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563B1 -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563B1
KR100846563B1 KR1020060098618A KR20060098618A KR100846563B1 KR 100846563 B1 KR100846563 B1 KR 100846563B1 KR 1020060098618 A KR1020060098618 A KR 1020060098618A KR 20060098618 A KR20060098618 A KR 20060098618A KR 100846563 B1 KR100846563 B1 KR 10084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web browser
subscriber
addres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763A (ko
Inventor
서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09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563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접속 중인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필요없이,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특정문자열의 입력만으로 원하는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접속하여 작업중인 인터넷 사이트에서 벗어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없이, PC 등에서 작업을 계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주소창에의 문자열 입력에 의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의 검색도 가능하다.
웹브라우저 주소창, 전화

Description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ONE CALLING SERVICE BY USING URL ADDRESS WINDOW OF WEB BROW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인 전화연결서비스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수행과정을 네트워크 구성주체 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수행시, 가입자 단말 화면상에 나타내는 모양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수행시, 가입자가 전화를 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 요청하고 검색결과를 수신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도.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접속 중인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필요없이,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특정문자열의 입력만으로 원하는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었고 현재도 그러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현재 접속하여 작업중인 인터넷 사이트에서 벗어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해야 하고, 또한 접속해서도 여러 단계의 마우스 클릭 단계를 거치는 등, 한통의 전화를 걸기 위해 귀찮은 과정들을 거쳐야 한다.
또한 현재 작업 중인 PC와 유선 전화기가 한자리에 있지 않고 떨어져 있을 경우, 종래에는 하던 작업을 중단하고 전화가 있는 자리로 가서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0-2004-0068858호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인터넷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인터넷을 통하여 해당 번호로 직접 다이얼링하기 위한, 웹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전화의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전화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상기 발명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현재 접속하여 작업중인 인터넷 사이트에서 벗어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없이, PC 등에서 작업을 계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주소창에의 문자열 입력에 의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를 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주소창에의 문자열 입력만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게 하면서도, 입력하는 문자열의 간단한 변형만으로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간단한 클릭만으로 그 번호에 전화걸 수 있도록 해 주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PC 화면에 바로 이를 알려주어 그때 비로소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PC에서 하던 작업을 중단하고 전화가 있는 자리로 가서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대기할 필요없이 현재 PC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단말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된,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이, 인터넷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사용자에게 전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이라 한다)으로서, (a) 인터넷을 통하여,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자(이하 가입자라 한다)가 자신의 단말의 인터넷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전화연결 요청임을 나타내는 특정 문자열(이하 서비스 식별자라 한다)을 포함하는 일련의 문자열(이하 주소창 입력 문자열이라 한다)을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을 분석하여 전화연결서비스를 요청하는 문자열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d)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하여 전화연결 요청한 상기 가입자의 전화 및, 상기 가입자가 연결요청한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하여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 및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 중 일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경우, 그 전화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단계; (f) 상기 통화대기음 송출 중 나머지 일방이 전화를 받았을 경우 통화대기음을 중단시키는 단계; (g) 상기 가입자 및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이 모두 전화를 받았을 경우, 상기 가입자 및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 간에 호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와 단계(c) 사이에, (b1) 상기 가입자의 로그인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로그인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가입자에게 로그인 창을 전송하고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a)의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은,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 문자열(이하 전화번호문자열이라 한다)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c)에서,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상기 전화번호문자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a)의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은,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이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상기 상대방이 상기 서비스 가입시에 등록한 닉네임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c)에서,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상기 닉네임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a)의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은,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c1) 수신한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에, 상기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이 포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전화연결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c3) 검색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인터넷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4) 상기 가입자가, 수신한 상기 전화번호 목록으로부터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로서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5) 상기 단계(c4)에서 수신한 전화번호를,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e)와 단계(g) 사이에, (e1)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경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인터넷 단말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았음을 알리는 메시지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계(g) 이후, (h) 통화를 종료했을 때,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인터넷 단말로, 통화시간을 포함하는 통화내역 정보 메시지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단말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되어, 인터넷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사용자에게 전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가입자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을 수신하여 이를 IP 주소로 해석하며, 상기 수신한 문자열에서, 전화연결요청임을 나타내는 특정 문자열(이하 서비스 식별자라 한다)을 인식한 경우에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서비스 시스템 내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로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도메인네임 서버(이하 DNS라 한다); 상기 DNS가 보낸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지능망 교환시스템을 통하여 가입자와 전화연결 상대방 간에 전화가 연결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서버;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로부터의 호 연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를 요청하는 호임을 판단하여 전화연결 요청자인 가입자의 전화와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 간에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지능망교환 시스템; 및, 전화연결 요청자와 전화연결 상대방 중 일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때,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지능망 교환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당해 전화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통화대기음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홈페이지 접속자에게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서비스 가입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전화연결서비스 서버에 전달하는 포탈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화대기음은 상기 가입자가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통화대기음 서버는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대기음 정보를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DNS가 보내는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DNS 메시지 수신모듈;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가 로그인 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며, 로그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에게 로그인 화면을 송신하고,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가입자의 로그인정보,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가입자인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로서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로부터,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내용을 해석하는 문자열 해석모듈; 상기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와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 전화와의 호 연결요청을 지능망교환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지능망교환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된 문자열의 해석 및 이에 따른 전화연결 서비스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화연결 서비스 서버는, 가입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가입자가 전화번호 검색요청시 상기 가입자가 저장시켜 놓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전화번호 목록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연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지능망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와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 전화와의 호 연결시간 및 호 종료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처리를 담당하는 과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이 인터넷이 가능한 가입자 단말(10.N), 상기 가입자의 전화(11.N) 및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20.N)와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통신망이라 함은 LAN, WAN, 인트라넷 및 이와 유사한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전용망, 공중전화 망(PSTN)을 포함하는 유선망과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IMT2000과 같은 무선망 뿐만 아니라 광대역통신망(BcN)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은 DNS(Domain Name Server)(110),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 및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으로 구성되며, 포탈서버(140), 통화대기음 서버(15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 기능은 이하에서 기술한다.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하려는 자는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10.N)에서,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의 포탈서버(140)가 제공하는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이후에는 컴퓨터에서 인터넷 사용 중 간단히 현재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특정 문자열을 입력함으로써 타인의 전화로 전화를 걸 수 있다.
DNS(Domain Name Server)(110)는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10.N)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을 특정 IP 주소로 해석하여 그 IP 주소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자는, 상기 DNS(110)의 IP 주소를, 웹브라우저가 최초 액세스하는 DNS의 IP 주소로서 자신의 단말(10.N)에 설정해 놓아야 한다. 이렇게 할 경우, 가입자가 단말(10.N)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특정 문자열을 입력했을 때, 상기 DNS(110)가 그 문자열을 최초로 수신하여 본 서비스 수행을 위한 서버(120)로 그 처리를 넘길 수 있게 된다.
DNS(110)가 본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서버(120)로 그 처리를 넘기는 방식은 여러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먼저 ‘IP 주소의 오류처리’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는 특정 문자열의 끝에 “.님”을 입력한다면, 상기 DNS(110)는 그 문자열에 매칭되는 IP 주소가 없음을 인식하고 이때의 처리를 담당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처리를 넘긴다. 이때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일종의 IP 주소 오류처리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는 DNS(110)에 우선처리 루틴을 넣어, 전술한 “.님” 문자열을 인식시에는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에 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서비스의 처리를 넘기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DNS(110)로부터 처리를 넘겨 받은 후, 입력된 문자열을 해석하여 전화연결 서비스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01012345678.님”과 같은 문자열을 가입자가 입력했다면, 그 문자열을 넘겨받은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로부터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임을 판단하며, 이에 따라 뒷부분의“01012345678”은 전화를 걸려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인식하여 전화연결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그 텍스트 구성은 여러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은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부터의 호 연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를 요청하는 호임을 판단하여 전화연결 요청자인 가입자의 전화(11.N)와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20.N) 간에 호의 연결과정을 수행한다.
포탈서버(140)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홈페이지 접속자에게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서비스 가입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서비스 수행 중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웹페이지 형식으로 보내주는 역할도 담당한다. 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화번호 검색요청시 검색된 전화번호들을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가 보내오면 이를 웹페이지 형식으로 가입자 단말(10.N) 화면에 송출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서비스 수행시 실제 가입자 단말(10.N)의 화면 상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의 일 구성요소인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제어부(120.1), DNS 메시지 수신모듈(120.2), 인증모듈(120.3), 문자열 해석모듈(120.4), 지능망 교환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120.5),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0.6),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0.7),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모듈(120.8), 포탈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9) 및 과금모듈(120.10)을 구비한다.
제어부(120.1)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전화연결 서비스 서버(120)가 DNS(110)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의 해석, 전화연결 상대방의 단말번호 파악 및 이로부터 지능망시스템을 통한 전화연결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DNS 메시지 수신모듈(120.2)은 가입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을 수신한 DNS(110)가 특정문자열(예를 들어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자열 끝부분의“.님”)을 인식한 후 이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기 위하여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보내는 메시지, 즉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인증모듈(120.3)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자가 로그인 된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이미 로그인된 상태인 경우 서비스를 진행하지만, 로그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자에게 로그인 화면을 송신하고, 이후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로그인 과정을 수행한다.
문자열 해석모듈(120.4)은 가입자인 상기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을 해석한다. 그 문자열은 DNS(110)가 특정문자열(예를 들어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자열 끝부분의“.님”)을 인식한 후 이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기 위하여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보내는 메시지, 즉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오게 된다. 문자열 해석모듈(120.4)은 전화연결 요청인지, 어느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야 하는지, 전화연결 상대방 전화번호의 검색요청인지 등을 파악한다. 이와 같은 문자열 구조의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지능망 교환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120.5)은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20.N)와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11.N)와의 호 연결요청을 지능망교환 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상기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으로부터 전화연결 서비스 수행과 관련한 메시지를 수신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0.6)는 서비스 가입시 등록한 가입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0.7)는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모듈(120.8)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저장되는 전화번호는 가입자가 자신이 문자메세지를 보낼 상대방의 전화번호이며, 가입자별로 DB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입자(10.N)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전화연결 서비스를 요청하는 문자열 입력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검색요청하는 특정문자열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0.7)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모듈(120.8)을 통해 제공받아 화면상에 내려 받아, 이로부터 선택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모듈(120.8)은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전술한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0.7)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의 전화번호 검색요청에 의해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120.7)에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포탈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20.9)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가입 또는 서비스의 수행 중 나타나는 화면내용과 관련된 메시지를 포탈서버(140)와 송수신한다.
과금모듈(120.10)은 상기 지능망교환 시스템(130)으로부터, 상기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20.N)와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11.N)와의 호 연결시간 및 호 종료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처리를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수행과정을 네트워크 구성주체 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서비스의 가입자는 자신의 단말(10.N)에서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특정문자열을 입력함으로써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에 전화연결 서비스를 요청한다(S301). 상기 특정문자열은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이 인식할 수 있는 문자열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01012345678.님”과 같이 입력했다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님”부분에 의해,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부분에 의해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임을 인식하며, “01012345678”부분을 전화를 걸려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물론 문자열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DNS(110)는 문자열을 수신하여 본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그 처리를 넘기는데(S302), 그 처리를 넘기는 방식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먼저 ‘IP 주소의 오류처리’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는 특정 문자열의 끝에 “.님”을 입력한다면, 상기 DNS(110)는 그 문자열에 매칭되는 IP 주소가 없음을 인식하고 이때의 처리를 담당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처리를 넘긴다. 이때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일종의 IP 주소 오류처리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한다.
또는 DNS(110)에 우선처리 루틴을 넣어, 전술한 “.님” 문자열을 인식시에는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에 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처리를 넘기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결국 이런 개념을 모두 수용하는 용어로서 본 도면에서는 ‘전화연결서비스 요청’(S302)과 같이 표시하였다.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문자열을 입력한 자가 이미 로그인 된 상태에 있는 자인지를 판단하여(S303),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 단말(10.N)로 로그인 창을 전송하고 ID 및 패스워드 등의 입력에 의한 로그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304). 로그인 되면,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DNS(110)로부터 넘겨받은 가입자 입력 문자열의 분석을 시작한다(S305). 이때의 로그인 창을 포함하여, 서비스 수행 중 가입자의 단말(10.N) 화면에 제공되는 내용들은 최종적으로 포탈서버(140)에 의해 웹페이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가입자 단말(10.N)에 전송되나, 포탈서버(140)를 거치는 과정은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다.
이때 가입자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에는 위에서 예를 든 바와 같이 “01012345678”과 같이 직접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전화번호의 검색요청 과정(S306 내지 S308)을 거치지 않으나,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 대신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을 입력한 경우에는, 가입자가 입력하여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시켜 놓은 전화번호 내용을 가입자 단말(10.N)로 송출해 줄 수 있다(S306 내지 S307). 예를 들어 “@->?.님”과 같이 입력하면 SMS 서비스 서버(120)가 “?”부분을 전화번호 검색요청으로 인식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가입자는 자신의 단말에 뜬 전화번호 목록에서 마우 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고(S308),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이를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인식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으로 가입자가 요청한 호의 연결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S309). 이때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으로 상대방의 전화번호(20.N) 뿐만 아니라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번호(11.N)까지 보내준다.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은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20.N) 뿐만 아니라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번호(11.N)로 호를 시도한다(S310,S311). 상대방 단말(20.N)이 전화를 받으면(S312)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사용중인 인터넷 단말(10.N)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았음을 알리는 메시지 화면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313). 이렇게 함으로써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하여 전화연결 요청 중인 가입자가, 전화 단말이 자리에서 떨어져 있더라도 전화 옆으로 가서 대기할 필요없이,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자신의 PC 등에서 필요한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단말(20.N)이 전화를 받으면(S312),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은 이를 인식하여 통화대기음 서버(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통화대기음을 상대방 단말(20.N)로 송출시킨다(S314,S315). 이는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11.N)가 아직 전화를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11.N)가 먼저 전화를 받았다면 상대방 전화(20.N)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그 전화(11.N)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상대방 단말(20.N)로 통화대기음 송출 중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11.N)가 전화를 받으면(S316) 통화대기음 송출을 중단하 고(S317,S318)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은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전화(11.N)와 상대방 전화(20.N)간에 통화채널을 설정하여 호를 연결한다(S319). 이때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은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양자간 호가 연결되었음을 보고하고(S320) 또한 통화종료시에도 이를 보고하여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로 하여금 과금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32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수행시, 가입자 단말(10.N) 화면상에 나타내는 모양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10.N)에서 띄운 인터넷 웹브라우저(401)의 주소창(4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01012345678.님”과 같이 입력한다. 이때 현재 웹브라우저 상에 열려있는 웹페이지가 무엇이든지 관계없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자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의 DNS(110)의 IP 주소를, 웹브라우저가 최초 액세스하는 DNS의 IP 주소로서 자신의 단말(10.N)에 설정해 놓아야 한다. 이렇게 할 경우, 가입자가 단말(10.N)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상기 “.님”과 같은 특정 문자열을 입력했을 때, 상기 DNS(110)가 그 문자열을 최초로 수신하여 본 서비스 수행을 위한 서버(120)로 그 처리를 넘길 수 있게 된다.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문자열 분석 중 “@->”(404)이 있을 경우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으로 판단하며, 그 뒷부분의 “01012345678”(405)을 전화연결 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인식한다. 만약 상대방도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가입자라면, 상기 상대방이 본 서비스 가입시 자신의 닉네임을 설정해 놓았을 수 있고, 가입자(10.N)는 상대방의 상기 닉네임을 입력하여 문자메시지가 전송될 상대방을 특정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아래부분의 웹브라우저 주소창(406)이 그러한 입력방식의 예이며,“longago"(407)가 상대방의 닉네임을 가리킨다. 이 경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SMS 서비스의 가입자의 닉네임인 "longago"(407)의 가입자 정보로부터 등록된 전화번호를 알아내어 그 번호로 전화를 연결한다.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가 아직 로그인된 상태가 아닌 경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의 단말(10.N)로 로그인 창(408)을 전송하며,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가 단말(10.N)에서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 된 경우에는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지능망 교환시스템(130)을 통하여 전화걸기를 시도하고 대기화면을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가 단말(10.N)로 송출할 수 있고(미도시),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경우, 이를 알리는 메시지(409)가 뜨게 할 수도 있다. 통화 종료시에는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통화시간 내역(410)을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인 가입자의 단말(10.N)로 보내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수행시, 가입자가 전화를 걸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에 요청하고 검색결과를 수신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일 실시 예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가 자신의 단말(10.N)의 웹브라우저(501)의 주소창(502)에 입력한 내용 중 나머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으나 “.님” 앞부분에 전화번호 대신 “?”(503)이 입력된 것이 다르다. 이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보여줄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에 의해 인식된다. 이 경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120)는 전화연결서비스 요청자인 가입자의 웹브라우저 화면에, 가입자가 미리 등록한 전화번호 목록(504)을 송출해 준다. 가입자는 그 중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고(505),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100)은 그 번호와 가입자의 전화(11.N)에 전화를 걸어 서로 호를 연결시켜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재 접속하여 작업중인 인터넷 사이트에서 벗어나 다른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없이, PC 등에서 작업을 계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주소창에의 문자열 입력에 의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주소창에의 문자열 입력만으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게 하면서도, 입력하는 문자열의 간단한 변형만으로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간단한 클릭만으로 그 번호에 전화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PC 화면에 바로 이를 알려주어 그때 비로소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PC에서 하던 작업을 중단하고 전화가 있는 자리로 가서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전화를 받을 때까지 대기할 필요없이 현재 PC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Claims (15)

  1.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단말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된,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이, 인터넷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사용자에게 전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이라 한다)으로서,
    (a) 인터넷을 통하여,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자(이하 가입자라 한다)가 자신의 단말의 인터넷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전화연결 요청임을 나타내는 특정 문자열(이하 서비스 식별자라 한다)을 포함하는 일련의 문자열(이하 주소창 입력 문자열이라 한다)을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을 분석하여 전화연결서비스를 요청하는 문자열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d)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하여 전화연결 요청한 상기 가입자의 전화 및, 상기 가입자가 연결요청한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호를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하여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 및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 중 일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경우, 그 전화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단계;
    (f) 상기 통화대기음 송출 중 나머지 일방이 전화를 받았을 경우 통화대기음을 중단시키는 단계;
    (g) 상기 가입자 및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이 모두 전화를 받았을 경우, 상기 가입자 및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 간에 호를 연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b)와 단계(c) 사이에,
    (b1) 상기 가입자의 로그인 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로그인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가입자에게 로그인 창을 전송하고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은,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 문자열(이하 전화번호문자열이라 한다)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c)에서,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상기 전화번호문자열에 의해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은,
    상기 전화연결할 상대방이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상기 상대방이 상기 서비스 가입시에 등록한 닉네임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c)에서,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상기 닉네임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은,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을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c1) 수신한 상기 주소창 입력 문자열에, 상기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전화번호 검색요청 문자열이 포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전화연결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c3) 검색된 전화번호 목록을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인터넷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4) 상기 가입자가, 수신한 상기 전화번호 목록으로부터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로서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경우,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5) 상기 단계(c4)에서 수신한 전화번호를,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결정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e) 와 단계(g) 사이에,
    (e1)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경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인터넷 단말로, 상대방이 전화를 받았음을 알리는 메시지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g) 이후,
    (h) 통화를 종료했을 때,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의 인터넷 단말로, 통화시간을 포함하는 통화내역 정보 메시지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9.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단말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되어, 인터넷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사용자에게 전화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가입자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을 수신하여 이를 IP 주소로 해석하며, 상기 수신한 문자열에서, 전화연결요청임을 나타내는 특정 문자열(이하 서비스 식별자라 한다)을 인식한 경우에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서비스 시스템 내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로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도메인네임 서버(이하 DNS라 한다);
    상기 DNS가 보낸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지능망 교환시스템을 통하여 가입자와 전화연결 상대방 간에 전화가 연결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서버;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로부터의 호 연결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를 요청하는 호임을 판단하여 전화연결 요청자인 가입자의 전화와 전화연결할 상대방의 전화 간에 호의 연결을 수행하는 지능망교환 시스템; 및,
    전화연결 요청자와 전화연결 상대방 중 일방이 먼저 전화를 받았을 때,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지능망 교환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당해 전화로 통화대기음을 송출하는 통화대기음 서버
    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홈페이지 접속자에게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서비스 가입에 따른 가입자 정보 및 서비스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전화연결서비스 서버에 전달하는 포탈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화대기음은 상기 가입자가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통화대기음 서버는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전화연결서비스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통화대기음 정보를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서버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시스템의 DNS가 보내는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DNS 메시지 수신모듈;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가 로그인 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며, 로그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에게 로그인 화면을 송신하고,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가입자의 로그인정보,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가입자인 상기 전화연결 요청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한 문자열로서 상기 전화연결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로부터, 전화연결 서비스 요청내용을 해석하는 문자열 해석모듈;
    상기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와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 전화와의 호 연결요청을 지능망교환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지능망교환시스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된 문자열의 해석 및 이에 따른 전화연결 서비스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화연결 서비스 서버는,
    가입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상기 가입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가입자가 전화번호 검색요청시 상기 가입자가 저장시켜 놓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전화번호 목록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화연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지능망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전화연결 상대방의 전화와 상기 전화연결 요청한 가입자 전화와의 호 연결시간 및 호 종료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처리를 담당하는 과금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시스템.
KR1020060098618A 2006-10-10 2006-10-10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084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618A KR100846563B1 (ko) 2006-10-10 2006-10-10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618A KR100846563B1 (ko) 2006-10-10 2006-10-10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763A KR20080032763A (ko) 2008-04-16
KR100846563B1 true KR100846563B1 (ko) 2008-07-15

Family

ID=3957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618A KR100846563B1 (ko) 2006-10-10 2006-10-10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94B1 (ko) * 2008-10-13 2009-06-04 솔루텍 주식회사 사설교환망 통화연결음 서버를 이용한 통화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405A (ja) * 2000-10-23 2002-05-24 Hiroshi Kanaumi 「htmlタグボタンを応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電話情報端末呼出簡素化手法及び機能」
KR20060020105A (ko) * 2004-08-31 2006-03-06 조관현 웹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전화의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8543A (ko) * 2006-01-27 2007-08-01 (주)넷피아닷컴 인터넷 전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405A (ja) * 2000-10-23 2002-05-24 Hiroshi Kanaumi 「htmlタグボタンを応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電話情報端末呼出簡素化手法及び機能」
KR20060020105A (ko) * 2004-08-31 2006-03-06 조관현 웹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전화의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8543A (ko) * 2006-01-27 2007-08-01 (주)넷피아닷컴 인터넷 전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763A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52B1 (ko)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EP13133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to a telephone
CN101730999A (zh) 用于在通信设备之间共享公共位置相关信息的系统和方法
CN101669354A (zh) 用于通信设备之间基于事件的信息同步的方法和装置
US20050089150A1 (en) Voice enabled interactive drug and medical information system
KR100846563B1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20020013240A (ko) 전화번호 형태의 이름을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제공 방법
KR100233942B1 (ko)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968279B2 (ja) 代理応答通信システム、代理応答通信方法、代理応答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10042077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실시간 통화 중 음성 정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2190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情報提供方法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846561B1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sms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30705B1 (ko) 개방형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자동전화걸기 포털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자동전화걸기서비스방법
CA2270046C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ata network and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30026371A (ko) 이동통신단말용 전화번호안내 시스템
KR20020000032A (ko) 이동전화기에 대한 음성 채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993295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775319B1 (ko) 음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57044A (ko)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착신전환기능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7936A (ko) 서비스 서버에서의 아웃바운드 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