 금속염의 농도가 1.5 당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교 반응이 지나치게 빨라 겔화가 불균일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나타나, 모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외용 첩부제로는 피부 밀착성이 양호할 것, 유효 성분의 피부 투과 흡수성을 높일 것, 수분을 가급적 많이 함유하고 있을 것 등이 요구된다. 고체 내의 수분이 증발될 때에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아, 이 흡열량이 청량감을 주고, 또 각질층이 내부로부터 증산되어 오는 물 분자에 의해 수화되어, 약물의 흡수성이 촉진된다. 또한, 고체의 특성으로서, 상온 또는 그 부근의 온도에서도 부드러워지지 않는 것, 떼어낼 때 아프지 않고, 고체가 피부에 남지 않는 것, 끈적거리지 않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체는 증점제 5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 습윤제 5 ∼ 40 중량%, 충전제 20 중량% 이하, 수분 10 ∼ 80 중량%, 용해 보조제 0 ∼ 8 중량%, 약물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되는 약물은 그 용도에 맞춰서 여러 가지 약물이 선택되고,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통ㆍ항염증 성분으로는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이부프로펜, 펠비낙, 살리실산글리콜, 살리실산메틸, 글리실리진산, 글리실리진산디칼륨, β-글리실리진산 등을 들 수 있다.
혈행 촉진 성분으로서, 아세트산토코페롤, 고추 액기스, 캅사이신,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벤질, 벤질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항알레르기 성분으로는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국소 자극 성분으로서 1-멘톨, 캠퍼, 박하유, 유칼리유 등, 게다가 국소 마취 성분으로서 리도카인, 벤조카인, 디부카인, 테트라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약물은 필요에 따라 2 종류 이상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고체 중에 배합되는 약물의 배합량은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에 미리 설정된 유효량을 환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파프제 등의 첩부제의 종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의 돌출부 또는 늘어짐 부분, 즉,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는 박리 필름의 박리 작업시에 있어서의 손잡이 부분이다. 이 손잡이 부분의 폭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 20㎜ 정도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손잡이의 폭이 5㎜ 보다 작아지면, 박리 필름 자체가 잡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손잡이의 폭이 15㎜ 이상이 되면 잡기 쉬워지지만, 박리 필름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고, 또 첩부제를 충전하는 안주머니 필름의 사이즈도 커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외용 첩부제를 구체적 실시예가 되는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를 나타냈다. 도 1a 은 그 사시도이고, 도 1b 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며, 도 1c 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예로서의 외용 첩부제 (1) 는 지지체 (2) 와, 그 지지체 (2) 의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고체 (3) 와, 당해 고체 (3) 의 고체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 (4) 로 이루어지는 적층물로서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 것이고, 또한 고체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 (4) 은 당해 고체면보다 큰 것으로서, 첩부제 (1) 의 4 변으로부터,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 (5) 로서의 박리 필름이 각각 돌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 (2) 는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고체 (3) 는 지지체 (2) 의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기제로 하는 것에 소염ㆍ진통제인 펠비낙 등의 약물 성분이나 수분 등을 함유시킨 것으로서, 이 고체 (3) 의 표면에, 두께 30㎛ 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무늬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박리 필름 (4) 을 점착시킨 첩부제 (1) 로서, 당해 첩부제 (1) 의 상하 좌우의 4 변으로부터, 박리 필름 (4) 이 각각 10㎜ 정도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 (5) 로서 돌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상기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첩부제에 대하여 그 사용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외용 첩부제를 목적하는 환부에 붙일 때에는 박리 필름에 의해 점착된 고체면을 노출시키기 위해 박리 필름을 박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고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비점착부 (5) 로서의 박리 필름 (4) 을 한 손가락으로 잡고, 다른 일방의 손가락으로 첩부제 단부의 단차 부분을 떼어내면 용이하게 고체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그대로 마지막까지 박리 필름 (4) 을 떼어내어, 노출된 고체면을 환부에 점착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첩부제는 기본적으로 상기의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하의 특이적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즉, 박리 필름 (4) 과 고체 (3) 의 면적차로부터 발생되는 단차, 즉 박리 필 름의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 (5) 는 박리 필름 (4) 의 박리의 시작점이 되어, 첩부제 (1) 의 단부를 손가락으로 문지르지 않아도, 어느 변으로부터도 용이하게 박리 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손끝이 야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령자라 하더라도 무의식 중에 박리할 수 있으며, 만일 박리 방법을 잘못했다 하더라도, 종래대로 지지체 단부를 손가락으로 문질러도 아무런 문제도 없이 박리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
도 2 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를 나타냈다. 도 2a 은 그 사시도이고, 도 2b 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며, 도 2c 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는 도 1 에 나타낸 부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 (1) 는 앞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와 달리, 고체 (3) 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 (4) 이, 첩부제 (1) 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양 단변) 의 2 변에 있어서,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 (5) 로서의 박리 필름이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 (2) 는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고체 (3) 는 지지체 (2) 의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기제 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인도메타신 등의 약물이나 수분 등을 함유한 것에 두께 38㎛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박리 필름 (4) 에 의해 형성된 첩부제로서, 첩부제 (1) 의 양단 2 변으로부터 박리 필름 (4) 이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 (5) 로서 각각 10㎜ 돌출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 (1) 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방법이지만, 박리 필름 (4) 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의 첩부제와 비교하여, 첩부제의 길이 방향 상하의 양 장변 부분에 비점착부로서의 박리 필름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만큼 박리 필름의 필요 면적이 감소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1 보다 경제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3]
도 3 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를 나타냈다. 도 3a 은 그 사시도이고, 도 3b 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는 도 1 에 나타낸 부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 (1) 는 지지체 (2) 와, 그 지지체 (2) 의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고체 (3) 와, 및 고체 (3) 의 고체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 (4) 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물로서의 기본적 구성을 갖는 것이고, 또한 고체면에 점착되는 박리 필름 (4) 은 당해 고체면보다 큰 것이며, 고체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체에 점착되지 않는 늘어짐부 (6) 를 구비한 것인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외용 첩부제 (1) 에 있어서, 지지체 (2) 는 신축성을 갖는 직포로 이루어지고, 고체 (3) 는 지지체 (2) 의 표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기제로 이루어지고, 거기에 살리실산메틸 등의 약물이나 수분 등을 함유한 것으로서, 그 고체 (3) 의 표면을 두께 30㎛ 인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실크 무늬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박리 필름 (4) 을 점착하는데, 첩부제의 단부로부터 2/3 부근에 10㎜ 정도의,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로서의 늘어짐부 (6) 를 형성하고, 그리고 나서 박리 필름 (4) 은 첩부제의 고체 (3) 의 4 변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 3 의 외용 첩부제 (1) 에 있어서의 사용 방법은 먼저, 단부로부터 2/3 부근에 형성된 늘어짐 부분 (6) 을 손가락으로 잡고, 다른 편방의 손가락으로 첩부제의 단부를 살짝 잡는다. 그 후, 늘어짐 부분 (6) 을 잡아당김으로써, 첩부제의 단부로부터 박리 필름 (4) 이 들떠 벗겨지고, 노출된 고체면을 환부에 점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첩부제를 붙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박리 필름 (4) 은 고체면보다 큰 것이고, 또 그 면적은 비점착부로서의 늘어짐 부분 (6) 을 형성함으로써 확대되는 경향인데, 첩부제의 종 방향ㆍ횡 방향으로도 비점착부로서의 돌출이 없기 때문에, 완성 치수는 종래와 동일해지기 때문에, 충전하는 안주머니 등의 치수는 종래 제품과 변함이 없어, 상기한 실시형태 2 의 첩부제보다 더욱 경제적이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발명은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점착성을 갖는 함수성의 고체와, 상기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첩부제로서, 박리 필름과 고체의 면적차로부터 발생되는 단차는 박리 필름의 박리의 시작점이 되기 때문에, 첩부제 단부를 손가락으로 문지르지 않고도 용이하게 박리 작업이 가능하여,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의료상 공헌도는 다대한 것이다.
도 1a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사시도이다.
도 1b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c 은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2a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사시도이다.
도 2b 는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2c 은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3a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사시도이다.
도 3b 는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첩부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4a 은 종래의 첩부제의 사시도이다.
도 4b 는 종래의 첩부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a 은 다른 종래의 첩부제의 사시도이다.
도 5b 는 다른 종래의 첩부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박리 필름의 박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외용 첩부제
2 : 지지체
3 : 고체
4 : 박리 필름
5 : 비점착부
6 : 늘어짐부
10 : 외용 첩부제
20 : 지지체
30 : 고체
40 : 박리 필름
50 : 파단선

Claims (6)

  1.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일면의 거의 전체면에 펴 발라진 점착성을 갖는 함수성의 고체와, 상기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전체 변에서 돌출되는 고체에 대한 비점착부를 갖는 것인 외용 첩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임의의 1 변 또는 2 변에서 돌출되는 고체면에 대한 비점착부를 갖는 것인 외용 첩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체에 점착되지 않는 늘어짐부를 구비한 것인 외용 첩부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는 고체면보다 큰 박리 필름이, 고체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 방으로 돌출되는 고체에 점착되지 않는 늘어짐부를 구비한 것인 외용 첩부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고체에 점착되지 않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늘어짐부가, 외용 첩부제의 길이 방향 고체면의 상하 방향에 형성된 것인 외용 첩부제.
KR1020087022294A 2006-02-20 2006-04-25 첩부제 KR20080099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2496A JP5010834B2 (ja) 2006-02-20 2006-02-20 貼付剤
JPJP-P-2006-00042496 2006-0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292A Division KR101488143B1 (ko) 2006-02-20 2006-04-25 첩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25A true KR20080099325A (ko) 2008-11-12

Family

ID=384371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292A KR101488143B1 (ko) 2006-02-20 2006-04-25 첩부제
KR1020087022294A KR20080099325A (ko) 2006-02-20 2006-04-25 첩부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292A KR101488143B1 (ko) 2006-02-20 2006-04-25 첩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692050B2 (ko)
EP (1) EP1987822B1 (ko)
JP (1) JP5010834B2 (ko)
KR (2) KR101488143B1 (ko)
CN (1) CN101378738B (ko)
AU (1) AU2006338921B2 (ko)
CA (1) CA2643566C (ko)
WO (1) WO2007097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4490C (en) * 2008-02-25 2016-01-05 Teikoku Seiyaku Co., Ltd. Wound-covering hydrogel material
JP6054013B2 (ja) 2008-02-27 2016-12-27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製剤
JP4879928B2 (ja) * 2008-03-25 2012-02-22 帝國製薬株式会社 ケトプロフェンリジン塩を含有する水性貼付剤
JP5189410B2 (ja) * 2008-05-26 2013-04-24 マサ子 川村 貼付用温熱体
US8329210B2 (en) * 2008-09-23 2012-12-11 Pharmapatch, Llc Twin transdermal drug delivery patch
EP2316395B1 (en) * 2009-10-27 2016-06-01 Nitto Denko Corporatio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110218472A1 (en) * 2010-03-02 2011-09-08 Iran Polymer And Petrochemical Institute (Ippi) Non drug based wound dressing polymer film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0773008B2 (en) * 2016-08-08 2020-09-15 Universiti Brunei Darussalam Medicated patch for preventing exit site infections during peritoneal dialysis
JP6865610B2 (ja) * 2017-03-27 2021-04-28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生体電極、生体電極ユニット、及び、生体電極パッケージ
JP2019047910A (ja) * 2017-09-08 2019-03-28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マスク、フェイスマスク、装着材及び貼り付け材
JP2019208693A (ja) * 2018-05-31 2019-12-12 小林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2019208689A (ja) * 2018-05-31 2019-12-12 小林製薬株式会社 貼付剤
CN110051825B (zh) * 2019-05-29 2022-09-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带状疱疹治疗贴
US11800906B2 (en) * 2020-08-03 2023-10-31 Matthew Furstenburg Athletic glove with high-grip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519A (en) * 1978-05-19 1983-06-28 Sawyer Philip Nicholas Bandage with hemostatic agent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employing the same
US4664106A (en) * 1985-12-20 1987-05-12 Labeltape Meditect Inc. Wound dressing
US4915765A (en) * 1987-09-04 1990-04-10 Aegis Medical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uid barrier for medical dressing
JPH0165025U (ko) * 1987-10-22 1989-04-26
US4913138A (en) * 1987-11-07 1990-04-03 Haruo Yoshida Adhesive bandage for personal use
GB8928927D0 (en) * 1989-12-21 1990-02-28 Smiths Industries Plc Adhesive dress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dressing
US5409703A (en) * 1993-06-24 1995-04-25 Carrington Laboratories, Inc. Dried hydrogel from hydrophilic-hygroscopic polymer
US5670557A (en) * 1994-01-28 1997-09-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ized micro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JP3192333B2 (ja) 1994-10-14 2001-07-2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AU5095698A (en) * 1996-10-25 1998-05-15 Copley Pharmaceutical Inc. Transdermal patch
DE19650329A1 (de) * 1996-12-04 1998-06-10 Hexal Ag Flächiges selbsthaftendes Wirkstoffpflaster
US6277458B1 (en) * 1999-03-15 2001-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lease strip with partible break to facilitate
FR2784581B1 (fr) * 1998-10-20 2002-12-13 Oreal Patch, ensemble constitue d'un patch et d'un recipient, et procede
JP2000175961A (ja) * 1998-12-18 2000-06-27 Saitama Daiichi Seiyaku Kk 貼付剤
JP2000175960A (ja) 1998-12-18 2000-06-27 Saitama Daiichi Seiyaku Kk 貼付剤
JP2000219622A (ja) 1999-01-29 2000-08-08 Toko Yakuhin Kogyo Kk パップ剤の構造
JP2000351717A (ja) 1999-04-09 2000-12-19 Kose Corp 毛髪化粧料
JP2000351727A (ja) 1999-06-09 2000-12-19 Hitoshi Saito 貼用薬及びその製造装置
AU6076200A (en) * 1999-07-08 2001-01-3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Exothermic bandage
CA2361552C (en) * 1999-12-14 2010-06-01 Hideakira Yokoyama Drug for alleviating migraine
US6582403B1 (en) * 2000-02-24 2003-06-24 Venetec International, Inc. Universal catheter anchoring system
US6761900B2 (en) * 2001-03-12 2004-07-13 Teikoku Pharma Usa, Inc. Topical patch preparation containing a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induce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3052790A (ja) * 2001-08-10 2003-02-25 Nitto Denko Corp 口腔内貼付用シート状製剤
JP2003070898A (ja) * 2001-09-04 2003-03-11 Life Kea Giken Kk 貼付剤とその製造方法
JP2003135514A (ja) * 2001-11-07 2003-05-13 Hana Kobo Sanko:Kk 身体貼着体
US7585554B2 (en) * 2004-07-02 2009-09-08 Corium International, Inc. Wound dressing, ingredient delivery device and IV hold-down incorporating a statically retained handle
US20080167633A1 (en) * 2005-04-11 2008-07-10 Roberto Vannucci Band-Aid With a Disinfectan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43566A1 (en) 2007-08-30
EP1987822B1 (en) 2016-12-07
EP1987822A1 (en) 2008-11-05
CN101378738A (zh) 2009-03-04
CA2643566C (en) 2015-06-16
CN101378738B (zh) 2012-07-04
AU2006338921B2 (en) 2012-05-24
US20140081223A1 (en) 2014-03-20
JP2007217387A (ja) 2007-08-30
KR101488143B1 (ko) 2015-01-29
US20090221947A1 (en) 2009-09-03
US8692050B2 (en) 2014-04-08
AU2006338921A1 (en) 2007-08-30
EP1987822A4 (en) 2011-06-08
WO2007097047A1 (ja) 2007-08-30
JP5010834B2 (ja) 2012-08-29
KR20140054457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9325A (ko) 첩부제
EP1967170B1 (en) Adhesive patch
KR101332999B1 (ko)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JP3192333B2 (ja) 貼付剤
WO2000069422A1 (fr) Bande
JP5546092B2 (ja) 貼付剤の製造方法
JP3566960B2 (ja) 貼付剤
JP3689807B2 (ja) 剥離シート
JP2012144562A (ja) 貼付剤
JP2004188218A (ja) 貼付剤
JP2004024904A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17

Effective date: 201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