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452A -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 Google Patents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452A
KR20210003452A KR1020190079251A KR20190079251A KR20210003452A KR 20210003452 A KR20210003452 A KR 20210003452A KR 1020190079251 A KR1020190079251 A KR 1020190079251A KR 20190079251 A KR20190079251 A KR 20190079251A KR 20210003452 A KR20210003452 A KR 2021000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pe
height
support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1781B1 (en
Inventor
노순오
박도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81B1/en
Publication of KR2021000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8Inclined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ork platform, which is configured to adjust a height of the work platform, has a tool receiving space on a horizontal railing, enables a user to handle and store other work platforms, and has improved safety. To this end, the mobile work platform includes a work part, a lifting part, a support part, and an outrigger.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 현장의 고소작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workbench that can be used in high place work in various industrial sites.

건설 현장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범위를 벗어난 높은 곳의 작업 시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대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높이가 5m 이상인 곳의 작업 시 주로 전동식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거나 비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높이가 1.5m~4m 정도의 상대적으로 낮은 작업의 경우 비전동식 일반 고소 작업대가 사용된다.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when working at a high place outside the work range of the worker, a worktable where the worker can stand and work is useful. When working in a place with a height of 5m or more, the work is mainly done by using an electric high place workbench or installing a scaffold, and for relatively low work with a height of 1.5m to 4m, a non-powered general height worktable is used.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2681호는 “이동식 높이 조절 작업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경사진 계단 부분으로 인해 작업대의 부피가 증가하고, 작업대를 지지하는 안정적인 지지대의 부재하여 장비의 취급이 불편하며 작업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As a prior art in the related art,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2681 discloses a “movable height adjustment worktable”.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worktable increases due to the inclined stair portion, and because of the absence of a st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worktable, handling of equipment is inconvenient and work safety is poor.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1595호는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를 개시하고 있으나, 작업 공간의 안전난간의 높이가 낮고, 출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점 등 작업자의 작업상 편의성을 고려하지 못해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71595 discloses a “movable worktabl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but the height of the safety railing of the work space is low, an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s work is not formed. There is a discomfort due to not being able to take into account.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고소 작업대로서 작업 공간의 편의성과 안전성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되어 장비의 취급과 사용이 편리한 작업대가 요구되어 진다. Therefore, as a height-adjustable mobile aerial workbench, various aspects such as convenience and safety of a work space are considered, and a workbench that is convenient to handle and use the equipment is required.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1595호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71595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취급이 편리하며,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작업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table with improved height adjustment, convenient handling, and improved operator convenience and safety as a mobile worktab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 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작업부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승강파이프와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연결하는 수평승강파이프를 포함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수직 파이프를 수용하며 상기 수직 파이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파이프와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웃트리거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가이드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에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movable work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ncludes a working part including a scaffold that an operator can work on and a handrail formed on the edge of the scaffold, a vertical lifting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caffold, and the vertical lifting A vertical support pipe including a horizontal lifting pipe connecting the pipe and a vertical support pipe accommodating the vertical pipe of the lifting par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pipe, and a horizontal support pipe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pipe to each other. A support part and an outrigger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a wheel part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wherein the vertical lifting pipe is adjusted in height by ascending or descending from the guide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And a height fixing part fixing the height of the lifting part to the vertical support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승강파이프에 높이 조절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고정부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일정 높이에 형성된 높이 고정 구멍과 고정 막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 막대를 상기 높이 고정 구멍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구멍에 관통하는 방식으로 상기 작업부의 높이를 조절한다. Preferably, a height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elevating pipe, and the height fixing part includes a height fixing hole and a fixing ro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and the fixing rod is provided through the height fixing hole. The height of the working part is adjusted by penetrating the height adjustment ho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암과 지지암의 끝 단에서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암은 2단 이상으로 접기가 가능하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outrigger includes a support arm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ground at an end of the support arm, and the support arm can be folded in two or more stages.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간은 상기 발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난간과 상기 수직 난간을 연결하는 수평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난간은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railing includes a vertical railing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caffolding and a horizontal railing connecting the vertical railing, and the horizontal railing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난간 중 어느 하나에 바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 난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바의 타단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한다. In addition, preferably, one end of the bar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of the vertical railings,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other end of the bar to the other of the vertical railings is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승강파이프는 상기 바가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지지파이프는 상기 바가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horizontal lifting pipe connects the vertical lifting pipe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bar is formed, and the horizontal support pipe connects the vertical support pipe at regular intervals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bar is formed.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난간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 난간은 서로 와이어로 연결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vertical railing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at the top of the vertical railing.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높이의 작업이 가능하고, 여러 개의 작업대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며, 공구함의 기능을 가진 안전난간을 통해 작업자의 작업성이 증대되고, 작업대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 of various heights is possible, cost is reduc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multiple work tables, and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 is increased through the safety railing with the function of a tool box, and handling and storage of the work table is easy. There is on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와 지지부의 결합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아웃트리거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수평 난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작업대에 형성된 출입구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work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in detail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ifting unit and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lifting part and a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shape of an outrigger.
5 shows a shape of a horizontal railing.
6 shows the appearance of the entrance formed on the workbench.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100)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work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작업대(100)는 작업부(110)와 승강부(120) 및 지지부(130)을 포함한다. 또한, 높이 고정부(140)와 아웃트리거(150) 및 바퀴부(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worktable 100 includes a work part 110, an elevation part 120, and a support part 130. In addition, it includes a height fixing part 140, an outrigger 150, and a wheel part 160.

작업부(110)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판 상의 발판(111)과 발판(111)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난간은 수직난간(112)과 수평난간(11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난간(112)의 상단은 서로 와이어(114)로 연결된다. 또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바(115)(bar)가 수직난간(11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수직난간(112)에는 체결구(116)가 고정되어 상기 바(115)와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다. The working unit 110 includes a board-shaped scaffold 111 that provides a space for a worker to rise and work, and a railing formed on the edge of the scaffold 111. The railing may be formed of a vertical railing 112 and a horizontal railing 113, and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railing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114. In addition, a bar 115 serving as an entrance is rotatably fixed to the vertical railing 112, and a fastener 116 is fixed to the other vertical railing 112 to be coupled or released with the bar 115 can do.

발판(111)은 적당한 크기의 면적을 가진 사각형의 판 부재이며,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이 가능할 정도의 강도와 내구성을 지닌다. 또한, 작업부(11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벼운 재질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발판(111)의 크기 또는 재질, 형상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이하 ‘당업자’라고 함)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The scaffold 111 is a rectangular plate member having an area of an appropriate size, and has strength and durability enough to allow a worker to stand up and work. In addition, it is suitable to select a light material to reduce the weight of the work unit 110. The size, material, shape, and the like of the scaffold 111 include those tha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killed person”).

난간은 발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추락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구조를 이룬다. 난간의 높이는 작업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추락 우려가 없는 적절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The railing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caffolding 111 to form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operator from falling during work. The height of the railing may have an appropriate height without fear of falling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wor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난간은 수직난간(112)과 수평난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난간(112)은 사각형의 발판(111)의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수평난간(113)은 수직난간(112)의 사이를 적절한 높이에서 연결한다. 난간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ing may include a vertical railing 112 and a horizontal railing 113. The vertical railing 112 is formed by being vertically fixe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square foot plate 111, and the horizontal railing 113 connects the vertical railing 112 at an appropriate height. Handrails are for preventing workers from falling and have adequate strength and durability.

도 5는 수평난간(113)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수평 난간은 작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각종 공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평난간(113)은 수직난간(112)을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 수용공간에 뚜껑을 구비할 수도 있다. 5 shows the state of the horizontal railing 113. The horizontal railing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various tools that are mainly used by workers. That is, the horizontal railing 113 has a length enough to connect the vertical railing 112 and has a space for storing objects. If necessary, a lid may be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이동식 작업대(100)가 사용되는 현장은 주로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일상적으로 유사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쓰이는 공구의 종류 또한 비슷하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 난간을 활용하여 공구를 보관할 경우, 작업자가 작업할 때마다 공구를 챙겨 올라갈 필요가 없고, 별도의 공구 보관함을 작업대에 두는 것이 아니므로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site where the mobile workbench 100 is used is a place where high place work is mainly performed, and the types of tools used when similar work is routinely performed are similar. Therefore, in the case of storing the tool using the handrai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working space since there is no need to carry up the tool every time an operator works, and a separate tool storage box is not placed on the workbench.

도 6은 작업대에 형성된 출입구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115)(bar)와 체결구(116)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6 shows the state of the entrance formed on the workbench. Referring to FIG. 6, a bar 115 and a fastener 116 can be seen.

바(115)는 수직난간(112)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바(115)는 출입구 역할을 하기 위한 적당한 높이에 위치한다. 바(115)의 회동 방향은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세로 방향이거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The bar 115 is rotatably fixed to any one of the vertical railings 112. The bar 115 is positioned at an appropriate height to serve as an entranc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r 115 may be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about a fixed portion.

바(115)가 가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작업대 내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외부 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하게 하는 것이 작업자의 안전에 유리할 것이다. 바(115)가 세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수평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하부 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하게 하는 것이 작업자의 안전에 유리하다. When the bar 115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will be advantageous for the safety of the worker to rotat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workbench and not in the outer direction. When the bar 115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for the safety of the worker to rotate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and not in the lower direction.

바(115)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것이나, 작업 중에는 난간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중 기대거나, 중심을 잃고 바(115)와 충돌한 경우라도 바(115)가 안전하게 작업자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적당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다. The bar 115 is for entry and exit of the worker, but serves as a railing during work. Therefore, even when the worker leans on during work, loses the center and collides with the bar 115, the bar 115 safely supports the worker and has adequate strength and durability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체결구(116)는 상기 바(115)가 고정되지 않은 다른 수직난간(112)에 형성되어 바(115)의 끝 단과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체결구(116)는 바(115)가 수평상태에서 체결구(116)와 결합되도록 수직난간(112)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바(115)와 체결구(116)가 결합 또는 해제되는 방식은 다양하며, 그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가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The fastener 116 is formed on the other vertical railing 112 to which the bar 115 is not fixed, and is formed to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end of the bar 115. In addition, the fastener 116 is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vertical railing 112 so that the bar 115 is coupled with the fastener 116 in a horizontal state. There are various ways in which the bar 115 and the fastener 116 are coupled or released, and thus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Therefor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 an appropriate one.

이와 같이, 바(115)와 체결구(116)를 통해 작업대의 출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대에 오를 시 동선을 방해받지 않으며, 작업 중 난간의 역할을 하여 안전장치가 된다. In this way, by forming the entrance to the workbench through the bar 115 and the fastener 116, the movement line is not obstructed when the worker ascends to the workbench, and acts as a railing during work to become a safety device.

승강부(120)는 작업대 아래에 연결된 것으로 지지부(130)에 형성된 가이드부(133)에 인입 또는 인출되어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부(120)는 수직승강파이프(121)와 수평승강파이프(122)를 포함하며, 수직승강파이프(121)는 높이 조절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The elevat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ork table and is inserted into or drawn out to the guide part 133 formed on the support part 13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Referring to FIG. 1, the elevating part 120 includes a vertical elevating pipe 121 and a horizontal elevating pipe 122, and the vertical elevating pipe 121 has a height adjustment hole 123 formed therein.

수직승강파이프(121)는 사각형의 발판(111)의 네 모서리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파이프 부재이고, 수평승강파이프(122)는 수직승강파이프(121)를 연결하는 수평의 파이프 부재이다. 출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승강파이프(121)는 수평승강파이프(122)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고, 그 반대측에 있는 다른 한 쌍의 수직승강파이프(121)도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is a pipe member that is vertically fixed to the lower four corners of the square foot plate 111, and the horizontal lifting pipe 122 is a horizontal pipe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A pair of vertical lifting pipes 121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is formed ar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by the horizontal lifting pipe 122, and the other pair of vertical lifting pipes 121 on the opposite sid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I can.

수직승강파이프(121)와 수평승강파이프(122)가 연결된 형상은 사다리 기능을 할 수 있어, 작업자는 이를 이용하여 작업대에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수평승강파이프(122) 사이의 일정한 간격은 작업대에 오르는 작업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hape in which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and the horizontal lifting pipe 122 are connected can function as a ladder, so that the operator can climb to the workbench using this. Therefore, a certain interval between the horizontal lifting pipes 122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who climbs the workbench.

수직승강파이프(121)의 길이는 작업대의 무게와 높이에 따른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100)는 평소 약 2m 높이를 가지며, 작업대 인출 시 약 3.5~4m 정도의 높이까지 고소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수직승강파이프(121)의 길이를 약 1.5m에서 2m로 설정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may be determined to be an appropriate length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according to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worktable. The movable worktab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ight of about 2m, and when the worktable is pulled out, it is possible to work at a height of about 3.5 to 4m. Therefore, the length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can be set from about 1.5m to 2m.

수직승강파이프(121)는 높이 조절 구멍(123)이 일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된다. 높이 조절 구멍(123)은 승강부(120)가 지지부(130)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인출된 후, 승강부(120)를 상기 높이에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높이 조절 구멍(123)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승강부(120)는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has a height adjustment hole 123 formed along a regular interval. The height adjustment hole 123 is a hole for fixing the lifting part 120 at the height after the lifting part 120 is drawn out from the support part 130 by a certain height. Since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123 are formed, the lifting part 120 may be fixed at various heights.

수직승강파이프(121) 또는 수평승강파이프(122)의 길이, 형상, 재질과 높이 조절 구멍(123)의 개수, 크기, 위치 등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The length, shape, material, and number, size, and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123 of the vertical elevating pipe 121 or the horizontal elevating pipe 122 include those tha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지지부(130)는 작업부(110)와 승강부(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승강부(120)를 일정 높이에 고정한다. 지지부(130)는 수직지지파이프(131)와 수평지지파이프(13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파이프(131)는 높이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art 130 supports the load of the working part 110 and the lifting part 120 while fixing the lifting part 120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support part 13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ipe 131 and a horizontal support pipe 132, and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includes a height fixing part.

수직지지파이프(131)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발판(111)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승강파이프(121)와 일렬로 위치한다. 수직지지파이프(131)는 수직승강파이프(121)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가이드부(133)를 포함하며, 가이드부(133)를 따라 수직승강파이프(12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positioned in line with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formed under the four corners of the scaffold 111.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includes a guide part 133 through which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is inserted or withdrawn,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is adjustable along the guide part 133.

가이드부(133)는 수직지지파이프(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으로서, 중공의 상부가 개방되어 수직승강파이프(121)의 하단을 상기 중공의 상부에 삽입할 수 있다. 승강부(120)를 인입 또는 인출할 때 수평승강파이프(122)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중공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The guide part 133 is a hollow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and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is open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One side of the hollow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horizontal lifting pipe 122 is not caught when the lifting part 120 is pulled in or pulled out.

가이드부(133)는 지지부(130)로부터 승강부(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 하중이 지지부(130)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guide part 133 prevents the lifting part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130, so that the work load is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support part 130, and provides a function of enabling height adjustment in a certain direction.

높이 고정부는 수직지지파이프(131)의 일정한 위치에 형성되고, 높이 고정 구멍(141)과 고정 막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고정 구멍(141)은 수직지지파이프(131)를 관통하여 가이드부(133)의 중공과 통한다. 고정 막대(142)는 상기 높이 고정 구멍(141)을 통과하여 수직승강파이프(121)의 높이 조절 구멍(123)에 삽입되는 방식에 의해 승강부(120)의 높이를 고정한다. The height fixing part is formed at a certain posi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and may include a height fixing hole 141 and a fixing rod 142. The height fixing hole 141 passes through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and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of the guide part 133. The fixing rod 142 fixes the height of the lifting part 120 by passing through the height fixing hole 141 and being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hole 123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고정 막대(142)에 의해 작업부(110)와 승강부(120)의 하중이 지지되므로, 고정 막대(142)는 상기 하중에 의한 변형이 없는 강한 재질(금속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load of the working part 110 and the lifting part 120 is supported by the fixed rod 142,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rod 142 be made of a strong material (metal, etc.) that is not deformed by the load.

수평지지파이프(132)는 복수의 수직지지파이프(131)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지지부(130)를 일체로 거동하게 하고, 지지부(130)가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형상을 유지하며,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하는 것을 돕는 사다리의 역할을 한다. The horizontal support pipe 132 is a member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pipes 131 to each other, makes the support part 130 behave integrally, and maintains the shape so that the support part 130 is not deformed by the load, and the operator It acts as a ladder to help get on the workbench.

따라서, 지지부(130)에서 출입구가 위치한 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지지파이프(131)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탑승 편의를 고려한 사다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rface on which the entrance is located in the support unit 130 may provide a ladder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by forming the vertical support pipes 131 at regular intervals.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120)와 지지부(130)의 결합 구조와 결합 단면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2 to 3 show in detail the coupling structure and the coupling cross section of the lifting part 120 and the support par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승강부(120)와 지지부(130)의 높이 조절과 관련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수직지지파이프(131)의 단면은 수직승강파이프(121)의 단면보다 넓고 내부에 수직승강파이프(121)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상부가 개방되고,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중공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이 개방되어 가이드부(133)를 형성한다. 따라서, 수직승강파이프(121)는 중공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고, 수평승강파이프(122)가 걸리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 a configuration related to height adjustment of the lifting unit 120 and the support unit 130 can be confirmed.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may be wid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and may form a hollow in which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can be accommodated.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is opened, and as shown in FIG. 2, the side surfaces of which a pair of hollows face each other are opened to form a guide part 133. Therefore,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in a hollow, and the horizontal lifting pipe 122 is not caught.

수직승강파이프(121)가 가이드부(133)에 인입된 상태에서, 수직승강파이프(121)의 측면에 형성된 높이 조절 구멍(123)이 수직지지파이프(131)의 높이 고정 구멍(141)과 높이가 일치하도록 승강부(12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 후, 고정 막대(142)를 상기 높이 고정 구멍(141)을 통해 높이 조절 구멍(123)에 삽입하여 높이를 고정한다.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133, the height adjusting hole 123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lifting pipe 121 is the height fixing hole 141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Adjust the height of the lifting unit 120 to match. After that, the fixing rod 142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hole 123 through the height fixing hole 141 to fix the height.

도 4는 아웃트리거(15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4 shows the shape of the outrigger 150.

아웃트리거(150)는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웃트리거(150)가 각 수직지지파이프(13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아웃트리거(150)는 지지암(151)과 지지대(152)를 포함한다. 지지암(151)은 지지 대상이 넓은 면적에 의해 지지받도록 길이를 가진 부재로 형성된다. 지지대(152)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암(151)의 끝 단에 연결되고, 지면에 닿도록 조절과 고정이 가능하다. The outrigger 150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outrigger 15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support pipe 131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he outrigger 150 includes a support arm 151 and a support stand 152. The support arm 151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a length so that the support object is supported by a large area. The support 152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ort arm 15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can be adjusted and fixed so as to contact the ground.

지지암(151)은 길이가 길수록 지지 대상을 넓은 면적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기능상 유리하다. 그러나, 지지암(151)의 길이가 길수록 작업대의 취급이 불편하고, 이동식 작업대의 거동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암(151)은 접기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아웃트리거(150)의 미사용 시 지지암(151)을 접은 채 이동식 작업대(100)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펼쳤을 때 길이가 길어 이동식 작업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the length of the support arm 151 is longer, the support object is supported by a large area, so that it is advantageous in function. However, as the length of the support arm 151 is longer, the handling of the worktable becomes inconven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y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mobile worktable. The support arm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foldable, so that when the outrigger 150 is not in use, the support arm 151 can be folded and the movable worktable 100 can be mov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the mobile worktable 100 more stably because the length is long when unfolded.

구조체를 지지하는 아웃트리거(150)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아웃트리거(150)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There may be various forms of the outrigger 150 supporting the structure. The outrigger 150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ose that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바퀴부(160)는 수직지지파이프(131)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식 작업대(100)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퀴부(160)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대의 이동시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작업대에서 작업시 브레이크를 고정하여 작업중 작업대가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wheel unit 16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131 and serves to enable the movable worktable 100 to move in various directions. The wheel unit 160 may include a bra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brake when moving the worktable and fix the brake while working on the worktable so that the worktable does not move during work.

와이어(114)는 수직난간(112)의 상단에서 수직난간(112)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와이어(114)는 작업부(110)의 작업 공간을 둘러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14)는 작업자가 고소 작업시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안전장치(고소작업 안전벨트 등)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작업자는 안전 장치를 와이어에 연결한 상태로 작업을 실시하며, 추락하더라도 안전장치가 와이어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The wire 114 connects the vertical railing 112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vertical railing 112. In addition, the wire 114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working space of the working unit 110. The wire 114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safety devices (such as high place work seat belts) that a worker generally wears when working at high places. The worker works with the safety device connected to the wire, and even if it falls, the safety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 so that the worker does not fall to the groun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식 작업대
110: 작업부 111: 발판
112: 수직난간 113: 수평난간
114: 와이어 115: 바(bar)
116: 체결구
120: 승강부 121: 수직승강파이프
122: 수평승강파이프 123: 높이 조절 구멍
130: 지지부 131: 수직지지파이프
132: 수평지지파이프 133: 가이드부
140: 높이 고정부 141: 높이 고정 구멍
142: 고정 막대
150: 아웃트리거 151: 지지암
152: 지지대
160: 바퀴부
100: mobile worktable
110: work unit 111: scaffold
112: vertical railing 113: horizontal railing
114: wire 115: bar
116: fastener
120: lifting part 121: vertical lifting pipe
122: horizontal lifting pipe 123: height adjustment hole
130: support 131: vertical support pipe
132: horizontal support pipe 133: guide portion
140: height fixing part 141: height fixing hole
142: fixing rod
150: outrigger 151: support arm
152: support
160: wheel part

Claims (7)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 가능한 발판과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발판의 하부에 연결된 수직승강파이프와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연결하는 수평승강파이프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수직 파이프를 수용하며 상기 수직 파이프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수직지지파이프와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지지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웃트리거; 및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가이드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에 상기 승강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 고정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A working unit including a scaffold for which a worker can stand and work and a railing formed on an edge of the scaffold;
An elevating unit including a vertical elevating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caffolding and a horizontal elevating pipe connecting the vertical elevating pipe;
A support part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pipe accommodating the vertical pipe of the lifting part and having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pipe and a horizontal support pipe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pipe to each other;
An outrigg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And
It includes a wheel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The vertical elevating pipe is a movable work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ed by raising or lowering from the guide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and a height fixing portion fixing the height of the elevating portion to the vertical suppor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승강파이프에 높이 조절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고정부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일정 높이에 형성된 높이 고정 구멍과 고정 막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 막대를 상기 높이 고정 구멍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구멍에 관통하는 방식으로 상기 작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1,
A height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lifting pipe, and the height fixing part includes a height fixing hole and a fixing rod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and inserting the fixing rod into the height adjustment hole through the height fixing hole. Mobile worktable, characterized in th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ork part in a penetrating man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직지지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암과 지지암의 끝 단에서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암은 2단 이상으로 접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rigger includes a support arm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pip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ground at an end of the support arm, and the support arm is a movable type that can be folded in two or more stages. benc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발판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난간과 상기 수직 난간을 연결하는 수평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난간은 수용공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railing includes a vertical railing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caffolding and a horizontal railing connecting the vertical railing, and the horizontal railing includes a receiving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난간 중 어느 하나에 바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 난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바의 타단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of the bar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of the vertical railings,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other end of the bar to the other of the vertical railing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승강파이프는 상기 바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작업부 하부에서 상기 수직승강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평지지파이프는 상기 바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작업부 하부에서 상기 수직지지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5,
The horizontal lifting pipe connects the vertical lifting pipes at regular intervals under the work part at the position where the bar is formed,
The horizontal support pipe is a mobile work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pipes at regular intervals under the work part at the position where the bar is 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난간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 난간은 서로 와이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6,
Mobile work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railing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at the top of the vertical railing.
KR1020190079251A 2019-07-02 2019-07-02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KR102241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51A KR102241781B1 (en) 2019-07-02 2019-07-02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251A KR102241781B1 (en) 2019-07-02 2019-07-02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52A true KR20210003452A (en) 2021-01-12
KR102241781B1 KR102241781B1 (en) 2021-04-19

Family

ID=7412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251A KR102241781B1 (en) 2019-07-02 2019-07-02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422A (en) * 2021-11-03 2022-01-14 金狮堂(江苏)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Construction platform for housing construction engineering
CN114215324A (en) * 2022-01-11 2022-03-22 金留念 Whitewash support for constr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820B1 (en) * 2022-02-18 2022-12-23 (주)남성전력 Ladder For High Place Working Having Handrai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3984A (en) * 1979-04-04 1981-04-28 Akira Masuda Truck serving as a workbench
US5044467A (en) * 1989-07-17 1991-09-03 Heiden Gary J Scaffold
KR20060071595A (en) 2004-12-22 2006-06-27 한국산업안전공단 A moving work-stand adjustable in height and inclination
KR20150111772A (en) * 2014-03-26 2015-10-06 황용규 Lift ca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3984A (en) * 1979-04-04 1981-04-28 Akira Masuda Truck serving as a workbench
US5044467A (en) * 1989-07-17 1991-09-03 Heiden Gary J Scaffold
KR20060071595A (en) 2004-12-22 2006-06-27 한국산업안전공단 A moving work-stand adjustable in height and inclination
KR20150111772A (en) * 2014-03-26 2015-10-06 황용규 Lift ca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422A (en) * 2021-11-03 2022-01-14 金狮堂(江苏)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Construction platform for housing construction engineering
CN114215324A (en) * 2022-01-11 2022-03-22 金留念 Whitewash support for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781B1 (en)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781B1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US20090152045A1 (en) Mobile mount for attachment of a fall arrest system
KR102426503B1 (en) Working platform for installing and maintaining of elevator
KR200480180Y1 (en) A type ladder
AU2016309949A1 (en) An extendable work platform
US20140144724A1 (en) Self-contained, portable and self-supporting scaffolding kit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JP3125537U (en) Portable worktable
KR20060071595A (en) A moving work-stand adjustable in height and inclination
US20050061582A1 (en) Movable and repositionable safety guard rails for scaffolding
KR20120109170A (en) Scaffolding ladder
KR200472094Y1 (en) Ladder with auxiliary ladder
US20070267249A1 (en) Roof safety system
JP7212343B2 (en) Workbench
JPH01226687A (en) Elevator scaffolding device
KR20220075163A (en) Veranda safety caulking workbench
KR20110002720U (en) Ladder for high place works
KR200412243Y1 (en) Ladder
KR20210015011A (en) Ladder
CN110565931A (en) Assembled scaffold for road construction
KR20160116277A (en) Handrail safety device and stair type movable platform
KR102479820B1 (en) Ladder For High Place Working Having Handrail
KR102180099B1 (en) Ladder for work
EP2746490A2 (en) A scaffold
KR200461587Y1 (en) safety bar assembly of work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