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763A -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763A
KR20080095763A KR1020080034898A KR20080034898A KR20080095763A KR 20080095763 A KR20080095763 A KR 20080095763A KR 1020080034898 A KR1020080034898 A KR 1020080034898A KR 20080034898 A KR20080034898 A KR 20080034898A KR 20080095763 A KR20080095763 A KR 20080095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ation
gray level
display
threshold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595B1 (ko
Inventor
요시끼 구로까와
유까리 가따야마
히로끼 아와꾸라
나오끼 다까다
야스유끼 구도
아끼히또 아까이
고끼 도시마
아끼히사 아오야마
고로 사까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4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687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642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241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80095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53Controlling or limiting the speed of brightness adjustment of the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표시 화상의 계조가,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구한 특정 계조치(z계조 302) 이하는 1차 함수로 표시 계조를 신장하고, 그 특정 계조치는, 특정 계조치(z계조 302) 이상의 부분적인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행하고,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에 의해 구한 비선형 함수에 의해, 신장을 행한다.
중앙 처리 장치, 표시 메모리, 내부 버스, 백라이트, 액정 화면, 액정 컨트롤러, 픽셀 신장 회로,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 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DISPLAY DEVICE, DISPLAY DRIVER, IMAGE DISPLAY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DISPLAY DRIVER}
본 발명은,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회로(예를 들면 LSI)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에서 이용되는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는, 소비 전력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광의 투과율을 제어 가능한 액정 화면을 백라이트에 의해 후부로부터 비추고, 그 투과광으로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그 소비 전력의 대부분은 백라이트에 의해 소비되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소비 전력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저소비 전력화에 매우 유효하다.
그 때문에,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의 계조의 최대치:x를 취득하고, 그 표시 화상의 계조의 최대치:x가 액정 표시 화 면의 최대 계조(8비트 RGB이면 255계조)로 되도록 화상 전체의 데이터를 신장하고, 그 최대 계조(255계조)시의 휘도치가, 상기 표시 화상의 계조의 최대치의 휘도치로 되도록 백라이트의 광량을 낮춤으로써, 소비 전력을 낮추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해서,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에는, 표시 화상의 계조의 히스토그램을 취하고, 그 히스토그램에서, 표시 화상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히스토그램의 누계치가 일정한 화소수분인 계조치 P1을 최대 계조로 하여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상기 계조치 P1의 휘도치가 상기 최대 계조(255계조) 표시시의 휘도치로 되도록 백라이트의 광량을 낮춤으로써, 소비 전력을 낮추는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의 기술은, 상기 표시 화상의 계조의 최대치:x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신장 및 백라이트의 제어를 행하는 방식에서는, 1화면의 표시 데이터 중에 1화소라도 액정 표시 화면의 최대 계조(255계조)가 포함되는 경우, 또는 최대 계조에 매우 가까운 계조치를 포함하는 경우, 백라이트의 광량을 낮출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부분의 표시 화상에서는, 액정 표시 화면의 최대 계조 또는 그것에 매우 가까운 값이 포함되어 있어, 그다지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표시 화상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히스토그램의 누계치가 일정한 화소수분인 계조치 P1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신장 및 백라이트의 제어를 행하는 방 식에서는, 표시 화상의 P1 이상의 계조치가 모두, 액정 표시 화면의 최대 계조(255계조)와 일치되게 되므로, P1 이상의 계조로 표현되어 있던 미세한 모양이 없어지게 되는(이후, 이것을 백색 붕괴라고 함)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라이트 제어에 의한 전력 절약화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전력 절약화를 실현함과 동시에, 백색 붕괴를 없애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1차 함수에 따라서 표시 화상을 신장 변환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화상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를 계산하고, 그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의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에서도 콘트라스트를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의 차의 비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설치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상기 특정 계조가 정해지도록 구성하고, 표시 화상에 의해 적합한 신장률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 된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에서,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그 광량 제어 회로는 상기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고, 또는 화면 전체의 표시 휘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백라이트에 의한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임계치 계조 이하의 계조가 입력된 경우에 1차 함수로 변환(신장)을 행하며, 그 1차 함수는 상기 임계치 계조가 입력되었을 때에 제2 특정 계조를 출력하는 1차 함수로 하고, 상기 임계치 계조와 제2 특정 계조의 차와 상기 임계치 계조와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의 차의 비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설치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상기 제2 특정 계조가 정해지도록 구성하고, 표시 화상에 의해 적합한 신장률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한 변환 방식을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에 따른 변환과 1차 함수에 의한 변환을 절환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가 프레임에 의해 불안정한 경우라도 안정된 적합한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의 히스토그램을 작성하여 영역마다의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영역마다의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로부터 산출함으로써, 보다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고, 이것을 제2 히스토그램으로 하여, 제2 임계치 계조를 계산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제2 임계치 계조로부터 산출함으로써, 보다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고, 이것을 제2 히스토그램으로 하여, 제2 영역마다의 임계치 계조를 계산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제2 영역마다의 계조치가 최대인 것으로부터 산출함으로써, 보다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의 신장 방식을 임계치 계조로 절환하는 신장 방식에서, 임계치 계조 이하의 표시 화상은 1차 함수를 이용하여 변환(신장)되고, 그 1차 함수에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며, 최대 계조와 임계치 계조의 차와 특정 계조와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고, 또는 화면 전체의 표시 휘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백라이트에 의한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고, 이것을 제2 히스토그램으로 하여, 제2 임계치 계조를 계산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제2 임계치 계조로부터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도 1차 함수로 변환(신장)을 행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로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 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고, 이것을 영역마다 제2 히스토그램으로 하여, 제2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계산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제2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의 최대 계조치로부터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도 1차 함수로 변환(신장)을 행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로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영역마다 구한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일정치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치의 최대치로부터,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도 1차 함수로 변환(신장)을 행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로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영역마다 구한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일정치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치의 최대치로부터,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로 변환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로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의 계조로부터 산출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구한 임계치 계조치로부터,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로 변환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로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의 계조로부터 산출한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영역마다 구한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일정치에 도달한 영역마다 엣지 임계치 계조치의 최대치로부터,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를 산출하고, 화상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계조치 이상의 표시 화상에 대해서는,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로 변환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회로로 표시 화상에 적합한 신장 방식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된 계조의 신장을 행하는 화상 신장 회로에서, 특정 계조 이하의 계조에 대해서는, 1차 함수의 기울기를 1 이상으로 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된 계조의 신장을 행하는 화상 신장 회로에서,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에 대해서는,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행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를 높인 화상의 백라이트의 휘도치를 콘트라스트의 상승분만큼 억제함으로써, 백라이트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의 히스토그램의 상위 수%의 계조치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에 대응한 상기 특정 계조 및 백라이트 휘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표시 화상에 대응한 적합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한 영역의 히스토그램이나, 엣지의 히스토그램 정보 등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대응한 상기 특정 계조 및 백라이트 휘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표시 화상에 대응한 더욱 적합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계조 이상의 변환 방식을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과 1차 함수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의 히스토그램의 분포가 프레임마다 변화되도록 한 화상에서도, 특정 계조 이상의 변환 방식을 1차 함수로 절환함으로써, 안정된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화상 등에서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계조의 히스토그램에서 최대 계조(255계조)로 돌출된 피크를 갖고, 다른 계조는 완만하게 변화되고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최대 계조에서의 돌출된 피크 때문에, 상기 표시 화상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일정한 화소수분이, 최대 계조를 나타내는 픽셀 수로 대부분 점유되게 된다. 결과 계조의 분포의 피크가 최대 계조, 또는 최대 계조에 매우 가까운 값으로 되어, 백라이트의 광량을 낮출 수 없어, 저소비 전력화할 수 없 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대 계조로부터의 히스토그램 누적치를 계산할 때에, 일정 계조(예를 들면 최대 계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조의 화소를 누적 대상으로부터 제외하여 계산을 행함과 함께, 누적 대상의 소정의 비율을 픽셀 신장시에 제외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과, 광원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구동 회로는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고, 누계 대상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한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최대 계조로 하여 표시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최대 계조 표시시에 임계치 계조의 표시 휘도와 동일한 휘도로 되도록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누계 대상에는 표시 화상의 최고 계조를 제외하여도 된다. 또한, 누계 대상에 표시 화상의 최고 계조를 포함하여도 된다. 아울러, 누계 대상으로서 표시 화상의 최고 계조를 포함할지의 여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표시 화상 프레임의 히스토그램을 계산하는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와, 픽셀 신장 계수를 산출하는 계수 연산 회로와, 픽셀 신장 회로를 포함하는 광원 및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이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각 계조의 화소수를 표시 화상 프레임 단위로 합계하여 출력하고, 이 계수 연산 회로는 각 계조의 합계치로부터 픽셀 신장 계수를 도출 하여 출력하고, 픽셀 신장 회로는 픽셀 신장 계수 이하의 계조가 전체 계조로 되도록 표시 화상 프레임의 계조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표시 화상의 최고 계조의 화소수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최고 계조의 화소수를 출력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가 모드 절환용 레지스터를 갖고, 모드 절환용 레지스터의 설정에 의해 최고 계조의 화소수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각 계조의 화소수를 각각 서로 다른 신호선으로 동시에 출력하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이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각 계조의 화소수를 동일한 신호선으로 축차 출력하여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계수 연산 회로는 스레쉬홀드 판정치를 보유하는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순차적으로 고계조의 것으로부터 각 계조의 화소수를 가산하고, 스레쉬홀드 판정치와 대비하여 표시 화상 프레임마다의 픽셀 신장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계수 연산 회로는 복수의 표시 화상 프레임마다 픽셀 신장 계수를 도출하고, 그 평균치를 픽셀 신장 계수로서 출력하여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픽셀 신장 회로는 픽셀 신장 계수 이하의 계조를 선형으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CPU 및 조도 센서를 더 갖고, 조도 센서가 취득 한 조도에 의해, CPU가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의 값을 재기입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백라이트 및 백라이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도출된 픽셀 신장 계수에 따라서 백라이트 컨트롤러가 백라이트를 제어하여도 된다.
이들 표시 장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나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 내에 찍혀진 영상적으로는 중요하지 않은 광원(태양이나 형광등) 등의 최대 계조의 픽셀 수를 무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크게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계조수의 픽셀 수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 히스토그램의 누계치에 최대 계조의 픽셀 수를 더하여 계산함으로써, 2치 화상으로 고휘도의 표시 개소의 휘도 저하를 없애, 아름답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름과 같은 전체적으로 흰빛을 띤 화상이라도, 최대 계조의 바로 아래의 계조가 큰 픽셀 수를 가지므로, 화상이 열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는, 일정 계조의 화소수를 히스토그램의 누계치에 더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 레지스터를 표시 구동 회로 내에 갖는다.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 등 자연 화상이 많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CPU가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여 최대 계조를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제외하고, 문서 파일 등 2치 화상이 많은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최대 계조를 히스토그램에 더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화상을 깨끗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는, 최대 계조의 픽셀 수를 히스토그램 누계치에 더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최대 계조의 픽셀 수의 임계치를 CPU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등의 계조 휘도 특성에 의해, 최적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화상 표시를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계조의 픽셀 수를 히스토그램 누계치에 더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최대 계조의 픽셀 수의 임계치를 CPU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결과, 백라이트의 노후화에 의한 휘도의 저하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최적의 임계치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화상을 깨끗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히스토그램을 사용한 백라이트 제어 방법에서는, 전술한 화질 열화는 피할 수 없지만, 이 화질 열화를 허용할 수 있는 일정 레벨 이내의 범위로 억제하기 위해,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해석하여, 표시 데이터의 신장에 의해 휘도 분해능이 없어져 화질을 열화하는 영역의 면적을, 화면 전체의 수% 이내로 되도록 제한하여, 백라이트 발광량의 삭감률과 표시 데이터의 신장률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백라이트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백라이트 발광량을 30% 삭감시키는 것이 가능, 즉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의 상위 수%의 위치에 있는 화소의 휘도가 70%인 자연 화상이 있었다고 하자. 이 자연 화상에, 기능 버튼이나 정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인공 화상인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하면, 아이콘에는 백이나 적, 녹, 청 등 고휘도의 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히스토그램의 상위 수%를 아이콘 영역의 화소가 차지하게 되어, 상위 수%의 위치에 있는 화소의 휘도가 70%보다도 높아진다. 그 결과, 백라이트 발광량을 삭감할 수 있는 양이 자연 화상만인 경우의 30%보다도 저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휴대 전화나 디지탈 카메라 등의 표시 화면에서는, 상기한 예와 같이, 자연 화상과 고휘도 화소가 많은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할 기회가 많아, 종래 기술의 백라이트 제어 방법으로는 기대한 대로의 소비 전력 삭감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정도의 화소에 대한 화질 열화를 허용하면서 그 만큼 백라이트의 발광량을 삭감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서,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의, 고휘도 화소가 많고, 솔리드 도포 도형에서 휘도 분해능이 없어져도 표시 품위에 대한 영향도가 낮은 부분 등, 표시 화면 중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가 높거나 혹은 낮은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구별하여,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를 가미한 적절한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표시 품위를 유지하면서 소비 전력 삭감 효과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표시 화면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및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이하의 특징을 갖는 다.
즉, 상기 구동 회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화상의 프레임 단위로 표시 데이터를 계수하여 히스토그램을 취득하고, 그 히스토그램의 상위의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을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계수부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를 신장하는 표시 데이터 신장부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백라이트 조정부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갖고, 상기 히스토그램 계수부는,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에 따른 가중 계수를 출력하는 가중 계수 산출부를 갖고, 각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그 가중 계수를 가산하여 계수함으로써 히스토그램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화소의 표시 위치에 의한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와 백라이트 발광량 제어에의 영향도를 일치시킬 수 있어, 표시 품위에의 영향을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치밀하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품위를 유지하면서 백라이트 발광량을 한층 더 삭감할 수 있어, 한층더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행하는 화상 신장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라이트 전력을 낮추기 위해, 도 1에 도시하는 조작을 행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입력 계조와 출력 계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b)는,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에서, t계조(301) 이상, 최대 계조(255계조) 이하인 픽셀의 수가, 전체 픽셀 수의 p%(302)인 t계조(301)를 스레쉬홀드 계조 t(301)라고 부른다. 도 1의 (b) 상에서, 계조 0과 계조 t 사이에 있는 계조 z(302)를 생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조 t와 계조 z의 차(1702)가 계조 t와 최대 계조(255계조)의 차(1701)의 상수배로 되도록 제어한다. 계조 t와 최대 계조(255계조)의 차(1701)가 a일 때, 계조 t와 계조 z의 차(1702)는 상수 k를 이용하여, ka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수 k는, 0 이상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스템에 따라서는 1 이상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의 (a)의 좌표 (0, 0)과 (t, 최대 계조(255계조))를 연결하는 1차 함수(1703)의 기울기를 α라고 정의하면 α는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1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계조 z 이하일 때, 본 실시 형태의 픽셀 신장 회로는 1차 함수(1703)를 이용하여 변환을 행한다. 1차 함수(1703)는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2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z 이상일 때,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이라고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변환을 행한다.
이하, z계조 이상의 입력치에 대한 변환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c)의 참조 부호 1706은, z+1계조 이상 x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픽셀 수의 총합)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b)에 도시하는 각 계조의 픽셀 수를 함수 F(x)로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z+1계조 이상 x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픽셀 수의 총합)는, F(x)를 이용하여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3
참조 부호 1705는, z+1계조 이상 255계조 이하의 픽셀 수의 총합이며, 수학식 4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4
계조 z에서의 1차 함수(1703)의 출력치와 최대 계조(255)의 차(1704)는, 1차 함수(1703)의 기울기 α, 상수 k, 계조 t와 최대 계조(255계조)의 차 a를 이용하여, αka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z+1계조 이상의 입력치 x에 대한 출력 계조는, 수학식 5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5
신장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백라이트 휘도(1707)를 B라고 가정하면, 백라이트 휘도를 참조 부호 1708(수학식 6)로 저감하여도, 계조 z 이하의 입력치에 관해서는 변환 전과 완전히 동등하게 표시할 수 있고, 계조 z 이상의 계조에 관해서도 콘트라스트를 유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6
이와 같이 변환함으로써, 종래의 변환 방법인,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하일 때, 그 표시 화상의 픽셀을 좌표 (0, 0)과 (t, 최대 계조(255))를 연결하는 1차 함수(1703)로 변환하고,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상의 계조를 전부 최대 계조(255)로 변환하는 종래의 변환 방법에 비하여, 백색 붕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z계조 이상의 부분에서도, 콘트라스트를 열화시키지 않고 적합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100은 표시 장치이며, 그 표시 장치(100)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1), 중앙 처리 장치(CPU)(102), 표시 메모리(103), 내부 버스(104), 백라이트(111), 액정 화면(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05),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106), 계수 연산 회로(107), 백라이트 컨트롤러(108), 픽셀 신장 회로(109), 액정 컨트롤러(110), 백색 붕괴 보상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801),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16), 메모리(113), 타이밍 제어 회로(114), 픽셀 신장 방식 절환 레지스터(1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픽셀 신장 방식 절환 레지스터(1102)의 값에 따라서, 픽셀 신장 회로(109)는, 동작을 변화시킨다.
이하, 실시 형태 1의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102)는, 액정 화면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백색 붕괴 보상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801)에 상기 도 1의 (a)에 도시하는, z와 t의 차(1702)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1701)의 비 k의 값을 설정한다.
또한,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16)에 도 1의 (b)에 도시하는 p%의 값 p(302)를 설정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05) 내의 도시하지 않은 표시 개시 레지스터에 표시 개시 모드를 기입하고, 표시 메모리(103)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05) 경유로 메모리(113)에 전송한다. 그 메모리(113)의 사이즈는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지만, 1프레임분의 프레임 메모리를 갖는 시스템이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메모리 사이즈는 본 실시 형태에 하등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수 바이트의 FIFO와 같은 것이어도, 본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표시 개시 모드로 되면, 표시 장치 구동 회로(101)의 타이밍 제어 회로(114)는, 표시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 SYNC 신호를 출력하고, SYNC 신호에 동기하여, 표시 데이터를 메모리(113)로부터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106), 픽셀 신장 회로(109)에 출력한다.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106)에서는, 우선 1화소분의 R, G, B의 값으로부터 최대의 값, RGB 최대치를 추출하고, RGB 최대치를 이용하여,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각 계조마다의 픽셀 수를 구하여, 히스토그램화한다. 일례로서,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106)에서 작성된 히스토그램이, 도 1의 (b)인 것으로 한다.
계수 연산 회로(107)에서는, 최고 계조(255계조)로부터, 각 계조까지의 픽셀 수의 합을 구한다.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16)에 보존되어 있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p%의 값 p(302)를 이용하여, 스레쉬홀드 계조 t(301)를 결정하여, 픽셀 신장 회로(109)에 출력한다. 또한, 스레쉬홀드 계조 t(301)로부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백라이트 휘도치(117)를 백라이트 컨트롤러(108)에 출력한다.
픽셀 신장 방식 절환 레지스터가 값 "0"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데이터 변환(신장)이 행하여진다. 계수 연산 회로(107)로부터 공급되는, 스레쉬홀드 계조 t(301)를 이용하여,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는, 백색 붕괴 보상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801)에 설정되어 있는 k의 값과 계수 연산 회로(107)로부터 공급되는, 스레쉬홀드 계조 t(301)를 이용하여, 메모리(113)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터의 계조가 계조 z 이하일 때에는, 수학식 2에 따라서, 계조를 신장하고, 메모리(113)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터의 계조가 계조 z+1 이상일 때에는, 수학식 5에 따라서, 계조를 신장하고, 신장한 데이터를 액정 컨트롤러(110)에 전송한다.
액정 컨트롤러(110)는, 픽셀 신장 회로(109)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값을 액정 화면(112)을 구동하는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하여, 액정 화면에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백라이트 컨트롤러(108)는, 디지털 값인 백라이트 휘도치(117)를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전류로 변환하여, 백라이트(111)의 휘도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변환을 실현하고, 특정 계조 z 이하의 표시 계조에 관해서는, 화질 열화 없이, 또한 특정 계조 z 이상의 표시 계조에 관해서도 백색 붕괴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를 유지하여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백라이트 휘도를 참조 부호 1707로부터 참조 부호 1708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k를 임의의 계조치 z와 스레쉬홀드 계조 t의 차(1702)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1701)의 비로서 정의하였지만, 계조 z와 계조 t의 비로 하여도, 또한 임계치 계조 t와 최대 계조(255)의 차와 임의의 계조치 z와 최대 계조(255)의 차의 비로 하여도 된다.
또한, 임계치 계조 t와 최대 계조(255)의 차와 참조 부호 1704의 비로 정의하여도 된다. 임의의 계조치 z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여러 가지로 생각되지만,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으면, 어떻게 정의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픽셀 신장 방식 절환 레지스터가 값 "1"로 설정되어 있을 때,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는, 메모리(113)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터의 계조가 계조 z 이하일 때에는, 수학식 2에 따라서 계조를 신장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데이터 변환(신장)이 행하여진다. 메모리(113)로부터 전송된 표시 데이터의 계조가 계조 z+1 이상일 때에는, 1차 함수(1709)에 따라서 계조를 신장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데이터 변환(신장)이 행하여진다. 1차 함수(1709)는, 수학식 7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7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계조 z+1 이상의 히스토그램의 분포가 프레임마다 크게 변화하도록 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서브 픽셀 R, G, B 중, 최대의 것을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였지만, 이것은 특허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며, R, G, B의 모든 값을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계조 z 이상의 각 계조에 대한 카운터가 필요 하게 되어, 회로 규모가 커지게 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본질적으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지만, 회로 규모 절약화를 고려한 방식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3의 (b)는 도 1의 (b)와 동일한 도면이며,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조 z와 최대 계조 255 사이를 참조 부호 1601, 1602, 1603, 1604와 같이, 4개로 등간격으로 나눈다. 참조 부호 1601, 1602의 경계를 z1, 1602, 1603의 경계를 z2, 1603, 1604의 경계를 z3으로 한다. z+1계조 이상 z1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 N1, z+1계조 이상 z1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 N2, z+1계조 이상 z1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 N3, z+1계조 이상 255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를 카운트하는 4개의 카운터를 이용하여 카운트한다. N1, N2, N3은, 수학식 8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8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는, 이 3점을 이용하여 보완한 함수(수학식 9)를 이용하여 변환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09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계조 z 이상의 히스토그램 생성에 필요한 회로는 4개의 카운터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회로를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계조 z, 최대 계조 255 사이를 4개로 분할하여 카운트하였지만, 분할수는 몇 개라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본 특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등간격으로 분할하였지만, 등간격이 아니어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4∼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과 거의 동일하지만,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 행하는 계조의 신장 연산이 서로 다르다.
도 5의 (b)는,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에서, 픽셀의 계조치가 t계조(301) 이상, 최대 계 조(255계조) 이하인 픽셀의 수가, 전체 픽셀 수의 p%(302)인 t계조(301)를 스레쉬홀드 계조(301)라고 부르고, 도 1의 (a) 상에서, 좌표(t, 최대 계조(255))와 좌표(t,t) 사이에 있는 점(t, z)(305)을 생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계조(301) 이하일 때, 그 표시 화상의 픽셀을 좌표 (0, 0)과 (t, z)를 연결하는 제1의 1차 함수(308)에 의해 변환한다. 제1의 1차 함수는 수학식 10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0
여기에서, z와 t의 차(307)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306)의 비를 α라고 가정하면, 상기 수학식 10은, 수학식 11로 재기입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1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상일 때, 스레쉬홀드 계조치 t(301) 이상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에 대응한 비선형 연산을 행한다. 이하, 그 비선형 연산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상의 계조에 대한 픽셀 수의 평균치(802)를 계산하고, 픽셀 수가 평균치의 v배일 때, 그 계조에, v계조를 할당한다고 하는 변환을 행한다. 이러한 변환 방식을 일반적으로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계조폭 255-t에 대하여, 255-z와 입력 계조폭과 출력 계조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가 평균치의 v배인 계조에 수학식 12로 표현하는 계조를 할당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2
또한, 상세하게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스레쉬홀드 계조 t(301)가 241계조인 것으로 한다. 또한, α(402)는, 0.5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z의 값은, 249로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조 243 내지 계조 254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가 v1이고, 계조 242와 계조 255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가 8배인 v1일 때, 히스토그램의 계조마다의 평균치는 2배의 v1로 된다. α가 0.5이므로, 입력 계조 14계조(계조 242∼계조 255)에 대하여, 출력 계조는 1-α=0.5배의 7계조(계조 249∼계조 255)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계조 242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는, 8×v1, 평균이 2×v1이므로, 계조 242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는, 평균의 4배로 된다. 따라서, 242계조에는 4배×0.5배=2계조가 할당된다. 243계조 내지 254계조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는, 평균의 1/2배이므로, 1/2×0.5=1/4계조가 할당된다.
따라서, 243계조∼246계조가 출력의 251계조에, 247계조∼250계조가 출력의 252계조에, 251계조∼254계조가 출력의 253계조에 할당된다. 계조 255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는 8×v1이므로, 2계조분으로 되고,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입출력 변환 특성으로 된다.
도 4에서,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106)로부터, 픽셀 신장 회로(109)에 스레쉬홀드 계조치 이상의 히스토그램이 신호선(1101)에 의해 출력되고, 스레쉬홀드 계조치 이상의 변환의 대응짓기를 픽셀 신장 회로 내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의해 계산한다.
이와 같이 변환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저하된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상의 계조에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양호한 화질로,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터(1102)는, 스레쉬홀드 계조치 이상의 데이터 변환(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레지스터이다. 본 레지스터(1102)가 "0"일 때, 픽셀 신장 회로(109)는, 이전에 설명한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한다. 본 레지스터(1102)가 "1"일 때,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하일 때, 그 표시 화상의 픽셀을 좌표 (0, 0)과 (t, z)를 연결하는 제1의 1차 함수(308)로 변환한다.
제1의 1차 함수는 수학식 10으로 표현된다.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상일 때, 그 표시 화상의 픽셀을 좌표(t, z)와 (최대 계조(255), 최대 계조(255))를 연결하는 제2의 1차 함수(309)로 변환한다. 제2의 1차 함수는 수학식 13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3
이와 같이 변환함으로써, 종래의 변환 방법인,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하일 때, 그 표시 화상의 픽셀을 좌표 (0, 0)과 (t, 최대 계조(255))를 연결하는 제3의 1차 함수(803)로 변환하고,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상의 계조를 전부 최대 계조(255)로 변환하는 종래의 변환 방법에 비하여, 백색 붕괴를 회피할 수 있다. 제3의 1차 함수는 수학식 14로 표현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4
여기에서, z와 t의 차(307)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306)의 비를 α라고 가정하면, 상기 수학식 10, 수학식 13은, 수학식 11, 수학식 15로 재기입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5
레지스터(1102)의 값이 "0"인 경우든, "1"인 경우든, 화상 신장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최대 계조(255)의 휘도를 실현하는 휘도(310)로 하면, 1차 함수(308)가 최대 계조(255)에 도달하는 계조의 휘도를 실현하는 휘도(311)로 낮출 수 있다.
여기에서, 참조 부호 311의 휘도는, 휘도(310)를 B라고 가정하면, 수학식 16 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6
또한, 제1의 1차 함수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임으로써,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추어도, 상기 스레쉬홀드 계조 이하에서는 원래의 표시 화상과 변함없는 화질을 보존하고, 레지스터(1102)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스레쉬홀드 계조 이상이라도, 백색 붕괴가 없는 적합한 화질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터(1102)의 값이 "1"인 경우,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계조 z+1 이상의 히스토그램의 분포가 프레임마다 크게 변화하도록 한 경우에서도, 안정적으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의 실현 방법과,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의 실현 방법은, 결과적으로 등가이며,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어느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α를 임의의 계조치 z와 스레쉬홀드 계조 t의 차(307)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306)의 비로서 정의하였지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1201)과 각(1202)의 비로서 정의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8 및 도 9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3과 비교하여, 스레쉬홀드 계조 t(301)의 하한치를 설정하는 스레쉬홀드 계조 하한치 설정 레지스터(401)를 구비하고, CPU(102)가 α를 직접 설정하지 않은 점이, 실시 형태 3과 서로 다르지만, 그 이외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어두운 계조에만 집중한 히스토그램을 갖고 있는 표시 화상이라도, 너무 신장률을 높게 하면(1차 함수(306)의 기울기를 급하게 하면), 계조의 단차가 눈에 띄게 되어, 화질이 열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두운 계조에 집중한 히스토그램을 갖고 있는 표시 화상이라도 신장률이 일정치 이하로 되도록, 스레쉬홀드 계조 t(301)의 하한치 q(501)를 설정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레쉬홀드 계조 t(301)의 하한치 q(501)가,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16)에 보존되어 있는 p%의 값 p(302)를 이용하여 결정한 계조치 tr보다도 높은 경우, 실제로 붕괴되는 양 q%를 이용하여, α(402)를 계수 연산 회로(107)에서, 수학식 17에 따라서 결정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7
이와 같이 함으로써, q가 0%일 때에는, 백색 붕괴하는 화소가 없으므로, 참조 부호 505의 직선으로 변환되게 되어, 최대의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q가 p%일 때에는, α=0.5로 되고, 스레쉬홀드 계조 t(301)에서도, 콘트라스트 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의해, 최적의 α를 계수 연산 회로(107)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0,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5도, 2개의 1차 함수를 α(402)에 기초하여 결정하여 표시 화상의 변환(신장)을 행하는 점에서는, 실시 형태 3, 4와 동일하기는 하지만, α의 결정 방법이 서로 다르다.
실시 형태 5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상(213)을 복수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마다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영역마다 히스토그램의 최대 계조(255계조)로부터의 누적치가, p%로 되는 스레쉬홀드 계조를 계산한다.
도 10 중, 레지스터(601, 602)는 표시 화상의 영역 분할수를 설정하는 레지스터이다.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106)는, 표시 화상을 레지스터(601, 602)에 설정된 분할수로 세로 방향,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의 히스토그램과 표시 화상 전체로부터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예를 들면, 도 11의 예에서는 레지스터(601, 602)에 각각, 2와 3이 설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하면, 표시 화상을 세로 2, 가로 3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의 히스토그램(207∼212)을 계산한다. 계수 연산 회로(107)는,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 t1∼t6을 계산한다. 복수의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 t1∼t6 중으로부터, 최대의 것을 선택하고, 그 스레쉬홀드 계조(예를 들면 t3)와, 표시 화상(213)을 분할하지 않고 표시 화상 전체의 히스토그램(도 11의 (a))으로부터 구한 스레쉬홀드 계조 t(301)의 비를 이용하여, 수학식 18에 따라서 계산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8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치의 최대치가 표시 화상 전체의 히스토그램(도 11(a))으로부터 구한 스레쉬홀드 계조 t(301)에 비하여 충분히 클 때에는, 임의의 영역에 고계조의 부분이 집중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수학식 18에 의해, α가 작아지므로, 집중한 고계조 영역 중에서도,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백색 붕괴가 없어지게 된다.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치의 최대치가 표시 화상 전체의 히스토그램(도 11(a))으로부터 구한 스레쉬홀드 계조 t(301)와 동일할 때에는, 수학식 18에 의해, α가 0.75로 되므로, 스레쉬홀드 계조 t(301) 이하의 콘트라스트를 충분히 크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에 의해, 최적의 α를 계수 연산 회로(107)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2, 도 1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6도, 2개의 1차 함수를 α(402)에 기초하여 결정하여 표시 화상의 변환(신장)을 행하는 점에서는, 실시 형태 3∼5와 동일하기는 하지만, α의 결정 방법이 서로 다르다.
도 13에서, 횡축은 표시 화상의 임의의 행의 가로 방향의 화소의 위치이다. 종축은 각 화소의 계조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4와 마찬가지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스레쉬홀드 계조 t(301)를 결정하는 p%의 값 p(302)를 설정하는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116)와 스레쉬홀드 계조 t(301)의 하한치를 설정하는 스레쉬홀드 계조 하한치 설정 레지스터(401)를 구비한다.
레지스터(701)는 엣지 히스토그램을 카운트하는 경우에, 카운트를 행하는 계조의 차의 최소치를 규정하는 엣지 최소치 설정 레지스터이고, 레지스터(702)는 엣지 히스토그램을 카운트하는 경우에, 카운트를 행하는 계조의 차의 최대치를 규정하는 엣지 최대치 설정 레지스터이다.
예를 들면, 엣지 최소치 설정 레지스터(701)에는, 전체의 계조수가 255인 경우, 인간의 눈이 일반적으로 단차를 인식할 수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는 8계조 이상을 인식하기 위해, 8을 설정한다. 엣지 최소치 설정 레지스터의 설정치를 Emin으로 한다. 엣지 최대치 설정 레지스터(702)에는, 최대로 붕괴된 경우라도, 엣지가 붕괴된 것을 알지 못하게 하는 값, 예를 들면 2×(255-t) 등을 설정한다.
엣지 최대치 설정 레지스터의 설정치를 Emax로 한다. 여기에서, 위치 j와 j+1의 계조가 g1과 g2인 것으로 하면, g1-g2>Emax일 때,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는 카운트 업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위치 j+1과 j+2에서, Emax≥g1-g3≥Emin일 때,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703) 내의 높은 쪽의 계조 g1에 대응하는 도시하지 않은 히스토그램 카운터를 1만큼 카운트 업한다.
g3-g5>Emax일 때,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703)는 카운트 업되지 않는다. g4-g5≤Emin일 때,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703)는 카운트 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703)에서는, 엣지 정보를 기초로 한 제2 히스토그램을 계수한다.
레지스터(704)는,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703)로부터 엣지 히스토그램 스레쉬홀드 계조 te를 결정하는 pe%의 값, 엣지 히스토그램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pe를 설정하는 엣지 히스토그램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이며, 계수 연산 회로(705)에서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703)의 최고 계조로부터의 임의의 계조까지의 히스토그램의 누계치를 계산하여, 그 누계치가 전체의 화소수의 pe%일 때, 그 계조치를 엣지 스레쉬홀드 계조라고 부르고, 수학식 19를 이용하여 α(402)를 계산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19
또한, 실시 형태 5와 같이 영역을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마다의 엣지 히스토그램을 계수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 영역 중의 최대의 것을 선택하여 엣지 스레쉬홀드 계조로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역을 좁게 취함으로써, 엣지 검출 감도가 높아져, 보다 적합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특성이 있다.
실시 형태 4∼6에 의한 실시 형태 3의 α의 자동 설정 방법은, 실시 형태 1, 2에서, k=1-α 등으로 함으로써 k를 결정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로, 화면 전체의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뿐만 아니라, 표시 화상을 분할하고, 분할한 영역마다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와, 화면 전체의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얻어진 스레쉬홀드 계조를 계산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실시 형태 5와 유사하다.
그러나, 실시 형태 7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 중 최대의 것(1301)과, 화면 전체의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얻어진 스레쉬홀드 계조(301) 중, 큰 쪽의 스레쉬홀드 계조치 Tmax를, 스레쉬홀드 계조로서 이용하고, 좌표 (0, 0)과 (Tmax, 255)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차 함수에 의해, 입력 계조 Tmax 이하는 변환하고, 입력 계조 Tmax 이상은 255계조로 변환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5와 서로 다르다.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로, 계수 연산 회로(107)에서, 화면 전체의 표시 화 상의 히스토그램뿐만 아니라, 표시 화상을 분할하고, 분할한 영역마다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영역마다의 스레쉬홀드 계조 중 최대의 것(1301)과, 화면 전체의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얻어진 스레쉬홀드 계조(301) 중, 큰 쪽의 스레쉬홀드 계조치 Tmax를 스레쉬홀드 계조로 하여 픽셀 신장 회로(109)에 출력한다.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는, 입력 계조에 대하여, 도 15의 참조 부호 1302, 1303의 직선으로 표시되는 변환을 행한다.
또한, 계수 연산 회로(107)는, 백라이트의 휘도가, 신장이 없을 때의 백라이트 휘도(1304)에 대하여, 참조 부호 1305로 되도록, 신호(117)를 백라이트 컨트롤러(108)에 대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백라이트 전력의 삭감률은 저하하지만, 보다 밝은 적합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으로,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8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레쉬홀드 계조치를 t라고 가정하면, 좌표 (0, 0)과 (t, 255)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차 함수에 의해, 입력 계조 t 이하는 변환하고, 입력 계조 t 이상은 255계조로 변환한다.
그러나, 실시 형태 8에서는, 영역 분할한 복수의 영역의 스레쉬홀드 계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 형태 6에 설명한 엣지 히스토그램을 이용하는 점이 실시 형태 7과는 서로 다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수 연산 회로(705)에서는, 엣지 히스토그램 으로부터 산출한 엣지 히스토그램 스레쉬홀드 계조 te를 출력하고, 계수 연산 회로(107)에서는, 통상의 표시 화면의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산출한 스레쉬홀드 계조 t를 출력하고, 비교 회로(706)에서, 엣지 히스토그램 스레쉬홀드 계조 te와 스레쉬홀드 계조 t 중 큰 쪽을 선택하여, 픽셀 신장 회로(109)에 출력한다. 픽셀 신장 회로(109)에서는, 실시 형태 6과 마찬가지로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변환을 행한다.
또한, 비교 회로(706)의 출력에 의해 백라이트 컨트롤러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실시 형태 7에서도, 백라이트 전력의 삭감률은 저하하지만, 보다 밝은 적합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행하는 화상 신장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행하는 화상 신장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픽셀 값 변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9에서는, 변환 회로로 되는 실시 형태 1의 픽셀 신장 회로(109)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다.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z 이상일 때,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이용하여 변환을 행하지만, 이 때 픽셀 수의 계수 전에, 도 17에 도시하는 픽셀 값 변환기에서 픽셀 값을 조작하고, X1보다 큰 계조의 값을 0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X1은 레지스터(900)로서 실장되고, 외부로부터 z보다 큰 임의의 값을 설정 가능하게 한다. 이 조작한 픽셀 값에 대하여,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 션을 이용하여 변환을 행한다.
이하, 도 18 및 도 19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의 z계조 이상의 입력치에 대한 변환 방식에 대하여, 실시 형태 1과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픽셀 값의 입출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각 계조의 픽셀 수를 함수 F(x)로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z+1계조 이상 x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픽셀 수의 총합)은, F(x)를 이용하여 수학식 20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20
함수 F(s)는, s>X1에서는 그 계조의 픽셀이 존재하지 않도록 변환되어 있기 때문에, 값이 0으로 된다. 이 때문에, x>X1에서는, 히스토그램의 누적치는 일정하게 되고, z+1로부터 X1까지의 누적치로 된다. 이에 의해, z+1계조 이상의 입력치 x에 대한 출력 계조는, 수학식 2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21
즉, x≤X1의 영역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식으로 되지만, x>X1의 영역에서는, 출력은 최대 계조(255)로 일정하게 된다. 이 경우의 입력 계조와 출력 계조의 관계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도 18은 3개의 영역을 갖고, x≤z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수학식 2의 식으로 표현되는 관계로 되며, z<x≤X1의 영역에서는 수학식 21의 위의 식, 즉 실시 형태 1의 수학식 5로 표현되는 관계로 된다. 그리고, X1<x≤최대 계조(255)에서는, 수학식 21의 아래의 식으로 표현되도록, 출력은 항상 최대 계조(255)로 된다.
이와 같이 변환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표시 화상에 고휘도의 GUI가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에, 그 고휘도의 픽셀에 영향을 받지 않고 x>z 이상의 영역의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이용한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행하는 화상 신장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0에서는, 실시 형태 2의 픽셀 신장 회로를 이하와 같이 변경한다.
표시 화상의 픽셀의 계조치가, z 이상일 때,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이용하여 변환을 행하는데, 이 때 픽셀 수의 계수 전에, 실시 형태 9의 도 17에 도시하는 회로에서 픽셀 값을 조작하여, X1보다 큰 계조의 값을 0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X1은 실시 형태 9와 마찬가지로, 레지스터(900)로서 실장되고, 외부로부터z보다 큰 임의의 값을 설정 가능하게 한다. 이 조작한 픽셀 값에 대하여,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이용하여 변환을 행한다.
이하, 도 20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의 z계조 이상의 입력치에 대한 변환 방식에 대하여, 실시 형태 2와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픽셀 값의 입출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각 계조의 픽셀 수를 함수 F(x)로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4개의 카운터에서 계수하는 N1, N2, N3은, 수학식 22로 표현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z2<X1≤z3인 경우로 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22
함수 F(s)는, s>X1에서는 그 계조의 픽셀이 존재하지 않도록 변환되어 있기 때문에, 값이 0으로 된다. 이 때문에, N3에서는, 히스토그램의 누적치는 일정하게 되고, z+1로부터 X1까지의 누적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 z+1계조 이상의 입력치 x에 대한 출력 계조는, 수학식 23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23
즉, x≤Z3의 영역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식으로 되지만, x>Z3의 영역에서는, 출력은 최대 계조(255)로 일정하게 된다. 이 경우의 입력 계조와 출력 계조의 관계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도 20은 3개의 영역을 갖고, x≤z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수학식 2의 식으로 표현되는 관계로 되고, z<x≤Z3의 영역에서는 수학식 9의 가장 아래의 식을 제외한 위 3개의 식으로 표현되는 관계로 된다. 그리고, Z3<x≤최대 계조(255)에서는, 수학식 23의 아래의 식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출력은 항상 최대 계조(255)로 된다.
이와 같이 변환함으로써, 실시 형태 9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표시 화상에 고휘도의 GUI가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에, 그 고휘도의 픽셀에 영향을 받지 않고 x>z 이상의 영역의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을 이용한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8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의 계수 결정 방식에 대하여, 실시 형태 2와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계수 연산 회로 주변 도이다. 참조 부호 106의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와 참조 부호 107의 계수 연산 회로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참조 부호 107의 출력인 연산된 계수(4801)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참조 부호 4803의 차분 계산 회로에 입력하고, 별도 보존하고 있는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의 값과의 차분(4804)을 구한다. 이것을 참조 부호 4805의 갱신치 생성 회로에서, 참조 부호 4807의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 값과 비교하여,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 값보다 차분(4804)이 동일하거나 크면,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의 갱신을 허가한다. 이 경우,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을 연산된 계수(4801)에 접근하도록 가감산하고, 이 값으로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를 갱신한다. 이 때, 가감산하는 단위는, 참조 부호 4806의 계수 변화량 레지스터에서 설정되어 있는 값을 가감산한다. 또한,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4802)보다 차분(4804)이 작은 경우에는,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의 갱신은 되지 않고, 현재치를 유지한다. 그리고,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4802)이 참조 부호 117의 계수로서 출력되고, 이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하의 동작을 한다. 입력 화상이 크게 변화하고, 그에 따라 참조 부호 106의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의 출력도 크게 변화한 경우에도, 계수는 1프레임에 대하여 참조 부호 4806의 계수 변화량 레지스터 값만큼 변화하고, 복수 프 레임에 관하여 새로운 화상의 계수로 수속되도록 동작한다. 이에 의해, 급격한 화상 변화에 대하여, 표시 화소치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플리커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참조 부호 4807의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 값 미만의 변화에 대해서는, 계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이상이 된 경우에만 계수 변화를 스타트시키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동화상 등의 입력에 의한 참조 부호 106의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의 출력이 미세하게 불안정하게 변화된 경우라도, 계수를 미세하게 변화시키지 않고 안정시켜, 플리커를 방지한다.
도 49에서 실시 형태 17의 동작 중, 표시 화소치가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9의 (a)는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과 참조 부호 107의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4901의 실선이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에 의한,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이며, 참조 부호 4902의 파선이 참조 부호 107의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에 의한,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이다. 절선 정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차가 있고, 이에 따라 그래프 전체의 차가 나와 있다. 도 49의 (b)는, 도 49의 (a)에 또한 참조 부호 4805의 갱신치 생성 회로의 출력치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미세한 파선의 참조 부호 4901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에 대하여, 절선 정점에 참조 부호 4903에 나타낸 분량만큼 가산되고, 참조 부호 4904의 갱신치 생성 회로의 출력치가 생성되어 있다. 이 참조 부호 4903의 가산치는, 참조 부호 4806의 계수 변화량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는 값이다. 본 도면에서는,참조 부호 4904는 참조 부호 4902의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에 접근하고 있지만, 수속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도 49 의 (c)는 다음 프레임에서의 참조 부호 4805의 갱신치 생성 회로의 출력치이다. 다음 프레임에서의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은 참조 부호 4904의 값으로 되어 있고, 이 값에 대하여 더 가산되어, 최종적으로 참조 부호 107의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인 참조 부호 4905에 수속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증가 방향에의 동작만 기재하였지만, 감소 방향에의 동작도 동일하게 된다.
도 50에서 실시 형태 17의 동작 중,참조 부호 106의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의 출력이 미세하게 불안정하게 변화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0의 (a)는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과 참조 부호 4807의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 값에 의해 설정되는 상한치, 하한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5001의 실선이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값에 의한,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이다. 이에 대하여, 참조 부호 5002로 표시되는 범위가 참조 부호 4807의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에서 설정되는 불감 영역의 범위이다. 이에 의해, 불감 영역의 상한치는 참조 부호 5003에 표시되는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로 나타내어지고, 하한치는 참조 부호 5004로 표시되는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로 나타내어진다. 도 50의 (b)는 참조 부호 107의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가 불감 영역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5005의 미세한 파선이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이며, 이것이 거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불감 영역의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의 갱신은 행해지지 않고, 참조 부호 117의 계수도 변화되지 않는다. 도 50의 (c)는 참조 부호 107의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가 불감 영역의 범위 외로 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5006의 미세한 파선이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이며, 이것이 거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불감 영역의 상한치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참조 부호 4802의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는 갱신되고, 참조 부호 117의 계수는 참조 부호 5006으로 서서히 접근한다. 본 도면은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치가 상한치 이상으로 되는 경우이지만, 하한치 이하인 경우도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와 액정 등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에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11~실시 형태 13의 전제>
최대 계조(255계조)의 돌출된 피크는, 주로 이하에 기재하는 2개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1) 화면 내에 광원 등이 찍혀 있다.
(2) 넓은 휘도 범위를 갖는 원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화하였을 때에, 최대 계조(255계조) 이상의 휘도의 부분이, 전부 255계조와 일치되는 것.
(1)의 광원 등이 찍혀 있다는 것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 내에 형광등이나 태양 등의 광원이 들어가게 된 경우이며, 이와 같은 광원은 화면 구성상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밝기가 다소 변화하여도 문제없다.
(2)의 경우란,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대 계조 이상의 휘도를 가진 부분이 최대 계조와 일치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피크를 말한다. 디지털화시에 이미 원화상으로부터 오차가 발생해 있다. 따라서, 약간 밝기가 변화하여도 문제없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최대 계조로부터의 히스토그램의 누계치를 계산할 때에, 일정 계조(예를 들면 최대 계조 내지는 그 근방)의 화소수는 제외하고 계산을 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행하는 화상 신장 처리에 대하여 도 21 및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픽셀 신장 계수 x 및 스레쉬홀드 판정치 y의 개념도이다.
이 도 21에서, 픽셀 신장 계수 x라고 하는 용어가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표시 화상에서, 누계의 대상으로 되는 최대 계조 이하의 계조치인 픽셀의 누적수가, 화상 1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체 픽셀 수의 y%로 되는 계조 x를 말한다.
상기 픽셀 신장 계수인 x계조를 도 2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55계조에 할당하고, 0계조 이상 x계조 이하의 표시 데이터를 도 2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출력 계조에 할당한다. 한편, x계조 이상은 출력 계조를 최대치(255계조)에 일률적으로 할당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0∼x의 계조를 0∼255로 신장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x계조 이상, 최대-γ(255-γ) 계조 이하의 계조치인 픽셀 수가 전체 픽셀 수의 y%인 x계조를 픽셀 신장 계수라고 부르고, 이 계조를 최대(255) 계조에 할당하여, 화상을 신장한다. 이 y%의 값을 스레쉬홀드 판정치라고 본 발명에서는 정의한다. 또한, 이 스레쉬홀드 판정치는 설계 사항이며, 회로 설계자가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다. 이 스레쉬홀드 판정치는 형성한 화상의 픽셀 신장 계수 이상의 화소가, 전체의 화상에 대하여 충분히 작아 눈에 띄지 않도록 하는 값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도 22는 화상 정보가 저계조에 집중하고 있는 경우의 예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픽셀 신장 계수의 「하한치」를 설명한다.
저계조에 화상 정보가 집중하고 있는 경우, 상술한 방법으로 구한 픽셀 신장 계수 x는 작은 값으로 된다. 이에 의해, 도 2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장 배율이 지나치게 커져, 출력 화상의 왜곡도 커진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픽셀 신장 계수를 이 이상은 낮추지 않는 계조(도 21의 참조 부호 21402)를 설계 사항으로서 결정한다. 이것을 이후, 「하한치」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취급하는 데이터를 255계조의 8비트 데이터로서 설명하지만, 10비트 데이터(1023계조) 등이어도 문제는 없다.
상기한 전제를 근거로 한 후에, 이하, 도면을 참작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 형태 11>
도 23은 실시 형태 11의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표시 장치(2100)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중앙 처리 장치(CPU)(2102), 표시 메모리(2103), 내부 버스(2104), 백라이트(2111), 액정 화 면(2112)으로 구성된다.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는 백라이트(2111) 및 액정 화면(2112)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말한다.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 계수 연산 회로(2107),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 픽셀 신장 회로(2109), 액정 컨트롤러(2110),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 타이밍 제어 회로(2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102)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액정 화면(2112)에 표시를 행하게 하는 프로세서이다.
메모리(2103)는 액정 화면에 표시를 행하기 위해 휘도, 색상, 채도에 대한 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외부의 내부 버스(2104) 상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와 직접 접속하여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전용으로 하여도 되고, 혹은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내장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이것을 CPU(2102)와 공용하도록 설계하여도 된다.
내부 버스(2104)는 표시 장치(2100) 내의 각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이용되는 버스를 말한다.
백라이트(2111)는, 자발광하지 않는 액정 화면(112)을 조사함으로써 액정 화면(2112)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원이다.
액정 화면(2112)은 액정 소자를 조립한 화상 표시 장치이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내부의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입출력 IF 회로)(2105)는 내부 버스(2104)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는 액정 표시를 행하는 상황(표시 개시 모드)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도시하지 않은 「표시 개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다.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는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최고 계조(255계조)로부터 하한치까지의 계조마다의 픽셀 수를 구하여, 히스토그램화하는 회로이다.
계수 연산 회로(2107)는,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의 출력으로부터, 각 계조까지의 픽셀 수의 합을 구한다. 이에 의해, 픽셀 신장 계수인 「x계조」를 도출한다.
또한,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 및 계수 연산 회로(2107)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개소에 부착되며,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는 백라이트(2111)의 조도 등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조도의 조정에 의해, 백라이트(2111)에 의한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픽셀 신장 회로(2109)는 픽셀 신장 계수에 기초하여, 표시 화상의 계조에 대하여 신장 처리를 행하는 회로이다.
액정 컨트롤러(2110)는 픽셀 신장 회로(2109)의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화면(2112)에 표시를 행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 경유로 보내진 표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의 용량은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지만, 1프레임분의 프레임 메모리를 갖는 시스템이 일반적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수 바이트의 FIFO 메모리와 같은 것이라도 특별히 문제는 없다.
타이밍 제어 회로(21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 경유로 보내지는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표시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SYNC 신호를 출력한다. 이 SYNC 신호에 동기하여, 표시 데이터를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로부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 및 픽셀 신장 회로(2109)에 출력한다.
이하, 이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CPU(2102)는 액정 화면(2112)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 내의 도시하지 않는 「표시 개시 레지스터」에 표시 개시를 나타내는 값을 기입한다. 그 후, 표시 메모리(2103)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 경유로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에 전송한다.
표시 개시 모드로 되면,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의 타이밍 제어 회로(2114)는, 표시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프레임 SYNC 신호를 출력한다. 이 프레임 SYNC 신호에 동기하여, 표시 데이터를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로부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 및 픽셀 신장 회로(2109)에 출력한다.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로부터 출력된 표시 데이터는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에서 히스토그램화된다. 이 히스토그램의 일례가 도 24이다.
상기 도 24에서는 최대 계조치인 255계조로부터 하한치까지의 각 계조마다의 화소의 누계치(히스토그램)를 구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최대 계조치인 255계조 근방의 계조를 카운트할지는 설계 사항이다. 카운트하여도 계수 연산 회로(2107)에 출력하지 않는 처리, 또는 계수 연산 회로(2107)에 출력하여도 계수 연산 회로(2107)에서 무시하는 설계도 고려된다.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에 의해 도출된 히스토그램화된 데이터는 계수 연산 회로(2107)에 송신된다. 계수 연산 회로(2107)는 이 히스토그램화된 데이터로부터, 픽셀 신장 계수를 구한다.
여기에서, 계수 연산 회로(2107)에 의한 픽셀 신장 계수의 도출 방법을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계조의 최대치인 255계조 및 그것에 계속되는 254계조는 픽셀 신장 계수의 도출에 이용하지 않는(누적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음) 것으로 한다. 그리고 누적 대상의 상한인 253계조만으로는 가산할 수 없기 때문에, 255-2(255계조 및 254계조)-1, 즉 252를 처리의 카운터인 변수 a의 초기치로 한다.
최초로 253계조 이하이고 변수 a 계조 이상인 픽셀 수의 합을 구한다. 이 픽셀 수의 합이 소정의 스레쉬홀드 판정치보다 작으면 a의 값으로부터 1을 감산하고, 다시 픽셀 수의 합을 구한다. 즉, 이 예에서는 a=251로 되고, 251 계조로부터 253계조의 픽셀 수의 합을 구한다. 이것을 하한치에 도달하거나, 픽셀 수의 합이 스레쉬홀드 판정치보다 커질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한편, 이 픽셀 수의 합이 소정의 스레쉬홀드 판정치보다 크면, 그 시점에서의 a의 값에 1을 더한 것을 픽셀 신장 계수로서 확정한다. 또한, 픽셀 수의 합이 소정의 스레쉬홀드 판정치보다 커지지 않고 변수 a가 하한치까지 도달하면, 하한치(도 24에서는 참조 부호 2220)를 픽셀 신장 계수로서 취급한다.
픽셀 신장 계수가 확정되면, 계수 연산 회로(2107)는 확정된 픽셀 신장 계수를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 픽셀 신장 회로(2109)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의 동작 및 액정 화면(2112)의 계조 휘도 특성에 대하여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의 동작 및 액정 화면(2112)의 계조 휘도 특성의 대응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25의 횡축은, 표시 화소의 계조를 나타낸다. 한편, 좌측 종축은 백라이트의 휘도를 나타내고, 단위는 칸델라(cd/㎡)이다. 우측 종축은 액정 화면(2112)의 계조 휘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 25의 휘도(2701)는, 최고 계조가 255계조일 때의 백라이트 휘도이다. 마찬가지로 휘도(2702)는, 최고 계조가 픽셀 신장 계수 A로 표시되는 계조의 휘도로 되도록 백라이트 휘도를, 휘도(2703)는, 최고 계조가 픽셀 신장 계수 B로 표시되는 계조의 휘도로 되도록 백라이트 휘도를 제어한 경우의 백라이트 휘도를 나타낸다.
또한, 최고 계조가 255계조이며, 백라이트 휘도가 참조 부호 2701일 때의 계조 휘도 특성은 계조 휘도 특성(2704)이며, 백라이트 휘도가 참조 부호 2702일 때의 액정 등의 계조 휘도 특성은 계조 휘도 특성(2705)으로 하고, 백라이트 휘도가 참조 부호 2703일 때의 액정 등의 계조 휘도 특성은 계조 휘도 특성(2706)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휘도를 낮추면, 소비 전류도 낮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도 휘도(2701)로 백라이트를 점등하는 것보다도, 휘도(2702)로 점등한 쪽이 소비 전력의 점에서는 유리하며, 휘도(2703)로 점등하면 더욱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컨트롤러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백라이트 휘도를 참조 부호 2703(최고 계조가 픽셀 신장 계수 B일 때의 휘도)으로 고정한다. 한편, 0계조로부터 B까지의 사이, 액정 등의 계조 휘도 특성으로서 계조 휘도 특성(2704)을 이용한다. 한편, B계조로부터 255계조까지의 레이지에 대해서는, 계조 휘도 특성(2704)이 B계조일 때의 휘도와 동일한 휘도(2710)를 최고 계조의 휘도로 하는 계조 휘도 특성(2709)으로 되도록 최대 계조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픽셀 신장 회로(2109)에서는, 표시 화상의 계조에 대하여, 도 26의 특성(2707)으로 나타내는 변환을 행한다. 도 26은 픽셀 신장 회로(2109)에서의 픽셀 신장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6의 특성(2708)은, 신장을 행하지 않은 경우의 픽셀 신장 회로의 입출력 특성이다.
본 발명의 픽셀 신장 회로(2109)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화상의 픽셀 신장 계수(B계조) 이상의 부분은 전부 255계조로 하여 처리하고, 0 이상 픽셀 신장 계수(B계조) 이하의 부분만을 특성(2707)으로 나타내도록 직선적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 휘도 및 화상의 계조를 변환함으로써, 액정 화면(2112) 에서 표시되는 휘도는 도 25의 특성(2709)과 같이 된다. 스레쉬홀드 판정치는 전체의 화상에 대하여 충분히 작아 눈에 띄지 않는 값이 설정되므로, 특성(2709)과 같이 픽셀 신장 계수 이상이 일정한 휘도로 붕괴되어도, 화상 전체적으로는 눈에 띄지 않아, 화질이 현저하게 열화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255계조에 피크가 있는 경우라는 것은, 광원이 화면 내에 들어간 경우나, 그 이상의 계조가 디지털화시에 255계조로서 보이고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255계조의 개소가 픽셀 신장 계수의 휘도까지 붕괴되어도, 화질이 현저하게 열화하는 일은 없다.
그런데, 최고 계조를 포함하는 히스토그램의 누계치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동일한 스레쉬홀드 판정치의 판정 방법을 이용하면, 픽셀 신장 계수는 고계조측으로 어긋난다. 이것은 보통 피크가 255계조에 오기 때문이다. 최고 계조를 포함하는 히스토그램의 누계치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픽셀 신장 계수는 B로부터 255계조측의 A로 어긋나게 된다.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에서는, 픽셀 신장 계수가 최고 계조일 때의 A계조와 동일한 휘도로 되는 계조 휘도 특성(2705)으로 되도록, 백라이트 휘도를 낮추어 참조 부호 2702로 한다. 이와 같이 픽셀의 합을 구할 때에 최고 계조를 제외하고 구한 경우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반대의 시점에서는, 픽셀 신장 회로(2109)에서 최고 계조를 제외한 히스토그램을 계산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1의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 및 계수 연산 회로(2107)의 상세한 블록도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7,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 계수 연산 회로(2107)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8은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의 설정예이며, 설정 항목으로서 카운터, 히스토그램 경계 레지스터 설정치, 카운트 업 범위가 존재한다.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는,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 셀렉터(2503),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로 구성된다.
한편, 계수 연산 회로(2107)는,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 셀렉터(2522),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 셀렉터(2524), 가산기(2525∼2539), 레지스터(2540, 2542, 2544, 2546), 가산기(2541, 2543, 2545), 제산기(2547)로 구성된다.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05)로부터 송신되는 1화소(픽셀)의 적(R), 녹(G), 청(B)의 데이터 중에서 최대의 계조치를 선택하고, 셀렉터(2503)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05) 경유로 CPU(2102)에 의해 설정되는 레지스터이며,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치에 의해, 어느 카운터가 카운트 업되는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셀렉터(2503)는,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 또는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의 출력을 대비하여,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에의 출력을 결정하는 셀렉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는 16개의 카운 터(2505∼2520)에 의해 구성되는 카운터이다. 여기에서는 카운터의 개수를 16개로 하고 있지만, 이 카운터의 개수는, 픽셀 신장 계수의 하한치 및 도 28의 카운트 업 범위와의 균형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한치를 220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면, 그만큼 카운터의 개수를 필요로 한다. 또한,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의 설정 항목인 카운트 업 범위가 넓으면, 그분만큼 카운터의 수는 적어진다.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는, 카운터(2505)의 값이 그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의 값보다도 작을 때에, 히스토그램 누적치에 카운터(2505)의 값을 더하지 않고, 그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의 값보다도 클 때에는 히스토그램 누적치에 카운터(2505)의 값을 더하는 임계치를 설정하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셀렉터(2522)는,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0」을 출력하고,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카운터(2505)의 값을 출력하는 셀렉터이다. 이에 의해, 최고 계조의 누적치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그 값을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반드시 최고 계조를 출력하는 것이라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을 「0」으로 하면 된다.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는, 스레쉬홀드 판정치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셀렉터(2524)는, 누적 대상의 최고 계조로부터 대응하는 계조까지의 누적치(2526∼2539)과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을 비교하여, 스레 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보다 작은 누적치 중에서, 최대의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치를 출력하는 셀렉터이다. 셀렉터(2524)의 출력이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픽셀 신장 계수로 된다.
가산기(2525)는 셀렉터(2522)의 출력과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중의 레지스터(2506)와의 가산을 행하여, 셀렉터(2524) 및 가산기(2526)에 출력한다. 즉,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이상일 때에는 카운터(2505)와 카운터(2506)의 값의 합으로 되고,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미만일 때에는 카운터(2506)의 값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가산기(2526∼2539)의 값은,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이상일 때에는, 255계조로부터 대응하는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조까지의 누적치로 되고,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미만일 때에는, 계조 255, 254를 제외한, 계조 253으로부터 대응하는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조까지의 누적치로 된다.
레지스터(2540, 2542, 2544, 2546)는 직근 4프레임분의 픽셀 신장 계수의 누적치를 보유하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또한, 이 직근 4프레임의 픽셀 신장 계수의 평균을 취하기 위해 가산기(2541, 2543, 2545) 및 제산기(2547)가 존재한다.
가산기(2541)는 셀렉터(2524)의 출력과 레지스터(2540)의 출력을 가산하여 레지스터(2542)에 출력하는 가산기이다. 또한, 가산기(2543)는 셀렉터(2524)의 출력과 레지스터(2542)의 출력을 가산하여 레지스터(2544)에 출력하는 가산기이며, 가산기(2545)는 셀렉터(2524)의 출력과 레지스터(2544)의 출력을 가산하여, 레지스 터(2546)에 출력하는 가산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산기(2547)는 4로 나누는 제산기이다. 이것은 직근 4프레임의 평균치를 구하기 위해 4로 나누고 있는 것이며, 직근 프레임의 픽셀 신장 계수의 누적 대상을 늘리는 것이면, 그것에 따라서 제수를 늘리는 설계로 된다.
이하, 상기 회로 구성을 바탕으로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의 동작을 설명한다.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에 프레임 SYNC 신호가 입력되면,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가 리세트된다. 즉,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내부의 16개의 카운터(2505∼2520)가 0으로 된다.
다음으로, 표시 데이터가 1픽셀분씩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로부터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에 전송된다.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에서는 1픽셀의 R(적), G(녹), B(청) 데이터 중의 계조의 최대치를 선택하여, 셀렉터(2503)에 출력한다.
셀렉터(2503)는, 이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을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의 값과 대비한다. 여기에서,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의 설정예에 대하여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셀렉터(2503)는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을 얻은 후, 그 출력치가 카운트 업 값의 어느 레인지에 존재하는지를 검토한다. 그리고, 그 레인지에 대응한 카운터를 카운트 업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결정한다.
도 28의 설정에서는,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이 254 또는 255인 경우, 셀렉터(2503)의 출력(2548)이 액티브로 된다.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내의 카운터(2505)가 카운트 업된다. 한편, 출력 신호선(2549 내지 2563)은 액티브로 되지 않고,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내의 카운터(2506 내지 2520)는 카운트 업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하여,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이 253 또는 252인 경우, 셀렉터(2503)의 출력(2549)이 액티브로 되고, 다른 출력 신호선(2548 및 2550 내지 2563)은 액티브로 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내의 카운터(2506)만이 카운트 업된다.
또한,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이 「200」(카운터(2520)의 최소 카운트 업 범위) 미만일 때에는, 출력(2548 내지 2563) 모두 액티브로 되지 않고, 카운터(2505 내지 2520)는 카운트 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2502)의 설정치과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의 출력에 따라서, 셀렉터(2503)의 출력이 결정된다. 결과,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내의 각 카운터는 적절하게 카운트 업된다.
이와 같이 하여,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를 입력하면 히스토그램 경계 레지스터(2502)에 설정된 경계마다의 픽셀 수가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 내에 축적된다.
다음으로 계수 연산 회로(2107)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가 구한 각 카운터의 값으로부터, 계수 연산 회로(2107)는 픽셀 신장 계수를 연산에 의해 도출한다. 이하 상세한 연산 방 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렉터(2522)는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0"을 출력하고,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카운터(2505)의 값을 출력한다. 그 때문에, 가산기(2525)의 출력은,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이상일 때에는 카운터(2505)와 카운터(2506)의 값의 합으로 되고,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미만일 때에는 카운터(2506)의 값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가산기(2526∼2539)의 값은,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이상일 때에는, 계조 255로부터 대응하는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조까지의 누적치로 되고, 카운터(2505)의 값이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 미만일 때에는, 계조 255, 254를 제외한, 253계조로부터 대응하는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조까지의 누적치로 된다.
셀렉터(2524)는, 253계조로부터 대응하는 카운터에 대응하는 계조까지의 누적치(2526∼2539)와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을 비교하여,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보다 작은 누적치 중에서, 최대의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치를 출력한다. 이 셀렉터(2524)의 출력이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프레임의 픽셀 신장 계수로 된다.
그러나, 1프레임만으로 픽셀 신장 계수 및 픽셀 신장 계수로부터 유도되는 백라이트 휘도 및 계조 휘도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휘도의 변동을 수반하여, 플리커의 원인으로 된다.
그래서 레지스터(2540, 2542, 2544, 2546)에서 직근 4프레임의 픽셀 신장 계수를 가산하고, 그 각 픽셀 신장 계수의 평균을 제산기(2547)에서 도출한다. 이에 의해, 1프레임마다의 휘도의 변동이 적어져, 플리커의 발생을 억제하여, 양호한 표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평균화한 픽셀 신장 계수가 최종적인 픽셀 신장 계수로서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와 픽셀 신장 회로(2109)에 출력된다.
이 실시 형태 11의 회로를, 흰 바탕에 흑색으로 문자가 쓰여져 있도록 한 2치 화상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흑백 화상과 같은 2치일 때에는, 히스토그램은 도 29와 같이 된다. 이 경우, 255계조의 픽셀 수는 충분히 커지므로, 본 발명에서, 셀렉터(2522)는 레지스터(2505)의 값을 출력하고, 가산기(2525)의 값은,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셀렉터(2524)는 픽셀 신장 계수로서, 계조 최대치인 255를 출력한다. 결과, 백색 배경의 휘도가 낮아져, 화면이 어두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구름이나 눈의 화상과 같이, 고휘도이기는 하지만 미묘한 음영이 가해진 화상에서는, 히스토그램은 도 30과 같이 된다. 이 경우, 253계조의 픽셀 수도 충분히 크므로, 가산기(2525)의 값은,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셀렉터(2524)는 픽셀 신장 계수로서, 계조의 최대치 255를 출력하므로, 백색 배경의 휘도가 낮아져, 화면이 어두워지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설정치를 「0」으로 함으로써, 레지스터(2505)에 1 이상의 값이 들어가 있으면, 반드시 셀렉 터(2522)의 출력은 레지스터(2505)의 값으로 된다. 따라서,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를 255계조와 254계조의 화소수를 계산할지의 여부를 지정하기 위한 레지스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를 CPU(2102)에 의해 재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2치 화상이 많은 문서 데이터 등의 경우에는,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을 작게 하고, 텔레비전 화상의 표시 등 광원의 투영 등이 많은 화상의 경우에는, 임계치 저장 레지스터(2521)의 값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저전력화할 수 있다.
또한,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는 CPU(2102)에 의해 재기입할 수 있으므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조-휘도 특성이 최고 계조(255계조) 부근에서 위로 볼록한 특성인 경우에,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설정치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저전력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경년 열화에 의해 백라이트의 휘도가 낮아지는 경우에도, CPU에 의해, 사용 개시로부터의 연월을 계측하고, 사용 연월이 일정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을 작게함으로써, 화면의 휘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에서 R, G, B의 데이터 중의 최대치를 선택하여 히스토그램화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아니며, R, G, B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휘도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산출하여도 되고, 또한 R, G, B의 데이터 모두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화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시스템의 색 특성에 의해, 고계조의 색 특성이 시각에 따라 큰 영향을 주는 색(일반적으로는 G(녹))만으로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히스토그램의 구성 방법은, 본 특허에 제한을 주는 것이 아니다.
또한, R, G, B 개별적으로 히스토그램을 작성하고, 고계조의 색 특성이 시각에 따라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색(일반적으로는 B(청))만, 최고 계조를 포함하는 특정 계조의 픽셀 수를 히스토그램의 누적치에 더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또한 히스토그램의 누적치에 최고 계조를 포함하는 특정 계조의 픽셀 수를 더하지 않는 색은, 복수(예를 들면, B(청)과 R(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다 화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에 적합한 저소비 전력화를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 전체의 구성은 실시 형태 11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내의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와 계수 연산 회로(2107) 중의 구성이 실시 형태 11과는 서로 다르지만, 입출력 인터페이스(2105)나 픽셀 신장 회로(2109),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 액정 컨트롤러(2110), 구동 회로내 메모리(2113), 타이밍 제어 회로(2114) 등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또한, 표시 장치 구동 회로(2101)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도,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실시 형태 12의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0) 및 계수 연산 회 로(21070)의 상세 블록도를 도 32에 도시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21060)는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와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로 구성된다. 한편, 계수 연산 회로(21070)는 모드 설정 레지스터(12101), 셀렉터(21102), 가산기(21103), 셀렉터(21104), 카운터(21105),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1106), 평균화 회로(21107)로 구성된다.
RGB 최대치 추출 회로(250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로부터 송신되는 1픽셀의 적(R), 녹(G), 청(B)의 데이터 중의 최대치를 선택하여, 셀렉터(2503)에 출력하는 회로이며, 실시 형태 11과 마찬가지의 회로 구성이다.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0)는, 1프레임분의 표시 데이터로부터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히스토그램의 작성을 종료하면, 프레임 종료 신호(21108)를 가산기(21103) 및 카운터(21105)에 출력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11의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와 상위하다.
모드 설정 레지스터(21101)는 최대 계조의 카운트 값을 계수 연산에 포함시킬지의 여부의 모드의 선정을 행하는 레지스터이다. 이 레지스터가 「1」일 때에는, 히스토그램에 최대 계조의 카운트 값을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0」일 때에는 최대 계조의 카운트 값을 포함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모드 설정 레지스터(21101)는 레지스터 라이트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재기입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셀렉터(21102)는 모드 레지스터(21101)가 모드 「1」이며, 또한 카운터(21105)가 256일 때, 출력이 「0」이고, 그 이외일 때에는, 히스토그램 데이 터(21109)를 그대로 출력하는 셀렉터이다.
가산기(21103)는, 셀렉터(21104)의 출력이 「0」일 때, 도시하지 않은 내부 클럭을 트리거로 하여, 셀렉터(21102)의 출력을 현재 유지하고 있는 값에 가산하여 유지하고, 출력하는 가산기이다.
셀렉터(21104)는, 가산기(21103)의 출력이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1106)의 값 미만일 때, 「0」을 출력하고, 가산기(21103)의 출력이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1106)의 값 이상일 때, 「1」을 출력하는, 셀렉터이다.
카운터(21105)는, 프레임 종료 신호(21108)에서 256으로 프리세트되고, 셀렉터(21104)의 출력이 「0」 또한 프레임 종료 신호(1108)가 「1」일 때, 내부 클럭에 동기하여 1씩 디크리먼트하는 디크리먼트 카운터이다. 카운터(21105)는 내부 클럭의 상승을 트리거로 하여 동작한다.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1106)는, 히스토그램 누적치가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보다도 작은 중에서 최소의 계조를 스레쉬홀드 계조로 하는 판정치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실시 형태 11의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모드 설정 레지스터(21101)와 마찬가지로, 레지스터 라이트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재기입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평균화 회로(21107)는 플리커 방지를 위해 직근 수 프레임의 픽셀 신장 계수 평균치를 구하는 것이며, 실시 형태 11의 레지스터(2540, 2542, 2544, 2546), 가산기(2541, 2543, 2545) 및 제산기(2547)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33은, 실시 형태 12의 계수 연산 회로(21070)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이다. 이상의 구성 및 도 33의 타이밍차트를 근거로 하여 실시 형태 12의 동작을 설명한다.
히스토그램 카운터(25040)는, 히스토그램의 작성을 완료하면, 프레임 종료 신호(21108)를 출력한다. 255계조로부터 순서대로 내부 클럭에 동기하여 1계조씩 히스토그램 데이터(21109)를 셀렉터(21102)에 출력한다.
카운터(21105)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신호에서 256으로 프리세트되고, 셀렉터(21104)의 출력이 「0」 또한 프레임 종료 신호(21108)가 「1」일 때, 내부 클럭에 동기하여 1씩 디크리먼트한다.
프레임 종료 신호(21108)가 액티브(「1」)로 되었을 때, 셀렉터(21104)의 출력은 「0」이다. 따라서, 프레임 종료 신호(21108)가 액티브(「1」)로 되면, 카운터(21105)는 내부 클럭의 상승 타이밍에서 256으로부터 1씩 디크리먼트를 개시한다.
도 33의 동작 조건에서는 모드 설정 레지스터(21101)의 값은 「1」이다. 즉, 최대 계조의 카운트 값을 픽셀 신장 계수의 누적치에 포함시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카운터(21105)가 256일 때, 셀렉터(21102)의 출력은 「0」으로 되고, 255계조시의 히스토그램 값 255D는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254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 값은, 카운터(21105)가 255 이하로 되므로 셀렉터(21102)의 동작 조건을 구비한다. 따라서, 254계조의 히스토그램 값 254D, 253계조의 히스토그램 값 253D, …와 같이 히스토그램 카운터 출력을 내부 클럭의 상승 타이밍에 동기하여 셀렉 터(21102)가 출력한다.
셀렉터(21104)의 출력이 「0」일 때, 가산기(21103)는 셀렉터(21102)의 출력을 현재 유지하고 있는 값에 가산하여 유지하고 출력한다. 따라서, 가산기(21103)의 출력은, 1클럭째는 셀렉터(21102)의 출력이 「0」이기 때문에 「0」, 2클럭째는, 셀렉터(21102)의 출력이 「254D」이기 때문에 「254D」, 3클럭째는, 셀렉터(21102)의 출력이 「253D」이기 때문에 「254D+253D」로 증가해 간다.
여기에서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1106)의 값이 「254D+253D+252D+251D+250D」보다 크고 「254D+253D+252D+251D+250D+249D」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 셀렉터(21104)는, 가산기의 출력이 「254D+253D+252D+251D+250D+249D」로 된다고 동작 조건을 구비하기 때문에, 「1」을 출력한다.
상기 셀렉터(21104)의 출력치의 변화에 의해, 카운터(21105)의 동작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게 되기 때문에, 카운터(21105)는 디크리먼트를 정지한다. 또한, 가산기(21103)의 동작 조건도 충족시키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쪽도 가산을 정지하고 현재의 값을 계속하여 유지한다. 이 때의 카운터(21105)의 값(도 33에서는 「249」)이 1프레임분의 픽셀 신장 계수로서 출력된다.
이 1프레임분의 픽셀 신장 계수를 평균화 회로(21107)에 출력한다. 복수 프레임의 픽셀 신장 계수의 평균을 취한 값이, 픽셀 신장 계수로서, 도 33의 백라이트 컨트롤러(2108) 및 픽셀 신장 회로(2109)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 12는, 흰 바탕에 검은 문자와 같은 2 치 화상의 경우에는, CPU(2102)가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함으로써, 모드 설정 레지스터(21101)에 "0"을 기입하고, 255계조의 히스토그램 값을 포함하여 픽셀 신장 계수를 결정하므로, 2치 화상이어도 휘도가 낮아지지 않아, 양호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자연 화상이 많은 디지털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CPU(2102)가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함으로써, 모드 레지스터(21101)에 "1"을 기입하고, 255계조의 히스토그램 값을 제외하고 픽셀 신장 계수를 결정하므로, 255계조에 있는 피크를 계산에 넣지 않으므로, 화질을 그다지 열화시키지 않고,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실시 형태 13>
다음으로 실시 형태 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 형태 13의 블록도이다.
이 실시 형태 13에서는, 실시 형태 11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백라이트(2111)의 조도를 계측하는 조도 센서(21301)와, 그 조도 센서(21301)를 제어하기 위한 조도 센서 제어 회로(21302)를 표시 구동 장치(2101) 내에 갖는 점에서 실시 형태 11과 상위하다.
이 실시 형태 13에서는, CPU(2102)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2105)를 통하여, 백라이트 조도 취득 명령을 발행하면 백라이트의 조도를 취득하여, CPU(2102)에 보고한다. CPU(2102)는, 시스템 구동시 등에, 백라이트 조도를 취득하고, 백라이트 조도가 클 때에는,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을 크게 함으 로써, 양호한 전력 절약화 특성을 얻는다. 또한, 경년 열화 등에 의해, 백라이트 조도가 작아진 경우에는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2523)의 값을 작게 함으로써, 화면의 휘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와 액정 등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표시 화면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휴대 전화기로 텔레비전ㆍ카메라 등의 자연 화상 표시를 실현한 경우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념도이다.
최근에는 휴대 전화기(3101)이어도, 액정 패널(3104)에, 텔레비전 영상이나 카메라 영상과 같은 자연 화상과, 조작 버튼ㆍ전지 잔량ㆍ전파 수신 감도ㆍ시각과 같은 아이콘 영역(3106)을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액정 패널(3104)을 구동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3102)와 주사선 구동 회로(3103), 백라이트 모듈(3105)은, 이와 같이 아이콘 영역(3106)과 그 이외의 자연 화상 표시 영역이 혼재한 표시 데 이터이어도, 동일하게 취급하게 된다.
자연 화상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영상 소스인 경우가 많으며, 자연 화상만을 표시하는 경우에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백라이트 제어 방법을 적용하면, 백라이트 발광량을 3, 4할 정도 삭감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연 화상과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아이콘에 고휘도 화소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백라이트 제어 방법으로는 백라이트 발광량을 삭감할 수 없다.
또한, 자연 화상을 아이콘과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에, 자연 화상만을 표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라이트 발광량을 3, 4할 정도 삭감하면, 고휘도의 화소를 포함하는 아이콘은 표시 휘도가 떨어지지만, 실용상은 아이콘과 다른 화상의 구별이 되기만 하면 충분하다. 백라이트 발광량을 삭감하여, 아이콘 표시에 화질 열화가 발생하여도, 전체의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는 낮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아이콘 표시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화면 중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가 높거나 혹은 낮은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구별하고,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를 가미한 적절한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가 낮은 영역이란, 예를 들면 솔리드 도포 도형이나, 계조수(휘도수)가 적은 화상, 계조 변화(휘도 변화)가 적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말한다.
<실시 형태 14>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 대하여, 도 39∼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14는, 표시 화면 상에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이콘 영역(3106)을 형성하고, 히스토그램 계수시에 자연 화상 표시 영역과 아이콘 영역(3106)의 각각에 대하여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의 액정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구동 회로(3201), 액정 패널(3202), 백라이트 모듈(3203), 제어 프로세서(3204)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액정 패널(3202)은, 후술하는 액정 구동 회로(3201)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로 그 표시 휘도가 제어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화소마다 TFT가 배치되고, 이것에 대하여 신호선과 주사선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선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패널로 한다.
액정 구동 회로(3201)는, 액정 패널(3202) 내의 주사선에 선순차로 TFT를 온 상태로 하는 주사 펄스를 인가하고, 신호선을 통하여 TFT의 소스 단자에 접속된 화소 전극에 표시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계조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화소 전극에 인가된 계조 전압에 의해, 액정 패널(3202)의 액정 분자에 관한 실효치가 변화하고, 표시 휘도는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백라이트 모듈(3203)은,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량으로 그 발광량이 결정되고,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액정 구동 회로(3201)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로 그 발광 동작은 ON/OFF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제어 프로세 서(3204)는,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여 액정 구동 회로(3201)에 전송한다.
액정 구동 회로(3201)는, 시스템 인터페이스(3205), 컨트롤 레지스터(3206), 타이밍 발생 회로(3209), 그래픽 RAM(3210), 백라이트 제어부(3211), 계조 전압 생성 회로(3212), 신호선 구동 회로(3213), 주사선 구동 회로(3214), PWM 회로(3215), 백라이트 전원 회로(3216)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스템 인터페이스(3205)는, 제어 프로세서(3204)로부터 전송되는 표시 데이터나 인스트럭션을 받아, 후술하는 컨트롤 레지스터(3206)에 출력하는 동작을 행한다. 여기에서, 인스트럭션이란, 액정 구동 회로(3201)의 내부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프레임 주파수와 구동 라인수, 색수, 후술하는 히스토그램을 계수할 때의 가중 계수 등의 각종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컨트롤 레지스터(3206)는, 래치 회로를 내장하고, 시스템 인터페이스(3205)로부터 수취하는 아이콘 영역의 좌표 정보와 아이콘 영역의 가중 계수를 후술하는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 전송한다. 이 컨트롤 레지스터(3206)는, 아이콘 영역 좌표 설정 레지스터(3207)와 아이콘 영역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208)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아이콘 영역 좌표 설정 레지스터(3207)는, 아이콘 영역의 표시 화면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이며, 사각형 영역의 대각에 해당하는 2점의 좌표를 지정한다. 사각형 영역의 정점 1개와 사각형의 긴 변ㆍ짧은 변의 길이를 지정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아이콘 영역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208)는, 아이콘 영역 내의 화소에 대한 히스토그램 계수시의 가중 계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이다. 자연 화상 영역에 대하여 아이콘 영역 내의 화소의 가중치 부여를 높게 하는 경우에는, 아이콘 영역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208)에 1보다 큰 값을 설정하고, 가중치 부여를 낮게 하는 경우에는 1보다 작은 값을 설정한다.
타이밍 발생 회로(3209)는, 도트 카운터를 갖고 있고, 도트 클럭을 카운트함으로써 라인 클럭을 생성한다. 이 라인 클럭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그래픽 RAM(3210)으로부터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의 데이터 전송이나, 주사선 구동 회로(3214)의 출력 타이밍이 규정된다. 그래픽 RAM(3210)은, 시스템 인터페이스(3205)로부터 전송되는 표시 데이터를 축적하고, 후술하는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 전송한다.
백라이트 제어부(3211)는, 본 실시 형태 14의 액정 구동 회로(3201)에서 중심으로 되는 블록이며, 그래픽 RAM(3210)으로부터 전송되는 표시 데이터를 수취하여, 표시 데이터의 신장 처리를 실행하고, 후술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3213)에 전송한다. 또한,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백라이트 설정치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계조 전압 생성 회로(3212)는, 복수의 계조 표시를 실현하는 아날로그의 계조 전압 레벨을 생성한다.
신호선 구동 회로(3213)는, 내장한 디코더 회로, 레벨 시프터, 셀렉터 회로에서 백라이트 제어부(321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의 표시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계조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DA 컨버터의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얻어진 아날로그의 계조 전압이 액정 패널(3202)에 인가되어, 그 표시 휘도를 제어하게 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3214)는, 타이밍 발생 회로(3209)로부터 전송되는 라인 클 럭에 동기하여, 내장한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주사선에 대하여 선순차로 되는 주사 펄스를 생성한다. 또한 내장한 레벨 시프터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전송되는 Vcc-GND 레벨의 주사 펄스를 VGH-VGL 레벨로 변환한 후에, 액정 패널(3202)에 출력한다. 또한, VGH는 TFT가 온 상태로 되는 전압 레벨, VGL은 TFT가 오프 상태로 되는 전압 레벨이다.
PWM 회로(3215)는, 백라이트 제어부(3211)로부터 전송되는 백라이트 설정치를 펄스 폭으로 변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내장하는 카운터에서 타이밍 발생 회로(3209)로부터 전송되는 도트 클럭을 카운트하고, 마찬가지로 내장한 비교기에서 카운터 값과 전술한 백라이트 설정치를 비교한다. 이에 의해 백라이트 설정치와 동일수의 클럭 시간 하이 전압으로 되는 백라이트 제어 펄스가 생성된다.
백라이트 전원 회로(3216)는, 내장한 레벨 시프터에서 PWM 회로(3215)로부터 전송되는 Vcc-GND 레벨의 백라이트 제어 펄스를 백라이트 모듈(3203)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압 변환 후의 백라이트 제어 펄스가 백라이트 모듈(3203)에 입력되지만, 그 광량은 항상 일정하지는 않으며,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서의 동작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본 실시 형태 14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321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백라이트 제어부(3211)는, 히스토그램 계수부(3301), 표시 데이터 신장부(3302), 백라이트 조정부(3303)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히스토그램 계수부(3301)는, 히스토그램 구간 판정부(3304), 가중 계수 산출 부(3305), 스레쉬홀드 값 판정부(3306), 카운터1∼16(3311∼3326)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표시 화상의 프레임 단위로 표시 데이터를 계수하여 히스토그램을 취득하고, 그 히스토그램의 상위의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인 스레쉬홀드 값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히스토그램 구간 판정부(3304)는, 입력된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에 따라서 히스토그램의 구간을 판정한다. 도 40에서는, 0∼255까지의 계조를 16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16개의 계조 구간 각각의 출현 빈도를 계수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입력된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가 0∼15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히스토그램 구간 판정부(3304)는, 계조치 0∼15의 출현 빈도를 계수하는 카운터1(3311)에 인에이블 신호를 보내고, 카운터1(3311)을 카운트 업시킨다.
가중 계수 산출부(3305)는, 입력된 표시 데이터가, 표시 화면 상의 아이콘 영역에 속하는 화소인지, 그 밖의 영역에 속하는 화소인지를 판정하고, 속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가중 계수를 산출하여 카운터1∼16(3311∼3326)에 출력한다. 아이콘 영역은, 전술한 아이콘 영역 좌표 설정 레지스터(3207)에 지정되고,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을 사각형 영역으로 정의하고, 그 사각형 영역의 대각에 위치하는 2점의 좌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가중 계수 산출부(3305)는, 아이콘 영역 좌표 설정 레지스터(3207)에 설정되어 있는 사각형 영역의 좌표 정보와, 표시 데이터의 수평 좌표치ㆍ수직 좌표치를 입력으로 하여, 표시 데이터가 아이콘 영역인 사각형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데이터가 아이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아이콘 영역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208)의 유지치 α를 출력하고, 표시 데이터가 아이콘 영역 밖에 있는 경우에는 1이라고 하는 값을 출력한다.
또한, 아이콘 영역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208)의 유지치 α에는, 아이콘 영역이 표시 품위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낮은 경우에는 1미만의 값을 설정하고, 반대로 아이콘 영역이 표시 품위에 미치는 영향도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높은 경우에는 1보다 큰 값을 설정한다.
스레쉬홀드 값 판정부(3306)는, 각 계조 구간의 히스토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카운터1∼16(3311∼3326)의 값으로부터, 데이터 신장률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스레쉬홀드 값을 산출하는 회로이다. 스레쉬홀드 값이란, 표시 화면의 히스토그램에서 상위로부터 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계조치를 말한다.
스레쉬홀드 값 판정부(306)는, 우선 카운터1∼16(3311∼3326)에 유지되는 값의 합계치를 산출하고, 카운터16(3326)의 유지치가 합계치의 수%보다 큰 값이면 255라고 하는 값을 출력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카운터16(3326)과 카운터15(3325)의 유지치의 합이 합계치의 수%보다 큰 값이면 239라고 하는 값을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연산을 각 계조 구간의 값이 큰 쪽으로부터 작은 쪽으로 반복하고, 표시 화면의 히스토그램에서 상위 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계조치를 산출하여, 이것을 스레쉬홀드 값으로서 출력한다.
카운터1∼16(3311∼3326)은, 레지스터를 내장하고 있고, EN 단자에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단자에 입력된 수치를 레지스터에서의 유지치에 가산한다고 하는 동작을 행한다. 카운터1∼16(3311∼3326)은, 일본 특개평 11-65531호 공보의 종래 기술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계조를 몇 개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표시 데이터 중의 출현 화소수를 각 계조 구간마다 계수하는 카운터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 14에서는, 출현 화소수를 단순하게 카운트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 위치에 의한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에 따라서 가중치 부여된 수치를, 표시 데이터가 속하는 각 계조 구간에 대응하는 카운터에 가산한다.
또한, 카운터1∼16(3311∼3326)의 레지스터 유지치는, 1프레임 기간의 시작에 0으로 리세트되고, 1프레임 기간마다 상기한 가산 처리를 반복하여 히스토그램을 계수하는 것으로 하지만, 복수 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가산 처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 데이터 신장부(302)는, 데이터 신장률 산출부(3307), 적산기(3308)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레쉬홀드 값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를 신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 신장률 산출부(3307)는, 히스토그램 계수부(3301)의 스레쉬홀드 값 판정부(3306)에서 산출한 스레쉬홀드 값으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계수인 데이터 신장률을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스레쉬홀드 값)이라고 하는 연산에 의해 산출한다. 이에 의해,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가 스레쉬홀드 값과 동일한 값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적산기(3308)의 출력이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란, 표시 화상의 전체 화소의 값 중에서의 최대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8bit 계조의 경우의 255, 6bit 계조의 경우의 63과 같은 값을 가리킨다.
적산기(3308)는, 표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신장률의 곱을 산출하여, 신호선 구동 회로(3213)에 출력한다. 이 곱이 전술한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를 출력한다.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를 초과하는 값을 신호선 구동 회로(3213)에 입력하여도, 액정 패널(3202)에서 표시 불능이기 때문이다.
백라이트 조정부(3303)는, 상기 스레쉬홀드 값에 기초하여 백라이트의 발광량을 결정하는 백라이트 설정치를 출력하는 처리를 행한다. 표시 데이터 신장부(3302)에서의 표시 데이터의 신장분을 상쇄시키는 발광량으로 되도록, 백라이트 설정치를 산출한다. 또한, 백라이트 설정치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스레쉬홀드 값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설정치의 테이블을 미리 정의해 두고, 그 테이블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방법이나, 스레쉬홀드 값을 입력으로 한 어떠한 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생각된다.
다음으로, 백라이트 제어부(3211)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1프레임 기간의 시작에, 카운터1∼16(3311∼3326)의 레지스터의 유지치를 전부 0으로 리세트한다.
표시 데이터가 그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수평 좌표치와 수직 좌표치와 함께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 입력되면, 가중 계수 산출부(3305)는, 수평 좌표치ㆍ수직 좌표치가 아이콘 영역 좌표 설정 레지스터(3207)에서 지정된 아이콘 영역인 사각형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아이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아이콘 영역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208)에 설정된 가중 부여치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이라고 하는 값을 카운터1∼16(3311∼3326)에 출력한다.
히스토그램 구간 판정부(3304)에서는,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로부터, 그 표시 데이터가 속하는 계조 구간을 판정하고, 그 계조 구간에 대응하는 카운터의 가산 처리를 유효하게 하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카운터1∼16(3311∼3326) 중, 상기한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한 카운터는, 전술한 가중 계수 산출부(305)로부터 출력된 가중 계수를 카운터 내의 레지스터에 가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산을 1화소마다, 표시 화면 전체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카운터1∼16(3311∼3326)에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를 가미하여 가중치 부여한 히스토그램이 취득된다.
히스토그램이 취득되면, 스레쉬홀드 값 판정부(3306)는, 히스토그램의 상위 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계조치를 산출하고, 이것을 스레쉬홀드 값으로서 출력한다. 여기에서, 스레쉬홀드 값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스레쉬홀드 값은, 표시 데이터 신장부(3302)의 데이터 신장률 산출부(3307)에서 표시 데이터의 신장률 산출에 이용되며, 또한 백라이트 조정부(3303)에서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에 이용된다.
데이터 신장률은, 입력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값과 동일한 경우에, 표시 데이터 신장부(3302)의 적산기(3308)로부터의 출력이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로 되는 배율로 된다. 이 때문에, 입력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값 이하인 경우에는, 적산기(3308)에서의 신장 처리 후에도 휘도 분해능이 존치된다.
그러나, 입력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값 이상인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보다 큰 값을 신호선 구동 회로(3213)에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적산기(3308)로부터의 출력은 표시 데이터의 최대치에 고정되고, 휘도 분해능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레쉬홀드 값은, 입력 표시 데이터의 계조치 중,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서의 처리 후, 휘도 분해능이 존치되는 영역과 휘도 분해능이 없어지는 영역의 경계점이라는 것으로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히스토그램의 상위 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계조치를 스레쉬홀드 값으로 함으로써, 표시 화면에서 계조치가 스레쉬홀드 값 이상으로 되는 화소수(∝면적)의 전체 화소수에 대한 비율도 동일한 퍼센티지로 된다. 이 퍼센티지를 조정함으로써, 표시 화면에서 휘도 분해능이 없어지는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4에서는, 히스토그램을 계수할 때에 표시 위치에 의한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를 가미한 가중치 부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스레쉬홀드 값을 산출할 때에 사용하는 퍼센티지와, 스레쉬홀드 값 이상의 계조치를 갖는 화소(=데이터 신장 처리 후에 휘도 분해능이 없어지는 화소)수의 전체 화소수에 대한 퍼센티지는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표시상 중요하지 않은 고휘도의 아이콘이 표시 화면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을 이용한 경우보다 본 실시 형태 14의 구동 회로 쪽이 스레쉬홀드 값을 낮게 산출하기 때문에, 데이터 신장률이 올라가고, 백라이트 발광량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반대로, 표시상 중요한 영역에 고휘도의 화소가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 14의 구동 회로 쪽이 스레쉬홀드 값을 높게 산출하기 때문에, 데이터 신장률이 낮아져, 표시 품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스레쉬홀드 값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 신장부(3302)에서는, 데이터 신장률 산출부(3307)에 의해 표시 데이터의 신장률을 결정하고, 적산기(3308)에 의해 표시 데이터를 신장한다. 또한, 백라이트 조정부(3303)에서는,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백라이트 설정치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작에 의해, 표시 위치에 의한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를 히스토그램 계수 처리에 반영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화면 전체의 표시 품위에의 영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에 반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품위를 유지하면서 백라이트 제어에 의한 소비 전력 삭감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4에서는, 화면 단부의 아이콘 표시 영역은 백라이트 제어에 의해 휘도 분해능이 저하하여도 표시 품위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것으로 하여, 화면 단부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사각형 영역 내의 표시 데이터가 히스토그램 계수 처리에 미치는 영향도를 낮게 하도록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사각형 영역의 설정 위치는 아이콘 표시 영역이나 화면 단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사각형 영역 내의 화소의 표시 데이터가 히스토그램 계수 처리에 미치는 영향도를 높이도록 제어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4에서는, 휴대 전화용 액정 패널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의 용도의 액정 패널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4에서는, 백라 이트 광원을 배면에 배치하고 액정 패널을 통하여 보는 직시형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액정 프로젝터 등의 투영형 액정 표시 장치이어도 상관없다.
<실시 형태 15>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 대하여, 도 41∼도 4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15는, 표시 화면을 3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히스토그램 계수시에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행하고,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도 41은, 본 실시 형태 15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액정 패널(3104) 상의 표시 화면에 자연 화상을 표시하고, 표시 화면의 상단과 하단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아이콘 영역 A(3401), 아이콘 영역 B(3402)를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5는, 본 실시 형태 15의 액정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39의 구성과의 상위점은, 컨트롤 레지스터(3206)가 갖는 레지스터가 증가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밖의 블록은,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39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재차의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 레지스터(3206)는, 아이콘 영역 A 좌표 설정 레지스터(3501), 아이콘 영역 A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502), 아이콘 영역 B 좌표 설정 레지스터(3503), 아이콘 영역 B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504)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아이콘 영역 A 좌표 설정 레지스터(3501)는, 도 41에서의 아이콘 영역 A(3401)의 사각형 영역의 표시 화면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이고, 아이콘 영역 A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502)는, 도 41에서의 아이콘 영역 A(3401) 내의 화소에 대한 히스토그램 계수시의 가중 계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이다. 마찬가지로, 아이콘 영역 B 좌표 설정 레지스터(3503)는, 도 41에서의 아이콘 영역 B(3402)의 사각형 영역의 표시 화면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이고, 아이콘 영역 B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504)는, 도 41에서의 아이콘 영역 B(3402) 내의 화소에 대한 히스토그램 계수시의 가중 계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이다. 각 아이콘 영역의 좌표나 가중 계수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4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이다.
도 43은, 본 실시 형태 15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321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40의 구성과의 상위점은, 컨트롤 레지스터(3206)가 갖는 레지스터가 증가함에 따라서, 가중 계수 산출부(3305)에 입력되는 레지스터의 설정치가 증가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밖의 블록은,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40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재차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중 계수 산출부(3305)는, 표시 데이터의 수평 좌표치와 수직 좌표치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된 표시 데이터가 아이콘 영역 A(3401) 혹은 아이콘 영역 B(3402)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아이콘 영역 A 좌표 설정 레지스터(3501)의 값에 의해 특정되는 아이콘 영역 A(3401)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아이콘 영역 A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502)에 저장되어 있는 가중 계수 α를 출력하고, 아이콘 영역 B 좌표 설정 레지스터(3503)의 값에 의해 특정되는 아이콘 영역 B(3402)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아이콘 영역 B 가중 계수 설정 레지스터(3504)에 저장되어 있는 가중 계수 β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서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 계수를 행할 때에, 아이콘 영역 A(3401), 아이콘 영역 B(3402), 자연 화상 영역의 3개의 영역마다 서로 다른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가중치 부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14에서 표시 화면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고, 실시 형태 15에서 3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표시 화면을 4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영역의 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6>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 대하여, 도 44∼도 4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16은, 전술한 실시 형태 14 및 실시 형태 15와 같이 사각형 영역마다 히스토그램을 계수할 때의 가중 계수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수평ㆍ수직 좌표치를 입력치로 하는 함수 회로를 이용하여 가중 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4는, 본 실시 형태 16에서의 히스토그램을 계수할 때의 가중 계수의 분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표시 화면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은 시인성이 높고, 전체의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정한 경우의 가중 계수의 분포예이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 16에서의 구동 회로에서는, 히스토그램 계수 처리에서 표시 화면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의 가중치 부여를 높게 하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가중치 부여를 낮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수평 240화소, 수직 320화소의 QVGA 사이즈의 표시 화면을 예로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의 액정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39의 구성과의 상위점은, 컨트롤 레지스터(3206)가 갖는 레지스터가 가중 계수 산출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3801)로 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밖의 블록은,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39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재차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중 계수 산출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3801)는, 표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단부를 향하여 가중 계수가 저하하는 경사의 정도를 수치로 보유한다.
도 46은, 본 실시 형태 16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321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40의 구성과의 상위점은, 컨트롤 레지스터(3206)가 갖는 레지스터가 가중 계수 산출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3801)로 됨에 따라서, 가중 계수 산출부(305)에 입력되는 레지스터의 설정치가 변화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밖의 블록은, 실시 형태 14에서의 도 40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재차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중 계수 산출부(3305)는, 표시 데이터의 수평 좌표치 x와 수직 좌표치 y를 입력으로 하고, 가중 계수 산출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3801)의 값 γ에 기초하여 가중 계수를 산출하는 함수 회로이다. 가중 계수 산출부(3305)에서는, 도 44에 도시한 가중 계수의 분포를 이하의 수학식 24에 따라서 산출한다.
Figure 112008026869632-PAT00024
수학식 24는, 표시 위치의 좌표(x, y)와 표시 화면의 중심의 좌표(120, 160)의 유클리드 거리를 산출하고, 그것을 최대 거리로 제산하여 정규화하고, 그 수에 가중 계수 산출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3801)에 유지된 값 γ를 승산한 수를 1로부터 뺄셈하는 수식이다. 수학식 1에서 산출하는 가중 계수는, 표시 화면의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은 값으로 되고, 그 경사는 가중 계수 산출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3801)의 값 γ로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하다.
또한, 수학식 24를 수학식 25와 같이 변형하여,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가중 계수의 분포로 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중 계수를 표시 화면의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은 값으로 함으로써, 그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 계수 처리를 행하고, 백라이트 발광량을 제어한 경우에, 표시 화면의 단부의 화소일수록 휘도 분해능이 없어지고 화질 열화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텔레비전 화상 등에서는, 화면 중앙부의 전경에 초점이 맞고, 화면 단부의 배경에는 원래 초점이 맞지 않기 때문 에, 화면 단부의 화질이 열화하였다고 하여도 표시 품위상 큰 문제는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6에서는 표시 데이터의 위치 좌표를 입력치로 하는 함수에 의해 히스토그램을 계수할 때의 가중 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그 함수를 나타내는 수식은 수학식 24나 수학식 2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 데이터의 좌표치를 입력하여 가중 계수를 산출하는 것이면, 수학식 24나 수학식 25 이외의 함수이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서 표시 화상의 히스토그램 계수를 행할 때에, 표시 위치에 의한 표시 화면 전체의 표시 품위에의 영향을 보다 미세한 단위로 제어하고,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에 반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품위를 유지하면서 백라이트 제어에 의한 소비 전력 삭감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14∼16의 구동 회로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3211)에서 행하고 있는 히스토그램의 계수, 스레쉬홀드 값의 산출, 표시 데이터의 신장, 백라이트 발광량의 제어 등의 일련의 처리를, 도 39의 제어 프로세서(3204) 등의 외부의 프로세서에서의 연산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형태 14∼16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프로젝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품위를 유지하면서 백라이트 제어에 의한 전력 절약화를 행하는 기술에 이용 가능하 다. 또한, 이용 범위도 휴대 전화용의 액정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그 밖의 정보 기기, 텔레비전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도 1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상 신장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3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상 신장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의 α결정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스레쉬홀드 계조 이상의 변환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장치의 α의 다른 1개의 정의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장치의 α결정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표시 장치의 α결정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표시 장치의 카운트를 행하는 엣지의 폭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15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 8에 따른 표시 장치의 계조 변환(신장)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행하는 화상 신장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픽셀 값 변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픽셀 값의 입출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서 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픽셀 값의 입출력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서의 픽셀 신장 계수 및 스레쉬홀드 판정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의 픽셀 신장 계수의 하한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의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백라이트 컨트롤러의 동작 및 액정 화면의 계조 휘도 특성의 대응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픽셀 신장에 대한 개념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 계수 연산 회로의 상세 블록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따른 히스토그램 경계 설정 레지스터의 설정예.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의 설명에 따른 흑백의 2치 화상의 히스토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의 설명에 따른 고휘도이기는 하지만 미묘한 음영이 붙은 화상의 히스토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의 설명에 따른 계조-휘도 특성이 최고 계조 부근에서 위로 볼록한 특성의 화상의 히스토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따른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 계수 연산 회로의 블록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의 계수 연산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의 표시 장치 구동 회로의 블록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전제의 설명에 따른 최대 계조에 돌출된 피크를 갖는 히스토그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전제의 설명에 따른 화면 내에 광원이 들어가는 화상의 예.
도 37은 본 발명의 전제의 설명에 따른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시에 피크가 최고 계조로 치우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념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인 액정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인 액정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서의 가중 계수의 분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인 액정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서의 백라이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 면.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서의 가중 계수의 분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서의 계수 결정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서의 화상이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서의 화상이 가늘게 변화한 경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101 :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02 : 중앙 처리 장치(CPU)
103 : 표시 메모리
104 : 내부 버스
105 :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106 :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
107 : 계수 연산 회로
108 : 백라이트 컨트롤러
109 : 픽셀 신장 회로
110 : 액정 컨트롤러
111 : 백라이트
112 : 액정 화면
113 : 메모리
114 : 타이밍 제어 회로
115 : 백색 붕괴 보상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
116 :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
117 : 백라이트 휘도치
301 : 스레쉬홀드 계조 t
302 :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p%
303 : 데이터를 신장하지 않는 경우의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1차 함수를 나타내는 직선
304 : 좌표(t, 255)
305 : 좌표(t, 255)와 좌표(t, t) 사이의 점의 좌표(t, z)
306 : z와 t의 차(307)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
307 : z와 t의 차
308 : 스레쉬홀드 계조 t 이하의 데이터 변환(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1차 함수를 나타내는 직선
309 : 스레쉬홀드 계조 t 이상의 데이터 변환(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1차 함수를 나타내는 직선
310 : 신장하지 않을 때의 백라이트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직선
311 : 데이터 신장을 행하였을 때의 백라이트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직선
401 : 스레쉬홀드 계조 하한치 설정 레지스터
402 : z와 t의 차(307)와 최대 계조(255)와 t의 차(306)의 비 α
601 : 표시 화상의 세로 방향 영역 분할수를 설정하는 레지스터
602 : 표시 화상의 가로 방향 영역 분할수를 설정하는 레지스터
701 : 엣지 최소치 설정 레지스터
702 : 엣지 최대치 설정 레지스터
703 : 엣지 히스토그램 계수 회로
704 : 엣지 히스토그램 스레쉬홀드 계조 설정 파라미터 설정 레지스터
705 : 계수 연산 회로
803 : 종래의 방식에 의한 스레쉬홀드 계조 이하의 데이터 변환(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1차 함수를 나타내는 직선
900 : 레지스터
1001 : 계조 243 내지 254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
1002 : 계조 242 내지 255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의 평균치
1003 : 계조 242와 255의 히스토그램의 픽셀 수
1101 : 히스토그램을 픽셀 신장 회로에 송신하는 신호선
1102 : 스레쉬홀드 계조치 이상의 데이터 변환(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레지스터
1301 : 복수의 스레쉬홀드 계조 중 최대의 계조
1302 : 복수의 스레쉬홀드 계조 중 최대의 계조 이하의 데이터 변환(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1차 함수를 나타내는 직선
1303 : 복수의 스레쉬홀드 계조 중 최대의 계조 이상의 데이터 변환(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
1304 : 신장하지 않을 때의 백라이트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직선
1305 : 데이터 신장을 행하였을 때의 백라이트 휘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직선
1601∼1604 : 계조 z와 최대 계조(255)를 등간격으로 분할한 각각의 구간
1701 : 계조 t와 최대 계조(255)의 차
1702 : 계조 t와 계조 z의 차
1703 : 계조 z 이하의 데이터 변환(신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1차 함수를 나타내는 직선
1704 : 계조 z에서의 1차 함수(1703)의 출력치와 최대 계조(255)의 차
1705 : z+1계조 이상 255계조 이하의 픽셀 수의 총합
1706 : z+1계조 이상 x계조 이하의 히스토그램의 누적치(픽셀 수의 총합)
1707 : 신장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백라이트 휘도
1708 : 신장 처리 후의 백라이트 휘도
4801 :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
4802 :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
4803 : 차분 계산 회로
4804 : 차분치
4805 : 갱신치 생성 회로
4806 : 계수 변화량 레지스터
4807 :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
4901 :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
4902 :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
4903 : 계수 변화량 레지스터 값
4904 : 갱신치 생성 회로 출력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
4905 : 갱신치 생성 회로 출력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
5001 : 계수 현재치 레지스터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
5002 :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 값에 의한 범위
5003 :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에서 설정되는 상한치
5004 : 계수 불감 영역 레지스터에서 설정되는 하한치
5005 :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불감 영역 내)
5006 : 계수 연산 회로의 출력의 입력 계조ㆍ출력 계조 그래프(불감 영역 외)

Claims (77)

  1.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분의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의 분포의 일부를 계조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로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비선형의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2.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분의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의 분포의 일부를 계조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로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복수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임계치 계조보다 작은 계조이며,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 및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갖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고,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 제어 회로는 상기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에 이용되는 변환 방식은,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임계치 계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함수는 상기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에 임의의 제2 특정 계조를 출력하는 1차 함수이고,
    상기 임계치 계조와 상기 제2 특정 계조의 차와 상기 임계치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9. 제3항에 있어서,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레지스터를 갖고,
    상기 레지스터가 제1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하고,
    상기 레지스터가 제2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서로 다른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는 상기 변환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0. 제3항에 있어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각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고,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복수의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각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고,
    상기 1차 함수는 상기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에 임의의 제2 특정 계조를 출력하는 1차 함수이고,
    상기 임계치 계조와 제2 특정 계조의 차와 상기 임계치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복수의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영역의 분할수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제2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4. 제7항에 있어서,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제1의 1차 함수에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그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제2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 및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갖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고,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1의 1차 함수에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광량 제어 회로는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에 따라서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16.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 로와,
    인접 화소 데이터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2개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 제2의 1차 함수는 모두, 상기 제1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제2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치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18.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마다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상기 영역마다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그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2개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 제2의 1차 함수는 모두, 상기 제1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 및 상기 광량 제어 회로에서 제어되는 광량은, 상기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19.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상기 영역마다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그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 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2개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 제2의 1차 함수는 모두, 상기 제1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20.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각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와,
    상기 복수의 산출 회로로부터 최대의 임계치 계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그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21.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와 제2 임계치 계조 중의 큰 쪽을 선택하여, 최대 임계 치 계조로서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상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22.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와 제2 임계치 계조 중의 큰 쪽을 선택하여, 최대 임계 치 계조로서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상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23.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분의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의 분포의 일부를 계조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비선형의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분의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의 분포의 일부를 계조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입력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변환 하고, 변환된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복수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를 계산하여, 그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임계치 계조 산출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 제어 회로는 상기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에 이용되는 변환 방식은,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임계치 계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신장 방식을 절환하는 레지스터를 갖고,
    상기 레지스터가 제1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보다 작은 계조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하고,
    상기 레지스터가 제2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특정 계조 이상인 경우, 서로 다른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각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고,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복수의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각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함수는 상기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에 임의의 제2 특정 계조를 출력하는 1차 함수이고,
    상기 임계치 계조와 제2 특정 계조의 차와 상기 임계치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복수의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제2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에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최대 계조 이하,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제2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고,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에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그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광량 제어 회로는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에 따라서 광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5.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2개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 제2의 1차 함수는 모두, 상기 제1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제2 임계치 계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6.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마다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상기 영역마다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그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2개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 치 계조 이상인 경우,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 제2의 1차 함수는 모두, 상기 제1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 및 상기 광량 제어 회로에서 제어되는 광량은, 상기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7.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그 영역마다의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그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제2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2개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제1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제2의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제1의 1차 함수, 제2의 1차 함수는 모두, 상기 제1 임계치 계조를 입력하였을 때의 출력 계조가 임의의 특정 계조이고,
    상기 특정 계조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 이하, 상기 제1 임계치 계조 이상인 계조이며,
    상기 최대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와 상기 특정 계조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의 차의 비는, 상기 영역마다의 제2 임계치 계조의 최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8.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로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각 영역의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영역마다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산출 회로와,
    상기 복수의 산출 회로로부터 최대의 임계치 계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그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9.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와 제2 임계치 계조 중의 큰 쪽을 선택하여, 최대 임계치 계조로서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를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상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0.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을 갖고, 그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1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1 산출 회로와, 인접 화소와의 차분이 일정치 이상인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계측하여, 최대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소수의 일정 비율에 도달한 제2 임계치 계조를 산출하는 제2 산출 회로와,
    상기 제1 임계치 계조와 제2 임계치 계조 중의 큰 쪽을 선택하여, 최대 임계치 계조로서 출력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상기 투과율 제어 소자에 공급하는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광량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회로는, 입력되는 표시 화상 데이터를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하 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하인 경우, 상기 1차 함수에 따라서 변환되고,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계조가 상기 최대 임계치 계조 이상인 경우, 표시 장치의 표시 가능한 최대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의 계수시에 별도의 특정 계조 X1 이상의 계조에 대해서는 계수하지 않고 제외하도록 동작하고, 이 결과의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4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의 변환에서 특정 계조 X1 이상의 계조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모두 최대 계조로의 변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계조 X1을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4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표시 화상 데이터의 특정 계조 이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의 누계치의 계수시에 별도의 특정 계조 X1 이상의 계조에 대해서는 계수하지 않고 제외하도록 동작하고, 이 결과의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의 변환에서 특정 계조 X1 이상의 계조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모두 최대 계조로의 변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계조 X1을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7. 광량을 제어 가능한 광원과, 상기 광원의 전면에 배치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투과율 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로서,
    표시 화상의 최고 계조를 제외하고 상기 표시 장치 구동 회로는 표시 화상의 계조마다의 화소수를 누계하여, 누계 대상의 최고 계조로부터의 누계치가, 전체 화 소수의 일정한 비율에 도달한 임계치 계조를 최대 계조로 하여 표시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상기 최대 계조 표시시에 상기 임계치 계조의 표시 휘도에 상당하는 휘도로 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48. 표시 화상 프레임의 히스토그램을 계산하는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와,
    픽셀 신장 계수를 산출하는 계수 연산 회로와,
    픽셀 신장 회로를 포함하는, 광원 및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로서,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각 계조의 화소수를 표시 화상 프레임 단위로 합계하여 출력하고,
    상기 계수 연산 회로는 상기 각 계조의 합계치로부터 상기 픽셀 신장 계수를 도출하여, 출력 픽셀 신장 계수를 출력하고,
    상기 픽셀 신장 회로는 상기 출력 픽셀 신장 계수가 최고 계조로 되도록 상기 표시 화상 프레임의 계조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표시 화상 프레임의 최고 계조의 화소수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임계치 저장용 레지스터를 갖고, 상기 최고 계조의 화소수가 상기 임계치 저장용 레지스터의 값보다 클 때에만, 상기 최고 계조의 화소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모드 절환용 레지스터를 갖고, 상기 모드 절환용 레지스터의 설정에 의해 상기 최고 계조의 화소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2.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상기 각 계조의 화소수를 각각 서로 다른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3.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누적치 연산 회로는 상기 각 계조의 화소수를 동일한 신호선으로 축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4.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연산 회로는 스레쉬홀드 판정치를 보유하는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계수 연산 회로는 순차적으로 고계조의 것으로부터 상기 각 계조의 화소수를 가산하고, 상기 스레쉬홀드 판정치와 대비하여 상기 표시 화상 프레임마다의 상기 픽셀 신장 계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연산 회로는 복수의 상기 표시 화상 프레임마다 상기 픽셀 신장 계수를 도출하고, 그 평균치를 상기 출력 픽셀 신장 계수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6.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신장 회로는 상기 출력 픽셀 신장 계수 이하의 계조를 선형으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7. 제54항에 있어서,
    CPU 및 조도 센서를 더 갖고, 상기 조도 센서가 취득한 조도에 의해, 상기 CPU가 상기 스레쉬홀드 판정치 저장 레지스터의 값을 재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8. 제48항에 있어서,
    백라이트 및 백라이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신장 계수에 따라 서 상기 백라이트 컨트롤러가 백라이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59. 제48항의 표시 장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0. 제59항의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1. 표시 화면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화상의 프레임 단위로 표시 데이터를 계수하여 히스토그램을 취득하고, 그 히스토그램의 상위의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을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계수부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를 신장하는 표시 데이터 신장부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백라이트 조정부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갖고,
    상기 히스토그램 계수부는,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에 따른 가중 계수를 출력하는 가중 계수 산출부를 갖고, 각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그 가중 계수를 가산하여 계수함으로써 히스토그램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계수 산출부는, 상기 표시 화면 상의 복수의 표시 영역마다 정의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가 속하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가중 계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 상의 복수의 표시 영역마다 정의된 가중 계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갖고, 그 가중 계수를 외부로부터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 상의 복수의 표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갖고, 그 정보를 외부로부터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5.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정보 기기의 화상 표시 장치이고, 상기 표시 화면 상의 복수의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보 기기가 표시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6.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계수 산출부는,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치로 하는 함수에 의해 가중 계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의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갖고, 그 파라미터를 외부로부터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8. 표시 화면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화상의 프레임 단위로 표시 데이터를 계수하여 히스토그램을 취득하고, 그 히스토그램의 상위의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을 산출하는 히스토그램 계수부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를 신장하는 표시 데이터 신장부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백라이트 조정부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갖고,
    상기 히스토그램 계수부는, 상기 표시 화면의 소정의 영역의 표시 데이터의 내용에 따른 가중 계수를 출력하는 가중 계수 산출부를 갖고, 각 표시 데이터에 대 하여 그 가중 계수를 가산하여 계수함으로써 히스토그램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의 소정의 영역의 표시 데이터의 내용은, 아이콘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의 소정의 영역의 표시 데이터의 내용은, 상기 표시 화면의 소정의 영역 이외의 표시 데이터의 내용과 비교하여, 고휘도 성분이 많은 화상, 또는 휘도 분해능이 저하하여도 표시 품위에의 영향도가 낮은 화상, 또는 계조수 혹은 휘도수가 적은 화상, 또는 계조 변화 혹은 휘도 변화가 적은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71. 표시 화면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조사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백라이트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화상의 프레임 단위로 표시 데이터를 계수하여 히스토그램을 취득하고, 그 히스토그램의 상위의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을 산출하는 처리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를 신장하는 처리와, 상기 특정 위치의 표시 데이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 기 백라이트의 발광량을 조정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표시 데이터를 계수하여 히스토그램을 취득할 때에,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에 따른 가중 계수를 취득하고, 그 가중 계수를 가산하여 계수함으로써 히스토그램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계수를 취득할 때에, 상기 표시 화면 상의 복수의 표시 영역마다 정의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가 속하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가중 계수를 선택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계수를 취득할 때에, 각 표시 데이터의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의 표시 위치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치로 하는 함수에 의해 가중 계수를 산출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7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계치가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에, 변환 후 계조치가 일정 시간으로 변화하는 계조수를 제한하고, 복수 프레임을 사용해서 상기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후 계조치가 일정 시간으로 변화하는 계조수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76. 제3항에 있어서,
    변환 후 계조치의 변화 불감 범위를 형성하고,
    상기 누계치가 미세하게 변화하여 변환 후 계조치가 불감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경우에는, 변환 후 계조치의 변화를 제한하여 안정시키고,
    상기 누계치가 크게 변화하여 변환 후 계조치가 불감 범위 외로 된 경우에는, 변환 후 계조치의 변화를 행하여, 상기 누계치에 따른 계조로 수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후 계조치의 변화 불감 범위를 설정하는 레지스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구동 회로.
KR1020080034898A 2007-04-24 2008-04-15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KR100944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14161A JP2008268717A (ja) 2007-04-24 2007-04-24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JP-P-2007-00114161 2007-04-24
JP2007164248A JP5232410B2 (ja) 2007-06-21 2007-06-21 表示装置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7-00164248 2007-06-21
JP2007164782 2007-06-22
JPJP-P-2007-00164782 2007-06-22
JPJP-P-2007-00248314 2007-09-26
JP2007248314 2007-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63A true KR20080095763A (ko) 2008-10-29
KR100944595B1 KR100944595B1 (ko) 2010-02-25

Family

ID=3993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98A KR100944595B1 (ko) 2007-04-24 2008-04-15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552946B2 (ko)
KR (1) KR100944595B1 (ko)
CN (2) CN102693706A (ko)
TW (1) TWI39789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465A (ko) * 2009-03-03 2010-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의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55354A (ko) * 2014-11-07 2016-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130005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 시스템 및 광학 보상 방법
US11035736B2 (en) 2016-08-04 2021-06-15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4678B2 (ja) * 2007-01-16 2009-07-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TW200917227A (en) * 2007-10-12 2009-04-16 Delta Electronics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liquid crystal panel thereof
JP4438855B2 (ja) * 2007-12-03 2010-03-2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並びに外光検出装置及び方法
JP4968219B2 (ja) * 2008-09-18 2012-07-0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映像表示方法
KR101348700B1 (ko) * 2008-12-01 201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05157B1 (ko) * 2009-03-24 2016-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구동 방법
WO2010141739A2 (en) * 2009-06-03 2010-12-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FR2947082B1 (fr) * 2009-06-22 2014-12-12 St Ericsson France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une image numerique pour eclaircir ladite image.
WO2011004520A1 (ja) * 2009-07-06 2011-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
CN102097076A (zh) 2009-12-10 2011-06-15 索尼公司 显示设备
TWI408670B (zh) * 2010-03-17 2013-09-11 Top Victory Invest Ltd 用於顯示器色彩校正的查找表產生方法
US20110242139A1 (en) * 2010-03-31 2011-10-06 Renesas Technology Corp. Display driver
US8917275B2 (en) * 2010-06-14 2014-12-23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contrast verifications
TWI483616B (zh) * 2010-08-09 2015-05-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顯示裝置、顯示控制模組及顯示控制方法
KR101738105B1 (ko) * 2010-10-22 2017-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평판 표시장치
JP5284444B2 (ja) * 2011-11-11 2013-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TWI451398B (zh) * 2011-12-12 2014-09-01 Mstar Semiconductor Inc 節能顯示的方法與相關裝置
JP5085792B1 (ja) * 2012-02-08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624873B (zh) * 2012-02-16 2015-07-29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图片分享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03426159B (zh) * 2012-05-23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维直方图统计电路和图像处理系统
KR101705541B1 (ko) * 2012-06-15 2017-02-22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이중 변조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60604B1 (ko) * 2013-02-28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조절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휘도 조절 방법
JP6175810B2 (ja) * 2013-03-06 2017-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処理方法
US20160035289A1 (en) * 2013-03-13 2016-02-04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796034B2 (ja) * 2013-03-28 2015-10-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10165218B2 (en) * 2013-07-24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ower reduction using histogram metadata
KR20150142943A (ko) * 2014-06-12 2015-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67707B (zh) * 2014-08-08 2017-01-2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影像調整方法及其顯示器
KR102284755B1 (ko) * 2014-10-28 2021-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제어 장치
JP2016114789A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色変換方法
CN104700786B (zh) * 2014-12-26 2017-12-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显示亮度调整方法及装置
EP3086311A4 (en) 2015-01-15 2017-09-2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display brightness
US10319408B2 (en) 2015-03-30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US10922736B2 (en) 2015-05-15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mart electronic display for restaurants
US10269156B2 (en) 2015-06-05 2019-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lending order confirmation over menu board background
TWI576817B (zh) * 2016-01-22 2017-04-0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具有影像自動最佳化功能的顯示器及其影像調整方法
US10319271B2 (en) 2016-03-22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yclic redundancy check for electronic displays
US10313037B2 (en) 2016-05-31 2019-06-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remote imag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496876B2 (en) * 2016-06-30 2019-12-03 Intel Corporation Specular light shadow removal for image de-noising
WO2018031717A2 (en) 2016-08-10 2018-02-1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for lcd array
CN109845241B (zh) * 2016-10-04 2020-12-15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摄像方法及记录介质
KR102615070B1 (ko) * 2016-10-12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10056A1 (ja) * 2016-12-14 2018-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制御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光源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6780415B (zh) * 2016-12-30 202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直方图统计电路及多媒体处理系统
TWI679583B (zh) * 2017-10-20 2019-12-11 映智科技股份有限公司 提高影像品質的指紋偵測裝置及其方法
KR20190071020A (ko) * 2017-12-13 2019-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JP7155530B2 (ja) * 2018-02-14 2022-10-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装置、電子機器及びエラー検出方法
CN110389469B (zh) * 2018-04-20 2021-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CN109814770B (zh) * 2018-12-17 2020-11-03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光标定位方法、交互投影装置及教育系统
US10971085B2 (en) * 2019-01-08 2021-04-06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display having improved image quality
KR102665352B1 (ko) * 2019-06-27 202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0937358B2 (en) 2019-06-28 2021-03-02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reduc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with minimal effect on image quality
TWI711024B (zh) * 2019-08-07 2020-11-21 宏碁股份有限公司 自發光顯示裝置及其顯示畫面補償方法
US11508286B2 (en) * 2019-09-29 2022-11-22 Wuhan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panel, display driv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3450713B (zh) * 2020-03-25 2022-08-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及装置、灰阶映射信息生成方法及装置
KR20220085245A (ko) * 2020-12-15 2022-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13114930B (zh) * 2021-03-26 2022-10-0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430405B1 (en) * 2021-04-15 2022-08-30 Dell Products L.P. Managing a display of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N113450711B (zh) * 2021-06-25 2023-05-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驱动装置
US11895362B2 (en) 2021-10-29 2024-02-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roof of play for images displayed at electron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214B1 (ko) * 1997-02-27 2000-07-01 윤종용 영상처리 시스템의 콘트라스트 확장장치에서 히스토그램 등화방법 및 장치
US6373533B1 (en) * 1997-03-06 2002-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quality correction circuit for video signals
JPH1165531A (ja) * 1997-08-20 1999-03-09 Fujitsu Ltd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用lsi
US6694051B1 (en) * 1998-06-24 2004-02-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6825884B1 (en) * 1998-12-03 2004-11-30 Olympus Corporation Imaging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wide dynamic range image
JP3564347B2 (ja) * 1999-02-19 2004-09-08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の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US6738510B2 (en) * 2000-02-22 2004-05-18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1291615A (ja) * 2000-04-06 2001-10-19 Murata Mfg Co Ltd 3端子型可変インダクタンス素子
US6873729B2 (en) * 2000-07-14 2005-03-29 Ricoh Company,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mage data
JP3651371B2 (ja) * 2000-07-27 2005-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2055661A (ja) * 2000-08-11 2002-02-20 Nec Corp 液晶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その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EP1405269A2 (en) * 2001-05-04 2004-04-07 Legend Films, Llc Image sequence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TWI231701B (en) * 2001-06-14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c tone correction device, automatic tone correction method, and tone correc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JP4550350B2 (ja) * 2002-02-01 2010-09-22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EP1345172A1 (en) * 2002-02-26 2003-09-1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Contrast enhancement for digital images
GB0211486D0 (en) * 2002-05-18 2002-06-26 Eastman Kodak Co Processing of digital images
US7034843B2 (en) * 2002-07-10 2006-04-25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lor and contrast for display devices
US6778183B1 (en) * 2002-07-10 2004-08-17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lor and contrast for display devices
US7158686B2 (en) * 2002-09-19 2007-01-02 Eastman Kodak Company Enhancing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using inflection points in a tone scale function
JP2004163518A (ja) 2002-11-11 2004-06-10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8502762B2 (en) * 2003-03-31 2013-08-06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245308B2 (en) * 2003-04-09 2007-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220849B (en) * 2003-06-20 2004-09-01 Weltrend Semiconductor Inc Contrast enhancement method using region detection
SG118191A1 (en) * 2003-06-27 2006-01-27 St Microelectronics Asia Method and system for contrast enhancement of digital video
KR100512976B1 (ko) * 2003-08-09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블랙/화이트 스트레칭시스템 및 그의 스트레칭 방법
JP2005077950A (ja) 2003-09-02 2005-03-24 Fujitsu General Ltd ヒストグラム制御画質補正回路
KR101030864B1 (ko) * 2003-09-11 2011-04-22 파나소닉 주식회사 시각 처리 장치, 시각 처리 방법, 시각 처리 프로그램, 집적 회로, 표시 장치, 촬영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
JP2005107019A (ja) * 2003-09-29 2005-04-21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ジェクタ
KR100592385B1 (ko) * 2003-11-17 2006-06-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100570966B1 (ko) * 2003-11-17 2006-04-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US20050212726A1 (en) * 2004-03-16 2005-09-29 Pioneer Plasma Display Corporation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burn-in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burn-in on display device
JP4603382B2 (ja) 2004-05-06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7760961B2 (en) * 2004-10-15 2010-07-20 Caba Moldvai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JP2006120030A (ja) 2004-10-25 2006-05-11 Seiko Epson Corp コントラスト調整装置、コントラスト調整方法
US8050511B2 (en) * 2004-11-16 2011-11-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High dynamic range images from low dynamic range images
US7768496B2 (en) * 2004-12-02 2010-08-0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tonescale adjustment to compensate for a reduced source light power level
US8111265B2 (en) * 2004-12-02 2012-02-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rightness preservation using a smoothed gain image
US7782405B2 (en) * 2004-12-02 2010-08-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display source light illumination level
KR100620966B1 (ko) * 2004-12-15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적응적인 파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3889B1 (ko) * 2004-12-29 201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7986351B2 (en) * 2005-01-27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Luma adaptation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JP2006333202A (ja) * 2005-05-27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7609244B2 (en) * 2005-06-30 2009-10-27 L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91212B2 (ja) * 2005-10-13 2012-08-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駆動回路
JP2007133051A (ja) * 2005-11-09 2007-05-31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US7873229B2 (en) * 2006-02-08 2011-01-18 Moxair, Inc. Distributed processing for video enhancement and display power management
US7916219B2 (en) * 2006-07-19 2011-03-29 Wipro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amma correction in digital video
JP4203090B2 (ja) * 2006-09-21 2008-12-24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8000554B2 (en) * 2007-04-04 2011-08-16 Xerox Corporation Automatic dynamic range adjustment in digital imaging
JP5127321B2 (ja) * 2007-06-28 2013-01-23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1188391A (ja) * 2010-03-10 2011-09-22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38148B2 (en) * 2010-09-24 2013-09-17 Intel Corporation Brightness enhancement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w power architectu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465A (ko) * 2009-03-03 2010-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의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55354A (ko) * 2014-11-07 2016-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130005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 시스템 및 광학 보상 방법
US11035736B2 (en) 2016-08-04 2021-06-15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4146A1 (en) 2013-02-21
TW200912870A (en) 2009-03-16
TWI397892B (zh) 2013-06-01
CN102693706A (zh) 2012-09-26
US20080272999A1 (en) 2008-11-06
US8552946B2 (en) 2013-10-08
CN102254521A (zh) 2011-11-23
KR100944595B1 (ko)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595B1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KR10088730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패널드라이버
KR10149256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공통전압 조절 방법
KR102143656B1 (ko) 표시 장치, 화상 처리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0810873B1 (ko) 표시 구동 회로
KR100931096B1 (ko) 표시 구동 회로
JP2008268717A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512292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492712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14006328A (ja)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9192887A (ja) 表示装置
JP2009230157A (ja) 色補正機能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KR100943806B1 (ko) 표시 구동 회로
CN108492769B (zh) 亮度调节方法及装置、显示装置
KR20070085114A (ko) 영상 신호 변환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KR101073006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이미지 밝기조절방법
JP2009134237A (ja) 表示装置
KR20150096000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314936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駆動回路
JP5232410B2 (ja) 表示装置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5215584A (ja) 制御回路及びその表示装置
US118170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09001519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5539072B2 (ja) 表示制御ドライバ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2430581B1 (ko) 영상 처리 회로 및 영상 처리 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