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033A - 수처리 시스템용 2-부품 밸브체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스템용 2-부품 밸브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033A
KR20080094033A KR1020087019418A KR20087019418A KR20080094033A KR 20080094033 A KR20080094033 A KR 20080094033A KR 1020087019418 A KR1020087019418 A KR 1020087019418A KR 20087019418 A KR20087019418 A KR 20087019418A KR 20080094033 A KR20080094033 A KR 2008009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hamber
water treatment
valve
valv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혼젤카
케네스 시이쓰
Original Assignee
지이 오스모닉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오스모닉스, 인크. filed Critical 지이 오스모닉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9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089With mechanical movement between actuator and valve
    • Y10T137/6103Cam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49Multiple inlet with multiple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338Flow passage with bypass
    • Y10T137/87362Including cleaning, treating, or heat transfer feature
    • Y10T137/8737Water treatment fe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연수기의 동작은 수 유입구, 수 유출구, 재생제 커넥터 및 드레인 유출구를 구비하는 밸브체 내의 밸브 세트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체의 외벽에는 복수의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개구가 제공된다. 밸브체는 대향하는 외부 측벽을 구비하고, 그 측벽을 통해 이음부가 대각선으로 연장함으로써 밸브체가 2개의 부품으로 분리되며, 2개의 부품은 이음부에서 함께 밀봉된다. 대각선 이음부는 각 부품 사이에서 내부 유체 챔버를 분할하고 부품의 성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밸브체 전체를 2개 부품 만으로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스템용 2-부품 밸브체{TWO PART VALVE BODY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연수기(water softener)와 같은 수처리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러한 장치 내에서 처리용 매체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우물에서 끌어 올려진 물은 토양 내의 미네랄 침적물로부터 녹아 들어간 2가 양이온과 3가 양이온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수"로 간주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온은 통상의 세제와 비누에 대해 불용성으로서 세척 목적에 필요한 세제 또는 비누의 양을 증가시키는 침전물을 생성하는 염을 형성한다. 보일러나 다른 장치에 경수가 사용되면, 증발시 물때(scale)로서 축적되는 불용성 잔류물의 침전물이 형성되어 장치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친다.
경수가 공급되는 건물의 배관 시스템에는 연수기를 설치하는 것이 표준 관행이다. 가장 일반적인 연수기는 이온 교환 장치인데, 이 장치는 경수가 통과 유동시 바람직하지 않은 미네랄과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지층(resin bed)을 포함하는 탱크를 구비한다. 수지층의 결합소(binding sites)에는 애초부터 통상 나트륨이나 칼륨 1가 양이온인 양이온이 함유되어 있다. 경수가 수지층으로 진입시, 결 합소가 경쟁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경수 내의 2가 양이온과 3가 양이온은 그 높은 전하 밀도에 기인하여 우세하게 작용하여 1가 양이온을 치환시킨다. 2가 양이온과 3가 양이온 각각은 2개 또는 3개의 1가 양이온을 치환한다.
미네랄과 불순물을 흡수하는 수지층의 능력은 유한하므로 결국 상당량의 결합소가 2가 양이온 및 3가 양이온에 의해 점유될 때 연수화를 멈추게 된다. 이 경우, 염화나트륨이나 염화칼륨과 같은 재생제로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지층을 재충전하거나 재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생제 내의 1가 양이온의 농도는 바람직하지 않은 정전 경쟁(electrostatic competition)을 상쇄할 만큼 충분히 높고, 결합소는 1가 양이온에 의해 회복된다. 연수화가 일어나는 동안의 재생 기간 사이의 시간 간격은 공정의 서비스 모드로서 지칭된다.
연수기의 재생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밸브 구성에 의해 표준 재생 사이클을 통해 수지층의 불순물 제거, 재생 및 세정을 행하도록 제어된다. 제어기는 이전 재생 이후의 시간 길이, 처리 완료된 물의 양, 또는 잔여 처리 능력을 지시하는 수지층의 전도성을 기초로 모터를 작동시킨다.
밸브 구성은 입수구, 배수구, 재생 저수조 및 배출 라인을 위한 외부 연결구를 통해 밸브체에 내장된다. 밸브체는 수지 탱크가 부착되는 부속구를 또한 포함한다. 외부 연결구와 부속구는 복수의 밸브체 내 통로와 연통되고 이 통로들은 밸브 구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전까지, 밸브체는 함께 조립되어 완성체를 형성하기 이전에 별도로 주조 또는 기계 가공된 많은 여러 가지 부품들로 이루어졌었다. 종래의 밸브 조립체 중 일종의 예가 미국 특허 제 5,910,244호에 기술되어 있다. 외부 연결구와 내부 통로의 복잡성은 기계 가공 단계와 그에 따른 밸브체의 비용 증가없이 밸브체 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을 어렵게 했다.
따라서, 후속 기계 가공을 없애는 방식으로 부품의 주조를 용이하게 하면서 부품의 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밸브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는 서로 밀봉 결합되어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를 형성하는 제 1 부품과 제 2 부품 만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밸브체는 1차 외부벽과 2차 외부벽을 구비하고, 1차 및 2차 외부벽 사이에 제 1, 제 2, 제 3, 제 4의 외부 측벽이 연장된다. 밸브체는 밸브체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입 밸브 요소, 유출 밸브 요소, 린스 밸브 요소, 역류 밸브 요소 및 재생제 밸브 요소를 위한 복수의 개구를 더 포함한다. 밸브체는 또한 수처리 용기로의 연결을 위한 유체 연결구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부품은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을 통해 예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이음부에서 결합된다. 제 1 부품은 2차 외부벽과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 각각의 섹션을 구비하고, 미처리수 유입구, 처리수 유출구, 드레인 유출구 및 재생제 유입구를 더 포함한다. 제 2 부품은 1차 외부벽과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 각각의 다른 섹션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부품의 구성은 밸브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든 필요한 연결구 및 개구를 구비하는 전체 밸브체가 기존의 사출 성형 기법으로 제작 가능한 오직 2개의 부품만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를 포함하는 연수기의 성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커버가 제거된 연수기 제어 밸브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른 제어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배관 연결구를 보여주는 제어 밸브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제어 밸브 조립체의 밸브체의 후방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밸브체의 전방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플래퍼 밸브 요소를 내장하는 밸브체의 전방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밸브체의 전방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제 2 실시예의 후방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밸브체의 후방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3 실시예의 밸브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연수기(10)는 이온 교환 수지 입자의 층(bed)(14)을 포함하는 처리 탱크 또는 용기(12)를 포함한다. 처리 용기(12)의 상부에 고정된 제어 밸브 조립체(16)는 후술될 밸브 기구를 갖는 밸브체(18)와, 밸브체 전방에 부착되고 밸브 기구의 작동을 위한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 패널(19)을 포함한다. 서비스 모드에서, 유입 커플링(20)으로 공급되는 연수화 대상의 경수는 밸브체(18)를 통해 처리 용기(12)의 상부에 있는 연결구(25) 내의 용기 유입구(22)로 유동한 다. 경수는 수지층(14)을 통과하면서 미네랄이 제거된다. 수지층(14)에서 처리 완료된 물은 처리 용기(12)의 바닥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밸브체(18)의 용기 유출구(26)로 수지층을 통해 연장하는 수직 배관(24) 내로 유동한다. 용기 유출구(26)로부터, 처리수는 계속해서 밸브체(18)를 통해, 건물 내 파이프에 연결되는 출수구(28)에서 연수기(10)를 빠져나간다.
수지층(14)은 결국 소모되어 더 이상 연수화를 진행할 수 없다. 타이머에 주기적으로 응답하거나 수지층의 고갈을 검출하는 센서에 주기적으로 응답하여, 제어 밸브 조립체(16)는 전술한 미국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표준 재생 공정을 개시한다. 이 공정은 경수가 밸브체(18)를 통해 용기 유출구(26) 내로 그리고 수지층(14)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어, 결국 드레인 커플링(30)을 통해 연수기를 빠져나가는 역류 단계로 시작한다. 역류 단계 이후에, 튜브(34)에 의해 염수 탱크(36)로 연결되는 재생제 커넥터(32)를 통해 통상 "염수"로 불리는 재생제가 제어기에 의해 인출되는 염수화 단계가 후속된다. 염수 탱크(36)는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과 같은 일반적인 소금의 재생제 용액(38)을 담고 있다. 이 재생 단계에서, 밸브체(18)를 통한 경수의 유동에 의해 생기는 부분 진공은 염수 탱크(36)로부터 재생제 용액을 끌어당겨 처리 용기(12) 내로 이끈다. 농축된 재생제 용액은 수지층(14)에 있는 2가 양이온과 3가 양이온을 1가 양이온으로 치환하여 수지층을 재충전한다.
재생 공정의 마지막 단계 중에, 염수 탱크(36)는 물로 충전되어 다음 재생 공정을 위한 재생제 용액을 보충한다. 수지층(14)은 용기(12)를 통해 드레인 커플 링(30) 밖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세척된다. 이후, 제어 밸브 조립체(16)는 연수기(10)가 건물에 사용되는 물을 처리하는 전술한 서비스 모드가 되는 상태로 밸브 내부 구성을 복귀시킨다.
도 2는 제어 밸브 조립체(16)를 도시하며, 제어 패널(19)을 제거하여 밸브체(18)와 그에 부착되는 밸브 작동 성분의 전방을 보여준다. 밸브체(18)는 1차 외부벽(40), 2차 외부벽(41), 제 1 외부 측벽(44), 제 2 외부 측벽(45), 밸브체 상부의 제 3 외부 측벽(42), 밸브체 하부의 제 4 외부 측벽(43)을 구비한다. 전기 모터(47)에 의해 구동되는 캠 샤프트(46)는 1차 외부벽(40)에 설치되며, 다수의 캠(48)을 그 상부에 구비한다. 캠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각 캠은 밸브체 내에서 상이한 플래퍼 밸브 요소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캠(48)은 플래퍼 밸브 요소(114)의 스템(49)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플래퍼 밸브 요소(114)를 피벗시켜 구멍(100)을 개폐함으로써 밸브체(18) 내의 챔버(84와 76)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밸브체(18)의 2차 외부벽(41)은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유체가 밸브체를 출입한다. 미처리수 유입구(62)는 연수기(10)가 배치된 건물의 배관 시스템의 공급관에 연결되도록 적용되고 연수기에 의한 처리를 위한 물을 받아들인다. 이러한 처리 후에, 물은 처리수 유출구(64)를 빠져나가 건물 배관 시스템으로 돌아간다. 재생 중, 폐수는 드레인 유출구(66)를 통해 밸브체(18)를 빠져나가 건물의 폐수 시스템으로 유동한다. 밸브체(18)의 2차 외부벽(41)에 재생제 커넥터(32)도 배치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밸브체(18)의 제 4 외부 측벽(43)으로부터는 처리 용기(12)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25)가 돌출되며, 처리 용기의 개구상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형 외면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밸브체(18)는 단일편의 제 1 부품(70)과 단일편의 제 2 부품(71)이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44, 45)을 양분하는 이음부(68)를 따라 분할되며, 그에 따라 각 외부 측벽의 단편이 각 부품에 포함된다.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44, 45)에 있는 이음부(68)의 부분은 제 3 및 제 4 외부 측벽에 대해 예각(φ, θ)으로 연장한다. 이음부(68)는 1차 외부벽(40과 제 3 외부 측벽(42) 간의 접합부에 인접한 밸브체의 전방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 3 외부 측벽(42)은 캠 샤프트(46)와 모터(47) 근처의 플랜지(39)를 제외하고 제 2 부품(71)에 포함된다. 이음부(68)는 2차 외부벽(41)과 제 4 외부 측벽(43) 간의 접합부에 인접한 밸브체(18)의 후방을 따라 계속 연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 4 외부 측벽 전체는 제 1 부품(70)에 포함된다. 밸브체의 분할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측면을 갖는 쐐기형 5면체이고 삼각형 측면 사이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직교 측면과 하나의 경사 개방 측면(67 또는 69)이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부품(70, 71)을 형성한다. 밸브체(18)의 제 1 및 제 2 부품(70, 71)은 그 각각의 경사 개방 측면(67, 69)이 서로 접촉하여 이음부(68)를 형성하도록 함께 맞춰진다. 해당 표면은 함께 용접 또는 접합되어 밸브체(18)의 내벽을 밀봉함으로써 후술될 복수의 내부 챔버를 둘러싼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 3 외부 측벽 전체가 하나의 부품(70 또는 71)에 포함되고, 실질적으로 제 4 외부 측벽 전체가 하나의 부품(70 또는 71)에 포함된다고 하는 언급은 이러한 포함이 해당 부품의 내벽과 챔버의 성형을 방해하지 않는 한, 다른 하나의 부품에 포함될 이러한 벽 각각에 하나 또는 2개의 상대적으로 소폭의 스트립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제 3 외부 측벽(42)의 단편을 형성하는 플랜지(39)의 부분은 주형 요소가 성형된 제 1 부품(70)의 개방 측면(69)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유사한 이유로, 이음부(68)는 밸브체(18)의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44, 45)을 정확하게 양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밸브체(18)의 제 2 부품(71)의 내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미처리수 유입구(62)는 유입 챔버(72) 내로 개방되며, 처리수 유출구(64)는 유출 챔버(74) 내로 개방된다. 유입 챔버(72)는 제 1 구멍(73)을 통해 브릿지 통로(75) 내로 개방되며, 이 브릿지 통로는 제 2 구멍(77)을 통해 바이패스 챔버(78) 내로 개방된다. 바이패스 챔버(78)는 밸브체(18)의 거의 전폭으로 연장하는 내벽(80)에 의해 유출 챔버(74)로부터 이와는 이격된 분기 통로(79)에 인접되어 있다. 유입 챔버(72), 바이패스 챔버(78) 및 유출 챔버(74)는 내벽(80)의 제 1 측면에 위치된다. 유출 챔버 분기 통로(79)는 내벽(80)을 통해 상기 바이패스 챔버(78)와 대향된 위치의 제 2 측면으로 연장한다. 린스 챔버(82)와 역류 챔버(84)는 유입 챔버(72)와 바이패스 챔버(78) 사이에서 내벽(80)의 제 1 측면 상에서 측면을 따라 서로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유출구(66)는 린스 챔버(82)와 역류 챔버(84) 모두에 대향하고 내벽(80)의 제 2 측면 상에 있는 드레인 챔버(76)와 연통한다. 재생제 커넥터(32)는 역시 내벽(80)의 제 2 측면상에 있는 재생제 챔버(86) 내로 개방된다. 재생제 밸브 챔버(88)는 상기 재생제 챔버(86)에 대향되어 내벽(80)의 제 1 측면상에 위치되며, 내벽을 통해 연장되어 용기 유입 챔버(90) 내로 개방되는 분기 통로(89)를 구비한다. 용기 유입 챔버(90)는 처리 용기(12)를 위한 연결구(25) 내의 용기 유입구(22)로 이어진다(도 1 및 도 6 참조). 용기 유출구(26)는 연결구(25)의 내부를 통해 상향 돌출되고 밸브체 내의 용기 유출 챔버(92) 내로 개방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밸브체(18)의 제 1 부품(70)은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복수의 밸브 개구를 갖는 1차 외부벽(40)을 포함한다. 유입 챔버(72)는 밸브체의 1차 외부벽(40)에 있는 제 1 밸브 개구(94)를 구비하고, 유입 플래퍼 밸브 요소(111)를 수용한다. 유입 플래퍼 밸브 요소(111)는 내벽(80)을 통해 유입 챔버(72)로부터 용기 유입 챔버(90)로까지 이어지는 제 1 밸브 구멍(9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유출 챔버(74)는 내벽(80)을 통해 용기 유출 챔버(92) 내로 연장하는 제 2 구멍(95)을 가지며, 그 제 2 구멍을 통한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출 플래퍼 밸브 요소(112)를 수용하는 1차 외부벽(40)의 제 2 개구(96)를 구비한다. 1차 외부벽의 제 3 개구(98)는 린스 챔버(82)와 연통하고, 드레임 챔버(76) 내로 연장하는 제 3 구멍(9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린스 플래퍼 밸브 요소(114)를 보유한다. 역류 챔버(84)는 드레인 챔버(76) 내로 이어지는 제 4 구멍(99)을 가지며, 이를 통한 유동은 1차 외부벽(40) 내의 제 4 개구(101) 내에 위치된 역류 플래퍼 밸브 요소(115)에 의해 제어된다. 재생제 밸브 챔버(88)는 내벽(80)을 통해 재생제 챔버(86) 내로 이어지는 제 5 구멍(100)을 가진다. 제 5 구멍(100)은 1차 외 부벽 내의 제 5 개구(103) 내에 유지된 재생제 플래퍼 밸브 요소(113)에 의해 개폐된다. 마지막으로, 바이패스 챔버(78)는 내벽(80)을 통해 유출 챔버(74)로부터 분기 통로(79) 내로 이어지는 제 6 구멍(102)을 구비한다. 1차 외부벽을 통한 제 6 개구(104)는 제 6 구멍(102) 위로 연장하는 바이패스 플래퍼 밸브 요소(113)를 위해 제공된다. 이들 플래퍼 밸브 요소(111-116)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체 전방의 캠 샤프트(46)의 서로 다른 캠(48)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및 제 2 부품(70, 71) 각각은 단일편의 소재로 형성되며, 함께 접합된 2개 부품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전술한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를 형성한다. 여기에 사용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한다"라는 표현은 제 1 및 제 2 부품이 내부 유체 챔버의 벽과, 챔버 사이의 구멍과, 예컨대, 배관 연결부, 밸브 요소 및 벤츄리 노즐과 같은 성분을 위한 외부 개구 모두를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부품(70, 71)은 플러그로 폐쇄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밸브체(18)를 대각선 이음부(68)를 따라 2개 부품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각 챔버의 부분은 각 부품(70, 71)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부품들은 일반적인 사출 성형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각선 분할은 2개의 주형부가 2개의 직교 축을 따라 합체되도록 함으로써 밸브체 내에 상이한 챔버와 구멍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추가의 주형부는 제 4 외부 측벽(43)에 수직으로 이동하여 용기 연결구(25)와 그를 통한 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밸브체(18)는 전체적으로 밸브 구멍, 챔버 및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2개의 조각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체(18) 가 오직 2개 부품(70, 71)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내/외부 개구를 위한 플러그와 같은 기타의 부차적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밸브체(18)는 본질적으로 오직 2개 부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밸브체(18)는 제 1 부품(70)이 1차 외부벽(40)과 처리 용기 연결구(25)를 포함하고 제 2 부품(71)이 유체 커넥터(62-66)를 갖는 2차 외부벽(41)을 포함하도록 대각선을 따라 분할된다. 대안적 실시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20)는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124, 125)을 따라 반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음부(121)에 의해 분할되어 제 1 및 제 2 부품(122, 123)을 형성한다. 상기 이음부(121)는 1차 외부벽(126)과 제 4 외부 측벽(129) 사이의 접합부에 인접한 밸브체의 전방과 2차 외부벽(127)과 제 3 외부 측벽(128) 사이의 접합부에 인접한 밸브체(120)의 후방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 3 외부 측벽(128) 전체는 제 1 부품(122)에 포함되고, 제 4 외부 측벽(129) 전체는 제 2 부품(123)에 포함된다. 2-분할 밸브체의 독특성과 장점은 대각선 이음부의 연장 방식에 무관하게 얻어진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밸브체(15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체(150)의 2차 외부벽(152)은 미처리수 유입구(153), 처리수 유출구(154), 드레인 유출구(155) 및 재생제 유입구(156)를 위한 배관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플래퍼 밸브 요소와 그 구동 모터(1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캠 샤프트(158)는 2차 외부벽(152)에 설치된다. 이 경우, 플래퍼 밸브의 스템은 2차 외부벽(152) 내의 개구를 통해 캠 샤프트(158) 너머로 돌출한다. 밸브체(150)는 상부 후방 엣지로부터 하부 전방 엣지까지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168, 169) 각각을 통해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이음부(166)를 따라 전방 또는 제 1의 부품(162)과 후방 또는 제 2의 부품(164)으로 분할된다.
전술한 설명은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대안적 실시예가 언급된 바 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시로부터 이제 분명해진 추가의 다른 대안적 실시예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결정되어야 하며,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0)

  1.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에 있어서,
    미처리수 유입구, 처리수 유출구, 드레인 유출구 및 재생제 케넥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외부 커넥터와,
    단일편의 재료로 형성되며, 수처리 용기로의 연결을 위한 유체 연결구를 갖는 제 1 부품과,
    다른 단일편의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품과 밀봉 결합되는 제 2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는 상기 미처리수 유입구가 그 내부로 개방되는 유입 챔버와, 상기 처리수 유출구가 그 내부로 개방되는 유출 챔버와, 린스 챔버와, 역류 챔버와, 상기 드레인 유출구가 그 내부로 개방되는 드레인 챔버와, 상기 재생제 커넥터가 그 내부로 개방되는 재생제 챔버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는 용기 유입 챔버와 용기 유출 챔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용기 유입 챔버와 용기 유출 챔버는 상기 유체 연결구 내로 개방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챔버는 유입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1 밸브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 챔버는 유출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2 밸브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린스 챔버는 린스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3 밸브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역류 챔버는 역류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4 밸브 개구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챔버는 상기 유체 연결구 내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유입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1 밸브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 챔버는 상기 유체 연결구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유출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2 밸브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린스 챔버는 상기 드레인 챔버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린스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3 밸브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역류 챔버는 상기 드레인 챔버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역류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제 4 밸브 개구를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는 재생제 밸브 챔버와 상기 재생제 챔버의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재생제 밸브 요소를 위한 제 5 밸브 개구를 갖는 재생제 밸브 챔버를 더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는, 상기 유입 챔버와 상기 유출 챔버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 챔버와 상기 유출 챔버 중 다른 하나와 바이패스 챔버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다른 밸브 개구를 가지는 바이패스 챔버를 더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7.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에 있어서,
    제 1 부품과,
    상기 제 1 부품과 밀봉 결합되어 복수의 내부 유체 챔버를 형성하는 제 2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에 의해 형성된 밸브체는 1차 및 2차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및 2차 외부벽 사이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는 밸브체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유입 밸브 요소, 유출 밸 브 요소, 린스 밸브 요소, 역류 밸브 요소 및 재생제 밸브 요소를 위한 복수의 개구를 더 포함하고, 수처리 용기로의 연결을 위한 유체 연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2차 외부벽과,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미처리수 유입구, 처리수 유출구, 드레인 유출구 및 재생제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품은 상기 1차 외부벽과,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의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제 1 부품 내에 위치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제 2 부품 내에 위치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구는 상기 제 1 부품 내에 위치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구는 상기 제 2 부품 내에 위치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외부벽 사이로 연장하는 제 3 및 제 4 외부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품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3 외부 측벽 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품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4 외부 측벽 전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외부벽 사이로 연장하고 상기 유체 연결구가 그 상부에 위치된 다른 외부 측벽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4. 제 7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다른 개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을 실질적으로 양분하는 대각선 이음부를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 사이에 구비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6.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에 있어서,
    제 1 외부 측벽, 제 2 외부 측벽 및 제 3 외부 측벽이 사이로 연장하는 1차 및 2차 외부벽과,
    수처리 용기로의 연결을 위한 유체 연결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을 통해 예각으로 상기 제 3 외부 측벽까지 연장하여, 서로 접하여 복수의 내부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부품으로 상기 밸브체를 분할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품은 미처리수 유입구, 처리수 유출구, 드레인 유출구 및 재생제 커넥터를 갖는 상기 2차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품은 유입 밸브 요소, 유출 밸브 요소, 린스 밸브 요소, 역류 밸브 요소 및 재생제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복수의 개구가 관통 연장하는 상기 1차 외부벽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구는 상기 제 1 부품 내에 위치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구는 상기 제 2 부품 내에 위치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19.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에 있어서,
    제 1 외부 측벽, 제 2 외부 측벽 및 제 3 외부 측벽이 그 사이로 연장하는 1차 및 2차 외부벽과,
    수처리 용기로의 연결을 위한 유체 연결구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측벽을 통해 예각으로 상기 제 3 외부 측벽까지 연장하여, 서로 접촉하여 복수의 내부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부품으로 상기 밸브체를 분할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품은, 미처리수 유입구, 처리수 유출구, 드레인 커넥터 및 재생제 커넥터를 가지고, 유입 밸브 요소, 유출 밸브 요소, 린스 밸브 요소, 역류 밸브 요소 및 재생제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복수의 개구가 관통 연장하는 상기 2차 외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품은 상기 1차 외부벽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밸브 요소를 수용하는 다른 개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용 밸브체.
KR1020087019418A 2006-02-08 2007-01-05 수처리 시스템용 2-부품 밸브체 KR20080094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49,758 2006-02-08
US11/349,758 US7610933B2 (en) 2006-02-08 2006-02-08 Two part valve body for a water treat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033A true KR20080094033A (ko) 2008-10-22

Family

ID=3806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418A KR20080094033A (ko) 2006-02-08 2007-01-05 수처리 시스템용 2-부품 밸브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0933B2 (ko)
EP (2) EP2700616A3 (ko)
JP (1) JP4988769B2 (ko)
KR (1) KR20080094033A (ko)
CN (1) CN101378996B (ko)
WO (1) WO20070921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8501B2 (en) * 2006-02-08 2009-08-04 Ge Osmonics, Inc. Bypass valve with flapper valve elements for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S9010361B2 (en) 2011-10-27 2015-04-21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Control valve assembly
KR101846980B1 (ko) * 2012-09-28 2018-04-09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유로 제어 밸브
KR200475329Y1 (ko) * 2014-06-18 2014-11-24 이상화 금형의 작업유체 흐름 확인기구
US10612670B2 (en) 2015-10-23 2020-04-07 Culligan International Company Control valve for fluid treatment apparatus
EP3308858B1 (de) * 2016-10-13 2019-12-25 OAV Objekte und Anlagen Vermietung GmbH Vorrichtung zum entsalzen von wass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9221A (en) * 1944-08-26 1951-01-23 James H Badeaux Multiple control valve
US3475006A (en) * 1967-06-06 1969-10-28 Thetford Eng Corp Ball valve
US3894719A (en) * 1971-11-08 1975-07-15 Aqua Chem Inc Water softener valve
US3797523A (en) * 1972-09-11 1974-03-19 D Brane Low pressure drop water softener valve assembly with dual pistons
US3867961A (en) * 1973-11-16 1975-02-25 Calgon Corp Control valve for water conditioners
CA2249978C (en) * 1996-01-26 2002-03-12 Autotrol Corporation Adaptable control valve for fluid treatment system
JPH09297150A (ja) * 1996-04-30 1997-11-18 Miura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水処理装置
US6206042B1 (en) * 1998-03-06 2001-03-27 Chemical Engineering Corporation Modular control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system
JP4562251B2 (ja) * 2000-07-13 2010-10-13 株式会社丸山製作所 硬水軟化装置
JP2003065453A (ja) * 2001-08-28 2003-03-05 Smc Corp バルブ用ボ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ITVI20010266A1 (it) * 2001-12-21 2003-06-21 A T I Applic Tecnologich E Ad Dispositivo addolcitore per acqu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2109A3 (en) 2007-10-11
US20070181193A1 (en) 2007-08-09
EP2700616A3 (en) 2014-11-05
US7610933B2 (en) 2009-11-03
JP2009525864A (ja) 2009-07-16
CN101378996A (zh) 2009-03-04
WO2007092109A2 (en) 2007-08-16
EP2700616A2 (en) 2014-02-26
CN101378996B (zh) 2012-04-18
EP1986958A2 (en) 2008-11-05
JP4988769B2 (ja)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4033A (ko) 수처리 시스템용 2-부품 밸브체
EP1844253B1 (en) Piston with integral seals for a water softener control valve
CN102228376B (zh) 一种洗碗机
US4804465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06510593B (zh) 软水器和具有其的洗碗机
CN100493437C (zh) 餐具清洗机
KR102223012B1 (ko)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US7004200B1 (en) Constant flow valve for a water softener control assembly
CN214495813U (zh) 软水系统
CN206675497U (zh) 软水器和具有其的洗碗机
KR100525334B1 (ko) 세탁기용 양이온 제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KR100702042B1 (ko)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세탁기
KR100433999B1 (ko) 연수기용 헤드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연수기
KR102592789B1 (ko)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KR100533330B1 (ko) 연수기
KR200150336Y1 (ko) 세탁기의 급수밸브
KR200182046Y1 (ko) 분리형 연수기
JP2015157232A (ja) 水処理装置
JP2004251619A (ja) ボイラ
TWM521128U (zh) 軟水機之供水控制閥組
JP2001079547A (ja) ボイラ
JP2001087758A (ja) 軟水供給装置
KR20030080721A (ko) 에어홀을 가진 연수기
JP2001017788A (ja) 電気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