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421A -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421A
KR20080095421A KR1020070039879A KR20070039879A KR20080095421A KR 20080095421 A KR20080095421 A KR 20080095421A KR 1020070039879 A KR1020070039879 A KR 1020070039879A KR 20070039879 A KR20070039879 A KR 20070039879A KR 20080095421 A KR20080095421 A KR 2008009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r
web server
serv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하철
허수
박근봉
Original Assignee
신하철
허수
박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하철, 허수, 박근봉 filed Critical 신하철
Priority to KR102007003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421A/ko
Publication of KR2008009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웹서버 및 콜백서버가 서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전화기 및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입력된 통화요청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수신된 통화요청정보에 따라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콜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콜백서버가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로 호신호를 전송하고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방법이다.
웹브라우저, 콜백통화

Description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using web brows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콜백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와 콜백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방법에 있어서, 웹서버에 대한 접속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방법에 있어서, 웹서버에 대한 접속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정보 수신 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방법에 있어서, 웹서버에서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방법에 있어서, 콜백서버에서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를 통화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입력한 발신자 및 수신자정보를 이용하여 콜백 방식으로 발신자와 수신자를 통화 연결하는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가장 일반적인 통화 방식은 발신자가 전화기에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하는 것이다. 기존의 통화 시스템은 반드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요구하며, 이에 따라 발신자는 기억에 의해 또는 전화번호부 책자를 검색하거나, 114 전화번호 안내 등을 통해 수신자 전화번호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모를 경우에는 전화 통화가 불가능하다.
한편,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통화 기술이 기존의 전화 통화 방식을 대체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 인터넷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소위 '소프트폰')을 설치하고, 웹 화면 내에 제공되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이콘에 내재되어 있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전화의 경우에도, 마이크와 이어폰을 결합한 헤드셋 등의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인터넷 전화 전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특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 접속한 후에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야 하므로 여러가지 측면에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발신자와 수신자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모른다고 하더라도 수신자와 관련된 전화번호 이외의 정보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신자와 수신자 상호간의 전화 통화는 기존의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 통화를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헤드셋 등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방법은,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웹서버 및 콜백서버가 서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전화기 및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 템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입력된 통화요청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수신된 통화요청정보에 따라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콜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콜백서버가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로 호신호를 전송하고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정보와 웹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수신자 도메인 네임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웹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웹서버의 도메인 네임과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미리 지정된 문자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발신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계(a)에서, DNS서버가 상기 웹서버의 IP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이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서버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화번호 추출수단은,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 DB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는 상기 수신자 도메인 네임을 키워드로 하여 전화번호 DB에서 검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주소를 키워드로 상기 전화번호 DB에서 검색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는, 상기 콜백서버의 통화연결수단이 발신자 전화기에 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발신자 전화기가 응답하는 단계; 수신자 전화기에 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자 전화기의 응답에 의해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콜백서버의 통화연결수단이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에 동시에 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응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 중 다른 하나의 응답에 의해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웹서버 및 콜백서버가 서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전화기 및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는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입력되는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가 정상적인지를 판단하는 통화요청 수신수단과,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따라 발신자 전화번호및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콜 백서버로 전송하는 전화번호 추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상기 웹서버에 의해 전송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수신자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로 호신호를 전송하고 상호 통화 연결하는 통화연결수단을 포함하는 통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개요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시스템은 유무선 인터넷(10)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20), DNS서버(30), 웹서버(40) 및 콜백서버(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콜백서버(50)는 유무선 전화망(60)을 통해 발신자 전화 기(70) 및 수신자 전화기(80)와 연결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통상적인 개인용 PC, PDA, PMP, 휴대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는 예를 들어,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가 제공하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과 같은 웹페이지를 해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22)가 설치 및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웹브라우저(2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접속하고자 하는 웹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주소입력창(도 3의 102 참조)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웹브라우저(22)를 실행하고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소입력창에 통화요청정보를 입력하여 웹서버(40)로 전송한다.
상기 DNS서버(3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22)의 주소입력창에 입력한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웹서버의 IP주소로 전환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웹브라우저(22)의 주소입력창에 입력한 URL 정보를 수신하여 웹서버(40)의 IP주소로 변환하여 응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웹서버(40)는 인터넷(1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콜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하여 발신자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콜백서버(50)는 상기 추출된 발신자와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따라 유무선 전화망(60)을 통해 콜백 방식으로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를 연결한 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40)는 인터넷(10)을 통해 콜백서버(50)와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또 다른 대안으로서, 웹서버(40)는 콜백서버(50)와 동일 서버로 구축되거나 또는 LAN이나 WAN 등의 근거리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전화망(60)은 통상적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 또는 PSTN망과 연결된 무선통신망 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상기 발신자 전화기(70)와 수신자 전화기(80)는 유선전화, 무선전화, 인터넷전화, 소프트폰 등 PSTN망과 VoIP망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전화기를 포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40)와 콜백서버(50)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화요청 수신수단(42)과 수신된 통화요청정보로부터 발신자 및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추출수단(44)을 포함한다.
상기 통화요청 수신수단(42)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가 웹브라우저(22)의 주소입력창에 입력하여 전송한 URL 형식의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DNS서버(30)의 중개 기능을 거쳐 수신되는 경우와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직접 전송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화번호 추출수단(44)은 수신된 통화요청정보로부터 발신자와 수신자 의 전화번호를 각각 추출한다. 이를 위해 전화번호 추출수단(44)은 전화번호DB(46)와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 DB(46)에는 등록된 도메인 사용자의 성명과 인적사항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단말기(20)의 IP주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웹서버(40)와 접속되는 콜백서버(50)는 통화연결수단(52)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웹서버(40)로부터 수신된 발신자와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따라 콜백 방식에 의해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한다.
2. 통화요청정보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웹브라우저(22)의 화면(101) 예가 도시되어 있다.
웹브라우저의 화면(101) 내에는 주소입력창(102)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주소입력창(102)에 URL주소를 입력함으로써 해당하는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 주소입력창에 입력하는 정보의 형태는 숫자로 된 IP주소보다는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메인 네임은 예를 들어 '호스트이름.기관이름.최상위도메인'의 형식으로 구성되며, 이들 도메인 네임은 서비스의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HTTP://, FTP://, E-mail:// 등의 구분자와 함께 사용되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22)의 주소입력창에 통화요청정보를 입력한 후 이것을 웹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통화 연결을 요청하게 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통화요청정보'란 사용자에 의해 주소입력창에 입력되는 문자열 형태의 URL 정보로서, 이러한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정보와 상기 웹서버(40)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수신자와 연관된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수신자 웹 사이트의 도메인 네임(이하 '수신자 도메인 네임'이라 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웹서버 접속 정보'는 예를 들어,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웹서버(40)의 도메인 네임(주소)(예:callback.com), 또는 '080'이나 '전화'와 같이 웹서버(40)에 접속하도록 미리 지정된 문자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발신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및 웹서버 접속 정보는 주소입력창에서 입력 지원되는 특수 문자(예 : . <>, () %, *, & 등)와 스페이스 등의 구분 기호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참조번호 103 내지 107은 주소입력창(102)에 입력될 수 있는 통화요청정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참조번호 103으로 예시된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정보(전화번호) "0163761985"와 웹서버(40)의 도메인 주소 "callback.com"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가 한 개만 포함된 경우에는 수신자 전화번호로 해석된다. 생략된 발신자 전화번호는 사용자 단말기(20)의 IP주소를 이용하여 미리 정보가 등록된 전화번호 DB(46)로부터 추출가능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해 발신자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창을 제공하여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발신자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참조번호 104로 예시된 통화요청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 "0111231234"와, 수신자 전화번호 "0163761985"와, 웹서버(40)의 도메인 네임 "callback.com"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105로 예시된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도메인 네임 "회사.com"을 입력한 경우 해당한다. 상기 수신자 도메인 네임 앞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콜백 통화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웹서버 접속 정보 "080"이 부가된다. 이러한 웹서버 접속 정보는 "Call" 등과 같이 임의의 다른 문자나 기호로 대체될 수 있다.
참조번호 106으로 예시된 통화요청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 "0111231234"와, 웹서버 접속 정보 "080"와, 수신자 도메인 네임 "회사.com"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 경우, 웹서버 접속 정보 "080"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즉, 발신자 전화번호 "0111231234"와 수신자 도메인 네임 "회사.com"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 107로 예시된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의 한글 도메인 네임 "강남구청"과, 웹서버 접속 정보 "전화"로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통화요청정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신자와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연관된 다양한 정보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 의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3. 통화요청정보 입력 및 전송
본 발명의 콜백 통화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사용하여 주소입력창(102)에 통화요청정보를 입력하고 웹서버(40)로 전송하면, 웹서버(40)는 그로부터 발신자 및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콜백서버(50)가 추출된 전화번호에 따라 자동으로 호를 발생시켜 통화 채널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화요청정보가 웹서버(40)로 전송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DNS서버(30)를 경유하는 경우와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웹서버(40)로 직접 전송되는 경우이다.
3.1 DNS 서버의 중개에 의한 경우
도 4에는 사용자가 주소입력창에 입력한 통화요청정보가 DNS서버(30)의 중개에 의해 웹서버(40)로 전송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웹브라우저(22)를 실행하여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화면(101)을 얻는다. 원하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사용자는 웹브라우저(22)의 주소입력창(102)에 통화요청정보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DNS서버(30)로 전송한다(단계 S100).
URL방식의 통화요청정보는 DNS서버(30)로 전송되며, 이를 수신한 DNS서버(30)는 상기 URL정보가 통상적인 도메인 주소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110), 만약 통상적인 도메인 주소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웹 사이트의 IP주소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IP주소에 따라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단계 S120).
상기 단계 S110에서 만약 URL정보가 통상적인 도메인 주소가 아니라면, DNS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 웹서버(40)에 접속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30)
만약 URL정보가 웹서버(40)에 접속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DNS서버(30)는 상기 웹서버(40)의 IP주소를 사용자 단말기(20)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가 웹서버(40)에 접속되도록 한다(단계 S140). 여기서, 웹서버(40)에 접속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란, 예를 들어, 통화요청정보에 7자리 이상의 숫자(전화번호)(즉, 수신자 정보 또는 부가적으로 발신자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웹서버(40)의 도메인 네임(주소)(예:callback.com)나 전술한 '080' 또는 '전화'와 같은 웹서버 접속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이다.
만약 그러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DNS서버(30)는 URL정보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예컨대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와 같은 에러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것이다(단계 S150).
3.2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에 의한 경우
도 5에는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웹서버(40)에 접속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20)에 미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은 별도로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22)에 플랫폼 형태로 내장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웹브라우저(22)의 주소입력창(102)에 통화요청정보를 입력하고 접속을 시도한다(단계 S200).
그러면, 상기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상기 URL방식의 통화요청정보에 웹서버(40)에 접속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210).
만약,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그러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은 웹서버(40)의 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웹서버(40)로 전송한다(단계 S220). 반대로, 통화요청정보에 그러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통상적인 URL주소로 판단하고 이를 DNS서버(30)로 전달한다(단계 S230).
4. 전화번호 인식
상기 과정에 따라 통화요청정보가 웹서버(40)로 전송되면, 웹서버(40)는 수신된 통화요청정보로부터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콜백서버(5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전송되는 통화요청정보는 웹서버(40)의 통화요청 수신수단(42)에 의해 수신되고(단계 S300), 상기 통화요청 수신수단(42)은 수신된 통화요청정보가 기준에 부합하는 정상적인 정보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10). 이러한 판단은 통화요청정보가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또는 그러한 정보가 정상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만약, 정상적인 정보가 아니라면 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해 에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20).
수신된 통화요청정보가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이어서 전화번호 추출수단(44)에 의해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상기 전화번호 추출수단(44)은 통화요청정보에서 구분 기호를 제거하여 발신자 및 수신자의 정보를 일단 분리하고, 분리된 정보로부터 각각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통화요청정보에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330), 만약 모두 포함하고 있다면 이들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콜백서버(50)로 전송한다(단계 S370).
또한 상기 단계 S330에서, 만약 통화요청정보 내에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의 전화번호가 없다면 발신자 정보 또는 수신자 정보를 참조로 전화번호 DB(46)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검색한다(단계 S340). 전술한 통화요청정보의 예에 따라 본 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참조번호 103으로 예시된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전화번호"0163761985"를 포함하지만 발신자 전화번호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 경우에, 웹서버(40)의 전화번호 추출수단(44)은 발신자의 사용자 단말기(20)의 IP주소를 키워 드로 전화번호 DB(46)를 검색함으로써 연관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로 발신자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입력된 전화번호를 발신자 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105의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도메인 네임 정보 "회사.com"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웹서버(40)는 상기 도메인 네임을 키워드로 하여 전화번호 DB(46)를 검색함으로써 관련된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발신자 전화번호는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20)의 IP주소를 이용하여 검색하거나, 입력창을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참조번호 107의 통화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의 한글 도메인 네임 "강남구청"을 사용하여 전화번호 DB(46)를 검색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검색과정에서 해당하는 전화번호가 없거나 관련 키워드에 오류가 있는 등의 이유로 검색에 실패하는 경우에는(단계 S350), 사용자가 직접 해당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단계 S360).
이상과 같이 검색된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는 콜백서버(50)로 전송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된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그 리스트를 표시한 안내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통신 품질과 비 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신자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5. 통화 연결
웹서버(40)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가 전송되면, 콜백서버(50)의 통화연결수단(52)은 각각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신호를 전송하고 통화 연결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콜백 서버(50)의 통화연결수단(52)은 발신자 전화기(70)에 먼저 호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400).
그런 다음, 발신자 전화기(70)의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410), 만약 응답이 있으면 이어서 수신자 전화기(80)에 호를 전송한다(단계 S420). 이때, 발신자는 발신자 전화기(70)를 통해 수신자 전화기(80)의 링백톤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신자가 수신자 전화기(80)를 통해 응답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430), 만약 수신자의 응답이 있으면 발신자 전화기(70)와 수신자 전화기(80)는 서로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단계 S440).
상기 콜백서버(50)는 발신자 전화기(70)와 수신자 전화기(80)에 전화를 다시 걸거나, 전화를 끊게 하거나, 또는 발신자 전화기(70)와 수신자 전화기(8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이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콜백서버(50)는 발신자 전화기(70)와 수신자 전화기(80)에 동시에 호신호를 전송하여 어느 일방이 먼저 응답할 경우 상대방이 응답하기를 기다렸다가 상대방이 응답을 하면 상호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방식도 적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에 따르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알지 못하더라도 상대방과 관련된 기타 정보 즉, 도메인 주소를 알고 있으면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화 시스템은 콜백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발신자가 요금을 부담하는 전통적인 전화요금 시스템의 원칙을 벗어나 수신자가 요금을 부담하는 등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인터넷을 통해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URL정보를 입력하면 통화가 가능하므로 콤퓨터에 헤드셋 등의 별도의 장비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전화 통화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방화벽에 구애없이 어느 지역에서든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웹서버 및 콜백서버가 서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전화기 및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입력된 통화요청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가 수신된 통화요청정보에 따라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콜백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콜백서버가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로 호신호를 전송하고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정보와 웹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수신자 도메인 네임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웹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웹서버의 도메인 네임과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도록 미리 지정된 문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발신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DNS서버가 상기 웹서버의 IP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이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사용 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웹서버로 직접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전화번호 추출수단은, 발신자 전화번호와 수신자 전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 DB로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는 상기 수신자 도메인 네임을 키워드로 하여 전화번호 DB에서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주소를 키워드로 상기 전화번호 DB에서 검색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콜백서버의 통화연결수단이 발신자 전화기에 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발신자 전화기가 응답하는 단계;
    수신자 전화기에 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자 전화기의 응답에 의해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콜백서버의 통화연결수단이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에 동시에 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응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 중 다른 하나의 응답에 의해 상호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방법.
  12.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웹서버 및 콜백서버가 서로 접속가능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발신자 전화기 및 수신자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는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웹브라우저의 주소입력창에 입력되는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가 정상적인지를 판단하는 통화요청 수신수단과, 상기 통화요청정보에 따라 발신자 전화번호및 수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콜백서버로 전송하는 전화번호 추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콜백서버는, 상기 웹서버에 의해 전송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수신자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전화기와 수신자 전화기로 호신호를 전송하고 상호 통화 연결하는 통화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정보는, 수신자 정보와 웹서버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DNS서버의 중개에 의해 상기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웹서버 연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시스템.
KR1020070039879A 2007-04-24 2007-04-24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KR20080095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879A KR20080095421A (ko) 2007-04-24 2007-04-24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879A KR20080095421A (ko) 2007-04-24 2007-04-24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421A true KR20080095421A (ko) 2008-10-29

Family

ID=4015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879A KR20080095421A (ko) 2007-04-24 2007-04-24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4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99B1 (ko) * 2010-11-24 2013-07-15 주식회사 노스텍통신 콜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007134A1 (ko) * 2015-07-03 2017-01-12 정재학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99B1 (ko) * 2010-11-24 2013-07-15 주식회사 노스텍통신 콜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007134A1 (ko) * 2015-07-03 2017-01-12 정재학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34102B2 (en) 2015-07-03 2019-06-25 Jae-Hak Ju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control in fixed-mobile convergen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52B1 (ko)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1534B1 (ko) Ip 전화 시스템, ip 전화 장치 및 착신 유저 식별 방법
US20070189267A1 (en) Voice Assisted Click-to-Talk
US96809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hannel augmented auto attended voice response systems
EP1901537A1 (en) General intellectual click-to-dial method and the software structure thereof
JPH10322465A (ja) ウェブ・フォーン・ダイヤラー・システム
JP2006222815A (ja) 電話発信要求装置、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171566A (ja) Sipの言語選好に基づいたスクリプト選定
US98752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language translation setting for a telephony communication
KR102387806B1 (ko) 전화 통화시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1936937A2 (en) Call server selection
KR20080095421A (ko)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KR100884196B1 (ko) 전화 자동 연결을 지원하는 웹 검색 결과 표시 방법
JP5916169B2 (ja) 通信を開始するためにモバイルデバイスをアクティブ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01655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pc上のブラウザ表示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JP5283109B2 (ja) 通話制御システム及び通話制御方法
US104622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riving contact names
KR100989735B1 (ko) 콜백 서비스용 가상의 식별번호 생성과 사용을 통한 콜백 통화 방법의 개선된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5073181A (ja) Ip電話機
KR20040009129A (ko) 유동 ip 인터넷 폰과의 통화 방법
KR100846539B1 (ko) 클릭콜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 콜 센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5266144B2 (ja) 複数端末通話システム、複数通話提供装置、複数端末通話方法及び複数端末通話プログラム
KR102337214B1 (ko) 전화 통화시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6563B1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0505090B1 (ko) 인터넷도메인주소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