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258A -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258A
KR20080094258A KR1020070038434A KR20070038434A KR20080094258A KR 20080094258 A KR20080094258 A KR 20080094258A KR 1020070038434 A KR1020070038434 A KR 1020070038434A KR 20070038434 A KR20070038434 A KR 20070038434A KR 20080094258 A KR20080094258 A KR 2008009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memory
fra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839B1 (ko
Inventor
김호연
김호식
이현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07003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8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5Regeneration of digital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프레임 마커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메모리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후,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선행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영상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닛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의 찢김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영상 찢김, Tearing, 프레임 마커 신호, CPU 인터페이스

Description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Video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video tearing}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폰에서 미리보기 영상을 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할 때 영상의 찢김 현상이 나타난 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일점 쇄선 사각형 부분을 확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그래픽 메모리의 기록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할 때 그래픽 메모리의 기록(write) 포인터와 리드(read) 포인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프레임 마커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시키지 않았을 경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시키지 않고 그래픽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할 때 기록 포인터와 리드 포인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영상 출력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일점 쇄선 사각형 부분을 확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할 때 그래픽 메모리의 기록 포인터와 리드 포인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점을 프레임 마커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시키지 않았을 경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프레임 마커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시키지 않고 그래픽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하는 과정에서 기록 포인터와 리드 포인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번호>
10: 비디오 엔진 20: 메모리 제어기
30: 메모리 40: 영상 출력 유닛
50: 인터페이스 60: 디스플레이 모듈
70: 그래픽 메모리 80: 디스플레이 패널
R: 리드 포인터 W: 기록 포인터
본 발명은 프레임 단위로 연속 출력되는 디지털 동영상의 재생시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서 미리보기 영상이나 동영상을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그래픽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시점과 그래픽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에 리프레쉬되는 시점이 정확하게 동기화되지 않으면 영상의 찢김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폰의 경우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5f/s 내지 30f/s의 속도로 출력하는 반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속도보다 빠른 60f/s 내지 90f/s의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리프레쉬한다. 참고로, 저조도 또는 풀 사이즈로 캡쳐된 영상 데이터는 5f/s 내지 10f/s의 속도로, 미리보기 영상은 최대 30f/s의 속도로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의 그래픽 메모리에 기록할 때 영상 데이터의 기록 시점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않으면,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직전 및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그래픽 메모리에 혼재되어 있음으로써 프레임의 경계 지점에서 영상의 찢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폰에서 미리보기 영상을 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할 때 영상의 찢김 현상이 나타난 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도면에서 영상의 찢김 현상이 나타난 부분은 화살표로 표시하였고, 도 1의 (a)는 세로 보기 모드에서, 도 1의 (b)는 가로 보기 모드에서 영상 찢김 현상이 나타난 경우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영상 찢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영상 출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휴대폰의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 부품들의 탑재 공간이 충분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의 재생시 전력 소모량이 많지 않아야 하므로, 부품 가격 및 소비 전력의 측면에서 유리한 CPU 인터페이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CPU 인터페이스 방식은 정지 영상의 재생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로서 미리보기 영상과 같은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 비동기식으로 그래픽 메 모리에 기록하므로 영상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원천적 한계가 있다.
물론, 동기식 기록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VSYNC 인터페이스와 RGB 인터페이스가 알려져 있지만,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CPU의 연산량을 증대시키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소비 전류를 증대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소형 기기인 휴대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프레임 단위로 연속 출력되는 디지털 동영상의 재생시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동기식 영상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 하에서 디지털 동영상의 재생시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상 출력 장치의 부하나 소비전류의 큰 증가 없이도 디지털 동영상의 재생시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는,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기록하는 메모리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프레임 마커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후,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선행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영상 출력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그래픽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리드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CPU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상기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영상 전송 구간 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 전송 구간 신호의 로우 레벨 구간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는,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기록하는 메모리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프레임 마커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후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인터페 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영상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보다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영상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점이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점을 지연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CPU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되면 영상 전송 구간 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 전송 구간 신호의 로우 레벨 구간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엔진을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비디오 엔진은 이미지 센서 모듈로부터 미리보기 영상을 일정한 프레임속도로 입력받아 메모리 제어기로 출력한다. 다른 예로, 상기 비디오 엔진은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동영상의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디코딩을 수행하여 압축 해제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일정한 프레임 속도로 메모리 제어기에 출력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은,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의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와 프레임 마커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의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이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선행하여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한 후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은,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의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와 프레임 마커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의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이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여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한 후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비디오 엔진(10), 메모리 제어기(20), 메모리(30) 및 영상 출력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입력받아 메모리 제어기(20)로 입력한다. 일 예로,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이미지 센서 모듈로부터 일정한 프레임 속도로 미리보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 제어기(20)로 입력한다. 다른 예로,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기록매체로부터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디코딩을 수행한 후 압축 해제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기(20)로 입력한다. 이 때,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압축 부호화시 적용된 인코딩 알고리즘에 대응되는 디코딩 알고리즘에 의해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코딩 및 디코딩 알고리즘은 MPEG 계열 또는 H.26x 계열의 영상 처리 표준에 기초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휘도 데이터(Y)와 색차 데이터(Cb, Cr)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픽셀의 RGB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5f/s 내지 30f/s의 가변 프레임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가 저조도 또는 풀 사이즈로 캡쳐된 미리보기 영상인 경우,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초당 5 ~ 10 f의 속도로 미리보기 영상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가 통상적인 미리보기 영상인 경우,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초당 30f의 속도로 미리보기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기(20)는 비디오 엔진(10)이 출력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프레임 단위로 메모리(30)에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30)는 S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구성되며, 영상 처리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듀얼 버퍼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메모리(30)에 수록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리드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60)의 그래픽 메모리(70)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50)로는 CPU 인터페이스가 채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인터페이스의 구체적인 종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비디오 엔진(10)은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기(20)로 출력한 직후,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를 영상 출력 유닛(4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영상 출력 유닛(40)은 후술하는 제어 방법론에 따라 메모리(30)로부터 한 프레임분의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자체 구비된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은 미리 정의된 리프레쉬 주기로 그래픽 메모리(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80)에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이하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은 60 내지90Hz의 속도(초당 60 ~ 90 프레임)로 영상 데이터를 리프레쉬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0)은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가 완료되면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영상 출력 유닛(4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는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리프레쉬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그러면, 영상 출력 유닛(40)은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시켜 1회의 영상 리프레쉬 과정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60)을 통해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영상 찢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60)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위쪽에 도시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60)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출력 유닛(40)으로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아래에 도시된 신호는 영상 출력 유닛(40)으로부터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되는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를 나타낸다.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가 로우 레벨인 구간에서 메모리(30)에 기록된 한 프레임 분의 영상 데이터를 라인 별로 리드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하는데, 영상 데이터의 기록 속도는 실질적으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영상 출력 유닛(4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가 그래픽 메모리(7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80)에 리프레쉬하는 속도보다 빠른 경우에 적용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비디오 엔진(10)으로부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그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입력 여부를 검사한다. 그 기준은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다. 즉, 하이 레벨 신호가 입력되면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검지되지 않으면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에 대한 전송을 대기한다.
도면에서, t1, t2, t3는 비디오 엔진(10)으로부터 영상 출력 유닛(40)으로 메 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영상 출력 유닛(40)은 t1 시점에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t1 ~ t1' 구간까지, t2 시점에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t2 ~ t2' 구간까지, t3 시점에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t3 ~ t3' 구간까지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전송을 대기한다. 물론,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된 시점에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검지되면, 영상 출력 유닛(40)은 곧 바로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를 출력한다.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 전송을 대기하고 있는 중에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검지되면, 영상 출력 유닛(40)은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도 4a의 tb)에 선행하여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영상 출력 유닛(40)은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를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시간 동안 메모리(30)에 기록된 한 프레임 분의 영상 데이터를 라인별로 리드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70)에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리프레쉬 시점이 도래되면 그래픽 메모리(70)에서 영상 데이터를 라인 별로 리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80)을 통해 영 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4a는 도 3의 일점 쇄선 사각형 부분을 확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그래픽 메모리의 기록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할 때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write: W) 포인터와 리드(read: R) 포인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영상 전송 구간 ①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은 ta 시점에 개시되어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 이루어진다. 반면,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하이 레벨이 로우 레벨로 바뀌는 시점에 개시되어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 이루어진다. 경우에따라,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은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지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시작되는 시점(ta)과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시작되는 시점(tb)은 적어도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하이 레벨이 유지되는 시간만큼 차이가 있다. 경우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이 지연되는 경우는 지연 시간만큼 차이가 더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경우,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되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되는 속도는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를 위해 그래픽 메모리(70)에서 영상 데이터가 리드되는 속도보다 크다. 따라서,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 포인터(W)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메모리(70)의 리드 포인터(R)를 언제나 선행하게 된다. 그 결과, 영상 리프레쉬를 위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개시되어 완료될 때까지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스캔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화면에 서로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어 영상의 찢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프레임 마커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시키지 않았을 경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시키지 않고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할 때 기록 포인터(W)와 리드 포인터(R)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로우 레벨 시작 시점(tb)과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하이 레벨 시작 시점(tf)이 동기화되지 않으면, ta ~ tc 구간에서는 그래픽 메모리(70)의 리드 포인터(R)가 기록 포인터(W)를 선행한다(도 5b의 (a)). 하지만,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되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되는 속도가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를 위한 영상 데 이터의 리드 속도보다 빠르므로, tc시점이 되면 기록 포인터(W)와 리드 포인터(R)의 위치가 동일하게 된다(도 5b의 (b)). 즉,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량과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 리드된 영상 데이터의 량이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tc 시점 이후가 되면 기록 포인터(W)가 리드 포인터(R)를 선행한다(도 5b의 (c)). 따라서, tc 시점 이후부터는 직전 프레임의 영상이 아닌 현재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가 리드되므로, 한 화면 안에 두개의 프레임 영상이 혼재되어 출력됨으로써 영상의 찢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영상 출력 유닛(40)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위쪽에 도시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60)로부터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영상 출력 유닛(40)으로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아래에 도시된 신호는 영상 출력 유닛(40)으로부터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되는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를 나타낸다.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가 로우 레벨인 구간에서 메모리(30)에 기록된 한 프레임 분의 영상 데이터를 라인 별로 리드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영상 출력 유닛(4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되는 속도가 영상 데 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80)에 리프레쉬하기 위해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는 속도 보다 작은 경우에 적용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비디오 엔진(10)으로부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그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입력 여부를 검사한다. 그 기준은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다. 즉, 하이 레벨 신호가 입력되면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영상 출력 유닛(40)은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입력이 검지되지 않으면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 전송을 대기한다.
도면에서, t1, t2, t3는 비디오 엔진(10)으로부터 영상 출력 유닛(40)으로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영상 출력 유닛(40)은 t1 시점에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t1 ~ tf 구간까지, t2 시점에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t2 ~ tf 구간까지, t3 시점에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t3 ~ tf 구간까지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전송을 대기한다.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전송을 대기하고 있는 중에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하이 레벨이 되면, 영상 출력 유닛(40)은 일정 시간 동안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전송을 지연시켰다가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 호(L_CS)를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영상 출력 유닛(40)은 영상 리프레쉬의 개시 시점(도 7a의 ta1)보다 후행하여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를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 메모리(30)에 기록된 한 프레임 분의 영상 데이터를 라인별로 리드하여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한다. 여기서, 로우 레벨의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전송이 지연되는 시간은 t1'~tf, t2'~tf, t3'~tf이다. 이처럼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검지된 이후에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전송을 지연시키는 목적은 한 화면에 서로 다른 프레임의 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하고, 리프레쉬 시점이 도래되면 그래픽 메모리(70)에서 영상 데이터를 라인 별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80)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7a는 도 6의 일점 쇄선 사각형 부분을 확대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할 때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 포인터(W)와 리드 포인터(R)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영상 전송 구간 ①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은 tb 시점에 개시되어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구간(tb~tb')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시간 구간(tb~tb')은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구간에 해당한다. 반면,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하이 레벨이 로우 레벨로 바뀌는 시점 이후에 개시되어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레벨이'로우'상태로 유지되는 구간에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ta1)은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지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신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되기 시작하는 시점(tb)과 영상의 리프레쉬를 위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시작되는 시점(ta1)은 tb~ta1 만큼 차이가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되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되는 속도는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를 위해 그래픽 메모리(70)에서 영상 데이터가 리드되는 속도보다 작다. 따라서,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완료되는 시점(tf2)까지 그래픽 메모리(70)의 리드 포인터(R)는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 포인터(W)를 언제나 선행한다(도 7b의 (a)). 그 결과, 리드 포인터(R)는 한 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만을 리드하게 됨으로써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tf2 시점 이 경과된 이후에는 tb'시점까지 잔여 영상 데이터 의 기록이 계속해서 진행되며, 시점 ta2부터는 다음 회차의 영상 데이터 리프레쉬를 위해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다시 시작된다(도 7b의 (b)).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진행되다가 tb'시점을 통과하면 영상 데이터의 기록은 완료되는 반면, 영상 데이터의 리드는 계속해서 진행된다(도 7b의 (c)). 이러한 과정에서, 리드 포인터(R)는 기록 포인터(W)가 기록한 한 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만을 리드하게 되므로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전송 시점, 즉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는 시점(tb)의 지연 폭(tb-ta1)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이루어지는 동안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 포인터(W)가 리드 포인터(R)를 항상 후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 폭(tb-ta1)의 구체적인 설계는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와 주기, 그리고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속도를 감안한 모사시험에 의해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작 시점을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이용하여 동기화시키지 않았을 경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영상 리프레쉬를 위한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리드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b는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동기화시키지 않고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리드하는 과정에서 기록 포인터(W)와 리드 포인터(R)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로우 레벨 시작 시점(tb)과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의 하이 레벨 시작 시점(tf)이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제1실시예와 달리 영상 찢김 현상이 발생된다. 즉,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의 기록이 시작되는 시점(tb)보다 영상의 리프레쉬를 위해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 영상 데이터의 리드가 시작되는 시점(ta1)이 후행한다. 따라서, tf1 ~ tc 구간에서는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 포인터(W)가 리드 포인터(R)를 앞서게 된다(도 8b의 (a)). 그런데, tc 시점이 되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의 량과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 리드된 영상 데이터의 량이 동일하게 되므로, 그래픽 메모리(70)의 기록 포인터(W)와 리드 포인터(R)의 위치가 동일해 진다(도 8b의 (b)). 이 상태에서, tc 시점을 통과하면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 리드되는 영상 데이터의 량이 그래픽 메모리(70)에 기록한 영상 데이터의 량을 초과하게 되므로, 그래픽 메모리(70)의 리드 포인터(R)가 기록 포인터(R)보다 앞서게 된다(도 8b의 (c)). 그 결과, 기록 포인터가 리드하는 영상 프레임이 달라짐으로써 한 화면 안에 두개의 프레임 영상이 혼재되어 영상의 찢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그래픽 메모리(70)에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속도보다 그래픽 메모리(7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는 속도가 빠른 경우, 하이 레벨의 프레임 마커 신호(F_marker)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영상 전송 구간 신호(L_CS)의 로우 레벨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이 영상의 찢김 현상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직 회로에 의해서도 구현가능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비디오 엔진(10) 및 디스플레이 모듈(60)로부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와 프레임 마커 신호를 각각 전송받고, 프레임 마커 신호에 연동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영상 데이터 전송 시점을 판별한 후 영상 출력 유닛(40)을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출력 유닛(40)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6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발명이 구현되는 시스템적 환경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마커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출력 유닛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의 찢김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 데이터 전송 방식만을 지원하는 CPU 인터페이스를 채용하는 영상 재생 시스템에서도 영상 데이터의 그래픽 메모리 기록 시점과 리드 시점을 손 쉽게 동기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간단한 제어 방식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그래픽 메모리 기록 시점과 리드 시점을 동기화할 수 있으므로, 영상 출력 장치의 부하가 적고 소비 전력의 증가가 크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소형 기기에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7)

  1.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기록하는 메모리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프레임 마커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후,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선행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영상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진은 이미지 센서 모듈로부터 미리보기 영상을 일정한 프레임속도로 입력받아 메모리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진은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동영상의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디코딩을 수행하여 압축 해제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일정한 프레임 속도로 메모리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에 구비된 그래픽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리드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CPU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상기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영상 전송 구간 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 전송 구간 신호의 로우 레벨 구간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7.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기록하는 메모리 제어기 및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프레임 마커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한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후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가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영상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보다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디오 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진은 이미지 센서 모듈로부터 미리보기 영상을 일정한 프레임속도로 입력받아 메모리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엔진은 압축 부호화된 디지털 동영상의 비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디코딩을 수행하여 압축 해제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일정한 프레임 속도로 메모리 제어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영상 데이터의 기록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영상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점이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CPU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영상 출력 유닛은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되면 영상 전송 구간 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 전송 구간 신호의 로우 레벨 구간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13. (a)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의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와 프레임 마커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입력단계
    (b) 상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의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c) 상기 판단 결과,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이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선행하여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한 후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c) 단계는,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c) 단계는,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검지 시점과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 사이에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
  16. (a) 디지털 동영상 프레임의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와 프레임 마커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는 입력단계
    (b) 상기 메모리 기록 완료 신호의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c) 상기 판단 결과, 프레임 마커 신호의 입력이 검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여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리드한 후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c) 단계에서,
    프레임 마커 신호의 하이 레벨 신호가 검지되면, 영상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점이 영상 데이터의 리프레쉬 개시 시점보다 후행하도록 영상 데이터의 전송 개시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방법.
KR1020070038434A 2007-04-19 2007-04-19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87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34A KR100875839B1 (ko) 2007-04-19 2007-04-19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34A KR100875839B1 (ko) 2007-04-19 2007-04-19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58A true KR20080094258A (ko) 2008-10-23
KR100875839B1 KR100875839B1 (ko) 2008-12-24

Family

ID=4015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34A KR100875839B1 (ko) 2007-04-19 2007-04-19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5831A (zh) * 2021-09-15 2021-12-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9595A1 (en) 2000-08-25 2002-10-17 Kosuke Kubota Decod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decoding method
KR100561395B1 (ko) 2003-01-06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티어링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 재생 시스템의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87253B1 (ko) 2004-07-19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엘씨디구동 드라이버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6058051A2 (en) 2004-11-24 2006-06-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5831A (zh) * 2021-09-15 2021-12-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介质
CN113805831B (zh) * 2021-09-15 2024-0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839B1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2010B2 (en) Preventing image tearing where a single video input is streamed to two independent display devices
US8026919B2 (en) Display controller, graphics processor, rendering processing apparatus, and rendering control method
JP201417981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15103208A (zh) 一种视频数据的行缓存方法、行读取方法及处理系统
JP3020528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875839B1 (ko) 영상 찢김의 방지가 가능한 영상 출력 장치 및 방법
CN110570793B (zh) 一种适配不同类型显示屏的测试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200518445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91900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display underflow using variable HBLANK
TWI377474B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monitor using thereof
JP6752640B2 (ja) 撮像装置
US808534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1077610A1 (ja) 映像信号処理装置
TWI516854B (zh) 投影裝置及其影像資料存取方法
US20090092376A1 (en)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JP2004023541A (ja) フレームずれ検知装置
KR1012955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모드 전환방법
JP2007094391A (ja) 動画像表示装置
JP361389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21125748A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4156073A (ja) 画像表示位置変換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方式
KR100693420B1 (ko) 씨모스 센서 지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337950B1 (ko) 그래픽 데이터 출력 장치 및 방법
JP2008035552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N116112627A (zh) 一种视频帧率自适应变换的方法和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