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514A -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 Google Patents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514A
KR20080093514A KR1020070037294A KR20070037294A KR20080093514A KR 20080093514 A KR20080093514 A KR 20080093514A KR 1020070037294 A KR1020070037294 A KR 1020070037294A KR 20070037294 A KR20070037294 A KR 20070037294A KR 20080093514 A KR20080093514 A KR 20080093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worktable
height
variable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3514A/en
Publication of KR2008009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 E04F11/0255Stairways having stringers having adjustable grad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2Devices for altering inclination; Latching devices therefor ; Balancing arrangements

Abstract

A height-variable worktable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to secure safety for a worker by providing the worker with convenience during work. A height-variable worktable system includes wheels(111), a base frame(110), a worktable(120), a lift(130), and a height-variable ladder(140). The wheels are formed on a lower part of the base frame for moving the base frame. The base frame includes stoppers(112) formed besides each of the wheels to fix the base frame. The worktable is formed on the base frame. The lift connects the base frame and the worktable and lifts the worktable up and down. The height-variable ladder is connected to the worktable and goes downward to the base frame to allow a worker to step up on the worktable from the base frame.

Description

높이 가변형 작업대{Variable elevation worktable}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도 1 은 종래의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ariable worktable,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의 정면도, 2 is a front view of a work be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의 측면도, 3 is a side view of a workbe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사다리의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도 4의 정면도, 5 is a front view of FIG. 4;

도 6 은 본 발명의 작업테이블이 최소 높이로 하강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to the minimum heigh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바퀴 (110): Base frame (111): Wheels

(112) : 스토퍼                       (120) : 작업테이블 (112): Stopper (120): Worktable

(130) : 승강수단                     (131) : X링크 (130): lifting means (131): X-link

(132) : 실린더                       (140) : 가변형 사다리 (132): cylinder 140: variable ladder

(141) : 발판                         (142) : 제1 지지대 (141): scaffolding (142): first support

(143) : 제2 지지대                   (150) : 안내수단 (143): second support (150): guide means

(151) : 롤러                         (152) : 가이드 (151): Roller (152): Guide

본 발명은 고소 작업을 위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테이블로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사다리가 작업테이블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aerial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variable workbench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adder that provides a passageway for a worker to board the worktabl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table.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 등의 각종 산업현장에서 대형구조물의 작업이나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이 요구될 경우,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when the work of large structures or work at a high position is requir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ship construction, a workbench providing a work space at a high position is used.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테이블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고정형과, 작업테이블을 작업위치에 따라 조절 할 수 있는 가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worktable may be classified into a fixed type in which a work table on which the operator boards is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and a variable type in which the work tab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work position.

상기 고정형 작업대의 경우, 작업테이블의 위치가 고정된 단순한 구조이므로 제작이 용이한 이점으로 인해 동일한 높이에서 반복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작업대는 작업테이블의 높이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은 가변형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Since the fixed worktable i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orktable is fixed, it is effectively used in a work site where repetitive work is performed at the same height due to the easy manufacturing. However, since the fixed worktable is fixed at the height of the worktable, it is difficult to proactively cope with various work environments, and in most cases, the variable worktable is used.

도 1은 종래의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작업대는 지면에 근접하며 다수개의 바퀴(11) 및 스토퍼(12) 가 구비되어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수직 상부에서 베이스 프레임(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작업테이블(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작업테이블(20)을 연결하여 작업테이블(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ariable worktable. Referring to FIG. 1, the variable work ben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1 and stoppers 12 close to the ground, and includes a base frame 10 which is movable and fixed, and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 Work table 20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base frame 10, and elevating means 30 for moving work table 20 up and down by connecting base frame 10 and work table 20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상기와 같은 가변형 작업대는 승강수단에 의해 작업테이블이 일정범위 이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variable worktabl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worktable can be height-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elevating means to actively respond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그러나 가변형 작업대의 경우 작업테이블이 높이 변화되므로 작업테이블로 오르고 내리기 위한 사다리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여, 별도의 사다리 또는 이에 상응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작업대에 오르고 내림으로써 사용상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variable worktable, the height of the worktable is changed, so it is not easy to install a ladder for moving up and down to the worktabl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테이블이 승하강하는 가변형 작업대에서 작업테이블의 승하강 상태에 상관없이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작업테이블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항시 제공할 수 있는 링크형 사다리가 구비된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ways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a worker can move from the base frame to the work table regardless of the lifting state of the work table in the variable work table on which the work table moves up and dow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work bench having a link ladder tha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형 작업대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worktabl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in use of the variable workbench.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바퀴와, 고정을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직 상부에서 베이스 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작업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작업테이블을 연결하여 작업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the conventional drawbacks, 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for movement, a stopper for fixing, and the base frame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In the worktabl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height-variable worktable having a lifting means for moving the worktable up and down by connecting the base frame and the worktable,

다수개의 발판들; Multiple scaffolds;

상기 각 발판들의 일측에서 각각의 발판과 평행 사변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도록 발판들과 힌지결합되는 두개의 지지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작업테이블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는 안내수단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지지대; 및 It consists of two support members hinged to the scaffolding to form a parallelogram link structure with each scaffold on one side of each scaffold, the upper end is hinged to the work table, the lower end is a base frame by the guide means A first support configured to move on; And

상기 각 발판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지지대와 대칭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2 지지대;로 구성되어 작업테이블의 높이에 상관없이 발판의 상면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가변형 사다리를 포함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를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support that is installed to have a configuration symmetrical with the first sup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respective scaffolding; and the height varying type including a variable ladder configur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worktable It features a workbenc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작업테이블(120)과, 승강수단(130)과, 가변형 사다리(140)로 구성된다. 이러한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작업테이블(120)을 연결하여 작업테이블(120)로 작업자가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가 작업테이블(120)의 높이에 따라 구조가 변형되는 가변형으로써, 작업테이블(120)의 높이에 상관없이 발판(141)의 상면이 항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사다리를 밟고 지나다닐 수 있게 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2 shows a front view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ide view of the workben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the height-variable work bench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10, a work table 120, elevating means 130, and a variable ladder 140. . The height-variable worktable is a variable type in which the structur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table 120 by a ladder connecting the base frame 110 and the worktable 120 so that an operator can move up or down to the worktable 120. By all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141 to be always horizontal,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120, the operator can stably walk on the ladder, and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다수개의 바퀴(111) 및 스토퍼(112)가 구비되어 바퀴(111)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우며, 스토퍼(112)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112)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bas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11 and the stopper 112 is free to move by the rotation of the wheel 111,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topper 112. . 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112 is a known configur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작업테이블(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수직 상단부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탑승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간(121)이 설치되어 있다. The work table 120 is disposed o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to provide a space for the operator to perform the work, the handrail 121 so as to prevent falls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occupant of the boarding. Is installed.

상기 승강수단(130)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작업테이블(120)을 연결하여 작업테이블(1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X링크(131) 및 실린더(132)로 구성된다. 상기 X링크(131)는 다수개의 바들이 X-형상으로 교차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다수개의 바들이 교차점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작업테이블(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다수개의 바들을 접거나 펼치기 위한 실린더(132)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어 있다. The elevating means 130 connects the base frame 110 and the work table 120 to move the work table 1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cludes an X link 131 and a cylinder 132. The X-link 131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are crossed in an X-shape, the plurality of bars are configured to move the work table 120 up and down by folding or unfolding around the intersection, The cylinder 132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two bars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사다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작업테이블이 최소 높이로 하강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사다리(14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작업테이블(120)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테이블로 오르내리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발판(141)들과 상기 발판(141)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대(142) 및 제2 지지대(143)로 구성된다. Figure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ladd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shows a front view of Figure 4, Figure 6 show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work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to the minimum height. Doing. 4 to 6, the variable ladder 140 connects the base frame 110 and the work table 120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operator to move up and down to the table. And a first support 142 and a second support 14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caffold 141.

상기 발판(141)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 지지대(142) 및 제2 지지대(14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밟을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The scaffold 14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142 and the second support 143 so that a plurality of them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to provide a surface on which the operator can step.

상기 제1 지지대(142)는 발판(141)의 일측에서 발판(141)과 평행 사변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지지대(142)는 상호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두개의 지지부재(142a,142b)들로 구성되며, 두 지지부재(142a,142b)들의 상단부는 작업테이블(120)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는 안내수단(15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지지부재(142a,142b)는 발판(141)과 힌지결합되며, 이때 두 지지부재(142a,142b)에 전후단이 힌지결합된 어느 한 발판의 두 힌지점(P1,P2)을 연결하는 선(L1)과 또 다른 발판의 두 힌지점(P3,P4)을 연결하는 선(L2)은 상호 평행하도록 각각의 발 판(141)을 지지부재(142a,142b)에 힌지결합함으로써 평행 사변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The first support 142 is installed to form a linkage of a quadrilateral parallel to the footrest 141 on one side of the footrest 141. That is, the first support 142 is composed of two support members 142a and 142b which maintain a parallel st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members 142a and 142b are connected to the work table 120. The hinge is coupled,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move on the base frame 110 by the guide means 150. In addition,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142a and 142b is hinged to the footrest 141, and at this time, the two hinge points P1 and P2 of one of the footrests are hinged to the two supporting members 142a and 142b. The line L1 connecting the two hinge points P3 and P4 of another scaffold and the line L2 parallel to each other are hinged to the supporting members 142a and 142b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a link structure.

상기 제2 지지대(143)는 발판(141)의 타측에서 제1 지지대(142)와 대칭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각각의 발판(141)들과 평행 사변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지지대(143)는 제1 지지대(142)와 대칭구조를 갖을 뿐 실질적인 구성은 제1 지지대(14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support 143 is installed t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support 142 on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141 to form a parallelogram link structure with each footrest 141. Since the second support 143 has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first support 142, and a substantial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14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발판(141)은 제1,2 지지대와 힌지결합됨에 있어 상면이 수평한 상태로 놓이도록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수평한 역삼각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도 6과 같이 작업테이블(120)이 최소 높이로 하강하게 되면, 각 발판(141)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연속되는 평면을 형성하도록 각 발판(141)의 사이거리가 결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caffold 141 is hing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support, the upper surface is coupled to be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is installed so as to have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horizontal inverted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When the work table 120 is lowered to the minimum height, the distance between each footrest 141 is determined so that the top surface of each footrest 141 forms a continuous plane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또한 상기 안내수단(150)은 작업테이블(1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2 지지대의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제1,2 지지대(142,143)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42a,142b)의 하단부에 설치된 롤러(151)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어 롤러(151)를 안내하는 가이드(152)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guide means 150 is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to move smoothly without leaving the base frame 110 as the work table 1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econd The roller 15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s 142a and 142b constituting the support 142 and 143, and the guide 152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to guide the roller 151.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높이가 높을 경우, 베이스 프레임(110)으로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사다리(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ight of the base frame 110 is high, the auxiliary ladder 160 to allow the operator to move up and down to the base frame 11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가변형 작업대는 작업테이블(120)의 위치조절이 요 구될 경우, 실린더(132)를 작동하여 X링크(131)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작업테이블(12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When the height-variable worktab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equi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table 120, the cylinder 132 is oper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orktable 120 by folding or unfolding the X-link 131.

상기와 같은 작업테이블(120)의 위치조절 과정에서 작업테이블(120)에 상단부가 힌지결합된 제1,2 지지대(142,143)는 회동하게 되고, 제1,2 지지대(142,143)의 하단부는 안내수단(15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2 지지대(142,143)와 힌지결합되어 평행 사변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발판(141)들은 제1,2 지지대(142,143)가 회동함에 따라 제1,2 지지대(142,143)와 연결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면이 항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테이블(120)의 높이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발판(141)을 안정적으로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게 된다. In the position adjustment process of the work table 1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42 and 143 hinged to the work table 120 are rotated,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42 and 143 are guided. It is moved on the base frame 110 by 150. Meanwhile, the footrests 141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42 and 143 to form a parallelogram link structure have hinge poin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42 and 143 a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42 and 143 rotate. By rotating around the upper surface is alway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120, the operator can stably step up and down the footrest 141.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됨과 더불어 작업테이블로 작업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가 가변형으로 구성되어 작업테이블에 높이에 상관없이 발판의 상면이 항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작업테이블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더욱이 높이 가변형 작업대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 및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worktable is freely adjus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adder is configured to allow the worker to move up and down to the worktabl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is always horizontal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worktable. It was easier to get on or off the worktable without using a separate structure. Furthermore, by providing the ease of use of the variable height workbench,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ensure worker safety.

Claims (4)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바퀴(111)와, 고정을 위한 스토퍼(112)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수직 상부에서 베이스 프레임(110) 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작업테이블(1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과 작업테이블(120)을 연결하여 작업테이블(1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130)을 구비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에 있어서, The base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11 for movement, a stopper 112 for fixing,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frame 110 at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In the worktable 120 has a variable height worktable having a lifting means 130 for moving the worktable 120 up and down by connecting the base frame 110 and the worktable 120, 다수개의 발판(141)들; A plurality of scaffolds 141; 상기 각 발판(141)들의 일측에서 각각의 발판(141)과 평행 사변형의 링크구조를 형성하도록 발판(141)들과 힌지결합되는 두개의 지지부재(142a,142b)들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작업테이블(120)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는 안내수단(15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지지대(142); 및 One side of each of the footrest 141 consists of two support members 142a and 142b which are hinged to the footrest 141 to form a parallelogram-shaped link structure with each footrest 141, the upper end of which A first support 142 hinged to the table 120 and configured to move on the base frame 110 by the guide means 150; And 상기 각 발판(141)의 타측에서 상기 제1 지지대(142)와 대칭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2 지지대(143);로 구성되어 작업테이블(120)의 높이에 상관없이 발판(141)의 상면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가변형 사다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 A second support 143 installed to have a configuration symmetrical with the first support 142 on the other side of each foot 141; consisting of an upper surface of the foot 141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120 Height-variable work 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riable ladder 140 to maintain this horizontal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발판(141)은 상면이 수평한 역삼각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Each scaffold 141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everse triangular shape of the upper surface, 상기 작업테이블(120)이 최소 높이로 하강하면, 각 발판(141)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연속하는 평면을 형성하도록 각 발판(141)의 사이거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 When the work table 120 is lowered to the minimum height, the height of the variable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footrest 14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each footrest 141 forms a continuous plane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50)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150, 상기 제1,2 지지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롤러(151); 및 A roller 151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to rotate; And 상기 작업테이블(120)의 높이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롤러(151)를 안내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1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 And a guide (152)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to guide the roller (151)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change of the work table (1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30)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fting means 130, 다수개의 바들이 X-형상으로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작업테이블(120)과 베이스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X링크(131); 및 An X-link 13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rs cross each other in an X-shape to connect the work table 120 and the base frame 110; And 상기 X링크(131)와 연결되어 X링크(131)를 접거나 펼침으로서 작업테이블(120)을 승하강 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1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작업대. And a cylinder (132) connected to the X link (131) to provide power to raise and lower the work table (120) by folding or unfolding the X link (131).
KR1020070037294A 2007-04-17 2007-04-17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KR20080093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294A KR20080093514A (en) 2007-04-17 2007-04-17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294A KR20080093514A (en) 2007-04-17 2007-04-17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514A true KR20080093514A (en) 2008-10-22

Family

ID=4015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294A KR20080093514A (en) 2007-04-17 2007-04-17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3514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94Y1 (en) * 2012-03-28 2014-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adder with auxiliary ladder
CN107775611A (en) * 2017-10-10 2018-03-09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Spacecraft posture adjustment cantilevered multi-axis turntable
KR101883457B1 (en) * 2018-04-24 2018-07-31 박성준 Stepped work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CN111515909A (en) * 2020-04-29 2020-08-11 南宁学院 Quick overhaul device of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KR102155130B1 (en) * 2020-04-10 2020-09-11 주식회사 하이파우어 Working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active part structure of power transform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94Y1 (en) * 2012-03-28 2014-04-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adder with auxiliary ladder
CN107775611A (en) * 2017-10-10 2018-03-09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Spacecraft posture adjustment cantilevered multi-axis turntable
KR101883457B1 (en) * 2018-04-24 2018-07-31 박성준 Stepped worktabl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KR102155130B1 (en) * 2020-04-10 2020-09-11 주식회사 하이파우어 Working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active part structure of power transformer
CN111515909A (en) * 2020-04-29 2020-08-11 南宁学院 Quick overhaul device of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4836C (en) Aerial work apparatus with laterally offset work platform
KR100989822B1 (en)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KR100933361B1 (en) Aerial platform
KR20080093514A (en)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KR200480180Y1 (en) A type ladder
KR20130096559A (en)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KR20120104864A (en)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KR102105675B1 (en) Up-down work table for elevating working place
KR20210003452A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KR200484259Y1 (en) Ladder for offshore structures
KR101910289B1 (en) Satellite access equipment for structural strain reduction
KR20130084478A (en)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KR102202449B1 (en) High place workbench to prevent safety accidents
JP2002046951A (en) Scaffold apparatus for maintenance of elevator
JP4800714B2 (en) Lifting work scaffold
KR20170132597A (en) Foldable work stage for suspension scaffold
JPH08100517A (en) Vertically movable scaffold
KR102609173B1 (en) High place operation tower and high place operation tower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0561709B1 (en) Safety check apparatus of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
KR100925864B1 (en) Working platform for high place working gondola in building
KR20200075370A (en) A standing structure bench using a crane
KR20200076142A (en) Apparatus for elevating work table
KR101252098B1 (en)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JPH1067493A (en) Working base device for high place working vehicle
KR101552245B1 (en) High-place work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