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726A - 단추 장신구 - Google Patents

단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726A
KR20080097726A KR1020070042935A KR20070042935A KR20080097726A KR 20080097726 A KR20080097726 A KR 20080097726A KR 1020070042935 A KR1020070042935 A KR 1020070042935A KR 20070042935 A KR20070042935 A KR 20070042935A KR 20080097726 A KR20080097726 A KR 2008009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ottleneck
main body
spring
met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291B1 (ko
Inventor
유칠성
Original Assignee
유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칠성 filed Critical 유칠성
Priority to KR102007004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2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6Assembling of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44B1/14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with replaceable or protective cove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추를 덮어씌우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병목 스프링이 장착되어 단추에 끼워진 다음에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단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는 단추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납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에 단추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단추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단추가 들어갈 때 단추와 옷을 연결하는 실부분이 지나가면서 벌어지게 하는 탄성적인 병목부가 형성되고 그 병목을 통과한 다음에는 단추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병목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단추, 장신구, 스프링

Description

단추 장신구 {BUTTON ACCESSORI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가 단추에 끼워지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의 저면도로서 도 2는 단추가 들어가기 전하고 들어간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단추가 들어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저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추 20 : 단추장신구
21 : 상면 22 : 측면
100 : 병목스프링
본 발명은 단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추를 덮어씌우도록 형성되 되 내측에 병목 스프링이 장착되어 단추에 끼워진 다음에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단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입는 의류에는 많은 수의 단추가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고, 지금도 그 사용은 줄어들지 않고 계속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추는 실 등으로 단추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단추를 옷에 부착되도록 하고 단추가 끼워지는 쪽에 슬릿을 형성하여 그 슬릿으로 단추가 들어가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옷을 입게 된다.
이러한 단추는 옷에 부착되어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아름다운 모양의 단추가 디자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단추는 이미 정해진 모양으로 옷에 실 등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추를 떼고 다른 단추를 실로 꿰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추를 덮어씌우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병목 스프링이 장착되어 단추에 끼워진 다음에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단추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는 단추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납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에 단추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단추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단추가 들어갈 때 단 추와 옷을 연결하는 실부분이 지나가면서 벌어지게 하는 탄성적인 병목부가 형성되고 그 병목을 통과한 다음에는 단추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병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병목 스프링은 두 개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선은 일단은 상기 본체에 용접되어 고정된 다음 연장되어 단추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부인 원호를 그리고, 다시 병목부를 이루도록 연장된 후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금속선의 타단이 단추가 삽입될 때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홈부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가 단추에 끼워지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의 저면도로서 도 2는 단추가 들어가기 전하고 들어간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단추가 들어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저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는 단추(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납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에 단추(10)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단추삽입구(22a)가 형성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단추(10)가 들어갈 때 단추(10)와 옷을 연결하는 실(11)부분이 지나가면서 벌어지게 하는 탄성적인 병목부(103)가 형성되고 그 병목부(103)를 통과한 다음에는 단 추(10)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102)가 형성된 병목 스프링(1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병목 스프링(100)은 두 개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선은 일단(101)은 상기 본체(20)에 용접되어 고정된 다음 연장되어 단추(10)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부(102)인 원호를 그리고, 다시 병목부(103)를 이루도록 연장된 후 타단이 자유단(104)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금속선의 타단(104)이 단추(10)가 삽입될 때 걸리게 되는 홈부(25a)가 상기 본체(20)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는 납작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가 개방되어 상면(21)과 측면(22)이 일체를 이루고 있고, 그 측면(22)에는 단추(100가 옆으로 들어가기 위한 단추삽입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21)은 단추(100가 끼워진 경우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장신구로서 디자인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단추삽입구(22a)는 단추(10)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하고 단추(10)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단추삽입구(22a)는 단추(10)와 옷을 연결하는 실(11)이 들어가기 때문에 삽입구(22a)의 하부는 개방되어 완전히 절개된 절개부(22b) 모양을 하고 있다.
도 2는 단추 장신구의 저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 장신구의 저면은 개방된 상태이고 단추(10)가 삽입된 다음 빠지지 않도록 단추(10)를 지탱하기 위하여 병목스프링(100)이 설치되어 있다. 병목 스프링(100)은 두 개의 금속선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된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단추삽입구(22a)의 반대편에 금속선의 일단(101)이 용접되고 연장된 다음 단추(10)의 직경 보다 작게 원호를 그려 안착부(102)를 이루고 다시 연장되어 병목부(103)를 이루게 되며, 마지막으로 연장되어 자유단(104)을 갖는다. 즉 금속선의 끝단(1040은 어디에 용접된 것은 아니고 홈부(25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단추(10)가 단추삽입구(22a)를 통과하여 상면(21)과 병목 스프링(100) 사이의 높이로 들어가게 되면 단추(10)와 옷을 연결하는 실부분(11)이 병목부(103)보다 그 직경이 크기 때문에 병목부(103)를 벌리면서 들어간 다음 안착부(102)에 단추(10)가 안착된다. 병목부(1030는 단추(100가 안착부(102)에 안착된 다음에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와 단추(10)가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도 2는 병목부(103)가 부하가 전혀 없는 단추(10)가 삽입되기 전이나 완전히 삽입된 후를 나타내고, 도 3은 단추(10)가 삽입되고 있는 진행 상태를 나타낸다.
병목스프링(100)의 자유단(10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5a)에 끼워져 있는 상태인데, 홈부(25a)는 상면과 평행한 두 개의 면(23,24)과 측면(22)의 일부 그리고 측면(22)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면(25)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부(103)에 부하가 없는 경우에는 홈부(25a)에 금속선의 자유단(104)이 들어가 있는 상태이나 어디에 직접 접촉하여 걸려 있지는 않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부(103)에 부하가 있는 경우 특히 단추(10)가 들어가고 있는 상태의 경우에는 자유단(104)이 밀려들어가면서 돌출면(25) 쪽에 완전히 밀려들어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단추 장신구(20)의 다른 실시예는 병목스프링(100')에 두 부분의 병목부(103')를 형성하여 단추(10)의 입출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단추 장신구(20")의 다른 실시예는 병목 스프링(100") 금속선의 한쪽(102a")을 직선으로 구성하여 병목부(103")와 안착부(102")를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도 6은 단추장신구(1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두 개의 금속선 대신에 한 개의 금속선(122)을 사용하고 그 대응하는 위치에는 판(121)을 형성하여 병목부(123)를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판(121)은 고정되어 있고 한 개의 금속선(122)이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금속선(122)을 한개만 설치만 설치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단추장신구(2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단추의 실부분이 나선형으로 진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금속선(221,222)이 사용되어 설치되어 있고, 각 금속선(221,222)의 양끝은 모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두 개의 금속선(221,222)에 의해 나선형의 병목을 형성함으로써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추 장신구는 단추에 쉽게 끼웠다 뺄 수 있기 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

  1. 단추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납작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측면에 단추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단추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단추가 들어갈 때 단추와 옷을 연결하는 실부분이 지나가면서 벌어지게 하는 탄성적인 병목부가 형성되고 그 병목을 통과한 다음에는 단추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병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 스프링은 두 개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선은 일단은 상기 본체에 용접되어 고정된 다음 연장되어 단추가 빠지지 않도록 안착부인 원호를 그리고, 다시 병목부를 이루도록 연장된 후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장신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선의 타단이 단추가 삽입될 때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홈부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장신구.
KR1020070042935A 2007-05-03 2007-05-03 단추 장신구 KR101307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935A KR101307291B1 (ko) 2007-05-03 2007-05-03 단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935A KR101307291B1 (ko) 2007-05-03 2007-05-03 단추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726A true KR20080097726A (ko) 2008-11-06
KR101307291B1 KR101307291B1 (ko) 2013-10-15

Family

ID=4028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935A KR101307291B1 (ko) 2007-05-03 2007-05-03 단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2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65Y1 (ko) * 2011-05-02 2012-01-18 정연창 와이셔츠 깃 고정구
KR200468169Y1 (ko) * 2011-05-02 2013-07-31 임동욱 의류에 사용하는 장식물
KR200471068Y1 (ko) * 2013-04-04 2014-02-06 임동욱 의류에 사용하는 장식물
US9993047B1 (en) 2016-12-14 2018-06-12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KR20190136871A (ko) * 2018-05-31 2019-12-10 임동욱 돌출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장식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6723408U (zh) * 2019-09-10 2022-06-14 林东昱 嵌入凸出部加以固定的装饰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514U (ja) * 1993-01-06 1994-07-19 貞彦 長江 ボタンカバー
JPH0714905U (ja) * 1993-08-20 1995-03-14 シェンチャン ファン 装飾ボタン
GB9800257D0 (en) * 1998-01-08 1998-03-04 Duke Susan Butt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65Y1 (ko) * 2011-05-02 2012-01-18 정연창 와이셔츠 깃 고정구
WO2012150783A2 (ko) * 2011-05-02 2012-11-08 Jung Yeon Chang 와이셔츠 깃 고정구
WO2012150783A3 (ko) * 2011-05-02 2013-01-17 Jung Yeon Chang 와이셔츠 깃 고정구
KR200468169Y1 (ko) * 2011-05-02 2013-07-31 임동욱 의류에 사용하는 장식물
KR200471068Y1 (ko) * 2013-04-04 2014-02-06 임동욱 의류에 사용하는 장식물
US9993047B1 (en) 2016-12-14 2018-06-12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US10555584B2 (en) 2016-12-14 2020-02-11 Jessica M. Patterson Button cover and method of use
KR20190136871A (ko) * 2018-05-31 2019-12-10 임동욱 돌출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장식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291B1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291B1 (ko) 단추 장신구
JPH1146816A (ja) 紐 具
KR200489445Y1 (ko) 인장코일스프링 연결구
JP2011239826A (ja) 脱落防止機能付き衣類用ハンガー
JP2013116091A (ja) 釣り用糸通し具および携帯用糸通しセット
KR200451900Y1 (ko) 표찰케이스용 핀온릴
JP2017211037A (ja) 連結具
JP2014004074A (ja) 紐留め具
US8511508B1 (en) Pocket-engaging case
JP2017221263A (ja) 身飾品
JP5781425B2 (ja) 装身具用連結具
CN211268895U (zh) 磁吸组件和颈枕
KR200442587Y1 (ko) 넥타이 고정구
JP2009143619A (ja) ロック解除可能なアタッチ部材
TWI245610B (en) Cord end cover
JP3132887U (ja) 指輪留め具及びペンダント
KR200480722Y1 (ko)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US7163527B2 (en) Easily carried eye rinsing device
JP3205976U (ja) 身飾品
CN220212164U (zh) 一种活动的镶嵌结构及戒指
KR200462475Y1 (ko) 액세서리 고정구
KR200464955Y1 (ko) 펜던트 모듈
KR200468096Y1 (ko) 이어폰 접속구의 마개홀더
US4280255A (en) Button
JP3131399U (ja) カフスボタ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