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868A - 계란 삽입용 팩커 - Google Patents

계란 삽입용 팩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868A
KR20080097868A KR1020070043250A KR20070043250A KR20080097868A KR 20080097868 A KR20080097868 A KR 20080097868A KR 1020070043250 A KR1020070043250 A KR 1020070043250A KR 20070043250 A KR20070043250 A KR 20070043250A KR 20080097868 A KR20080097868 A KR 2008009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egg
packer
open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931B1 (ko
Inventor
심승원
Original Assignee
심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승원 filed Critical 심승원
Priority to KR102007004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9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된 계란을 파손 없이 난좌에 채워 넣는 팩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픈제어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계란의 등급(크기)에 따라 바스켓의 유격을 맞춤으로 제어하여 계란의 파손률을 감소함은 물론 상기 오픈제어판의 구조가 콤팩트하여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스켓의 오픈을 제어하는 오픈제어판을 유격조절구의 선택적인 록킹/언록킹 조작에 따라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계란의 등급에 따라 상기 오픈제어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바스켓의 유격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란 삽입용 팩커{Packer for egg inser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팩커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블럭 및 왕복이동대, 바스켓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바스켓 유격조절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바스켓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오픈제어판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오픈제어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오픈제어판의 슬라이딩 이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오픈제어판의 이동에 따른 바스켓의 유격 조절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초기위치 설정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초기위치 설정장치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팩커 2: 본체지지대
10: 이동블럭 20: 왕복이동대
30: 바스켓 유격조절장치 31: 오픈제어판
32: 조절장홈 33: 유격조절구
40: 바스켓 50: 오픈제어봉
60: 평면캠 70: 초기위치 설정장치
73: 걸림구 75: 스토퍼
본 발명은 선별된 계란을 파손 없이 난좌에 채워 넣는 팩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픈제어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계란의 등급(크기)에 따라 바스켓의 유격을 맞춤으로 제어하여 계란의 파손률을 감소함은 물론 상기 오픈제어판의 구조가 콤팩트하여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계란은 계란 집하장으로 수집되어 중량이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된다.
상기 선별된 계란은 수평상태로 정렬된 다수의 바스켓에 자동으로 공급된 후 선별부의 주처리 제어부의 전기적인 지령에 따라 상기 바스켓이 수평이송장치(컨베이어 등)에 놓여진 난좌에 근접하도록 하강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바스켓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계란을 난좌에 삽입하며, 이러한 계란의 삽입 동작이 완료되면 바스켓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계란을 자동으로 난좌에 삽입하는 팩커의 일예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등록이 허여된 『특허등록 제669925호 명칭 계란 삽입용 팩커』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등록 발명은 계란이 담겨진 바스켓이 난좌에 일부분 삽입될 때까지 하강한 후 미세하게 1차 오픈됨으로써 난좌로부터 계란이 부분적으로 이탈하면서 난좌의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계란의 최종 낙하거리가 매우 짧은 상태에서 바스켓이 2차 오픈과정을 통해 완전하게 개방됨으로써 계란이 파손되거나 흠집, 훼손이 발생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선등록 발명은 1, 2차 오픈과정을 통해 완전 개방된 바스켓이 원상태로 복원될 때 자유롭게 유동함으로써 상기 바스켓이 상승과정에서 설령 계란에 접촉하더라도 완충작용을 하여 계란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계란 및 난좌를 끌고 올라가거나 끌고 올라가다가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계란의 대량 파손을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계란 삽입용 팩커는 계란의 등급에 따라 바스켓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마땅한 장비가 마련되지 않아 계란의 파손률은 계란의 등급에 따라 천차만별로 변화하는 실정이다.
즉 계란은 크기에 비례하여 등급이 매겨지고, 이 등급에 맞추어 상기 바스켓의 유격이 변화되어야만 항상 계란의 등급에 관계없이 계란을 일률적으로 파손 없이 난좌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등록 발명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팩커는 바스켓의 유격이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계란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계란이 난좌에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하면서 파손률이 증가하며, 상기 계란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계란이 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너무 쉽게 난좌에 삽입되면서 파손률이 증가하는 일부의 개선점이 야기된다.
또한, 선등록 발명은 오픈제어봉과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을 통해 바스켓의 오픈상태를 제어하는 오픈제어판의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필요 이상으로 과도한 크기로 제작됨으로써 제작에 따른 코스트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등록 발명은 팩커의 비작동시 평면캠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과도하게 회동하면서 바스켓이 계란을 삽입하기 위한 초기위치를 이탈함으로써 팩커의 초기 구동에 따른 기동조건이 저하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을 내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 발명이 내포하고 있는 일부의 개선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하여 계란의 등급에 관계없이 항상 일률적으로 계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스켓의 오픈을 제어하는 오픈제어판을 유격조절구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계란의 등급에 따라 상기 오픈제어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바스켓의 유격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과제를 이루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캠에 걸림구를 출몰 가능하게 탄력 설치하여 팩커의 비작동시 평면캠이 하부로 회동하더라도 상기 걸림구가 본체지지대에 부착된 스토퍼에 의해 이동 제한됨으로써 항상 바스켓의 초기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본체지지대(2)에 이격 설치된 가이드봉(5)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블럭(10)과; 상기 이동블럭(10)의 전면부를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내면에 오픈부(21)가 함몰 형성된 왕복이동대(20)와; 상기 왕복이동대(20)의 양측에 상·하로 형성된 조절장홈(32)을 유격조절구(33)로 관통하여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오픈제어판(31)으로 구성된 바스켓 유격조절장치(30)와; 상기 양측의 이동블럭(10) 사이에 연결된 회동축(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에 가이드롤러(51)가 형성된 오픈제어봉(50)이 유동홈(11)을 따라 외향으로 유동시 개방되면서 계란을 난좌에 삽입하는 바스켓(4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팩커(1)는 지면에 입설되는 본체지지대(2)가 사방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선별된 계란을 수평상 이동시켜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바스켓(40)으로 투하시키는 계란 투하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40)의 하부에는 계란(3)이 채워지는 난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난좌 공급장치가 구비된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
상기한 바스켓(40)이 위치하는 양측의 본체지지대(2)에는 사방으로 고정블럭(4)이 부착되고 이 고정블럭(4)에는 각각 가이드봉(5)이 이격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5)에는 이동블럭(10)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10)의 양측에는 오픈제어봉(50)이 선택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홈(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블럭(10)과 동시에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왕복이동대(20)는 중앙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부가 이동블럭(10)의 전면부를 감싸게 설치되며, 중앙부의 마주하는 내면에는 가이드롤러(51)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바스켓(40)의 오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부(21)가 함몰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왕복이동대(20)에는 계란의 등급에 따라 바스켓(40)의 유격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함은 물론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바스켓 유격조절장치(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바스켓 유격조절장치(30)는 왕복이동대(20)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오픈제어판(31)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오픈제어판(31)은 양측에 상·하로 조절장홈(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절장홈(32)은 유격조절구(33)로 관통하여 왕복이동대(2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오픈제어판(31)은 종래와 같이 고정상태로 설치됨을 탈피하여 상기 유격조절구(33)의 록킹/언록킹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픈제어판(31)의 내면을 따라 안내 이동하는 가이드롤러(51)가 형성된 오픈제어봉(50)은 도 7과 같이 상기 오픈제어판(31)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내, 외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폭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도 8과 같이 계란의 등급에 알맞도록 바스켓(40)의 유격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픈제어판(31)은 내측면의 상부에 가이드롤러(51)가 외향으로 유동됨을 차단함으로써 바스켓(40)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유지면(34)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유지면(34)의 하측으로는 가이드롤러(51)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롤러(51)를 양측으로 벌려주어 바스켓(40)이 미세하게 1단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1단 오픈면(35)이 형성되며, 상기 1단 오픈면(35)의 하측에는 가이드롤러(51)를 양측으로 더 벌려주어 바스켓(40)의 2단 오픈을 유지하는 2단 오픈면(36)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잠금유지면(34) 및 1, 2단 오픈면(35)(36)의 구성을 통해 오픈제어봉(50)의 가이드롤러(51)가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복합적으로 안내하면서 바스켓(40)의 오픈을 원활하게 제어함은 물론 상기한 원활한 제어작동에도 전체적인 구성은 매우 콤팩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양측의 이동블럭(10) 사이에는 회동축(41)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회동축(41)에는 다수의 바스켓(40)이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바스켓(40)은 회동부위가 일측으로 편심됨으로써 오픈제어봉(50)이 유동홈(11)을 따라 외향으로 유동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외향으로 벌어지면서 개방됨 으로써 계란을 난좌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스켓 유격조절장치(30)에 의하면 가이드롤러(51)의 이동을 안내하는 오픈제어판(31)의 위치를 수평상으로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계란의 등급에 적합하도록 바스켓(40)의 유격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0과 같은 다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커넥팅로드(6)를 매개로 이동블럭(10)과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동력축(7)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왕복이동대(20)에 전달하는 평면캠(60) 및 본체지지대(2)에 설치된 초기위치 설정장치(70)를 통해 팩커(1)의 비사용시 바스켓(40)의 초기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팩커(1)의 초기구동에 따른 기동조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초기위치 설정장치(70)는 상기 평면캠(60)을 관통하여 걸림구홀더(71)가 설치되고, 이 걸림구홀더(71)의 일측 개방부는 세트스크류(72)가 결합됨으로써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홀더(71)의 내부에는 걸림구(73)가 스프링(74)으로 탄력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74)의 탄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내, 외부로 출몰가능하며, 상기 팩커(1)의 비사용시 걸림구(73)가 걸리면서 평면캠(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75)가 본체지지대(2)에 체결구(75a)로 관통하여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팩커(1)의 비사용시 도 9와 같이 평면캠(60)이 자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즉각적으로 걸림구(73)가 스토퍼(75)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역회 전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바스켓(40)이 계란을 받을 수 있는 초기위치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75)는 평면캠(60)의 역회전을 방지함은 물론 평상시엔 평면캠(60)의 원활한 정회전 작동을 위해 걸림구(73)가 상기 스토퍼(75)에 걸리지 않고 스토퍼(75)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76)이 추가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추가적인 초기위치 설정장치(70)에 의하면 팩커(1)의 비작동시 바스켓(40)이 항상 일정한 초기위치를 자동으로 유지함으로써 초기구동에 따른 뛰어난 기동조건을 확보하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오픈제어판에 형성된 조절장홈을 유격조절구로 관통하여 왕복이송대에 오픈제어판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격조절구의 록킹/언록킹 조작에 따라 오픈제어판의 위치를 수평상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계란의 등급에 따라 바스켓의 유격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계란의 등급에 관계없이 항상 일률적으로 계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픈제어판은 잠금유지면 및 1, 2단 오픈면이 동시에 구비되면서도 콤팩트하게 구성됨으로써 기본적으로 바스켓의 오픈을 원활하게 제어할 뿐만 아니라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에 따른 코스트를 절감하여 경제성의 향상을 제고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캠에 걸림구가 출몰 가능하게 탄설됨으로써 팩커의 비작동시 평면캠이 하부로 회동하더라도 상기 걸림구가 스토퍼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항상 바스켓의 초기위치를 일정하게 자동으로 설정하여 팩커의 초기구동에 따른 뛰어난 기동조건을 확보하는 효과를 추가로 제공한다.

Claims (4)

  1. 양측 본체지지대(2)에 이격 설치된 가이드봉(5)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블럭(10)과;
    상기 이동블럭(10)의 전면부를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내면에 오픈부(21)가 함몰 형성된 왕복이동대(20)와;
    상기 왕복이동대(20)의 양측에 상·하로 형성된 조절장홈(32)을 유격조절구(33)로 관통하여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오픈제어판(31)으로 구성된 바스켓 유격조절장치(30)와;
    상기 양측의 이동블럭(10) 사이에 연결된 회동축(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에 가이드롤러(51)가 형성된 오픈제어봉(50)이 유동홈(11)을 따라 외향으로 유동시 개방되면서 계란을 난좌에 삽입하는 바스켓(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
  2. 제 1항에 있어서,
    오픈제어판(31)은 내측면의 상부에 가이드롤러(51)가 외향으로 유동됨을 차단하여 바스켓(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유지면(34)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유지면(34)의 하측으로 가이드롤러(51)의 하강시 가이드롤러(51)를 양측으로 벌려주어 바스켓(40)의 1단 오픈을 유지하는 1단 오픈면(35)이 형성되며, 상기 1단 오 픈면(35)의 하측으로 가이드롤러(51)를 양측으로 더 벌려주어 바스켓(40)의 2단 오픈을 유지하는 2단 오픈면(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
  3. 양측 본체지지대(2)에 이격 설치된 가이드봉(5)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블럭(10)과;
    상기 이동블럭(10)의 전면부를 감싸게 설치되고 마주하는 내면에 오픈부(21)가 함몰 형성된 왕복이동대(20)와;
    상기 왕복이동대(20)의 양측에 상·하 로 형성된 조절장홈(32)을 유격조절구(33)로 관통하여 수평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오픈제어판(31)으로 구성된 바스켓 유격조절장치(30)와;
    상기 양측의 이동블럭(10) 사이에 연결된 회동축(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에 가이드롤러(51)가 형성된 오픈제어봉(50)이 유동홈(11)을 따라 외향으로 유동시 개방되면서 계란을 난좌에 삽입하는 바스켓(40)과;
    상기 이동블럭(10)과 커넥팅로드(6)를 매개로 연결되고 왕복이동대(20)에 동력축(7)의 회전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평면캠(60)과;
    상기 평면캠(60)을 관통하여 설치된 걸림구홀더(71)에 내,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구(73)가 팩커(1)의 비작동시 본체지지대(2)에 부착된 스토퍼(75)에 걸리면서 평면캠(60)의 이동을 제한하여 바스켓(40)의 초기위치를 자동 설정하는 초기위치 설정장치(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
  4. 제 3항에 있어서,
    초기위치 설정장치(70)는 평면캠(60)을 관통하여 세트스크류(72)로 밀폐된 걸림구홀더(71)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홀더(71)의 내부에는 걸림구(73)가 스프링(74)으로 탄력 설치되며, 상기 걸림구(73)는 본체지지대(2)에 부착된 스토퍼(75)에 걸리면서 역회전 방지되고, 상기 스토퍼(75)는 평면캠(60)의 정회전시 걸림구(7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7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삽입용 팩커.
KR1020070043250A 2007-05-03 2007-05-03 계란 삽입용 팩커 KR10116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50A KR101160931B1 (ko) 2007-05-03 2007-05-03 계란 삽입용 팩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250A KR101160931B1 (ko) 2007-05-03 2007-05-03 계란 삽입용 팩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868A true KR20080097868A (ko) 2008-11-06
KR101160931B1 KR101160931B1 (ko) 2012-06-29

Family

ID=4028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250A KR101160931B1 (ko) 2007-05-03 2007-05-03 계란 삽입용 팩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20B1 (ko) 2015-05-11 2016-07-19 이이성 계란의 파손률이 개선된 계란 팩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5592B2 (ja) * 1994-09-29 1998-07-16 共和機械株式会社 鶏卵の受取放出装置
KR200313464Y1 (ko) * 2003-02-10 2003-05-14 안병화 종이컵 검사 이송장치
KR100669925B1 (ko) * 2006-07-19 2007-01-16 심승원 계란 삽입용 팩커
KR200430447Y1 (ko) * 2006-08-04 2006-11-10 주식회사 에그텍 계란을 난좌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20B1 (ko) 2015-05-11 2016-07-19 이이성 계란의 파손률이 개선된 계란 팩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931B1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702B1 (ko) 계란을 난좌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
KR20130119736A (ko) 리니어 베어링 자동 볼 조립장치
CN110419860A (zh) 升降桌
CN1957126A (zh) 横机的喂纱装置的纱线供给器
KR101160931B1 (ko) 계란 삽입용 팩커
CN105253484B (zh) 一种集装箱的分层装置
KR101668355B1 (ko)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CN102826364A (zh) 拉头供给装置
KR100669925B1 (ko) 계란 삽입용 팩커
KR101322840B1 (ko) 잠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동물 포획 장치
CN102613101A (zh) 自动化喂料设备
KR100775673B1 (ko) 해태 건조기
KR100995687B1 (ko) 계란판 공급장치
CN209330907U (zh) 一种挖取装置
CN204571630U (zh) 一种门页用下导滑轮组件
CN201090109Y (zh) 平滑启闭自动门及其导向限位装置
JP2005087072A (ja) 動物捕獲用檻
KR100716052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공급장치 및 그 방법
CN106586074A (zh) 用于蔬菜打包的装置
KR101824184B1 (ko) 반자동 채소 이식기의 식부컵 조작유닛
KR100893914B1 (ko) 계란 팩커의 완충바스켓용 파란방지장치
KR200430447Y1 (ko) 계란을 난좌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
CN204325684U (zh) 电脑横机的活动板自动外翻机构
JP3088093U (ja) 集卵コンベアが貫通する鶏舎や集卵舎などの壁に設ける開閉シャッタ
CN211340561U (zh) 一种车辆通道防落式停车场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09

Effective date: 201003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929

Effective date: 20120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