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551A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551A
KR20080095551A KR1020070040188A KR20070040188A KR20080095551A KR 20080095551 A KR20080095551 A KR 20080095551A KR 1020070040188 A KR1020070040188 A KR 1020070040188A KR 20070040188 A KR20070040188 A KR 20070040188A KR 20080095551 A KR20080095551 A KR 2008009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heating unit
heating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호
이학주
양대봉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551A/ko
Publication of KR2008009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적어도 상기 구획부가 비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열풍으로서 상기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일 측방에서 타 측방을 향하여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비티, 구획부, 가열부

Description

오븐{Oven}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7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20 : 캐비티
30 : 도어 40 : 컨트롤 장치
50 : 구획부 56 : 필름형 히터
61 : 상부 히터 62 : 하부 히터
110 : 제 1 가열부 120 : 제 2 가열부
130 : 제 3 가열부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이란, 조리 공간에 투입된 조리물을 주로 히터의 열을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물론 오븐은 보조적으로 다른 가열원을 구비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마그네트론을 장착하여 마이크로파를 별도의 가열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오븐은,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적어도 일측에 가열원이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의 오븐에 의하면, 단일의 조리 공간이 형성되므로 부피가 작은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전체 공간이 가열되어야 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고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배경하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는 오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놓인 조리물을 개별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적어도 상기 구획부가 비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열풍으로서 상기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일 측방에서 타 측방을 향하여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상기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독립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가열부에서 토출된 열풍은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토출되는 열풍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상기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독립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한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토출되는 제 1 열풍은 적어도 상기 캐비티의 일 측방에서 타 측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열부 또는 제 3 가열부에서 토출되는 제 2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타 측방에서 일 측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상기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발생된 제 1 열풍과, 상기 제 2 가열부 또는 제 3 가열부에서 발생된 제 2 열풍 및 제 3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제공되고,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20)와, 상기 캐비티(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30)와, 상기 케이싱(10)의 외부 일측에 제공되는 컨트롤 장치(40)와, 상기 캐비티(20)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50)와, 상기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열원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2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전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면은 상기 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50)는 상기 캐비티(20)에 내측에 지지부(21)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구획부(50)가 상기 캐비티(20)에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20) 내부 공간은 상부 조리 공간(20a)과 하부 조리 공간(20b)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캐비티(20) 내부 전체 공간을 사용하거나 상기 구획부(50)를 상기 캐비티(20)에 삽입하여,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 또는 하부 조리 공간(20b)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 또는 상기 하부 조리 공간(20b)에 별개의 조리물을 수용하여 동시에 조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원은 상기 캐비티(20)의 후측에 제공되는 제 1 가열 부(110)와, 상기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50)의 상측에 제공되는 제 2 가열부(120)와, 상기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50)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 3 가열부(1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는 상기 캐비티(20)의 측방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캐비티(20)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부 히터(61)와, 상기 캐비티(20)의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 히터(62)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열부(110)는, 적어도 상기 구획부(5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되어 상기 조리 공간 전체를 가열하고,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상기 제 3 가열부(130)는 적어도 상기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어 상부 조리 공간(20a) 또는 하부 조리 공간(20b)을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각 가열부(110, 120, 130)는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0)에는 공기가 상기 가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20)의 후면 중앙부에는 상기 조리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 1 가열부(11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배면 흡입구(2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2)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한 쌍의 배면 토출구(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티(2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의 공기가 상기 제 2 가열부(1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1 측면 흡입구(24)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하측에, 상기 하부 조리 공간(20b)의 공기가 상기 제 3 가열부(13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2 측면 흡입구(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 흡입구(24)의 하측에 제 1 측면 토출구(25)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 흡입구(26)의 상측에 제 2 측면 토출구(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측면 토출구(25) 및 제 2 측면 토출구(27)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배면 토출구(23)의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측면 토출구(25)는 상측에 형성되는 배면 토출구(2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측면 토출구(27)는 하측에 형성되는 배면 토출구(23)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각 흡입구(22, 24, 26)를 통하여 각 가열부(110, 120, 130) 측으로 흡입될 수 있고, 상기 각 가열부에 의해서 가열되어 상기 캐비티(20) 내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티(20)의 우측에 제 2 가열부(120) 및 제 2 가열부(130)가 제공되나, 이와 달리 상기 캐비티(20)의 좌측에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일 례로 제 1 가열부(110)의 구조가 도시되나, 상기 제 1 가열부(110)의 구조는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가열부(1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의 히터는 서로 동일한 발열량을 가지고, 상기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의 히터는 상기 제 1 가열부(110)의 히터 보다 낮은 발열량을 가짐에 있어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열부(110)는, 컨벡션 히터(111)와, 상기 컨벡션 히터(111)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캐비티(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컨벡션 팬(112)과, 상기 컨벡션 팬(112)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1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히터(111)와 상기 컨벡션 팬(112)은 커버 부재(115)에 의해서 커버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커버 부재(114)는 상기 캐비티(20)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20)의 후벽(20c)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0)의 후벽(20c)과 상기 커버 부재(114)에 의해서, 공기가 가열되기 위한 공간인 가열 챔버(1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열 챔버(116)에는 상기 컨벡션 히터(111) 및 컨벡션 팬(112)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 팬(112)의 상기 커버 부재(115)의 후측에서 관통된 모터 축(114)과 결합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부(50)의 후측에는 삽입부(52)가 돌출 성형되고, 상기 캐비티(20)의 후벽에는 상기 삽입부(52)가 결합되는 결합부(28)가 함몰 성형된다.
즉, 상기 구획부(50)가 상기 캐비티(20)에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삽입부(52)가 상기 결합부(28)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52)가 상기 결합 부(28)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구획부(50)가 상기 컨트롤 장치(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획부(50)의 장착이 감지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50)의 장착은 상기 삽입부(52)가 상기 결합부(28)에 결합됨에 따라 감지되므로, 상기 삽입부(52) 및 결합부(28)을 "감지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구획부(50)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에 제공되는 필름형 히터(5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형 히터(56)의 상하측에는 상기 필름형 히터(56)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57)가 제공되고, 상기 각 보호 부재(57)의 상측 및 하측에는 커버 부재(53)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커버 부재(53)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상부 히터(61) 및 하부 히터(62)의 발생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5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형 히터(56)는 상기 삽입부(52)가 상기 결합부(28)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 장치(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필름형 히터(56)의 작동 여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구획부(50)의 내부에 히터(56)가 추가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 또는 하부 조리 공간(20b)에 수용된 조리물을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의 종류로서, 필름형 히터(56)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구획부(5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부(50)의 상하측에 반사층(55)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상부 히터(61) 및 하부 히터(62)로부터 발생된 복사열이 조리물로 반사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조리가 가능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10)와, 상기 구획부(50)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부(220)와, 입력된 조건에 따른 작동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30)와, 상기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정보 및 상기 조작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따라, 가열원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가열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열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열부 내지 제 3 가열부(110 내지 130), 상부 히터(61), 하부 히터(62) 및 필름형 히터(56)가 포함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0)를 통하여 상기 가열원의 작동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50)의 후측에 형성되는 삽입부(52)와, 상기 캐비티(20)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52)가 결합되는 결합부(28)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작동되는 가열부의 갯수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부(50)가 상기 캐비티(20)의 내부에 장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감지부(220)에서 상기 제어부(200)로 상기 구획부(50)의 장착 신호가 전송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가열부(110) 만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0)를 통하여 상기 제 1 가열부(11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0)는 입력된 작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가열부(110)가 동작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구획부(50)가 상기 캐비티(20)의 내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상기 감지부(220)에서 상기 제어부(200)로 감지 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 만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0)를 통하여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00)는 입력된 작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가 동작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구획부(50)의 장착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작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가열부(110)가 동자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가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작동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구획부(50)의 장착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가 입력된 조건에 따라 동작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상기 제 1 가열부(110)가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작동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획부(5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생선을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가열부(11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가열부(110)가 입력된 작동 조건에 따라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생선의 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는 조리 전과정 동안 작동되거나,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되거나, 반복하여 온/오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빵을 굽고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가 입력된 작동 조건에 따라 동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빵의 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가열부(110)가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히터(61), 하부 히터(62) 및 필름형 히터(56)는 사용자가 상기 각 가열부(110, 120, 130)와 별개로 직접 동작 조건을 입력함에 따라 작동되거나,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서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조리물의 종류에 대응되는 조리 정보에 따라 상기 각 가열부(110, 120, 130)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가열부(110)와 동시에 상기 제 2 가열부(120) 또는 제 3 가열부(130)가 동작되는 경우 보다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부피가 크거나 다량의 조리물의 경우에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7에는 캐비티 내부에 구획부가 비장착된 상태에서 제 1 가열부의 작동에 따른 공기 유동이 도시되고, 도 8에는 캐비티 내부에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의 작동에 따른 공기 유동이 도시되며, 도 9에는 캐비티 내부에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 가열부가 동시에 작동될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20) 내부에 구획부(5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110)가 작동되면, 컨벡션 히터가 발열하고, 컨벡션 팬이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챔버의 내부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상기 배면 토출구(23)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20)의 내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4개의 배면 토출구(23)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20)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하는 중에 상기 도어(30)을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배면 흡입구(22)를 통하여 상기 가열 챔버로 흡입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20) 내부에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가 작동되면, 각 컨벡션 히터가 발열하고, 각 컨벡션 팬이 작동된다. 그리고, 각 가열 챔버의 내부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상기 캐비티(20)의 내부로 토출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열부(12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우측에서 상기 제 1 측면 토출구(25)를 통하여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좌측으로 유동하는 중에 상기 캐비티(20)의 좌측면을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으로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측면 흡입구(24)를 통하여 가열 챔버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가열부(13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우측에서 상기 제 2 측면 토출구(27)를 통하여 상기 하부 조리 공간(20b)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조리 공간(20b)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좌측으로 유동하는 중에 상기 캐비티(20)의 좌측면을 만나면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으로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측면 흡입구(26)를 통하여 가열 챔버로 흡입된다.
또 다른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20) 내부에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110),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40)가 작동되면, 상기 배면 토출구(23), 제 1 측면 토출구(25) 및 제 2 측면 토출구(27)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토출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열부(110)를 통하여 토출된 가열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30)를 통하여 토출된 가열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된다.
즉, 상기 각 가열부(110, 120, 130)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유동되는 중에 서로 만나 상기 조리물이 조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배면 토출구(23)의 높이와 상기 각 측면 토출구(25, 27)의 위치가 다르므로, 상기 각 토출구(23, 25, 27)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각 조리 공간(20a, 20b) 내에서 골고루 섞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 토출구(23)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와 상기 각 측면 토출구(25, 27)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토출된 즉시 만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측면 토출구(25, 27)는 상기 도어(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 측면 토출구(25, 27)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획부(5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캐비티 내부에 복수 개의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각 조리 공간은 별도의 가열부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동시에 많은 요리를 할 수 있게 되며,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작동되는 가열부가 달라지므로, 전력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복수의 가열부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 신속한 조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로서, 도 11에는 캐비티 내부에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 가열부가 동시에 작동될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캐비티(70)의 후방에는 제 1 가열부(110)가 제공되고, 상기 캐비티(70)의 우측방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제 2 가열부(120)가 제공되고,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하측에 제 3 가열부(13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70)의 후면 중앙부에는 조리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 1 가열부(11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배면 흡입구(7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70)의 좌측면에는 상기 제 1 가열부(11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좌측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토출구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좌측 토출구(73)와,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좌측 토출구(7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좌측 토출구(73, 75)는 상기 제 1 가열부(110)와 연결 덕트(72, 74)에 의해서 연통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0)의 우측면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의 공기가 상기 제 2 가열부(1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1 우측 흡입구(76)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하측에, 상기 하부 조리 공간(20b)의 공기가 상기 제 3 가열부(13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2 우측 흡입구(7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우측 흡입구(76)의 하측에 제 1 우측 토출구(77)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우측 흡입구(26)의 상측에 제 2 우측 토출구(7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우측 토출구(77) 및 제 2 우측 토출구(79)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좌측 토출구(73) 및 제 2 좌측 토출구(75)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우측 토출구(77)는 상기 제 1 좌측 토출구(7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우측 토출구(79)는 상기 제 2 좌측 토출구(75)의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좌측 토출구(73, 75) 및 좌측 토출구(77, 79)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토출구(73, 75, 77, 79)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상기 조리 공간(20a, 20b) 내에서 골고루 섞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토출구(73, 75)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와 상기 우측 토출구(77, 79)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토출된 즉시 만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좌측 토출구(73, 75)는 상기 캐비티(20)의 후벽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우측 토출구(77, 79)는 상기 도어(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110),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40)가 작동되면, 상기 좌측 토출구(73, 75) 및 우측 토출구(77, 79)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토출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좌측 토출구(73)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 부(50)의 상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1 우측 토출구(77)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상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토출구(75)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하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2 우측 토출구(79)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하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상기 각 가열부(110, 120, 130)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유동되는 중에 서로 만나 상기 조리물이 조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로서, 도 13에는 캐비티 내부에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 가열부가 동시에 작동될 때의 공기 유동이 도시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캐비티(70)의 후방에는 제 1 가열부(110)가 제공되고, 상기 캐비티(70)의 우측방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제 2 가열부(120)가 제공되고, 상기 캐비티(80)의 좌측방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하측에 제 3 가열부(130)가 제공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제 3 가열부(130)의 위치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70)의 후면 중앙부에는 조리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제 1 가열부(11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배면 흡입구(8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8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상기 제 1 가열부(11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 가 토출되는 좌측 토출구(83) 및 우측 토출구(8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토출구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 토출구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토출구(83, 85)는 상기 제 1 가열부(110)와 연결 덕트(82, 84)에 의해서 연통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20)의 우측면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상측에, 상기 상부 조리 공간(20a)의 공기가 상기 제 2 가열부(12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1 흡입구(86)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좌측면에는 상기 구획부(50)를 기준으로 하측에, 상기 하부 조리 공간(20b)의 공기가 상기 제 3 가열부(130) 측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제 2 흡입구(8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구(86)의 하측에 제 1 토출구(87)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구(86)의 상측에 제 2 토출구(8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구(87) 및 제 2 토출구(89)는 상기 좌측 토출구(83) 및 우측 토출구(85)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구(87)는 상기 좌측 토출구(83)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89)는 상기 우측 토출구(85)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토출구(83), 우측 토출구(85) 및 제 1 및 제 2 토출구(87, 89)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각 토출구(83, 85, 87, 89)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상기 조리 공간(20a, 20b) 내에서 골고루 섞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토출구(83) 및 우측 토출구(85)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와 상기 제 1 토출구(87) 및 제 2 토출구(89)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토출된 즉시 만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좌측 토출구(83) 및 우측 토출구(85)는 상기 캐비티(20)의 후벽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 토출구(87) 및 제 2 토출구(89)는 상기 도어(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구획부(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열부(110), 제 2 가열부(120) 및 제 3 가열부(140)가 작동되면, 상기 각 토출구(83, 85, 87, 89)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토출된다.
상세히, 상기 좌측 토출구(83)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상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1 토출구(87)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상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토출구(85)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하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2 토출구(89)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는 상기 구획부(50)의 하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상기 각 가열부(110, 120, 130)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캐비티(2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유동되는 중에 서로 만나 상기 조리물이 조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캐비티 내부 전체 공간을 사용하거나, 구획부를 캐비티에 삽입하여 상부 조리 공간 또는 하부 조리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부 조리 공간 또는 하부 조리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가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각 조리 공간에서 별도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피가 작거나, 소량의 조리물의 경우 구획된 일 공간에 수용하여 조리를 하면되므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물의 양이 많거나 부피가 큰 경우 다수 개의 가열부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적어도 상기 구획부가 비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열풍으로서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적어도 상기 구획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열풍으로서 상기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일 측방에서 타 측방을 향하여 토출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는 상기 각 가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구는 높이가 서로 다른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후측 또는 타 측방에서 토출되는 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의 발열량은 상기 제 1 가열부의 발열량 보다 작은 오븐.
  5.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상기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독립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가열부에서 토출된 열풍은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토출되는 열풍과 교차되는 오븐.
  6.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상기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독립적으로 가열시 키기 위한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토출되는 제 1 열풍은 적어도 상기 캐비티의 일 측방에서 타 측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2 가열부 또는 제 3 가열부에서 토출되는 제 2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타 측방에서 일 측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오븐.
  7.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조리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가열하는 제 1 가열부; 및
    상기 구획된 각 조리 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열풍으로서 독립적으로 가열하는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가 포함되고,
    상기 각 가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가열부에서 발생된 제 1 열풍과, 상기 제 2 가열부 또는 제 3 가열부에서 발생된 제 2 열풍 및 제 3 열풍은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패턴으로 유동되는 오븐.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열부는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열부 또는 제 3 가열부는 상기 캐비티의 일 측방에 제공되는 오 븐.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열부 및 제 3 가열부의 토출구는 상기 캐비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오븐.
KR1020070040188A 2007-04-25 2007-04-25 오븐 KR20080095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188A KR20080095551A (ko) 2007-04-25 2007-04-25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188A KR20080095551A (ko) 2007-04-25 2007-04-25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551A true KR20080095551A (ko) 2008-10-29

Family

ID=4015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188A KR20080095551A (ko) 2007-04-25 2007-04-25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5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359B1 (ko) * 2010-11-15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동시 조리를 위한 가변형 조리 공간을 갖는 오븐 장치
WO2012108569A1 (ko) * 2011-02-11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7007188A1 (ko) * 2015-07-03 201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WO2018024557A1 (en) * 2016-08-03 2018-02-08 Arcelik Anonim Sirketi Oven with improved operability
EP2299181B1 (de) * 2009-09-15 2019-11-06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einem Garraumteiler
WO2022115362A1 (en) * 2020-11-24 2022-06-02 Tristar Products, Inc. Dual zone multi-purpose cooking apparatu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9181B1 (de) * 2009-09-15 2019-11-06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einem Garraumteiler
KR101123359B1 (ko) * 2010-11-15 2012-03-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동시 조리를 위한 가변형 조리 공간을 갖는 오븐 장치
WO2012108569A1 (ko) * 2011-02-11 2012-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및 그 서비스 방법
US9404661B2 (en) 2011-02-11 2016-08-02 Lg Electronics Inc. Electric oven and method for servicing same
WO2017007188A1 (ko) * 2015-07-03 201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10612789B2 (en) 2015-07-03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WO2018024557A1 (en) * 2016-08-03 2018-02-08 Arcelik Anonim Sirketi Oven with improved operability
WO2022115362A1 (en) * 2020-11-24 2022-06-02 Tristar Products, Inc. Dual zone multi-purpose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634B1 (ko) 조리장치
KR101207304B1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조리기기
JP4589825B2 (ja) 加熱調理装置
KR20080095551A (ko) 오븐
US20070114222A1 (en) Steam cooking apparatus
US20060137675A1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JP4444313B2 (ja) 加熱調理器
JP4051384B2 (ja) 過熱蒸気調理器
EP2087287B1 (en) Method of controlling oven
KR100854155B1 (ko) 오븐
JP2008151442A (ja) 加熱調理器
KR20060127690A (ko) 전기오븐렌지
KR100667203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히터 제어 방법
KR20060037003A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00730964B1 (ko) 복수의 트레이를 갖는 오븐
JP2019148343A (ja) 加熱調理器
KR101082727B1 (ko) 가스오븐레인지
JP5766056B2 (ja) 加熱調理器
KR100577229B1 (ko) 전자 레인지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JP7117271B2 (ja) 加熱調理器
KR101760948B1 (ko) 조리기기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KR100714425B1 (ko) 오븐
KR100635909B1 (ko) 전기오븐
KR100676142B1 (ko) 전기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1

Effective date: 2009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