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776A - 고전류 용량 정류기 패키지 - Google Patents

고전류 용량 정류기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776A
KR20080095776A KR1020080037129A KR20080037129A KR20080095776A KR 20080095776 A KR20080095776 A KR 20080095776A KR 1020080037129 A KR1020080037129 A KR 1020080037129A KR 20080037129 A KR20080037129 A KR 20080037129A KR 20080095776 A KR20080095776 A KR 2008009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nd frame
diode
rectifier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223B1 (ko
Inventor
디. 브래드필드 마이클
엘. 아울러 브래드
알. 에드링톤 사무엘
Original Assignee
레미 테크놀러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미 테크놀러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레미 테크놀러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9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8Cooling of commutators, slip-rings or brushes e.g. by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1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9/00
    • H01L25/11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9/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개선된 열방출 성능을 가진 발전기기(dynamoelectric machine)가 개시된다. 발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정류기 조립체(rectifier assembly)를 가진 3상 고정자 와인딩(three-phase stator winding)을 포함한다. 정류기 조립체는, 내부에 포함된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negative diode)를 가진 단부 프레임(end frame)과,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positive diode)를 가진 포지티브 열 싱크(positive heat sink)를 포함한다. 단자 조립체(terminal assembly)는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연결하고 있다. 단자 조립체는 1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및 열 방산성 스트랩(straps)을 포함한다. 스트랩은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 열을 방출시키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발전, 정류, 다이오드, 냉각, 스트랩

Description

고전류 용량 정류기 패키지{HIGH CURRENT CAPACITY RECTIFIER PACKAG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발전기기(dynamoelectric machines)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기기의 정류기(rectifier) 및 고정자(stator)의 냉각에 관한 것이다.
발전기기의 통상적인 응용은, 자동차에서 교류 발전기(alternator)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교류 발전기는, 직류(direct current)로 정류되는 3상 교류(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에너지는, 차량의 배터리에 저장되거나, 직류(DC) 전압을 사용하는 자동차의 전기회로부(electrical circuitry)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3상 교류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diodes), 통상적으로 표준형(normal) 3상 교류발전기를 위한 6개 다이오드 또는 병렬형(parallel) 3상 교류발전기를 위한 12개 다이오드를 가지는 정류기 브리지(rectifier bridge)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다. 상기 다이오드의 절반(3개 또는 6개)은 포지티브 다이오드(positive diodes)이다. 각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는 교류 발전기의 고정자 와인 딩(stator winding)의 상(phase) 단자와 교류 발전기의 포지티브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포지티브 단자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전기회로부에 연결된다. 나머지 다이오드는 네거티브 다이오드(negative diodes)이고, 각각은 고정자 와인딩의 상(phase) 단자와 자동차의 전기적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다이오드는 200암페어를 초과하는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준의 전류는, 교류 발전기 기능과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방출하여야 하는 상당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열은 전형적으로, 다이오드가 장착된 전달 플레이트(carrier plates)를 통하여 방출된다. 전달 플레이트는, 열 싱크(heat sinks)로서 작용하고, 냉기(cooling air)에 노출되는 핀(fin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한 열은, 전달 플레이트와 핀에 전달되어 대기로 방출된다.
현재의 정류기와 열 싱크 구조는, 출력전류가 200암페어를 초과하는 교류 발전기에서 구성요소의 온도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냉각을 수행하지 못한다. 종래 기술은, 고전류 교류발전기의 구성으로부터 열을 충분히 방출하는 개선된 정류기와 열 싱크 구조를 적절히 받아들일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전류 교류 발전기의 구성으로부터 열을 충분히 방출하는 개선된 열방출 성능을 가진 정류기를 제공함에 있다.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는,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는 단부 프레임(end frame)을 포함한다.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는 포지티브 열 싱크가 제공된다. 1개 이상의 전기전도성 및 열 방출성 스트랩(straps)을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는,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 및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발전기기의 정류기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은,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로부터 단부 프레임으로 열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지티브 열 싱크는,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로부터 열을 전달한다. 단자 조립체의 스트랩은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포지티브 다이오드로부터 단자 조립체로 열을 더 전달한다. 단부 프레임, 포지티브 열 싱크 및 스트랩으로부터 열을 방출하도록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는 교류 발전기에서 구성요소의 온도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충분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쉽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에는 3상 교류 전기(미도시)의 브리지 정류기(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정류기(10)는,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를 가지는 단부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6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가 단부 프레임(12)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개수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를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각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는 3상 고정자 와인딩(미도시)의 한 상(pha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류기(10)가 6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를 가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가 3상 고정자 와인딩의 각 상(phase)에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거티브 다이오드(14)가 프레임 면(frame face)(16)의 간극(apertures)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단부 프레임(12)은 캐스트 알루미늄(cast aluminium)이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단부 프레임(12)을 위해 다른 물질을 고려할 수 있다. 단부 프레임(12)은 정류기(10)의 전기 및 열 전도성 부재(네거티브 열 싱크)로서 구성된다. 단부 프레임(12)은 나중에 대기로 방출되는 네거티 브 다이오드(14)로부터의 열을 전도한다. 단부 프레임(12)을 통과하는 기류(airflow)를 촉진하여 열전달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내측 벤트(inner vents)(18)가 반경방향으로 네거티브 다이오드(14)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외측 벤트(outer vents)(20)가 반경방향으로 네거티브 다이오드(14)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내측 벤트(18)와 외측 벤트(20)는 연장된 슬롯(slots)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벤트의 형상을 고려할 수 있다. 외측 벤트(20)는 특히, 단부 프레임(12)의 일면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outer wall)(22, 도 4 참조)으로부터 열을 방사하는데 도움이 된다. 외측 벽(22)은 단부 프레임(12)에 상당량의 표면적을 추가시킴으로써 단부 프레임(12)의 냉각용량을 높인다. 외측 벽(22)의 추가적 장점은, 취급(handling)이나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정류기(10)의 기계적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는, 단부 프레임(12)에 배치된 네거티브 다이오드(1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포지티브 열 싱크(26)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지티브 열 싱크(26)에 배치된 포지티브 다이오드(24)의 경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개수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를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각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가 3상 고정자 와인딩(미도시)의 한 상(pha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류기(10)가 6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를 가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가 3상 고정자 와인딩의 각 상(phase)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 열 싱크(26)는, 포지티브 다이오드(24)를 수납하기 위한 포지티브 열 싱크의 일면(30) 내에 1개 이상의 다이오드 개구(28), 및 포지티브 열 싱크의 일면(30) 내에 1개 이상의 리드 홀(lead hole)(32)을 구비한다. 네거티브 다이오드 리드(34)는 네거티브 다이오드(14)의 각각으로부터 리드 홀(32)의 각각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포지티브 열 싱크(26)는, 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포지티브 다이오드(24)로부터 열을 전도하도록 구성된다. 복수 개의 내측 핀(36)은, 포지티브 열 싱크의 일면(30)에서부터 연장되고, 반경방향으로 포지티브 다이오드(24)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측 핀(36)은, 포지티브 열 싱크(26)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포지티브 다이오드(24)로부터의 열전달 효율성을 높인다. 포지티브 열 싱크(26)는, 포지티브 열 싱크(26)의 둘레(40)에서 포지티브 열 싱크의 일면(30)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측 핀(38)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핀(36)과 외측 핀(38)은, 포지티브 열 싱크(26)에서부터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나, 본 발명이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냉기는 원심형 팬(centrifugal fan)(미도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정류기(10)에 공급되는데, 이와 같은 냉기는 교류 발전기를 거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프레임(12)의 내측 벤트(18)와 외측 벤트(20)를 지나며, 포지티브 열 싱크의 인접한 외측 핀(38)에 의해 정의된 슬롯(42)을 거쳐 축방향으로 향한다. 이로써 팬의 냉각 성능은 증가된다. 또한, 벤트(18, 20)와 슬롯(42)의 위치 및 구조는, 교류 발전기를 통과하는 냉기를 1개 이상의 고정자 와인딩(미도시)의 단부 권 선에 직접 충돌케 한다. 이는, 고정자 와인딩을 균일하고도 효율 좋게 냉각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단자 조립체(44)는 포지티브 열 싱크(26)에 부착된다. 단자 조립체(44)는, 전기 전도성 및 열 방출성 스트랩(48)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보스(bosses)(46)를 구비한다. 1개 이상의 보스(46) 각각은, 포지티브 열 싱크(26)에서 1개 이상의 나사 구멍(52)에 대응하는 단자 구멍(50)을 포함하고, 나사(미도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포지티브 열 싱크(26)에 단자 조립체(44)를 연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48)은 2중 구조로 배열되어,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 리드(34)와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 리드(54)가 2개의 스트랩(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 리드(34)와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 리드(54)를 연결하는데 2개의 스트랩(48)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스트랩(48)의 다른 개수, 예를 들면 3개 또는 4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랩(48)은 용접에 의해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 리드(34)와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 리드(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연결수단을 고려하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48)은, 고정자 와인딩의 상(pha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와 2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가 서로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와 복수 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를 가짐으로써, 정류기(10)의 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전류의 열적 특성이 복수 개 의 다이오드들 사이에서 열 부하(heat load)의 공간적 분산으로 인하여 개선된다. 스트랩(48)의 열 방출 특성 때문에, 단자 조립체(44) 자체는, 열을 스트랩(48)으로부터 방출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네거티브 다이오드(14)와 포지티브 다이오드(24)를 냉각하는 원천(source)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랩(48)은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로써 열 방출 용량은 증가된다. 스트랩(48)을 2중 구조로 배열하는 것은, 전기 전도를 위한 더 큰 단면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스트랩(48)의 저항성 가열을 줄이고, 네거티브 다이오드(14)와 포지티브 다이오드(24)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한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가 후방 프레임(rear frame)(12)에 포함되고, 3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가 포지티브 열 싱크(26)에 포함된다. 포지티브 다이오드(24)와 네거티브 다이오드(14)는, 1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14)와 1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24)가 고정자 와인딩의 각 상(pha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3상 고정자 와인딩의 상(phase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서술하였더라도, 당업자는 현재와 미래 모두에서, 뒤따르는 청구범위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개선 및 개량을 하여도 좋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청구범위들은, 먼저 서술된 본 발명의 적절한 보호를 유지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류기의 단부 프레임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류기의 포지티브 열 싱크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 1의 정류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류기의 단자 조립체를 상세하세 나타낸 확대도이다.

Claims (26)

  1.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에 있어서,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네거티브 다이오드가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포지티브 다이오드가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포지티브 열 싱크; 및
    2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및 열 방출성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상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상기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스트립은, 상기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 및 상기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스트랩 중 1개 이상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동을 높이기 위하여 1개 이상의 벤트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단부 프레임의 냉각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둘레에 일부분 이상 배치되고 상기 단부 프레임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는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와 상기 단부 프레임의 외측 벽 사이의 통로를 정의하는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의 둘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통로는, 냉기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7.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에 있어서,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네거티브 다이오드는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포지티브 다이오드는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포지티브 열 싱크; 및
    1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및 열 방산성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상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의 비절연부에 연속된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단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스트랩은,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와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가 복수 개의 스트립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중 1개 이상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동을 높이기 위하여, 1개 이상의 벤트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단부 프레임의 냉각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둘레에 일부분 이상 배치되고 상기 단부 프레임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는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와 상기 단부 프레임의 외측 벽 사이의 통로를 정의하는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의 둘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통로는 냉기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3.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에 있어서,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네거티브 다이오드는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포지티브 다이오드는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포지티브 히트싱크; 및
    1개 이상의 노출된 전기 전도성 및 열 방산성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상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스트랩은, 상기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와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가 복수 개의 스트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6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는 6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6.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포지티브 다이오드와 2개의 상기 네거티브 다이오드는 상기 고정자 와인딩의 각 상(phase)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스트랩은, 상기 고정자 와인딩의 각 상(phase)에 병렬 구조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포지티브 다이오드와 2개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동을 높이기 위하여, 1개 이상의 벤트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단부 프레임의 냉각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둘레에 일부분 이상 배치되고 상기 단부 프레임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는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와 상기 단부 프레임의 외측 벽 사이의 통로를 정의하는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의 둘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통로는 냉기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를 위한 정류기.
  21.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내부에 배치된 상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에서부터 단부 프레임으로 열을 전도하는 단계;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상기 발전기기의 고정자 와인딩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내부에 배치된 상기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에서부터 포지티브 열 싱크로 열을 전도하는 단계;
    상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에서부터 단자 조립체의 1개 이상의 전기 전도성 및 열 방출성 스트랩으로 열을 더 전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부 프레임,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 및 상기 스트랩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열을 방사하도록 상기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를 촉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이 상기 1개 이상의 네거티브 다이오드와 1개 이상의 포지티브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각 포지티브 다이오드와 상기 각 네거티브 다이오드가 복수 개의 스트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중 1개 이상은 실질적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정류기를 통과하는 냉기의 유동을 높이기 위하여, 1개 이상의 벤트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은, 상기 단부 프레임의 냉각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둘레에 일부분 이상 배치되고 상기 단부 프레임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는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핀은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와 상기 단부 프레임의 외측 벽 사이의 통로를 정의하는 상기 포지티브 열 싱크의 둘레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통로는 냉기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기의 정류기에서부터 열을 방출하는 방법.
KR1020080037129A 2007-04-24 2008-04-22 고전류 용량 정류기 패키지 KR101468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89,134 2007-04-24
US11/789,134 US7531925B2 (en) 2007-04-24 2007-04-24 High current capacity rectifier pack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76A true KR20080095776A (ko) 2008-10-29
KR101468223B1 KR101468223B1 (ko) 2014-12-03

Family

ID=3977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29A KR101468223B1 (ko) 2007-04-24 2008-04-22 고전류 용량 정류기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31925B2 (ko)
KR (1) KR101468223B1 (ko)
CN (1) CN101295901B (ko)
DE (1) DE102008019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944B1 (ko) 2015-09-23 2016-02-24 김덕근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KR101645607B1 (ko) 2015-12-10 2016-08-05 김덕근 자가 충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936B2 (en) * 2010-07-21 2016-04-19 Romaine Electric Alternator stator lead and terminal insulator assembly
DE102012212163A1 (de) 2012-07-11 2014-01-1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US9312742B2 (en) 2013-03-01 2016-04-1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nector and spring assembly for a generator
US10715015B2 (en) 2014-04-11 2020-07-14 Borgwarner Inc. Electric machine with combined insulator and terminal assembly
US9627948B2 (en) 2014-04-11 2017-04-18 Remy Technologies Llc Electric machine with combined insulator and terminal assembly
MX2018005766A (es) * 2015-11-10 2018-08-01 Mitsubishi Electric Corp Generador de energia de corriente alterna.
TWI584559B (zh) * 2016-03-17 2017-05-21 Victory Ind Corp 交流發電機之整流單元
CN108269773A (zh) * 2018-04-11 2018-07-10 江苏奥尼克电气股份有限公司 整流器散热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4523A1 (de) * 1979-02-07 1980-08-21 Bosch Gmbh Robert Gleichrichteranordnung
US6911750B2 (en) * 2003-07-03 2005-06-28 Delco Remy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package for electrical machine
US6970357B2 (en) * 2003-07-30 2005-11-29 Hsieh Joe C Y Rectifier bridge assembly
JP4497062B2 (ja) * 2005-08-29 2010-07-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0777918B1 (ko) * 2005-11-10 2007-11-2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교류발전기의 터미널 어셈블리 제조 방법 및 그를이용한 터미널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944B1 (ko) 2015-09-23 2016-02-24 김덕근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KR101645607B1 (ko) 2015-12-10 2016-08-05 김덕근 자가 충전 방식으로 동작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관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223B1 (ko) 2014-12-03
US20080265700A1 (en) 2008-10-30
CN101295901B (zh) 2012-10-03
US7531925B2 (en) 2009-05-12
DE102008019728A1 (de) 2008-10-30
CN101295901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223B1 (ko) 고전류 용량 정류기 패키지
US10332822B2 (en) Pedestal surface for MOSFET module
EP1768236B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integral with control device
JP5401367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10389211B2 (en) Axially extending electric machine electronics cooling tower
JP5335839B2 (ja) 電力変換モジュールの放熱装置
US10090727B2 (en) Centrally located control electronics for electric machine
EP1326321B1 (en) Alternator for vehicle
US10250104B2 (en) Circuit layout for electric machine control electronics
US10164504B2 (en) Bi-directional MOSFET cooling for an electric machine
CN210118231U (zh) 用于风力发电机组的轴系的散热系统及风力发电机组
KR102546582B1 (ko) 전력변환장치
KR20180038659A (ko) 방열판 어셈블리
KR101892817B1 (ko) 전력변환장치
US20040232783A1 (en) Electric machine, especially an alternator for motor vehicles
JP4431896B2 (ja) 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KR101919219B1 (ko) 전력변환장치
JP2010041849A (ja) 回転電機
JP2023051411A (ja) 電力変換装置
KR100574330B1 (ko) 자동차용 알터네이터의 정류기 구조
CN114566735A (zh) 一种散热结构及储能电源
KR20120095673A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정류기용 방열판
GB2057763A (en) Rectifier assembly
JP2010041850A (ja) 回転電機
JPH1080084A (ja) 突極回転界磁形同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