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684A -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684A
KR20080088684A KR1020070031214A KR20070031214A KR20080088684A KR 20080088684 A KR20080088684 A KR 20080088684A KR 1020070031214 A KR1020070031214 A KR 1020070031214A KR 20070031214 A KR20070031214 A KR 20070031214A KR 20080088684 A KR20080088684 A KR 2008008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uct
intake duct
air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진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8684A/ko
Publication of KR2008008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거실과 하나 이상의 동력원을 구비하는 선박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운전되어 상기 거실의 공기를 조절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거실에 설치되어 흡기분기관(25)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실내기(45)와, 상기 각 실내기(45)에 열교환유체관(43, 44)에 의하여 연결되는 실외기(41)와, 흡기관(2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부(12)와 흡기관(21)을 통하여 외기를 유입시켜 흡기덕트(23)로 공급하는 흡기팬(15)으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10)와, 상기 흡기장치(10)에 연결되는 흡기덕트(23)와, 상기 흡기덕트(23)에 설치되어 비상시 외기의 흡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흡기덕트(23)와 각 거실 사이에 연결되어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를 각 거실로 공급하는 흡기분기관(25)과, 상기 각 거실에 연결되어 거실로부터 거실의 내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분기관(31)과, 상기 배기분기관(31)에 연결되는 배기덕트(33)와, 상기 배기덕트(33)를 통하여 거실의 내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3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거실의 냉난방과 흡기를 분리하여 흡기덕트(23)는 환기(급기) 장치로만 사용하므로 흡기덕트(23)를 외부로부터 단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단열부재(127)로 감싸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며, 흡기덕트(23)의 흡기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흡기덕트(23)의 설치 공간 효율성이 증대되며,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하며, 흡기덕트(23)의 재질로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예를 들면 PVC나 PE 계열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흡기덕트(23)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 선박, 분리

Description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Marine and Offsho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흡기덕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흡기분기관을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흡기덕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소음장치부의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기장치 12 : 필터부
15 : 흡기팬 21 : 흡기관
23 : 흡기덕트 25 : 흡기분기관
29 : 소음장치부 31 : 배기분기관
33 : 배기덕트 37 : 배기관
39 : 배기팬 41 : 실외기
43, 44 : 열교환유체관 45 : 실내기
50 : 열교환기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에 구비되는 각 거실의 공기를 조절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난방과 환기를 분리하여 흡기덕트는 환기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기덕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공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흡기덕트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흡기 관(121)이 연결되어 흡기관(12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공기조화기(110)와, 상기 공기조화기(110)에 난방유체공급관(102a)과 난방유체배출관(102b)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10)의 난방열교환기(111)로 난방유체를 순환시키는 난방장치(103, 보일러)와, 상기 공기조화기(110)에 냉방유체공급관(104a)과 냉방유체배출관(104b)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조화기(110)의 냉방열교환기(113)로 냉방 유체를 순환시키는 냉방장치(105)와, 상기 공기조화기(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110)를 통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면서 공급되는 외기의 공급 통로가 되는 흡기덕트(123)와, 상기 흡기덕트(123)와 각 거실(ROOM)을 연결하는 흡기분기관(125)과, 각 거실로부터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133)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덕트(133) 상에는 배기팬(139)이 설치되며, 배기덕트(133)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의 일부는 배기분지관(135)을 통하여 다시 공기조화기(110)로 공급 되어 흡기관(121)을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와 함께 냉방열교환기(111)나 난방열교환기(113)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어 흡기덕트(123)로 공급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15는 외기를 흡입하여 흡기덕트(123)로 유동하도록 하는 흡기팬을 도시한 것이며, 131은 각 거실과 배기덕트(133)를 연결하는 배기분기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흡기덕트(123)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덕트(123)의 길이 방향 소정 간격으로 흡기덕트(123)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로지지부(128)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지지부(128)의 양측을 두 개의 세로지지재(126)로 지지하여 천장 등에 흡기덕트(123)를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 시스템(100)은 냉방 또는 난방된 외기가 흡기덕트(123)를 통하여 각 거실로 공급되고(즉, 냉난방과 환기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배기의 일부가 재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흡기덕트(123)의 크기(유동면적)을 크게 하여야 하였고, 흡기덕트(12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이 증가하였으며, 흡기덕트(123)의 크기에 따른 설치 공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특히 층간 높이 확보 등 공간이 제약되는 선박에서는 흡기덕트(123)를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하며, 흡기덕트(123)의 설치에 의하여 주거 공간이나 시설물 공간에 크게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기조화기(110)와 각 거실 사이에서 냉방 또는 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덕트(123)는 외부를 단열부재(127)로 감싸 흡기덕트(123)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하여야 하였고 따라서 흡기덕트(123)의 설치공간이 더욱더 증가하였으며, 단면적이 증가한 만큼 흡기덕트(123)의 상대적인 강성은 감소하였고, 따라서 흡기덕트(123)의 설치 구조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잡하게 하여야 하였으며, 흡기덕트(123)를 통한 외기의 유동 속도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난방과 환기를 분리함으로써 흡기덕트의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흡기덕트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흡기덕트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주거 등을 위한 공간이 충 분히 확보되며, 흡기덕트를 단열부재로 감싸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흡기덕트를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흡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거실과 하나 이상의 동력원을 구비하는 선박의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운전되며 상기 거실의 공기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각 거실에 설치되어 흡기분기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실내기와; 상기 각 실내기에 열교환유체관에 의하여 연결되는 실외기와; 흡기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중에 이물질이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흡기관을 통하여 외기를 유입시켜 흡기덕트로 공급하는 흡기팬으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와; 상기 흡기장치에 연결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에 설치되어 비상시 외기의 흡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흡기덕트와 각 거실 사이에 연결되어 흡기덕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를 각 거실로 공급하는 흡기분기관과; 상기 각 거실에 연결되어 거실로부터 거실의 내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분기관과; 상기 배기분기관에 연결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를 통하여 거실의 내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팬은 흡기덕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의 속도가 11㎧∼25㎧ 범위가 되도록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기덕트는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면, PVC나 PE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기덕트와 배기덕트는 소정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교차되는 지점에 열교환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기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내기와 상기 흡기덕트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기는 열교환기에 의하여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분기관의 말단에 설치되는 소음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흡기덕트의 장반경과 단반경의 비는 1보다는 크고 6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기덕트 및 또는 흡기덕트에 연결되는 흡기분기관의 직경과 내면 돌출 높이차의 비는 0.02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명칭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5는 흡기분기관을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이며, 도 6은 흡기분기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이며, 도 7은 흡기덕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흡기분기관의 말단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종단면 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1)은 냉난방과 환기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거실로 흡입되는 외기는 각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45)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방 또는 난방이 실시된다. 상기에서 선박은 준설선, 부유식 원유생산 및 저장설비와 같은 특수작업선, 해상 교통이나 운반 수단인 유조선이나 여객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1)은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관(21)이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관(21)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분진이나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필터부(12)와 외기가 흡입되도록 작용하는 흡기팬(15)으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10)와; 상기 흡기장치(1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를 각 거실로 안내하는 흡기덕트(23)와; 상기 흡기덕트(23)로부터 각 거실로 흡입되는 외기를 공급하는 흡기분기관(25)과; 상기 거실로부터 배출되는 내기를 배기덕트(33)로 안내하는 배기분기관(31)과; 상기 배기분기관(31)에 연결되는 배기덕트(33)와; 상기 배기덕트(33) 상에 설치되어 배기 되는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기덕트(23) 또는 흡기관(21)에는 거실의 화재 등 비상 시에 거실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1)은 실외기(41)와, 상기 각 거실에 설치되며 열교환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흡기분기관(25)으로부 터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면서 거실 실내로 순환시키는 실내기(45)와, 상기 실외기(41)와 실내기(45)를 연결하면서 열교환유체가 실외기(41)와 실내기(45) 사이를 순환하는 통로가 되는 열교환유체관(43, 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유체관(43, 44)은 실외기(41)에서 실내기(45)로 열교환유체가 유동 되도록 하는 열교환유체관(43)과, 실내기(45)에서 실외기(41)로 열교환유체가 유동 되도록 하는 열교환유체관(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외기(41)에 대하여 냉방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실외기(41)는 열교환유체관(44)을 통하여 실내기(45)로부터 유입되는 열교환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가스 터빈으로 작동하는 엔진이나 전기로 작동하는 모터)과, 압축 되어 고온으로 된 열교환유체로부터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열교환수단을 구비하며,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저온으로 된 열교환유체를 팽창시켜 더욱 저온으로 한 후 실내기(45)로 순환하도록 한다. 실내기(45)로 순환된 저온의 열교환유체는 실내기(45)에 구비되는 열교환수단을 통과하면서 흡기분기관(25)으로부터 거실로 토출되는 외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각 실내기(4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연결되어 열교환유체의 유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실내기(45)로 토출되는 외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조정 버튼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외기의 냉난방과 흡기덕트(23)에 의한 환기가 서로 분리되어 흡기덕트(23)로부터 분기 되어 구비되는 흡기분기관(25)을 통하여 각 거실로 토 출 되는 외기가 토출될 때 냉각 또는 가열되므로, 흡기덕트(23)는 외부와 단열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흡기덕트(23)를 단열 부재로 단열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고,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고온이나 저온의 외기가 유동하지 않고, 상온 범위의 외기만이 유동하므로 흡기덕트(23)를 알루미늄이나 금속 패널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면 PVC나 PE와 같은 재질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흡기덕트(23)를 설치할 때,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의 공급 속도를 11㎧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급 속도를 11㎧ ∼ 25㎧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의 공급속도를 11㎧보다 작게 하는 경우에는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거실로 공급되는 외기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흡기덕트(23)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며, 25㎧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흡기덕트(23)나 흡기분기관(25) 내에 소음이나 진동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약 55㏈를 넘게 되어 탑승자의 작업 능력이 저하되고 거실 거주 환경이 급격하게 악화된다. 상기에서 흡기덕트(23)를 통과하는 외기의 속도를 25㎧보다 작게 제한하는 한편, 상기 흡기분기관(25)의 말단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감속시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소음장치부(2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장치부(29)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분기관(25)의 말단에 소정 간격으로 교대로 하나 이상의 격벽을 설치하여 외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함으로서 외기의 유동 속도를 낮추고 따라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분기관(25)의 말단 단면적을 크게 하여 유동 속도를 낮추는 단면확장부(29c)를 구비하는 것도 가 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흡기덕트(23)의 단면 형상을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제조하고, 간단하게 고정 설치함으로써 흡기덕트(23)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절약되며, 흡기덕트(23)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상기에서 흡기덕트(23)의 단면 형상을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충분한 유동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반경(a/2)에 대한 단반경(b/2)의 비(a/b)를 1(장반경(a/2)에 대한 단반경(b/2)의 비(a/b)가 1인 경우는 원형임)보다 크고 6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1㎧ ∼ 25㎧의 속도로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가 분기 되어 각 흡기분기관(25)을 통과할 때 외기에 의하여 흡기덕트(23)나 각 흡기분기관(25)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 흐름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덕트(23)나 흡기분기관(25) 내측의 돌출 높이차를 소정 값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흡기분기관(25)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분기관(25)의 내면 놀출 높이차(H)는 흡기분기관(25)의 지름(D)과 관련하여, 지름(D)에 대한 높이차(H)의 비(H/D)를 0.025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름(D)에 대한 높이차(H)의 비(H/D)를 0.025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높이차(H)에 의하여 흐름 저항이 증가하여 동력 손실이 커지게 되고, 흡기팬(15)의 용량을 필요 이상의 크게 하여야 하며, 흐름 저항 증가에 의하여 진동과 소음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차(H)는 이론적으로 0(Zero)로 할 수 없는 바, 0보다(0을 포함하지 않는 높이차의 비, 예를 들면 0.00001) 크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에 의하면, 거실의 냉난방과 흡기를 분리하여 흡기덕트(23)는 환기(급기)를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하므로 흡기덕트(23)를 외부로부터 단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단열부재(127)로 감싸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며, 흡기덕트(23)의 흡기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공간이나 층간 높이가 지극히 제한되는 선박에 있어서 공간의 제약 없이 흡기덕트(23)를 설치하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에 소용되는 비용이 감소하며, 주거 공간 등 필요 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공간 효율성이 증대되며, 흡기덕트(23)의 재질을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면, PVC나 PE계열)로 선택할 수 있으며, 흡기덕트(23) 설치가 용이해지며, 흡기덕트(23)를 통과하는 외기의 공급 속도를 11㎧ ∼ 25㎧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거실과 하나 이상의 동력원을 구비하는 선박의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운전되며 상기 거실의 공기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에 있어서, 각 거실에 설치되어 흡기분기관(25)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실내기(45)와; 상기 각 실내기(45)에 열교환유체관(43, 44)에 의하여 연결되는 실외기(41)와; 흡기관(21)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중에 이물질이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부(12)와, 흡기관(21)을 통하여 외기를 유입시켜 흡기덕트(23)로 공급하는 흡기팬(15)으로 이루어지는 흡기장치(10)와; 상기 흡기장치(10)에 연결되는 흡기덕트(23)와; 상기 흡기덕트(23) 또는 흡기관(21)에 설치되어 비상시 외기의 흡기를 차단하는 차단밸브와; 상기 흡기덕트(23)와 각 거실 사이에 연결되어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를 각 거실로 공급하는 흡기분기관(25)과; 상기 각 거실에 연결되어 거실로부터 거실의 내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분기관(31)과; 상기 배기분기관(31)에 연결되는 배기덕트(33)와; 상기 배기덕트(33)를 통하여 거실의 내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3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15)은 흡기덕트(23)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의 속도가 11㎧∼25㎧ 범위가 되도록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23)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23)와 배기덕트(33)는 소정의 지점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교차되는 지점에 열교환기(5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기덕트(33)를 통하여 배출되는 내기와 상기 흡기덕트(2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는 열교환기(50)에 의하여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분기관(25)의 말단에 설치되는 소음장치부(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23)의 장반경(a)과 단반경(b)의 비는 1보다는 크고 6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23) 및/또는 흡기덕트(23)에 연결되는 흡기분기관(25)의 직경과 내면 높이차의 비는 0.02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조시스템(1).
KR1020070031214A 2007-03-30 2007-03-30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080088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214A KR20080088684A (ko) 2007-03-30 2007-03-30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214A KR20080088684A (ko) 2007-03-30 2007-03-30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684A true KR20080088684A (ko) 2008-10-06

Family

ID=4015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214A KR20080088684A (ko) 2007-03-30 2007-03-30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868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3753A (zh) * 2010-11-29 2011-04-06 江苏兆胜空调有限公司 船用再冷再热式双风道变频空调
KR20130004155U (ko) * 2011-12-28 2013-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홀드 배기가스의 검출장치
KR101290808B1 (ko) * 2011-03-03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
KR101335622B1 (ko) * 2011-06-02 2013-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359315B1 (ko) * 2012-08-03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 통풍 시스템
KR101465949B1 (ko) * 2013-06-03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소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화재소화시스템
KR101525384B1 (ko) * 2013-09-06 2015-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50086783A (ko) 2014-01-20 2015-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70045493A (ko) 2015-10-19 2017-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시스템 및 배기제어방법
KR20230102227A (ko) * 2021-12-30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대형 수상함용 유닛 토일렛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3753A (zh) * 2010-11-29 2011-04-06 江苏兆胜空调有限公司 船用再冷再热式双风道变频空调
KR101290808B1 (ko) * 2011-03-03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
KR101335622B1 (ko) * 2011-06-02 2013-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30004155U (ko) * 2011-12-28 2013-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홀드 배기가스의 검출장치
KR101359315B1 (ko) * 2012-08-03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 통풍 시스템
KR101465949B1 (ko) * 2013-06-03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소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화재소화시스템
KR101525384B1 (ko) * 2013-09-06 2015-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50086783A (ko) 2014-01-20 2015-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70045493A (ko) 2015-10-19 2017-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시스템 및 배기제어방법
KR20230102227A (ko) * 2021-12-30 2023-07-07 한화오션 주식회사 대형 수상함용 유닛 토일렛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8684A (ko)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JP6434680B2 (ja) 空調装置
JP2007525353A (ja) モジュール式バス空調システム
JP200902121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ケースの換気装置
CN101842254A (zh) 车载用温度调节装置
EP2062762A1 (en) Drainage structur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CN104379999A (zh) 空调装置以及空调装置的安装结构
US20080202138A1 (en) Low profile marine air conditioner
KR101609051B1 (ko) 열원장치
CN116007066A (zh) 整体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US9200812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5570017B2 (ja) 空調システム
US20080194195A1 (en) Reduced nois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systems
JP2010069919A (ja) 鉄道車両
JP3022831B2 (ja) 換気装置
JP5705015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RU2293924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отсеков газо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и
EP3252385B1 (en) Air conditioner
EP3714168B1 (en) A fan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comprising the same
JPH0853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174919U (ja) 空調装置
KR200254635Y1 (ko) 정숙성을 갖는 공기 조화기
JP601666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11257691A (ja) 室外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H11351779A (ja) 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