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245B1 - High-place worktable - Google Patents

High-place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245B1
KR101552245B1 KR1020140042498A KR20140042498A KR101552245B1 KR 101552245 B1 KR101552245 B1 KR 101552245B1 KR 1020140042498 A KR1020140042498 A KR 1020140042498A KR 20140042498 A KR20140042498 A KR 20140042498A KR 101552245 B1 KR101552245 B1 KR 10155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shaft
bracket
main arms
foot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승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4004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2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place worktable capable of expanding a working radius, wherein a footboard is installed on a top of two main arms extending forward from a tower to allow expansion of a working radius. To achieve this, the high place worktable capable of expanding a working radius comprises: the tower to allow workers to ascend or descend; a first supporter made by a first bracket provided on a front left end of a top of the tower, and a first vertical shaft outside the first bracket; a second supporter made by a second bracket provided on the front right end of the top of the tower, and a second vertical shaft outside the second bracket; a first horizontal main arm of which one end is joined to the first shaft of the first supporter to be rotated to the front and the rear; a horizontal main arm of which one end is joined to the second shaft of the second supporter to be rotated to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footboard to be supported on each main arm rotated to the front and the rear around each shaft to be opened.

Description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HIGH-PLACE WORKTABLE}{HIGH-PLACE WORKTABLE}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놓인 시설물이나 구조물 등을 보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소(高所)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워에 전후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두 메인암을 전방으로 전개(펼침)한 후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풋보드를 설치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작업대에 관한 기술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able for a high place installed to repair a facility or a structure placed at a high position from the ground, and particularly, Which is capable of expanding the work radius of a worker by installing a footboard on which a worker can walk, and which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which is easy to store and move.

작업대에 관한 기술로는,With respect to the work bench technique,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99226호(2009.05.18.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작업대』가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99226 (Register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Workbench"

상기 선행기술은 고정발판과, 상기 고정발판의 양측에 상향 회동하도록 안쪽을 경첩으로 조립한 가변발판과, 상기 고정발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하단에 캐스터가 결합된 2개의 고정대에 결합한 4개의 제1지주 및 고정대와 직각방향으로 제1지주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한 스페이스바와, 상기 가변발판의 바깥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간과 하단에 폭 방향으로 스페이스바가 결합되고 상단에 가변발판의 하면과 접하는 수평지지부가 직각방향으로 일체 형성된 제2지주와, 상기 제1지주의 하단에 결합된 스페이스바와, 상기 스페이스바 보다 조금 높게 위치되도록 제2지주의 하단에 스페이스바에 양단을 핀으로 결합한 회동대와, 상기 고정발판과 고정대 사이에 설치한 탄성지지수단와, 상기 가변발판을 세운 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작업대에 관한 기술이긴 하나,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ncludes a fixed footrest, a variable footrest assembled with the inside to be hinged so as to pivot upwar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ootrest, and a plurality of first footstep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fixed footstep, A space bar connect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r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ut and the fixed base, a space bar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variable foot, having a space bar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middle and lower ends thereof, A second support having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formed integral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pport, a space ba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a pivot table coupled to the space bar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An elastic support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fixed foot and the fixed base,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ed foot in a standing state Although it is a workbench technique,

작업자의 작업 반경이 고정 및 가변 발판의 상부 면적만큼 한정될 수밖에 없고, 특히 컨베이어 등의 이송라인 상부 측 작업 시 작업자가 몸을 기울여 작업하기에는 안전사고 등의 위험 요소가 많아 이송라인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에 작업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The work radius of the worker must be limited by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fixed and variable footrests. Especially, when the worker tilts the body during the work on the conveying line, there are many risk factors such as safety accid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worked on later.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타워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는 두 개의 메인암과 이 상부에 설치되는 풋보드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고, 특히 이송라인 상부 측 보수 작업 등이 용이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working radius of a worker through two main arms extending forward from a tower in which a worker can work up and a footboard installed there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orkbench.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가 오르고 내리기 위한 타워;A tower for workers to climb up and down;

상기 타워의 상부 측 전방 좌단부(左端部)에 설치되는 제1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브래킷 외측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제1샤프트로 이루어진 제1지지체;A first bracket including a first bracket installed at a front left end of the tower and a vertical first shaft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first bracket;

상기 타워의 상부 측 전방 우단부(右端部)에 설치되는 제2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2브래킷 외측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제2샤프트로 이루어진 제2지지체;A second bracket including a second bracket installed at a front right end of the tower and a vertical second shaft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샤프트에 일단부(一端部)가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형 제1메인암(main-arm);A first main arm which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of the first support body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2지지체의 제2샤프트에 일단부가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형 제2메인암; 및A second main arm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of the second support body so as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상기 각 샤프트를 기준으로 전방 회동되어 펼쳐진 상기 각 메인암에 의해 받쳐지는 풋보드;A footboard supported by each of the main arms which is rotated forward by the respective shafts as a referenc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그리고 펼쳐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의 각 타단부(他端部)가 아래로 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In order to prevent the other ends of the unfolded first and second main arms from being struck down,

펼쳐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의 각 타단부(他端部)를 받치게 되는 제1 및 제2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대 비(非)사용 시, 접혀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의 회동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In order to restrict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olded first and second main arms when the work bench ratio is used,

상기 각 샤프트를 기준으로 후방 회동되어 접혀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에 대한 펼침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further includes a spread preventing means for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which are folded and rotated backward on the basis of the respective shafts.

그리고 풋보드 설치 용이 및 설치 후 풋보드의 전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footboard and to prevent the footboard from moving back and forth after installation,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에는 이에 의해 받쳐진 상기 풋보드의 전후 단부(端部)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are provided with stoppers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ootboard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그리고 각 메인암에 의해 받쳐진 풋보드의 상방 움직임(들림 현상 등)을 제한하기 위하여,And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lifting, etc.) of the footboard supported by each main arm,

상기 풋보드 상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서브암(sub-ar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first and a second sub-arm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respectively, across the top of the footboard.

그리고 이동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In order to ensure ease of movement,

상기 타워의 전면(前面) 상하 각각에 캐스터(caster)가 구비되어 있어,A caster is provided on each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ower,

상기 타워를 전방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를 통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is movable through the casters in a state in which the tower is laid down forward.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A working radius expandable work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타워에서 전방으로 펼쳐지는 두 개의 메인암과 이 상부에 설치되는 풋보드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이송라인 상부 측 보수 작업 등이 용이한 작업대를 제공하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Two main arms spread out forward from the tower where the worker can climb up, and a footboar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ower, the work radius of the worker can be expanded. There is the greatest effect.

또 전방으로 펼쳐진, 즉 전개된 두 메인암을 접혀 고정한 후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move and store after folding forward two main arms, that is, expanding two main ar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에서 두 메인암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에서 두 메인암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2의 후면 구성도,
도 6은 각 지지체와 접힌 각 메인암에 있어 펼침방지수단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main arms are folded in a working radius expandable work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main arms are unfolded in a working radius expanding work 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Fig. 5 is a rear view of Fig. 2,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pread preventing means in each of the main arms and the folded main arm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를 기준으로 펼쳐진 각 메인암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타워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The direction of each main arm extending on the basis of Fig. 2 is referred to as front or front, and the direction of the tower is referred to as rear or rear.

또 도 2를 기준으로 펜스 측을 상부 또는 상방, 각 서포트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2, the fence side is designated as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and each support side is defined as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As shown in FIGS. 1 to 6, a working radius expanding work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크게 타워(10), 제1지지체(20A), 제2지지체(20B), 제1메인암(30A), 제2메인암(30B) 및 풋보드(40)로 이루어진다.A first main body 30A, a second main arm 30B, and a footboard 40. The first main body 30A, the second main body 30B,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타워(10)는The tower 10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2 and 5,

작업자가 오르고 내리기 위한 것으로,For workers to climb up and down,

수평 및 수직 프레임 등에 의해 통상의 사각 기둥 구조로 이루어지며, 측부에 사다리(11)와 상부에 난간(12)이 구비되고, 또 상기 타워(10)의 하부 측에는 작업 안정을 위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다수의 아우트리거(outrigger)(13)가 구비되며, 또 상기 타워(10)의 하부면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구비된다.
A ladder 11 is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and a handrail 1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wer 10. The lower portion of the tower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 outrigger 13 of the tower 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wer 10 and a caster for movemen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wer 10.

제1지지체(20A)는The first support 20A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3 to 5,

상기 제1메인암(30A)을 상기 타워(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The first main arm 30A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wer 10,

상기 타워(10)의 상부 측 전방 좌단부(左端部)에 설치되는 제1브래킷(21), 그리고A first bracket 21 installed at the front left end of the tower 10,

상기 제1브래킷(21) 외측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제1샤프트(22)A first vertical shaft 22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racket 2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여기서 상기 제1브래킷(21)은 사각 판형 구조로서, 네 모서리 측에 삽입되는 볼트가 상기 타워(10)에 체결됨으로서, 상기 타워(10)에 설치된다.
The first bracket 21 has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and bolts inserted into four corners of the first bracket 21 are fastened to the tower 10 and installed in the tower 10.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22)는 상기 제1브래킷(21)의 외측부 상하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제1수평플레이트(21a)에 상하 양단부(兩端部)가 결합되는 수직형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haft 22 has a vertical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ends are coupled to two first horizontal plates 21a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racket 21 .

제2지지체(20B)는 The second support 20B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3 to 5,

상기 제2메인암(30B)을 상기 타워(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The second main arm 30B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wer 10,

상기 타워(10)의 상부 측 전방 우단부(右端部)에 설치되는 제2브래킷(23), 그리고A second bracket 23 provided on the upper right side end portion (right end portion) of the tower 10, and

상기 제2브래킷(23) 외측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제2샤프트(24)A vertical second shaft 24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여기서 상기 제2브래킷(23)은 사각 판형 구조로서, 네 모서리 측에 삽입되는 볼트가 상기 타워(10)에 체결됨으로서, 상기 타워(10)에 설치된다.
Here, the second bracket 23 has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and bolts inserted into the four corners thereof are fastened to the tower 10 and installed in the tower 10.

그리고 상기 제2샤프트(24)는 상기 제2브래킷(23)의 외측부 상하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제2수평플레이트(23a)에 상하 양단부(兩端部)가 결합되는 수직형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shaft 24 has a vertical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both upper and lower ends are coupled to two second horizontal plates 23a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23 .

제1메인암(main-arm)(30A)은The first main arm 30A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3 to 5,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 구조이고, 또 단면이 사각인 바(bar)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지고,A horizonta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bar type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제1지지체(20A)의 제1샤프트(22)에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제1샤프트(22)를 감싸는 형태로 암수 결합되는 제1대응결합부(31)가 구비된다.
A first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31 which is male and female engaging with the first shaft 22 at one end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22 of the first support body 20A, .

제2메인암(30B)은The second main arm 30B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3 to 5,

전후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 구조이고, 또 단면이 사각인 바(bar)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지고,A horizonta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bar type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제2지지체(20B)의 제2샤프트(24)에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제2샤프트(24)를 감싸는 형태로 암수 결합되는 제2대응결합부(33)가 구비된다.
And a second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33 which is male and female engaging with the second shaft 24 at one end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24 of the second support body 20B, .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의 각 대응결합부(31, 33)와 각 샤프트(22, 24)에는 베어링 등이 개재(介在)될 수 있고, 또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의 각 대응결합부(31, 33)에서 각각 연장되어 해당 메인암의 중단부(中端部)까지 연결되는 리브부재(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 bearing or the lik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s 31 and 33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and the respective shafts 22 and 24. In addition, And a rib member R extending from each of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s 31 and 33 of the main arm 30A and 30B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arm.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은 서로 동일한 전후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preferably have the same longitudinal length.

풋보드(40)는The footboard 40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to 5,

상기 각 샤프트(22, 24)를 기준으로 전방 회동되어 펼쳐진 상기 각 메인암(30A, 30B)에 의해 받쳐지고, 상기 타워(10)에 구비된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A structure in which a worker who is supported by the main arms 30A and 30B which is rotated forward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shafts 22 and 24 and is lifted up by a ladder or the like provided on the tower 10 .

이때 상기 풋보드(40)는 본 발명의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메인암(30A, 30B)에 의해 받쳐지도록 전후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패널(panel)로 이루어질 수 있고,Here, the footboard 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nels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main arms 30A and 30B, as shown throughout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다수의 패널이 이루는 공간만큼의 크기를 갖는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Or a panel having a size as much as the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panels.

그리고 상기 풋보드(40)를 디디게 되는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풋보드(4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펜스(F)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A fence F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ootboard 40 to prevent an operator from falling down on the footboard 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 펼쳐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의 각 타단부(他端部)가 아래로 쳐지게(휘게) 되는 것, 즉 쳐짐(휨) 방지를 위하여 제1 및 제2 서포트(50A, 50B)를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working radius expand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portions (the other end portions) of the unfolded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are bent (warpe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50A and 50B,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50A, 50B)는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50A, 50B)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2 and 5,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U자형 받침부재(51), 그리고A U-shaped support member 51 formed so as to fit the other ends of the main arms 30A and 30B, and

상기 받침부재(51) 하부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작업대가 설치되는 공간의 실내 또는 실외 바닥(이하에서는 '지면'이라 통칭함)에 지지되는 지주(52)A strut 52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51 and supported by an indoor or outdoor flo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ound") of a space in which th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여기서 상기 지주(52)는 두 분체로 나누어져, 상부 분체 하부에 볼트가 형성되고 하부 분체 상부에 볼트 체결을 위한 홈이 형성됨으로서, 볼트의 체결 깊이에 따라 두 분체의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Here, the struts 52 are divided into two powder, and a bolt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owder and a groove for bolt tightening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owder, so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two powd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astening depth of the bolt It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 작업대 비(非)사용 시, 접혀진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의 회동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펼침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working radius expand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nfolding preventing means 60 for restrict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olded main arms 30A and 30B when the workbench is not used,

상기 펼침방지수단(60)은The spreading prevention means (6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6,

상기 각 지지체(20A, 20B)의 각 브래킷(21, 23)에서 각 수평플레이트(21a, 23a)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핀공(61),A pin hole 61 formed in each of the brackets 21 and 23 of the support bodies 20A and 20B so as to pass through the horizontal plates 21a and 23a,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의 각 대응결합부(31, 33)에서 상기 핀공(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 요입 형성되는 핀홈(62), 그리고Pin grooves 62 formed in the respectiv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s 31 and 33 of the main arms 30A and 30B so as to be downwardly reces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in holes 61,

상기 핀공(61)을 지나 상기 핀홈(62)에 삽입되는 핀(63)A pin 63 inserted into the pin groove 62 through the pin hole 6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이때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펼침방지수단(60)은 접혀진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이 펼쳐지는 회동 동작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unfolding preventing means 60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satisfying the condition tha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olded main arms 30A and 30B can be restric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 풋보드(40) 설치 용이 및 설치 후 풋보드(40)의 전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70)가 더 구비되는데,The work radius extension typ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70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footboard 40 and preventing the footboard 40 from moving back and forth after installation,

상기 스토퍼(70)는The stopper (7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3,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의 전후 양단부 상부 측에 돌출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are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arm 30A and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따라서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의 전후 상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스토퍼(70)들 사이에 상기 풋보드(40)가 위치하게 됨으로서, 상기 풋보드(40)의 전후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ootboard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s 70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upper portions of the main arms 30A and 30B, thereby limi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ootboard 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 각 메인암(30A, 30B)에 의해 받쳐진 풋보드(40)의 상방 움직임(들리는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서브암(80A, 80B)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working radius expand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arms 80A and 80B (first and second subarms 80A and 80B) for restricting upward movement (audible movement) of the footboard 40 supported by the main arms 30A and 30B ),

상기 제1 및 제2 서브암(sub-arm)(80A, 80B)은The first and second sub-arms 80A,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3 and 4,

상기 풋보드(40) 상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에 각각 결합되도록 전후 일정 길이를 갖고 단면이 사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And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respectively, across the top of the footboard 40. [

이때 상기 각 메인암(30A, 30B)과 상기 각 서브암(80A, 80B)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B) 등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main arms 30A and 30B and the sub arms 80A and 80B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s B in a state where they are vertically arrang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는 이동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캐스터(90)를 더 포함하는데,Meanwhile, the working radius expand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ster 90 to ensure ease of movement,

상기 캐스터(caster)(90)는The caster (9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상기 타워(10)의 전면(前面) 상하 각각에 구비되는 통상의 바퀴 구조로 이루어진다.And has a normal wheel structure provided on each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ower 10.

이때 상기 타워(10)의 전면 상부 측에 배치된 캐스트(90)는 좌우 회동되게 하여 방향 전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t 9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of the tower 10 is configured to be tur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change the direction.

따라서 상기 타워(10)를 전방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9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tower 10 can be moved through the caster 90 while being laid down forwar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타워
11 : 사다리 12 : 난간
13 : 아우트리거
20A : 제1지지체
21 : 제1브래킷 21a : 제1수평플레이트
22 : 제1샤프트
20B : 제2지지체
23 : 제2브래킷 23a : 제2수평플레이트
24 : 제2샤프트
30A : 제1메인암
31 : 제1대응결합부
30B : 제2메인암
33 : 제2대응결합부
40 : 풋보드
50A, 50B : 제1 및 제2 서포트
51 : 받침부재 52 : 지주
60 : 펼침방지수단
61 : 핀공 62 : 핀홈
63 : 핀
70 : 스토퍼
80A, 80B : 제1 및 제2 서브암
90 : 캐스터
10: Towers
11: Ladder 12: Handrail
13: Outrigger
20A: first support
21: first bracket 21a: first horizontal plate
22: First shaft
20B: second support
23: second bracket 23a: second horizontal plate
24: Second shaft
30A: first main arm
31: first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30B: Second main arm
33: second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40: Footboard
50A, 50B: first and second supports
51: support member 52: holding member
60: spread prevention means
61: pin hole 62: pin groove
63: pin
70: Stopper
80A, 80B: first and second sub-arms
90: Casters

Claims (6)

작업자가 오르고 내리기 위한 타워(10);
상기 타워(10)의 상부 측 전방 좌단부(左端部)에 설치되는 제1브래킷(21), 상기 제1브래킷(21) 좌측부 상하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제1수평플레이트(21a), 그리고 상기 2개의 제1수평플레이트(21a)에 상하 양단부(兩端部)가 결합되는 수직형 제1샤프트(22)로 이루어진 제1지지체(20A);
상기 타워(10)의 상부 측 전방 우단부(右端部)에 설치되는 제2브래킷(23), 상기 제2브래킷(23) 우측부 상하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제2수평플레이트(23a), 그리고 상기 2개의 제2수평플레이트(23a)에 상하 양단부가 결합되는 수직형 제2샤프트(24)로 이루어진 제2지지체(20B);
상기 제1지지체(20A)의 제1샤프트(22)에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一端部)에 상기 제1샤프트(22)를 감싸는 형태로 암수 결합되는 제1대응결합부(31)를 갖는 수평형 제1메인암(main-arm)(30A);
상기 제2지지체(20B)의 제2샤프트(24)에 전후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에 상기 제2샤프트(24)를 감싸는 형태로 암수 결합되는 제2대응결합부(33)를 갖는 수평형 제2메인암(30B); 및
상기 각 샤프트(22, 24)를 기준으로 전방 회동되어 펼쳐진 상기 각 메인암(30A, 30B)에 의해 받쳐지는 풋보드(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지지체(20A, 20B)의 각 브래킷(21, 23)에서 각 수평플레이트(21a, 23a)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핀공(61)과, 상기 각 메인암(30A, 30B)의 각 대응결합부(31, 33)에서 상기 핀공(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방 요입 형성되는 핀홈(62)과, 상기 핀공(61)을 지나 상기 핀홈(62)에 삽입되는 핀(63)으로 이루어진 펼침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함으로서, 상기 각 샤프트(22, 24)를 기준으로 후방 회동되어 접혀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의 회동 동작을 제한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에는 이에 의해 받쳐진 상기 풋보드(40)의 전후 단부(端部)를 지지하는 스토퍼(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풋보드(40) 상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서브암(sub-arm)(80A, 80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워(10)의 전면(前面) 상하 각각에 캐스터(caster)(9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타워(10)를 전방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캐스터(9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A tower 10 for lifting and lowering workers;
A first bracket 21 installed on the upper left front end of the tower 10, two first horizontal plates 21a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first bracket 21, A first support body 20A made of a vertical first shaft 22 to which upper and lower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two first horizontal plates 21a;
A second bracket 23 provided at the upper righ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ower 10, two second horizontal plates 23a protruding from above and below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bracket 23, A second support body 20B made up of a vertical second shaft 24 having both upper and lower ends coupled to the two second horizontal plates 23a;
A first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31 which is male and female engaging with the first shaft 22 at one end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haft 22 of the first support body 20A, A first main arm 30A having a horizontal shape;
And a second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33 which is male-female engageable with the second shaft 24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24 of the second support body 20B at one end thereof, A second main arm 30B; And
A footboard (40) supported by the main arms (30A, 30B) which are forwardly rotated and spread on the basis of the shafts (22, 24);
, ≪ / RTI >
A pin hole 61 penetrating through each of the horizontal plates 21a and 23a in the respective brackets 21 and 23 of the support members 20A and 20B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horizontal plates 21a and 23a, (63) formed in the pin groove (62) through the pin hole (61) and a pin groove (62) formed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n hole (61)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are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respective shafts 22 and 24 to limit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folded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are provided with a stopper 70 for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ootboard 40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and 30B,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b-arms (80A, 80B)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30B) respectively across the top of the footboard (40)
A caster 90 is provided on each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of the tower 10 so that the tower 10 can be moved through the caster 90 in a state in which the tower 10 is laid forward. Working radius expandable work bench.
제 1 항에 있어서,
펼쳐진 상기 제1 및 제2 메인암(30A, 30B)의 각 타단부(他端部)를 받치게 되는 제1 및 제2 서포트(50A, 5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upports (50A, 50B) to receive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arms (30A, 30B) ben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42498A 2014-04-09 2014-04-09 High-place worktable KR101552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98A KR101552245B1 (en) 2014-04-09 2014-04-09 High-place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98A KR101552245B1 (en) 2014-04-09 2014-04-09 High-place work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245B1 true KR101552245B1 (en) 2015-09-10

Family

ID=5424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98A KR101552245B1 (en) 2014-04-09 2014-04-09 High-place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2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175A (en) * 2016-05-25 2017-12-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caffold For Casting Ingot Having Position Switching Scaffo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175A (en) * 2016-05-25 2017-12-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caffold For Casting Ingot Having Position Switching Scaffold
KR101899900B1 (en) * 2016-05-25 2018-09-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caffold For Casting Ingot Having Position Switching Scaffo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607Y1 (en) Multifunctional ladder
GB2422141A (en) Elevating working platform for clamping to the framework of a building as the building is constructed
CN210857930U (en) Engineering construction scaffold
US8662252B2 (en) Leveling system for portable work platforms
WO2014132733A1 (en) Stepladder
US20170252917A1 (en) Workbench
WO2016008040A1 (en) Brace for step ladder
KR20200117144A (en) Built-up Safe Scaffold for High Place Work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KR20120078548A (en) Folding stairs table
JP6709089B2 (en) Quick assembly scaffolding
KR100899226B1 (en) Working table
KR101552245B1 (en) High-place worktable
JP6378550B2 (en) Scaffolding equipment
JP2008214983A (en) Elevating/lowering portable scaffold
US2829928A (en) Wall board jack dolly
US2859066A (en) Adjustable foldable scaffold
KR20080093514A (en) Variable elevation worktable
JP3213460U (en) Workbench
JP2010037769A (en) Connected-type ascending/descending mobile scaffold
US11649677B2 (en) Movable ladder
KR20150085879A (en) Safety Ladders
KR200380940Y1 (en) Lift for a high place work
KR20200075370A (en) A standing structure bench using a crane
JP3004217U (en) Stepladder with hand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