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707A -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707A
KR20080095707A KR1020070040554A KR20070040554A KR20080095707A KR 20080095707 A KR20080095707 A KR 20080095707A KR 1020070040554 A KR1020070040554 A KR 1020070040554A KR 20070040554 A KR20070040554 A KR 20070040554A KR 20080095707 A KR20080095707 A KR 20080095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wf1k
syndrome
extract
composition
he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788B1 (ko
Inventor
박원선
손연경
김나리
윤현주
한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7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T 간격 연장 증후군(Long QT syndrome)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추출물 AWF1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진쑥 추출물인 AWF1k은 칼륨 채널의 억제로 인한 질병에 이온 통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QT 간격 연장 증후군과 같은 심장근 세포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ONG QT SYNDROME COMPRISING AN EXTRACT FROM ARTEMISIA IWAYOMOGI}
도 1은 심근 세포 하나에서 기록한 칼륨 이온 통로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도 1a는 AWF1k 추출물 약물을 처리하기 전, 도 1b는 상기 약물을 가한 후 각각 기록한 각 전압 별 칼륨 이온 통로의 활성이고, 도 1c는 상기 도 1a도 1b의 작은 그림의 화살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전류-전압 관계를 여러 세포에서의 결과를 통합하여 통계 처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심근 세포 하나의 활동 전압을 기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도 2a는 대조군과 달리 AWF1k 약물을 가하게 되면 심근 세포의 활동 전압 기간이 줄어드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여러 개의 심근 세포에서 기록한 데이타를 통계 처리한 그래프이고(이때, APD는 활동 전압 기간을 나타내며, APD50은 활동 전압이 일어나기 시작한 후 50% 재분극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도 3은 랑겐도르프(Langendorff) 방법으로 심장 전체를 관류시키면서 AWF1k 약물을 투여했을 때의 심박수의 변화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인진쑥 추출물 AWF1k을 도시하는 그래프이 다.
본 발명은 QT 간격 연장 증후군(Long QT syndrome)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추출물 AWF1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 연관 질환은 성인병의 발현 및 진행에 따라 심화되는 일이 흔한 질병으로, 현재 사망원인 중 암과 함께 1, 2위를 다투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병의 발전과 그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진행에 대해 각종 예방책과 치료법을 연구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사망률이나 완치율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심혈관 질환의 증상 완화를 위한 약제의 발명은 여전히 요구성이 높다.
심장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전류가 흘러야 하는데 이러한 전류는 심장이 정상적인 경우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심전도 상에 어떤 일정한 패턴을 보이게 된다. 만약 심장에 허혈성 괴사가 있다거나 심장에 전류가 흐르는 전선 같은 곳에 이상이 있어서 전류가 이상하게 흐른다면 그 병적인 패턴이 심전도에 나타난다.
여러 가지 심장 질환 중 심각한 결과를 일으키는 것이 QT 간격 연장 증후군(Long QT syndrome)이라는 이름이 붙은 질병이다. 이 질병은 심전도상에서 QT 간격(interval)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게 되어(0.46에서 0.47초 이상 또는 정상보다 15%이상) 하나의 증후군으로 불리우게 된 것이다. 이것이 위험하다고 하는 이유는 QT 간격이 길어지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QT 간격 연장 증후군은 심장 세포 중 특히 심실 세포의 활동 전압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 활동 전압 간격이 정상의 경우보다 길게 나타나 심전도에서 QT 간격이 정상의 경우보다 길어지는 것이다. 즉, QT는 심장 중에서 심실이라고 하여 심장에서 전신으로 혈액을 뿜어내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하는 곳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부분을 나타내는데 QT 간격이 연장되어 있다면 심실빈맥이라고 하여 심실이 정상보다 빨리 뛰는 것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심장이 갑자기 정지하거나 급사하거나 졸도 혹은 실신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을 QT 간격 연장 증후군(long QT syndrome)이라고 한다.
대개의 경우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활동 전압에 따라 개폐되는 심실 세포의 각종 이온 통로 중에서 칼륨 채널의 이상 활동이라고 보고되어 있다. 이 질병은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기 때문에 심전도 검사 혹은 실신, 졸도 등의 증상으로 내원한 후 진단과정에서의 검사로 병을 발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감정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무리한 상황에 이르게 되면 심장 박동이 빨라지는 것이 정상인데 QT 간격 연장 증후군 환자의 경우 이렇게 빨라진 심장 박동이 심실 빈맥을 초래하여 관상 동맥 내의 혈류를 억제, 심정지 및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QT 간격 연장 증후군은 정상 상태에서는 크게 자각 증상이 없음으로 인하여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정확한 통계 조차 할 수 없는 실정이며, 따라서 병의 심각성에 대해 여러 가지 우려를 낳고 있다.
QT 간격 연장 증후군은 두가지로 분류 될 수 있는데, 하나는 선천적이고 다른 하나는 후천적인 것으로 분류가 된다. 선천적인 것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세포내의 나트륨, 칼륨 펌프가 유전적으로 이상이 발생하여 심장 전기 자극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에도 그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유전자적 요소가 하나씩 밝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심근세포에 존재하는 칼륨 이온 채널의 변형이 유전적으로 QT 간격 연장 증후군에 관련되어 있음이 알려졌다. 그러나, 유전자적 요소만이 QT 간격 연장 증후군의 원인인지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후천적인 것은 다양한 약물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여러 가지 부정맥(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 약물들(예를 들면, 퀴니딘(quinidine), 프로카인아미드(procainamide), 소탈롤(sotalol), 아미오다론(amiodarone) 등), 우울증 약물(삼환계 항우울제), 소화기능 개선제인 시스아프리드(cisapride), 항히스타민제 중의 일부, 케토코나졸(ketoconazol)이라는 무좀약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또한, 항생제 중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에 의해서도 종종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선천적인 QT 간격 연장 증후군은 기절, 실신(syncope), 간질유사증상과 유사한데 정확한 진단은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한다. 즉, 스트레스용으로 여러가지 약물, 청각자극, 정신적 스트레스, 운동 등을 주면서 심전도를 시행하여 QT 간격이 늘어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이 발생하는지 여부, 24시간 안에 생활하면서 QT 간격이 갑자기 늘어나는 경우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24시간 심전도를 수행한다. 약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는 약을 중단하고 나서 QT 간격이 정상화되는지를 확인한다.
약물에 의해서 발생한 후천적인 QT 간격 연장 증후군은 대개의 경우 약물을 중단하면 자연히 호전되며, 선천적 QT 간격 연장 증후군의 가능성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는 보통은 실신 등의 질환이 이전에 없었다면 약물치료 없이 관찰하거나, 베타 차단제를 적정용량 처방한다. 또한, 실신의 과거력이 있거나 가족 중에 급사를 한 경우가 있다면, 최대 용량의 베타차단제를 복용해야 하며, 주치의가 고위험군으로 판단한다면 급사예방을 위해 심장내 제세동기(ICD, intracardiac-defibrillator)를 시술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이 ICD 시술의 사례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QT 간격 연장 증후군병에 대하여 각종 칼륨 이온 채널에 대한 억제제를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에 따른 부작용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심장에서만 발현되는 이온통로는 없으며, 병의 원인 중 하나로 밝혀진 이온 통로들도 심장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칼륨 채널이 증상의 원인이기는 하지만, 그 억제제를 투여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QT 간격 연장 증후군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면서 다른 장기에는 해를 주지 않는 약제의 개발이 절실한 현실이다.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은 국화과(composition)에 속하는 번식력이 매우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국에 자생하고 있으며 더위지기라고도 불린다. 이 식물은 우수한 녹엽 단백질원으로써 필수 지방산, 회분량, 섬유소량이 많아서 영양학적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식품이다(Ahn, BM, J. Korea Liver, 2000, 6(4 : 548∼551); Hwang, et al., J. Korean Soc. Nutr., 1998, 31(4): 799∼808; Nam, SM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2): 338∼343). 인진쑥의 효능에 대하여 보고된 종래 연구들을 살펴보면 김 등(Kim, KS. and MY Le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6, 25(4): 581∼587)과 이 등(Lee, GD et al., J. Korean Soc. Food Nutr., 1992, 21(1): 17∼22)은 쑥의 물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간 기능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고, 남 등(Nam, SM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2): 338∼343)과 임 등(Lim, SS et al., J. Korean Soc. Food Nutr., 1997, 30(7): 797∼802; Lim, SS. and JH Lee, J. Korean Nutr., 1997, 30(3): 224∼251)은 고지혈증 흰쥐에서 혈지질 및 간지질 수치가 저하됨을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구들은 인진쑥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제나 비만 치료용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인진쑥은 신체에서 전반적인 면역력 강화에 기여한다고 알려진 약물로, 그 부작용이 화학적인 방법으로 새로 합성한 다른 약물에 비하여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진쑥 추출물이 심장 질환과 관련된 질환에 이용될 수 있다는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 기능 강화 및 면역력 증진에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알려진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다양한 기능을 연구하던 중, 인진쑥의 추출물 중 수용성 부분인 AWF1k가 심장 질환, 특히 QT 간격 연장 증후군의 치료에 효과적이면서도 기타 다른 장기에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 약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QT 간격 연장 증후군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추출물 AWF1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WF1k은 말린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을 고압 수증기로 훈증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증류수를 전개액으로 Sephadex G-50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WF1k는 250~270 ㎚의 파장을 흡수하는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분획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AWF1k는 당 잔기 및 UV 흡수 친수성 잔기를 함유하는 1 kDa 이하의 소분자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조성물 중 AWF1k의 유효량은 0.1~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QT 간격 연장 증후군을 보이는 심장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용 조 성물을 제시한다. 상세하게는 인진쑥의 추출물인 AWF1k의 약효를 QT 간격 연장 증후군에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QT 간격 연장 증후군은 심장근 세포의 각종 이온 통로 중에서 특히 칼륨 채널의 억제로 인하여 활동 전압의 간격이 길어지는 현상이 있는 질병이다. QT 간격 연장 증후군에서는 활동 전압의 간격이 길어짐으로 인하여 휴지기가 적절치 않게 존재하며, 위급상황에서 하나의 활동 전압이 미처 다 재분극 되기 전에 또 다른 활동 전압이 발생 하여, 심장의 활동 전압 및 심전도가 일그러지게 되고, 심정지로 이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진쑥 추출물 AWF1k을 포함하는 치료용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AWF1k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 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QT 간격 연장 증후군(Long QT syndrome) 치료용 로서의 효능 증진을 위해 칼슘이나 비타민 D3를 첨가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상기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0.1-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며, 하루 2-3 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발병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시 및 복강내 투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독성 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0 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안전한 물질로 판명되었다.
AWF1k는 선행 연구 논문의 실험과정과 동일하다(Koo KA et al., Arch. Pharm. Res., 1994, 17, 371374; Hwang JS et al., Arch. Pharm. Res., 2003, 26, 294300; Ji HJ et al., Biotechnology Letters., 2005, 27, 253-257; Hwang JS et al,, Biol. Pharm. Bull., 2005, 28, 921-924). 구체적으로, 말린 인진쑥을 고압 수증기로 훈증하여 먼저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수를 전개액으로, Sephadex G-50을 이용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 농축한다. 변형 페놀 황산 에세이법과 자외선 분광법으로 각 분획에 포함된 탄수화물을 분석하여 260 ㎚ 근처의 파장을 흡수하는 분획을 AWF1k라 명명한다. 보다 정밀한 분석의 결과, 이 분획의 대부분은 당 잔기를 가지며, 자외선을 흡수하는 친수성 잔기를 가지고 있는 작은 화합물이다. 고성능 크기 분별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Agilent)로 분석한 결과, AWF1k는 분자량 1 kDa이하의 작은 분자들의 혼합물이다. AWF1k은 50 ㎎/㎖로 농축된 분획이다.
상기 AWF1k를 이용하여 뉴질랜드 흰 토끼의 심장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AWF1k의 처치는 심장근 세포의 칼륨 채널의 활성을 증가시켜(도 1 참조) 활동 전압의 간격을 짧게 만들며(도 2 참조), 심박수를 다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도 3 참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AWF1k 의 추출
AWF1k의 추출은 선행 연구 논문의 실험과정에 따랐다(Koo KA et al., Arch. Pharm. Res., 1994, 17, 371374; Hwang JS et al., Arch. Pharm. Res., 2003, 26, 294300; Ji HJ et al., Biotechnology Letters., 2005, 27, 253-257; Hwang JS et al,, Biol. Pharm. Bull., 2005, 28, 921-924).
구체적으로, 말린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을 고압 수증기로 3시간 동안 훈증하여 먼저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증류수를 전개액으로, Sephadex G-50을 이용하여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 농축하였다(Koo KA et al. (1994) Arch. Pharm. Res. 17:371374). 변형 페놀 황산 에세이법과 자외선 분광법으로 각 분획에 포함된 탄수화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60 ㎚ 근처의 파장을 흡수하는 분획인 다량의 탄수화물 및 유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획을 AWF1k라 명명하였다(도 4 참조). 보다 정밀한 분석의 결과, 이 분획의 대부분은 당 잔기를 가지며, 자외선을 흡수하는 친수성 잔기를 가지고 있는 작은 화합물(주로 2 kDa 이하)임을 알 수 있었다. 다공성 실리콘 미세구(Zorbax, PSM60)를 이용한 고성능 크기 분별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Agilent)로 분석한 결과, AWF1k는 분자량 1 kDa 이하의 작은 분자들의 혼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AWF1k은 50 ㎎/㎖로 농축된 분획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실험에서는 각 생리 식염수액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 실험 동물
각 실험은 뉴질랜드 흰 토끼의 심장을 이용하여 실험 동물 관리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토끼는 실험 전까지 정화된 공기만 드나들 수 있는 외부와 차단된 환경에서 자외선 멸균된 물과 사료로 2.0 ㎏이 될 때까지 사육하였다. 동물 실험 지 침에 따라 마취제(엔토발 50 ㎎/㎏)와 헤파린(100 U/㎏)으로 귀 정맥을 통해 주사, 마취한 후 심장을 꺼내어 실험에 이용하였다.
< 실시예 3 > AWF1k 의 추출물에 의한 심장 테스트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심장에 대하여 AWF1k의 추출물을 테스트 하였다. AWF1k은 1000배 희석(50 ㎍/㎖)된 용액으로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확인하였다.
칼륨 채널의 기록(도 1) 및 활동 전압(도 2)은 랑겐도르프 법을 이용하여 콜라게나아제로 소화, 단일 세포로 분리한 심근 세포로 하였다. 또한, 랑겐도르프 법을 이용하여 심장을 생리적 상태와 비슷하게 생리 식염수가 심장 안팎으로 드나들 수 있게 한 후 심박수를 측정하였다(도 3).
구체적으로, 도 1은 심근 세포 하나에서 기록한 칼륨 이온 통로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1a는 AWF1k 추출물 약물을 처리하기 전, 도 1b는 상기 약물을 가한 후 각각 기록한 각 전압 별 칼륨 이온 통로의 활성이고, 도 1c는 상기 1a도 1b의 작은 그림의 화살표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전류-전압 관계를 여러 세포에서의 결과를 통합하여 통계 처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심장근 세포의 칼륨 채널의 변화는 전압-고정법이라는 실험 기법을 이용하여 세포막 안팎으로 이동하는 이온의 흐름인 전류를 측정한 것이다(도 1). 그 결과, AWF1k의 처치는 대조군에 비하여 심장근 세포의 칼륨 채널의 활성을 증가시켰다(도 1).
도 2는 심근 세포 하나의 활동 전압을 기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대조군과 달리 AWF1k 약물을 가하게 되면 심근 세포의 활동 전압 기간이 줄어드는 것을 나타내고, 도 2b는 여러 개의 심근 세포에서 기록한 데이타를 통계 처리한 것이다. 이때, APD는 활동 전압 기간을 나타내며, APD50은 활동 전압이 일어나기 시작한 후 50% 재분극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상기 심장근 세포의 활동 전압은 전압-고정법이라는 실험 기법을 이용하여 세포 밖을 기준으로 하는 세포 안과의 전압차를 측정한 것이다(도 2). 그 결과, AWF1k의 처치는 대조군에 비하여 활동 전압의 간격을 짧게 만들었다(도 2).
도 3은 랑겐도르프(Langendorff) 방법으로 심장 전체를 관류시키면서 AWF1k 약물을 투여했을 때의 심박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인데, AWF1k의 처치는 대조군에 비하여 심박수를 다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3).
이와 같이, 세포 안팎을 생리적 환경과 비슷하게 한 상황에서 칼륨 채널을 통한 이온의 전류는 AWF1k의 첨가로 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칼륨 전류의 증가는 활동 전압에 영향을 주며, 특히 제 3상(phase 3)이라 일컬어지는 재분극의 변화를 초래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재분극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활동 전압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이 활동 전압의 간격에서 비롯되는 불응기를 줄이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 실시예 4 > AWF1k 추출물에 의한 급성독성 시험
본 발명에 이용된 인진쑥은 널리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어서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경구 투여시 및 복강내 투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하여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AWF1k 추출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0 g/㎏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AWF1k 추출물은 모두 랫트에서 10 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10 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진쑥 추출물인 AWF1k은 QT 간격 연장 증후군과 같이 칼륨 채널의 억제로 인한 질병에 대하여 이온 통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심장근 세포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추출물 AWF1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Long QT syndrome)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WF1k은
    ⅰ) 말린 인진쑥(Artemisia iwayomogi)을 고압 수증기로 훈증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및
    ⅱ) 상기 추출액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증류수를 전개액으로 Sephadex G-50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WF1k는 250~270 ㎚의 파장을 흡수하는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WF1k는 당 잔기 및 UV 흡수 친수성 잔기를 함유하는 1 kDa 이하의 소분자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 성물.
KR1020070040554A 2007-04-25 2007-04-25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KR10086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54A KR100868788B1 (ko) 2007-04-25 2007-04-25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54A KR100868788B1 (ko) 2007-04-25 2007-04-25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07A true KR20080095707A (ko) 2008-10-29
KR100868788B1 KR100868788B1 (ko) 2008-11-17

Family

ID=4015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554A KR100868788B1 (ko) 2007-04-25 2007-04-25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7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0150A (zh) * 2009-11-26 2012-11-0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提高过氧化物酶体增殖物活化受体δ的活性的组合物
KR20160097751A (ko)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스마비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복수 개의 비호환 전자화폐가 구비된 rf 스마트카드를 위한 충전권 매개형 원-프로세스 잔액전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0150A (zh) * 2009-11-26 2012-11-0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提高过氧化物酶体增殖物活化受体δ的活性的组合物
CN102770150B (zh) * 2009-11-26 2015-06-1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提高过氧化物酶体增殖物活化受体δ的活性的组合物
KR20160097751A (ko)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스마비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복수 개의 비호환 전자화폐가 구비된 rf 스마트카드를 위한 충전권 매개형 원-프로세스 잔액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788B1 (ko) 200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Biological active ingredients of Astragali Radix and its mechanisms in treating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Padee et al. Hypoglycemic effect of a leaf extract of Pseuderanthemum palatiferum (Nees) Radlk.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EP3040328A1 (en) New salvianolic acid compound t,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101941725B1 (ko) 두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충격단백질 유도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2008534582A (ja) リグナン系化合物の新規な用途
KR101341693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7049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47156A (ko) 노각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관절염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
Fazelipour et al. Antidiabetic effects of the ethanolic extract of Allium saralicum RM Fritsch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a mice model
EP3235503B1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RU2162704C2 (ru) ЭКСТРАКТ ИЗ Crataegus В КАЧЕСТВЕ ПРЕПАРАТ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НЕЗАПНОЙ СМЕРТИ В РЕЗУЛЬТАТЕ ОСТАНОВКИ СЕРДЦА И ВЫЗВАННЫХ РЕПЕРФУЗИЕЙ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ЫХ ПОРАЖЕНИЙ
Gaby Ginkgo biloba extract: a review
KR20080095707A (ko) 인진쑥 추출물 AWF1k를 함유하는 QT 간격 연장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CN102731597B (zh) 黄蜀葵花提取物及其化学成分的用途
KR20060034544A (ko) 지모와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4544503B2 (ja) 雲南苦丁茶成分を含有する組成物
CN110974906A (zh) 促进神经元新生的医药组合物以及利用天麻萃取物或腺苷类似物促进神经元新生的方法
US2011012955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ur cherry seed extract, use of the extract for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id extract
Jatsa et al. Evaluation of the schistosomicid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Ozoroa pulcherrima Schweinf. Roots on Schistosoma mansoni-induced liver pathology in mice and its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Peddie et al. The ethnopharmacological effects of crude extracts from Smilax balbisiana (Chainy root) rhizomes
EP2199289B1 (en) Substance for use as a medicament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related disorders
KR20160089930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0443264B1 (ko) 구아바로부터 얻은 단백질 타이로신 탈인산화 효소 1b 저해용 활성분획 추출물
Kheradmandpour et al. The effect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Ocimum basilicum on CaCl2-induced cardiac arrhythmias in rats
KR102509211B1 (ko) 이소미트라필린, 미트라필린,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