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354A -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354A
KR20160055354A KR1020140154650A KR20140154650A KR20160055354A KR 20160055354 A KR20160055354 A KR 20160055354A KR 1020140154650 A KR1020140154650 A KR 1020140154650A KR 20140154650 A KR20140154650 A KR 20140154650A KR 20160055354 A KR20160055354 A KR 2016005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ation
count value
cumulative count
histogram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467B1 (ko
Inventor
권경준
허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67B1/ko
Priority to US14/918,487 priority patent/US10720112B2/en
Priority to CN201510750956.8A priority patent/CN105590599B/zh
Publication of KR2016005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데이터 클리핑 방법은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N은 양의 정수)-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계조 N의 픽셀 개수를 더하여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얻는 단계, 상기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상기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을 얻는 단계, 상기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클 때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으로서 정의하는 단계, 최대 계조값을 상기 프레임 최대값으로 나누어 게인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DATA CLIPPING METHOD AND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들과, 그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의 소비전력은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소비전력에서 대부분을 차지한다.
백라이트 유닛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백라이트 디밍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백라이트 디밍 방법은 표시면을 다수의 블록들로 분할하고 블록별로 백라이트 휘도를 개별 제어하는 로컬 디밍 방법(Local dimming method)과, 표시면 전체의 백라이트 휘도를 일괄적으로 낮추는 글로벌 백랑이트 디밍 방법(Global dimming method)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로컬 디밍 방법은 한 프레임기간 내에서 표시면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정적 콘트라스트(Static contrast)를 개선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로컬 디밍 방법은 그 알고리즘과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높고, 블록별 휘도 제어가 용이한 직하형 LED(Light Emitting Diode) 백라이트 유닛에만 적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글로벌 디밍 방법은 동적 콘트라스트(Dynamic contrast)를 개선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글로벌 디밍 방법은 그 알고리즘과 하드웨어의 복잡도가 낮고 어떤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글로벌 디밍 방법은 백라이트 휘도(Backlight brightness)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백라이트 변조(Backlight modulation) 처리와, 백라이트 휘도 저하를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의 계조값으로 보상하는 이미지 보상(Image compensation) 처리를 포함한다. 글로벌 디밍 알고리즘은 백라이트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픽셀 데이터의 계조 레벨(Gray level)을 높이는데, 픽셀 데이터의 계조 보상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8 bit 픽셀 데이터의 경우에 그 픽셀 데이터의 최대 계조 레벨은 255이므로 그 이상으로 조절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글로벌 디밍 방법은 픽셀 데이터의 최대 계조 레벨 포화(Saturation)로 인하여 계조 레벨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이미지에서 최상위 계조의 픽셀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클립트 레이트(Clipped rate) 만큼 잘라내고(clip), 백라이트의 최대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클립트 픽셀 데이터들(clipped pixel data)은 최대 계조값의 제한으로 인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밝기를 넘어간 픽셀 데이터들을 의미한다. 클립트 레이트는 클립트 픽셀 개수를 입력 이미지의 전체 픽셀 개수로 나눈 백분율 값이다. 기존의 글로벌 디밍 방법은 클립트 레이트를 결정한 후에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생성하여 해당 이미지에서 클립트될 계조 레벨을 결정한다.
도 1은 이미지 샘플이고, 도 2는 도 1의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2에서 x축은 계조 값이고, y축은 누적 픽셀 값이다.
히스토그램에서 최상위 계조부터 픽셀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넘을 때까지 히스토그램에서 계조를 낮추면서 카운트를 반복한다. 문턱값을 넘는 계조 직전의 계조는 프레임 최대값(frame max)으로 정해진다. 프레임 최대값(frame max)이 정해지면 프레임 게인(frame gain)이 계산된다. 프레임 게인(frame gain)은 최대 계조값 즉, 255를 프레임 최대값(fame max)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픽셀 데이터에 프레임 게인을 곱하여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여 픽셀들의 휘도를 높이고, 백라이트 유닛의 최대 휘도를 낮추어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프레임 최대값(frame max)을 구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은 도 2의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최상위 계조에 해당하는 변량(bin)부터 계조를 낮추어 가면서 픽셀 개수를 카운트하기 시작하여 그 누적 카운트 값이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할 때까지 픽셀 개수를 카운트한다.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은 계조별 누적 픽셀 개수를 단순 누적한다. 예를 들어, N(N은 양의 정수)을 계조 N의 픽셀 개수, CN-1을 계조 N-1의 누적 카운트 값, CN을 계조 N의 누적 카운트 값이라 할 때,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은 계조 N의 누적 카운트 값을 CN = CN -1 + N 으로 계산한다.
계조 픽셀 개수 누적 카운트 방법
255 584 584
254 0 584+0=584
253 1 584+1=585
252 4 585+4=589
251 1 589+1=590
... ... ...
누적 픽셀 개수가 문턱값을 넘을 때까지 누적 카운트함
도 2의 히스토그램에서 프레임 최대값(frame max) 이상의 계조는 클리핑(clipping)되는 클립트 픽셀 데이터들이다. 히스토그램에서 프레임 최대값 이상의 히스토그램 면적이 클립트 픽셀 데이터들의 개수이다.
클립트 픽셀의 개수가 많으면, 관찰자가 느낄 수 있는 클리핑 아티팩트(clipping artifact)가 많아져 화질 열화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클리핑 아티팩트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 출원 10-2013-0118088(2013. 10. 02.)에서 제안된 annoyance level로 계산될 수 있다.
픽셀 데이터를 변조할 때 프레임 게인값이 너무 높으면 클립트 픽셀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져 사람이 화질 열화를 느끼게 된다. 데이터 클리핑으로 인하여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 정도는 계조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프레임 최대값이 200으로 설정되었을 때 클리핑된 원본 이미지의 계조 255와 201 각각이 게인이 곱해진 후 255로 변한다. 프레임 게인을 픽셀 데이터에 곱하여 얻어진 잉여 휘도 만큼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추어 소비 전력을 낮추면, 원본 이미지의 계조 201과 255는 모두 계조 200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사람은 원본 이미지의 계조 255에 서의 화질 열화를 원본 이미지의 계조 201의 화질 열화 보다 더 심하게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자들은 특허 출원 10-2013-0118088(2013. 10. 02.)에서 annoyance level의 depth factor와 width factor를 모두 고려하여 프레임 게인을 가변하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여기서, depth factor는 클리핑 아티팩트로 인하여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가 어느 수준인지 알려주는 지표이다. width factor는 클리핑 아티팩트로 인한 화질 열화가 어느 계조에서 느껴지는지 알려 주는 지표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메모리 용량의 추가가 필요하고 연산양이 많다.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으로는 annoyance level의 width factor를 예측할 수 있지만 annoyance level의 depth factor를 알 수 없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의 이미지들은 계조 분포가 다르다.
문턱값이 25,000으로 설정될 경우, 도 3 및 도 4의 이미지들 모두에서 문턱값을 넘는 계조가 128이다. 도 3의 이미지에서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 양을 계산하면 (255 - 128) * 1/5 + (192 - 128) * 1/5 = 38.2이다. 여기서, 1/5은 1 화면에서 계조 255, 192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면적이다. 이에 비하여, 도 4의 이미지에서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 양을 계산하면 (255 - 128) * 2/5 = 50.8이다. 여기서, 2/5는 1 화면에서 계조 255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면적이다. 따라서, 도 3에 비하여 도 4에서 클리핑 양이 많아지므로 그 만큼 클리핑 아티팩트로 인한 화질 열화를 많이 느끼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으로는 도 3의 이미지와 도 4의 이미지에서 프레임 최대값과 프레임 게인이 동일하게 되어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 수준이 다르게 된다. 이러한 화질 열화를 낮추기 위하여 문턱값을 높여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 양을 작게 하면 소비 전력 개선 효과가 낮아진다.
본 발명은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으로 인하여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화질 열화 없이 입력 이미지에 따라 프레임 게인을 조절할 수 있는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클리핑 방법은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N은 양의 정수)-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계조 N의 픽셀 개수를 더하여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얻는 단계, 상기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상기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을 얻는 단계, 상기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클 때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으로서 정의하는 단계, 최대 계조값을 상기 프레임 최대값으로 나누어 게인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클리핑 장치는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N은 양의 정수)-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계조 N의 픽셀 개수를 더하여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얻는 제1 누적 카운터, 상기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상기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을 얻는 제2 누적 카운터, 및 상기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클 때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으로서 정의하고, 최대 계조값을 상기 프레임 최대값으로 나누어 얻어진 게인을 상기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를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부, 상기 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디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및 상기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서 상위 계조의 픽셀 데이터를 클리핑하고, 게인으로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고 디밍 신호를 조절하는 클리핑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핑 장치는 상기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제1 누적 카운터, 상기 제2 누적 카운터, 및 상기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핑 장치는 상기 게인을 바탕으로 상기 디밍 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광원의 휘도를 상기 게인의 역수 만큼 낮추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는 이차 누적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따라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을 구분하여 이미지 특성에 맞게 프레임 게인을 조절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으로 인하여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화질 열화 없이 입력 이미지에 따라 프레임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히스토그램을 구하기 위한 이미지 샘플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데이터 클리핑 장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또는 annyance level)을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보여 주는 실험 결과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자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는 히스토그램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으로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으로 인하여 사람이 느끼는 클리핑 아티팩트 예측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히스토그램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을 바탕으로 예측된 클리핑 아티팩트를 바탕으로 이미지 특성에 맞게 프레임 게인을 조절하여 클리핑 아티팩트를 최소화하면서 백라이트의 소비 전력을 더 낮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입력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본 발명은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 부터 계조를 낮추어 가면서 누적 픽셀 개수를 카운트할 때 히스토그램의 해당 변량(bin)만 누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 변량에서 계산된 누적 카운트 값을 추가한다. 여기서, 변량은 히스토그램에서 각 계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누적 카운트 방법을 이하에서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으로 칭하기로 한다.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은 누적 카운트 방향을 따라 누적 카운트값을 급격히 변하게 함으로써 프레임 최대값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변량일수록 클리핑 아티팩트가 더 심한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의 이미지에 대한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은 표 2와 같다.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은 앞서 계산된 계조 N-1의 누적 카운트값에 계조 N의 누적 카운트값을 더하여 계조 N의 누적 카운트값을 계산한다. N을 계조 N의 픽셀 개수, CN-1을 계조 N-1의 누적 카운트 값, CN을 계조 N의 누적 카운트 값이라 할 때, CN = CN-1 + N 이다.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 값은 DN = CN -1 + CN 이다.
계조 픽셀 개수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CN = CN -1 + N)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DN = CN -1 + CN)
255 584 584 584
254 0 584+0=584 584+584 = 1168
253 1 584+1=585 1168+585 = 1753
252 4 585+4=589 1753+589 = 2342
251 1 589+1=590 2342+590 = 2932
... ... ...
누적 픽셀 개수가 문턱값을 넘을 때까지 누적 카운트함
...
누적 픽셀 개수가 문턱값을 넘을 때까지 누적 카운트함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의 효과를 보여 주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은 이미지에 대하여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을 적용하면 도 5 및 도 6과 같다. 도 5 및 도 6에서, Count_old는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표 2의 CN = Np + N)의 계산 결과이고, Count_new는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표 2의 DN = CN -1 + CN)의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은 히스토그램의 변량이 바뀔때 마다 누적 카운트값이 훨씬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문턱값을 더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문턱값이 1,500,000으로 설정될 경우, 도 5의 이미지(도 3과 같음)에서 문턱값을 넘는 계조는 149이다. 도 5의 이미지에서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 양을 계산하면 (255 - 149) * 1/5 + (192 - 149) * 1/5 = 29.8 이다. 여기서, 1/5은 계조 149 보다 높은 계조값 즉, 계조 255, 192를 갖는 픽셀들의 면적이다. 프레임 최대값(Frame max)은 문턱값을 넘는 계조 직전의 계조이다. 따라서, 도 5의 이미지에서 프레임 최대값은 148이므로 계조 148 이상의 픽셀 데이터들은 클리핑된다. 프레임 게인은 255/frame max 이므로 frame gain = 255/148 = 1.7이다. 도 5의 이미지를 변조할 때 픽셀 데이터에 프레임 게인을 곱하여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여 픽셀들의 휘도를 높이고, 백라이트 유닛의 최대 휘도를 낮추어 소비 전력을 낮춘다. 프레임 게인이 곱해진 변조후 데이터 값이 255를 넘는 최상위 계조값으로 포화되므로 255로 치환된다.
도 6의 이미지(도 4와 같음)에서 문턱값 = 1,500,000을 넘는 계조는 181이다. 도 6의 이미지에서 픽셀 데이터의 클리핑 양을 계산하면 (255 - 181) * 2/5 = 29.6 이다. 여기서, 2/5은 1 화면에서 계조 181 보다 높은 계조값의 픽셀들이 차지하는 면적이다. 프레임 최대값(Frame max)은 문턱값을 넘는 계조 직전의 계조이다. 따라서, 도 6의 이미지에서 프레임 최대값은 181이므로 계조 181 이상의 픽셀 데이터들은 클리핑된다. 프레임 게인은 frame gain = 255/181 = 1.4이다. 도 6의 이미지를 변조할 때 픽셀 데이터에 프레임 게인을 곱하여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여 픽셀들의 휘도를 높이고, 백라이트 유닛의 최대 휘도를 낮추어 소비 전력을 낮춘다. 프레임 게인이 곱해진 변조후 데이터 값이 255를 넘는 최상위 계조값으로 포화되므로 255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은 이미지에 따라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 즉, annoyance level을 더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에 누적 카운트 방법만으로는 도 3 및 도 4의 이미지에서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을 구분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이미지에 따라 프레임 최대값이 다르게 계산되어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 누적 카운트 방법은 클리핑 아티팩트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프레임 게인을 이미지에 따라 최적화하여 각각의 이미지에서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 없이 소비 전력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데이터 클리핑 장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 구동부, 백라이트 유닛(200), 광원 구동부(202)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라인들(DL), 데이터라인들(DL)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또는 스캔라인들, GL),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들을 포함하여 입력 이미지를 표시한다.
픽셀들 각각은 액정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을 포함한다. 액정셀은 TFT를 통해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픽셀전극과,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 간의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분자들을 이용하여 광의 위상을 지연시켜 데이터에 따라 투과율을 조정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액정셀의 전압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유지시킨다. TFT는 게이트라인(GL)으로부터의 게이트펄스에 따라 턴-온(turn-on)되어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액정셀의 픽셀전극에 공급한다.
표시패널(100)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 알려져 있는 어떠한 액정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200)과 광원 구동부(202)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 또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 아래에 배치되어 그 표시패널(100)에 빛을 조사한다. 광원 구동부(202)는 백라이트 유닛(200)의 광원들에 전류를 공급하여 그 광원들을 발광시킨다. 광원 구동부(202)는 도 8과 같은 백라이트 제어부(18)로부터의 디밍 신호(DIM)에 따라 광원들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광원들의 휘도를 조정한다. 광원 구동부(202)는 디밍 신호(DIM)에 따라 펄스폭이 가변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로 광원들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광원들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02), 게이트 구동부(104), 타이밍 콘트롤러(110)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10)로부터 수신되는 변조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들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전압을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04)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과 동기되는 게이트펄스를 게이트라인들(GL)에 공급하고, 그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킨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호스트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이미지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02)로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동기되어 호스트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된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메인 클럭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02)와 게이트 구동부(10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도 8과 같은 데이터 클리핑 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 게인으로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고 백라이트의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DIM)를 발생한다.
호스트 시스템(120)은 TV(Television)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20)은 스케일러(scaler)를 이용하여 입력 이미지의 해상도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타이밍 신호와 함께 타이밍 콘트롤러(110)로 전송한다.
데이터 클리핑 장치는 타이밍 콘트롤러(110)에 내장될 수 있다. 데이터 클리핑 장치는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서 상위 계조의 픽셀 데이터를 클리핑한다. 그리고 데이터 클리핑 장치는 프레임 게인(S)으로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고 디밍 신호를 조절한다.
데이터 클리핑 장치는 도 8과 같이, 히스토그램 생성부(11), 제1 누적 카운트 생성부(12), 제2 누적 카운트 생성부(13), 비교부(14), 데이터 변조부(16), 및 백라이트 제어부(18) 등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히스토그램 생성부(11)는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히스토그램은 도 1 및 도 2의 예와 같이 계조별 누적 픽셀 수를 나타낸다.
제1 누적 카운트 생성부(12)는 종래 기술의 누적 카운트 방법 즉,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CN = Np + N으로 계산한다. N은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의 픽셀 개수이고, Np는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1의 픽셀 개수이다.
제2 누적 카운트 생성부(13)는 제1 누적 카운트 생성부(12)로부터 앞서 입력 받은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CN -1 = Npp + Np)에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CN)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DN = CN-1 + CN)을 출력한다. Npp는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2의 픽셀 개수이다.
비교부(14)는 소정의 문턱값을 저장한다. 비교부(14)는 제2 누적 카운트 생성부(13)로부터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DN)을 문턱값과 비교하여 이차 누적 이차 누적 카운트값(DN)이 문턱값 이하이면 제1 누적 카운트 생성부(12)에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을 전송한다. 제1 누적 카운트 생성부(12)는 비교부(14)로부터 인에이블 신호가 수신되면 히스토그램의 계조를 낮추어 그 계조에서 누적 카운트 동작을 계속한다. 비교부(14)는 이차 누적 카운트값(DN)이 문턱값 보다 크면 그 직전에 저장된 이차 누적 카운트값의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도 2의 Frame max)으로서 출력한다.
데이터 변조부(16)는 프레임 게인(S)을 S = 255/frame max 으로 계산하여 얻는다. 그리고 데이터 변조부(16)는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프레임 게인(S)을 곱하여 픽셀 데이터를 변조한다. 변조된 픽셀 데이터는 타이밍 콘트롤러(110)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102)로 전송된다.
백라이트 제어부(18)는 데이터 변조부(16)로부터 프레임 게인(S)을 바탕으로 디밍 신호(DIM)를 조절하여 백라이트의 휘도를 1/S 배 또는 1/S 배 이하로 낮춘다. 따라서, 백라이트의 휘도는 프레임 게인(S)의 역수 만큼 조절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또는 annyance level)을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보여 주는 실험 결과 도면이다. 도 9의 실험 결과는 화질 평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샘플 Kodak 24장에 대한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을 보여 준다. 도 9에서 x축은 이미지 샘플 번호이고, y축은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을 보여 주는 annyance level이다. 이 실험에서, 본원의 발명자들은 평균 소비 전력 저감 효율이 20%로 조절되도록 종래 기술(fixed ratio)과 본 발명(proposed)의 문턱값을 조절한 다음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로 변조한 후, 각 이미지에 대한 annoyance level을 측정하였다. 도 9의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데이터 클리핑 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annoyance level에서 훨씬 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annyance level이 낮을 수록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가 심하다. 종래 기술의 경우에 annyance level이 0.9950 ~ 0.9990 사이에서 변동되어 사람이 느낄 수 있는 화질 열화 수준이 큰 폭으로 변동된다. 종래 기술은 annoyance level의 최저값(worst case)에 맞추어 문턱값을 고정하므로 소비 전력 저감 효과를 더 개선하기가 어렵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클리핑 아티팩트 수준이 양호하고 이미지에 따라 화질 열화를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프레임 게인을 조절하므로 사람이 느끼는 화질 열화 없이 소비 전력 저감 효율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1 : 히스토그램 생성부 12 : 제1 누적 카운트 생성부
13 : 제2 누적 카운트 생성부 14 : 비교부
16 : 데이터 변조부 18 : 백라이트 제어부
100 : 표시패널 102 : 데이터 구동부
104 : 게이트 구동부 110 : 타이밍 콘트롤러

Claims (6)

  1.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N은 양의 정수)-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계조 N의 픽셀 개수를 더하여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얻는 단계;
    상기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상기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을 얻는 단계;
    상기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클 때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으로서 정의하는 단계;
    최대 계조값을 상기 프레임 최대값으로 나누어 게인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클리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을 바탕으로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클리핑 방법.
  3.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N은 양의 정수)-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계조 N의 픽셀 개수를 더하여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얻는 제1 누적 카운터;
    상기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상기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을 얻는 제2 누적 카운터; 및
    상기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클 때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으로서 정의하고, 최대 계조값을 상기 프레임 최대값으로 나누어 얻어진 게인을 상기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클리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을 바탕으로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추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클리핑 장치.
  5. 표시패널의 픽셀들에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를 기입하는 표시패널 구동부;
    상기 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디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및
    상기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서 상위 계조의 픽셀 데이터를 클리핑하고, 게인으로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고 디밍 신호를 조절하는 클리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핑 장치는,
    상기 입력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 생성부;
    상기 히스토그램의 최상위 계조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계조 N(N은 양의 정수)-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계조 N의 픽셀 개수를 더하여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얻는 제1 누적 카운터;
    상기 계조 N-1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에 상기 계조 N의 일차 누적 카운트 값을 더하여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을 얻는 제2 누적 카운터; 및
    상기 계조 N의 이차 누적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문턱값 보다 클 때 계조 N-1을 프레임 최대값으로서 정의하고, 최대 계조값을 상기 프레임 최대값으로 나누어 얻어진 상기 게인을 상기 입력 이미지의 픽셀 데이터에 상기 게인을 곱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 장치는,
    상기 게인을 바탕으로 상기 디밍 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광원의 휘도를 상기 게인의 역수 만큼 낮추는 백라이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54650A 2014-11-07 2014-11-07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7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650A KR102171467B1 (ko) 2014-11-07 2014-11-07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4/918,487 US10720112B2 (en) 2014-11-07 2015-10-20 Method and device for clipping a gray scale level of pixels during the dimming of the backlight of a display device
CN201510750956.8A CN105590599B (zh) 2014-11-07 2015-11-06 显示装置的背光调光期间剪切像素的灰度级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650A KR102171467B1 (ko) 2014-11-07 2014-11-07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354A true KR20160055354A (ko) 2016-05-18
KR102171467B1 KR102171467B1 (ko) 2020-11-02

Family

ID=5591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650A KR102171467B1 (ko) 2014-11-07 2014-11-07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0112B2 (ko)
KR (1) KR102171467B1 (ko)
CN (1) CN10559059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362A (ko) * 2014-11-14 2016-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클리핑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335276B2 (en) 2019-05-16 2022-05-17 Silicon Works Co., Ltd. Display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of image based on ambient illumin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1478B (zh) * 2015-12-09 2019-04-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驱动电路、液晶显示器和背光调节方法
CN106098019B (zh) * 2016-06-07 2018-11-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调节显示参数的方法及电子设备
CN106873755A (zh) * 2017-02-13 2017-06-2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屏幕省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200202798A1 (en) * 2018-12-24 2020-06-25 Lincoln Technology Solutions, Inc. Video Pipeline Pixel Analysis for Full Array Local Dimming
CN111445879B (zh) * 2020-04-30 2022-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动态局部调光显示控制方法及装置、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019A (ja) * 2003-09-29 2005-04-21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ジェクタ
KR2008000190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라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46112A (ko) * 2006-11-21 2008-05-26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표시 구동 회로
KR20080062185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80095763A (ko) * 2007-04-24 2008-10-29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KR20090120388A (ko) * 2008-05-19 2009-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히스토그램에 근거한 다이나믹 백라이트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10135085A (ko) * 2010-06-10 201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질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362A (ja) * 2000-07-17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検査装置
JP3971892B2 (ja) * 2000-09-08 2007-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CN101422031A (zh) 2006-02-13 2009-04-29 夏普株式会社 运动图像再现装置以及灰度补正装置
JP4203090B2 (ja) * 2006-09-21 2008-12-24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CN101170642B (zh) 2006-10-26 2010-08-18 深圳Tcl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动态处理的方法
JP2008268717A (ja) 2007-04-24 2008-11-06 Renesas Technology Corp 画像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8184089B2 (en) * 2009-07-29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level selection for display devices
WO2011108143A1 (ja) 2010-03-02 2011-09-0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2089327B1 (ko) 2013-10-02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019A (ja) * 2003-09-29 2005-04-21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ジェクタ
KR2008000190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컨트라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46112A (ko) * 2006-11-21 2008-05-26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표시 구동 회로
KR20080062185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80095763A (ko) * 2007-04-24 2008-10-29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표시 장치, 표시 장치 구동 회로, 화상 표시 방법, 전자기기 및 화상 표시 장치 구동 회로
KR20090120388A (ko) * 2008-05-19 2009-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히스토그램에 근거한 다이나믹 백라이트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10135085A (ko) * 2010-06-10 201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질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362A (ko) * 2014-11-14 2016-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클리핑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335276B2 (en) 2019-05-16 2022-05-17 Silicon Works Co., Ltd. Display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of image based on ambient illu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90599A (zh) 2016-05-18
CN105590599B (zh) 2018-09-07
US20160133205A1 (en) 2016-05-12
US10720112B2 (en) 2020-07-21
KR102171467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467B1 (ko) 데이터 클리핑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TWI426492B (zh) 液晶顯示裝置及其局部調光方法
KR10045748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9588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KR101329969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그의 로컬 디밍 구동 방법
KR101324453B1 (ko) 로컬 디밍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329972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로컬 디밍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08001728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90335B1 (ko) 데이터 클리핑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20140340431A1 (en) Control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KR10170590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71856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디밍 커브 결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로컬 디밍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1675849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로컬 디밍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70072119A (ko)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5193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076449B1 (ko) 글로벌 백라이트 디밍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70234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로컬 디밍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2438248B1 (ko) 디밍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KR10163311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화질 제어방법
KR102658314B1 (ko) 데이터 클리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35496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소비 전력 저감 방법
KR102403008B1 (ko) 표시장치와 그 과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10049529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2892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37784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