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247A - 종형 루버 장치 - Google Patents

종형 루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247A
KR20080092247A KR1020080025155A KR20080025155A KR20080092247A KR 20080092247 A KR20080092247 A KR 20080092247A KR 1020080025155 A KR1020080025155 A KR 1020080025155A KR 20080025155 A KR20080025155 A KR 20080025155A KR 20080092247 A KR20080092247 A KR 2008009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moving box
moving
louv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아끼 안도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와
Publication of KR2008009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8Driving means other than pulling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신장시킨 후 루버를 자유롭게 회전하여 들어오는 광량이나 풍량을 조절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축소시켜 접어서 수납 가능한 종형 루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평행 설치된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이동 박스체가 설치되고 이 이동 박스체로부터 돌출된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회전축에 루버가 장착되어 1 유닛이 형성되고, 이 유닛이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복수 유닛 설치되고, 이들이 레일 위를 순차 이동하여 전체 신장시에는 정연하게 배열한 후 각 루버를 동시에 개폐 각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루버를 완전 개방 각도로 한 후 각 유닛을 한쪽으로 모아 수납할 수 있는 종형 루버 장치이다.
Figure P1020080025155
종형 루버 장치, 루버, 가이드 레일, 이동 박스체, 구동 모터,

Description

종형 루버 장치 {VERTICAL LOUVER DEVICE}
본 발명은 종형 루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맨션에는 내부에 있어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나 강한 햇살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호하는 목적에서 블라인드가 이용되는 일이 있고, 그 밖에도 아파트나 맨션의 베란다에도 같은 이유나 출입 등을 목적으로 하여 루버 장치가 이용되는 일이 있다. 그들은 반드시 상시 필요한 것도 아니고, 실내가 지나치게 따뜻해지는데 공조 설비를 이용하기에는 지나치게 대규모가 되기 때문에 창을 열어 바람을 들여보내거나, 안으로부터 밖을 바라볼 때, 단순히 블라인드의 각도를 완전 개방 각도로 하는 것만으로 답답한 경우가 있고, 또한 베란다에 설치한 경우에는 출입구를 형성하고자 하는 등의 요구도 있고, 그로 인해 고정하여 설치된 것보다, 위치를 이동할 수 있거나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어 오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요망에 부응하도록 하여, 복수의 루버재와, 상하부 가이드 레일과, 상하 루버재 장착구(또는 돌출 현수 부재)와, 상하부 링크와, 각 루버재의 옥내측에 배치한 사이드 링크를 구비하고, 이들이 가이드 레일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또한 사이드 링크에 각 루버재의 옥내측 단부가 수직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종형 루버 장치(특허 문헌 1 참조)나 각종 종형 블라인드 등이 제공되어 오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8810호 공보
그러나 종형 블라인드는 상부만이 현수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창이 열려 있는 경우 등은 강풍에 의해 하측이 실내측을 향해 펄럭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한편 특허 문헌 1의 것은 루버가 상하 사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는 생기지 않지만, 상하에 설치된 링크나 사이드 링크의 예를 들어 도중의 루버가 어떠한 문제점이 생겼을 때의 교환 등에는 우선 옥내측에 설치된 사이드 링크를 모두 제거한 후가 아니면 다음 작업을 실시할 수 없어 대대적인 작업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 사이드 링크는 옥외측으로부터는 보이지 않지만 옥내로부터는 정면으로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옥내측으로부터의 의장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는, 평행하게 설치된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루버의 상하 길이 방향 양단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이동 박스체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이 상하 이동 박스체 중 적어도 한쪽은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것이며, 이 이동 박스체가 가이드 차에 의해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루버의 1 유닛이 형성되고, 이 유닛이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복수 유닛 설치되고 이 복수개의 유닛이 이 가이드 레일 위를 순차 왕복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과 각각의 유닛이 전체 신장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 위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는 수단과 각각의 유닛이 전체 축소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 위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는 수단과 각각의 유닛의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 각각의 루버가 동일한 각도로 완전 개방 혹은 완전 폐쇄 정지하기 위한 완전 개방 검지 정지 수단 및 완전 폐쇄 검지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이고, 또 하나는 상측 및 또는 하측의 레일 위에 적재된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복수의 이동 박스체의 각도 변경 수단이 웜과 웜 휠에 의해 행해지고, 각각의 웜의 중심부가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1개의 축에 의해 축 관통되고, 이 축 단부에는 축 회전 구동부가 설치되고, 각각의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이동 박스체가 이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이 회전 구동부가 회전하면 관통된 웜이 동축 회전하여, 웜 휠의 회전축에 장착된 루버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이며, 또 하나는 복수개의 상기 유닛이 레일 위를 순차 왕복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서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가 이용되고, 이 와이어 로프와 선두의 이동 박스체가 연결되고,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 각각의 각 이동 박스체끼리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정지하기 위한 간격 규제 수단이 각 이동 박스체 사이에 설치되고,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가 전체 신장시의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구동 모터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이며, 또 하나는 복수개의 유닛이 레일 위를 순차 왕복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서 체인 및 스프로켓이 이용되고, 선두의 이동 박스체만이 연결 금속 부재에 의해 상기 체인에 연결되고, 이후의 상기 체인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높이가 높아지는 이동 블럭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편 이동 박스체에는 이 이동 블럭에 대 항하도록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높이가 낮아지는 대항 이동 블럭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닛이 레일 위를 전진할 때 각각의 이동 블럭은 각각의 대향 이동 블럭에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박스체를 전체 신장 위치까지 이동시키지만, 후퇴시에는 각각의 이동 블럭은 어떠한 대항 블럭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측 및 하측의 레일 중 좌우 어느 한쪽측의 각각의 이동 박스체의 전체 신장 정지 위치에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길이가 짧아지는 정지 블럭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편 각각의 이동 박스체에는 이 정지 블럭에 대항하도록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길이가 길어지는 대항 정지 블럭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닛이 레일 위를 이동하여 각각의 전체 신장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각각의 대항 정지 블럭은 각각의 정지 블럭에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박스체를 전체 신장 위치에서 정지시키지만, 후퇴시에는 각각의 대항 정지 블럭은 어떠한 정지 블럭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종형 루버 장치이며, 또 다른 하나는 체인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기 이동 블럭이 체인 연결부에서 회전 가능한 후크이며, 상기 대항 블럭이 이 후크에 대향하는 걸림 구멍을 갖는 대항 이동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종형 루버 장치이며, 또 하나는 체인에 회전 연결되어 설치된 후크의 연결부와 후크 사이에 신축 가능한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종형 루버 장치이며, 또 하나는 지금까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형 루버 장치를 1 그룹으로 하고, 이 그룹이 종렬 및 또는 횡렬로 복수 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종형 루버 장치이다.
각각의 유닛의 전체 신장(全伸)시라 함은 각각의 이동 박스체가 가이드 레일 위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최대한 넓어진 상황 즉 루버 회전에 의해 창 전체면을 덮을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전체 축소(全縮)시라 함은 창과 수직 방향으로 루버가 정렬된 후 각각의 이동 박스체가 서로 접하여 루버를 가장 작게 절첩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간격 규제 수단은 통상의 끈이나 체인이나 와이어 등이 바람직하고, 루버 유닛을 전체 축소시키는 경우에는 이동 블럭체끼리가 접촉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들 끈이나 와이어 등을 태엽 스프링을 이용하여 권취하는 수단을 부가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종형 루버 장치는 루버의 상하 길이 방향 양단의 중앙부와 수직으로 이동 박스체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이 상하 이동 박스체 중 적어도 한쪽은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것이며, 이 이동 박스체가 가이드 차에 의해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루버의 1 유닛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건물의 폭에 따라서 유닛을 증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상하 가이드 레일을 장착 후, 이 유닛을 순차 부설하고, 그 후에 이들 유닛끼리를 연계 수단을 이용하여 연계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루버는 상하 양단에서 회전축과 결합시키기 위해 양단부에 평강(平鋼)이 나사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강의 장착 나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도중의 루버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이드 링크나 상하 링크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의장적으로도 깔끔한 것이 된다.
또한 복수 유닛을 1 그룹 단위로 하여 이 구성을 복수 그룹 집합시킴으로써 건물의 형상에 따라서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 실시예의 종형 루버 장치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도1은 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1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1 유닛을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수납했을 때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제1 실시예의 각 이동 박스체의 신장 도중에 있어서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5는 제1 실시예의 이동 박스체의 전체 신장 정지시에 있어서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6, 도7은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전체 축소ㆍ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정위치 정지에 있어서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8, 도9는 제2 실시예의 전체 축소ㆍ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0, 도11은 제3 실시예의 전체 축소ㆍ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2는 제3 실시예와 다른 코일 스프링이 부착된 후크의 정면도, 도13, 도14는 상기 실시예를 복수 그룹 연결한 종형 루버 장치의 전체 축소,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평행하게 설치된 상하 가이드 레일(2, 2)에 루버(1)의 상하 길이 방향 양단의 중앙부와 이동 박스체(3, 3)로부터 돌출된 회전축(4, 4)이 결합되고, 상하 이동 박스체(3) 내에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5)과, 회전축(4)이 연결된 웜 휠(6)에 의한 루버(1)의 각도 변경 기구가 조립되고, 이 이동 박스체(3, 3)가 가이드 차(7)에 의해 상기 상하 가이 드 레일(2, 2) 위를 왕복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도2에 도시하는 루버의 1 유닛이 형성되고, 제1 실시예에는 이 유닛이 가이드 레일(2, 2) 위에 3 유닛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동 박스 내에 대해서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4)의 돌출 방향이 다를 뿐이며 내부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후, 상측의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고, 하측의 가이드 레일상의 것은 마찬가지로 한다.
가이드 레일(2) 위에 부설된 3개의 이동 박스체(3)의 상방에 벨트(8)와 풀리(9)에 의한 이동 장치가 구비되어 한쪽의 풀리(9)에는 구동 모터(10A)가 설치되고 이 벨트(8)에,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연결되어 있다. 선두의 이동 박스체(3)와 2번째의 이동 박스체(3),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와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규제하는 끈(11A)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의 후방측에는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가 소정의 전체 신장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쭉 당겨지는 끈(11B)이 설치되어 있어 끈(11B)이 쭉 당겨졌을 때에 전체 신장 검지의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작용하여 구동 모터(10A)가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이동 박스체(3)에는 각각의 이동 박스체(3)의 충돌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충돌 완충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과 도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 박스체에 설치된 각각의 웜(5)의 중심부에는 6각축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과 평행하게 6각축(12)이 3개의 웜(5)의 관통 구멍에 관통되어 있다. 이 6각축(12)은 양단이 베어링 고정되어 있고 6각축 단부에는 구동 모터(10B)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6각축(12)을 따라 각각의 이동 박스체(3)는 가이드 레일(2) 위를 자유롭게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선두의 이동 박스체(3)의 하부에는 루버(1)가 완전 개방 각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즉 창과 직각이 되었을 때 6각축 회전용 구동 모터(10B)를 멈추는 완전 개방 검지용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루버(1)가 완전 폐쇄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구동 모터(10B)를 멈추는 완전 폐쇄 검지용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6각축 회전용 구동 모터(10B)는 누름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6각축이 회전하고, 버튼을 떼어내면 정지하고, 전술한 어느 하나의 리미트에 도달하면 버튼 누름의 유무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구동 모터(10B)는 정지한다. 또한, 벨트(8) 이동용 구동 모터(10A)는 루버(1)가 완전 개방 검지용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기능할 때에만 구동 가능하도록 안전 설계되어 있는 종형 루버 장치이다. 또한, 하측의 가이드 레일 위를 왕복 운동하는 이동 박스끼리의 연계 구성은 상측의 가이드 레일 위를 왕복 운동하는 이동 박스의 연계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 종형 루버 장치가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우선, 루버 신축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10A)가 기동하고 풀리(9)가 회전하여 벨트(8)가 움직인다. 이 벨트(8)가 움직이는 동시에 벨트(8)에 연결된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이동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하측의 이동 박스체도 이동하기 시작하여 최초의 유닛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것에 수반하여 선두의 이동 박스체(3)와 2번째의 이동 박스체(3) 사이에 설치된 끈(11A)이 점차 신장하기 시작하고, 완전히 신장된 동시에 2번째의 이동 박스체(3)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제2 유닛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와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 사이에 설치된 끈(11A)이 완전히 신장되면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A3)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그것과 동시에 그것의 후방측에 있는 끈(11B)도 또한 신장하기 시작하고, 끈(11B)이 완전히 신장되는 동시에 전체 신장 검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동작하여 구동 모터(10A)는 정지한다.
다음에 루버 개폐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누름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 구동 모터(10B)가 회전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6각축(12)이 회전하고, 6각축에 관통된 각각의 웜(5)이 회전 운동하여 웜 휠(6), 회전축(4)이 회전하기 시작하고, 각각의 루버(1)가 동일한 각도로 일제히 회전하고, 누름 버튼을 떼어냄으로써 구동 모터(10B)는 정지한다. 그 상태로 계속 누르고 있으면 완전 폐쇄 검지 스위치에 의해 루버(1)는 자동적으로 완전 폐쇄 위치에서 정지한 채 구동 모터(10B)는 정지된다.
다음에 각 유닛의 수납 조작을 설명하면, 이 상태로 루버 신축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도 구동 모터(10A)는 움직이지 않는다. 우선, 루버 개폐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구동 모터(10B)를 회전시켜 루버(1)를 완전 폐쇄 위치로 복귀시킨다. 계속해서 루버 신축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10A)가 역전하여 벨트(8)에 연결된 선두의 이동 박스체만이 복귀되기 시작하여 그로 인해 끈(11A)은 느슨해져 간다. 그리고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에 접촉하면, 이번에는 2번째의 이동 박스 체(3)가 선두의 이동 박스체(3)에 압박되어 2번째의 이동 박스체(3)가 함께 복귀되어 가고, 마찬가지로 마지막으로는 모든 이동 박스체가 선두의 이동 박스체(3)에 압박되어 복귀되기 시작하고,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전체 축소 위치에 도달하면 전체 축소 검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 모터(10A)가 정지하여 종형 루버의 수납이 완료된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대해 그 구성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이동 박스체(3)의 이동 방법이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른 부분의 구성 설명을 하면, 우선 유닛의 이동에 관한 구성은 도8, 도9에 있어서, 3개의 이동 박스체(3)의 상방에는 체인(13)과 스프로켓(14)에 의한 이동 장치가 구비되어 한쪽의 스프로켓(14)에는 구동 모터(10A)가 설치되고 이 체인(13)에, 선두의 이동 박스체(3)만이 연결되어 있고, 그 밖의 이동 박스체(3)와의 연계는 없다.
이 체인(13)에 있어서 선두의 이동 박스체(3)와의 연결부 이후에 있어서는 체인(13)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선두의 이동 박스체(3)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높이가 높아지는 이동 블럭(15)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편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와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에는 이 이동 블럭(15)에 대항하도록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높이가 낮아지는 대항 이동 블럭(16)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가 레일(2) 위를 전진할 때 각각의 이동 블럭(15)은 각각의 대향 이동 블럭(16)에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박스체를 전체 신장 위치까지 이동시키지만, 후퇴시에는 각각의 이동 블럭(15)은 어떠한 대항 이동 블럭(16)에도 접촉하 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각 유닛의 정지에 관한 구성을 도6, 도7에 의해 설명하면 도6, 도7은 각각 각 이동 박스체(3)의 전체 축소 정지, 전체 신장 정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이동 박스체(3)는 그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을 더욱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동 장치와 관통 6각축의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는 상측 및 하측의 레일(2, 2) 중 좌우 어느 한쪽측의 각각의 이동 박스체(3)의 전체 신장 정지 위치에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길이가 짧아지는 정지 블럭(17)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편 선두를 제외한 2번째,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에는 이 정지 블럭에 대항하도록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길이가 길어지는 대항 정지 블럭이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이동 박스체(3)가 레일 위를 이동하여 각각의 전체 신장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각각의 대항 정지 블럭(18)은 각각의 정지 블럭(17)에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박스체를 전체 신장 위치에서 정지시키지만, 후퇴시에는 각각의 대항 정지 블럭(18)은 어떠한 정지 블럭(17)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진은 정지 블럭(17)에 의해 저지되고, 후퇴는 체인(13)에 장착된 이동 블럭(15)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각 유닛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게 된다.
이 각각의 정지 블럭(17)의 길이와 대항 정지 블럭(18)의 길이의 관계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두의 정지 블럭(17)의 길이는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전체 신장시에 접촉하여 정지하는 길이이고, 2번째의 정지 블럭(17)의 길이는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후퇴하여 이동할 때에는 접촉하지 않는 길이이다.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에 설치되는 대항 정지 블럭(18)의 길이는 2번째의 정지 블럭(17)에 접촉하는 길이이고, 최후미의 정지 블럭(17)의 길이는 2번째의 이동 박스체(3A2)에 설치된 대항 정지 블럭(18)이 후퇴하여 이동할 때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이고,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에 설치되는 대항 정지 블럭(18)의 길이는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에 접촉하는 길이가 된다.
일반적으로 N개의 유닛의 루버(1)가 설치된 경우의 N개의 정지 블럭(17)의 길이는 선두의 정지 블럭(17)의 길이는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접촉하는 길이이고, N번째의 정지 블럭의 길이는 N-1번째의 대항 정지 블럭(18)이 접촉하지 않는 길이이면 좋고, N번째의 대항 정지 블럭(18)은 N번째의 정지 블럭(17)에 접촉하는 길이이면 좋다.
다음에 제2 실시예의 각 유닛의 신축 이동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형 루버 장치가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우선, 루버 신축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10A)가 기동하여 스프로켓(14)이 회전하여 체인(13)이 움직인다. 이 체인(13)이 움직이는 동시에 체인(13)에 연결된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이동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하측의 이동 박스체(3)도 이동하기 시작하여 최초의 유닛이 이동하기 시작한다. 체인(13)이 소정 길이만큼 이동하면 이번에는 최초의 이동 블럭(15)이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에 설치된 대항 이동 블럭(16)에 접촉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2번째의 이동 박스체(3)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체인(13)이 소정 길이만큼 이동하면 이번에는 최후미의 이동 블럭(15)이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에 설치된 대항 이동 블럭(16)에 접촉하 고 그것에 수반하여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3)가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3개의 이동체는 체인(13)의 이동에 수반하여 더욱 이동하고,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전체 신장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 블럭(17)에 접촉하는 동시에 전체 신장 검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동작하고 구동 모터(10A)는 정지한다. 그때 각각의 이동 박스체(3)는 각각의 정지 블럭(17)에 접촉하고 구동 모터(10A)는 정지 상태이기 때문에 각각의 이동 박스체(3)는 각각의 정지 블럭(17) 및 대항 정지 블럭(18)과 각각의 이동 블럭(15) 및 대항 이동 블럭(16)에 의해 위치 고정되게 된다. 계속해서 루버의 개폐 동작이지만,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작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수납 동작이지만, 루버는 이미 완전 개방 위치로 복귀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루버 신축용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10A)가 역전 기동하여 스프로켓(14)이 역전하여 체인(13)이 조금 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체인에 연결된 2개의 이동 블럭은 대항 이동 블럭으로부터 멀어져 가고, 앞의 이동 블럭은 최후미의 대항 이동 블럭에는 접촉하지 않고 후퇴해 간다.
체인(13)에 연결된 선두의 이동 박스체(3)는 체인(13)의 역전에 수반하여 차례로 수납 방향으로 이동하여, 곧 선두의 이동 박스체(3)가 2번째의 이동 박스체(3)에 접촉하면 2번째의 이동 박스체(3)가 선두의 이동 박스체(3)에 압박되어 선두와 2번째의 이동 박스체(3)가 함께 복귀되어 가고, 마찬가지로 마지막으로는 모든 이동 박스가 선두에 있었던 이동 박스체(3)에 압박되어 복귀되기 시작하고, 선 두의 이동 박스체(3)가 전체 축소 위치에 도달하면 전체 축소 검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 모터(10A)가 정지하여 종형 루버의 수납이 완료된다.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체인(13)에 고착된 이동 블럭(15)과 각각의 이동 박스체(3)에 설치된 대항 이동 블럭(16)을 각각 도10,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 연결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후크(19)와 후크(19)에 대향하는 걸림 구멍을 갖는 대항 이동구(20)로 바꾼 것이며, 더욱 확실하게 연계시켜 이동시키자고 한 것으로, 그 밖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비교한 경우 도10,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박스체(3)가 전체 축소 위치에 도달했을 때를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동 블럭(15)의 일부는 상측의 체인(13)으로 이동하기 위해 거꾸로 선 모양이 되고,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측의 체인(13)으로 이동하는데 후크(19)는 아래를 향한 상태이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제3 실시예의 쪽이 가이드 레일 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제4 실시예에 대해 그 구성을 설명하면,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체인(13)의 체인 연결부에 있어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연결부와 후크(19) 사이에 신축 가능한 코일 스프링(21)을 설치한 것이며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각각의 이동 박스체(3) 중 어느 것이 정지 블럭(17) 접촉 불량을 발생시킨 경우 이동 오차를 흡수시키는 것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 밖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구성,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5 실시예에 대해 그 구성을 설명하면 도13은 동일한 구성의 것을 3 그룹 가로로 배열한 것으로 전체 축소시를 나타내고, 도14는 전체 신장시에 루버(1)를 완전 폐쇄로 한 것이다. 도13,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실시예는 평행하게 설치된 긴 상하 가이드 레일(2, 2)에,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구성의 것을 1 그룹으로 하여, 이 그룹을 복수 그룹 집합시킴으로써 새롭게 구성된 종형 루버 장치이다. 상당히 가로로 긴 창의 경우에는 전체 신장, 전체 축소시키는 데 상당수의 시간이 걸리고 전체 축소의 경우 외관이 불균형으로 되기 때문에 시간 단축과 시각적 조화를 가미시킨 것이다. 이 구성의 경우는 각각의 그룹의 유닛수를 변경시켜 그 건물에 맞는 구성의 종형 루버 장치를 창작할 수 있다.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상부의 이동 박스체(3)와 하부의 이동 박스체(3)는 내부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하여 이야기를 진행해 왔지만, 하부의 이동 박스체(3)의 내부는 각도 변경 수단을 제거하여 단순한 이동하는 베어링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1은 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1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1 유닛을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수납했을 때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제1 실시예의 이동 박스체의 신장 이동 도중에 있어서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5는 제1 실시예의 이동 박스체의 전체 신장 정지시에 있어서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6은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전체 축소시에 있어서의 정위치 정지에 있어서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7은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정위치 정지에 있어서의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8은 제2 실시예의 전체 축소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9는 제2 실시예의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제3 실시예의 전체 축소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은 제3 실시예의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 는 설명도.
도12는 제3 실시예와 다른 코일 스프링이 부착된 후크의 정면도.
도13은 복수 그룹 연결한 종형 루버 장치의 전체 축소시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14는 복수 그룹 연결한 종형 루버 장치의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루버
2 : 가이드 레일
3 : 이동 박스체
4 : 회전축
5 : 웜
6 : 웜 휠
7 : 가이드 차
8 : 벨트
9 : 풀리
10 : 구동 모터
11 : 끈
12 : 6각축
13 : 체인
14 : 스프로켓
15 : 이동 블럭
16 : 대항 이동 블럭
17 : 정지 블럭
18 : 대항 정지 블럭
19 : 후크
20 : 대항 이동구
21 : 코일 스프링
22 : 충돌 완충구

Claims (7)

  1. 평행하게 설치된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루버의 상하 길이 방향 양단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이동 박스체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이 결합되고, 이 상하 이동 박스체 중 적어도 한쪽은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것이며, 이 이동 박스체가 가이드 차에 의해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루버의 1 유닛이 형성되고, 이 유닛이 상기 상하 가이드 레일 위에 복수 유닛 설치되고 이 복수개의 유닛이 이 가이드 레일 위를 순차 왕복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과 각각의 유닛이 전체 신장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 위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는 수단과 각각의 유닛이 전체 축소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 위의 각각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는 수단과 각각의 유닛의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 각각의 루버가 동일한 각도로 완전 개방 혹은 완전 폐쇄 정지하기 위한 완전 개방 검지 정지 수단 및 완전 폐쇄 검지 정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측 및 또는 하측의 레일 위에 적재된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복수의 이동 박스체의 각도 변경 수단이 웜과 웜 휠에 의해 행해지고, 각각의 웜의 중심부가 상기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1개의 축에 의해 축 관통되고, 이 축 단부에는 축 회전 구동부가 설치되고, 각각의 각도 변경 수단을 갖는 이동 박스체가 이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이 회전 구동부가 회전하면 관통된 웜이 동축 회전하여, 웜 휠의 회전축에 장착된 루버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개 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유닛이 레일 위를 순차 왕복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서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가 이용되고, 이 와이어 로프와 선두의 이동 박스체가 연결되고, 전체 신장시에 있어서 각각의 각 이동 박스체끼리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정지하기 위한 간격 규제 수단이 각 이동 박스체 사이에 설치되고, 최후미의 이동 박스체가 전체 신장시의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구동 모터가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유닛이 레일 위를 순차 왕복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서 체인 및 스프로켓이 이용되고, 선두의 이동 박스체만이 연결 금속 부재에 의해 상기 체인에 연결되고, 이후의 상기 체인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높이가 높아지는 이동 블럭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편 이동 박스체에는 이 이동 블럭에 대항하도록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높이가 낮아지는 대항 이동 블럭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닛이 레일 위를 전진할 때 각각의 이동 블럭은 각각의 대향 이동 블럭에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박스체를 전체 신장 위치까지 이동시키지만, 후퇴시에는 각각의 이동 블럭은 어떠한 대항 블럭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측 및 하측의 레일 중 좌우 어느 한쪽측의 각각의 이동 박스체의 전체 신장 정지 위치에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길이가 짧아지는 정지 블럭이 각각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편 각각의 이동 박스체에는 이 정지 블럭에 대항하도록 선두로부터 멀어져 감에 따라서 순차 길이가 길어지는 대항 정지 블럭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닛이 레일 위를 이동하여 각각의 전체 신장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각각의 대항 정지 블럭은 각각의 정지 블럭에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박스체를 전체 신장 위치에서 정지시키지만, 후퇴시에는 각각의 대항 정지 블럭은 어떠한 정지 블럭에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체인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기 이동 블럭이 체인 연결부에서 회전 가능한 후크이며, 상기 대항 블럭이 이 후크에 대향하는 걸림 구멍을 갖는 대항 이동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체인에 회전 연결되어 설치된 후크의 연결부와 후크 사이에 신축 가능한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루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구성된 종형 루버 장치를 1 그룹으로 하고, 이 그룹이 종렬 및 또는 횡렬로 복수 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종형 루버 장치.
KR1020080025155A 2007-04-10 2008-03-19 종형 루버 장치 KR20080092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6111 2007-04-10
JP2007126111A JP5108374B2 (ja) 2007-04-10 2007-04-10 縦型ルーバー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247A true KR20080092247A (ko) 2008-10-15

Family

ID=3998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155A KR20080092247A (ko) 2007-04-10 2008-03-19 종형 루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08374B2 (ko)
KR (1) KR200800922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063B1 (ko) * 2009-04-02 2009-07-23 (주)동신캐노피 아케이드용 갤러리 창호
KR100956848B1 (ko) * 2006-09-29 2010-05-19 이덕률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슬라이딩 기어 뭉치
KR101497513B1 (ko) * 2013-04-30 2015-03-03 (주)맵시전자 시스템 루버
KR20190089497A (ko) *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루버텍코리아 태양열 가변형 루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4316B2 (ja) * 2009-12-22 2014-11-12 株式会社豊和 縦型ルーバー装置
JP2013113054A (ja) * 2011-11-30 2013-06-10 Sekisui House Ltd 縦型ブラインド装置
DK2813663T3 (en) 2013-06-14 2016-11-21 Kia Utzon-Frank Persiennestyringsmekanisme.
JP7197327B2 (ja) * 2018-11-02 2022-12-27 株式会社ニチベイ 縦型ブライン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6988A (ja) * 1986-04-04 1987-10-17 三機工業株式会社 たて形ブラインド
JP2538726B2 (ja) * 1991-07-05 1996-10-02 株式会社ニチベイ 縦型ブライン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48B1 (ko) * 2006-09-29 2010-05-19 이덕률 견인식 루버 시스템의 슬라이딩 기어 뭉치
KR100909063B1 (ko) * 2009-04-02 2009-07-23 (주)동신캐노피 아케이드용 갤러리 창호
KR101497513B1 (ko) * 2013-04-30 2015-03-03 (주)맵시전자 시스템 루버
KR20190089497A (ko) *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루버텍코리아 태양열 가변형 루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8374B2 (ja) 2012-12-26
JP2008261195A (ja)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247A (ko) 종형 루버 장치
US9175511B2 (en) Retractable louvre system
US903831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lats of sash
US7472738B2 (en) Screen device
KR101665188B1 (ko) 롤러 블라인드를 위한 장치
JPH05195677A (ja) カーテン用布を引き入れかつ引き出すための開閉装置及び付属のカーテン
US6808000B1 (en) Vertically movable security partition
WO2014002326A1 (ja) ブラインド装置
IL188255A (en) Shutter window for air inlet and light blocker
KR101237378B1 (ko) 무레일 절첩식 대문
CA2449355A1 (en) Roll-up curtain assembly
US5476130A (en) Steel rolling door
RU190181U1 (ru) Складное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20140030950A (ko) 배연루버 개폐장치
JP2004132058A (ja) 可動柵
KR200429777Y1 (ko) 승강식 무대장치의 케이블 지지구조
CN209653914U (zh) 一种电动防下垂顶帘
RU192908U1 (ru) Подъемное ограждение
CN109356637B (zh) 一种井下风门闭锁装置
KR20110036998A (ko)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JP2015048599A (ja) シートシャッタ
CN219718737U (zh) 一种用于道闸机上的机箱装置
CN220133851U (zh) 一种摆动式百叶翻转联动结构及可堆叠翻板百叶
EP1431507B1 (de) Horizontal-Jalousie
WO2019040019A2 (en) ENHANCED FOLDING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