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59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599A
KR20080088599A KR1020087017055A KR20087017055A KR20080088599A KR 20080088599 A KR20080088599 A KR 20080088599A KR 1020087017055 A KR1020087017055 A KR 1020087017055A KR 20087017055 A KR20087017055 A KR 20087017055A KR 20080088599 A KR20080088599 A KR 20080088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shing
tank
hang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호 미스미
마사지 쿠키노
마사히로 야마자키
히로야 하라
히로시 안도
히로시게 코니시
마사시 오사다
노리히코 이시카와
카즈히로 이와세
아키히로 호시노
유미코 코우나이
마사미 요리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겐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15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362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042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6796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겐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100)는, 세탁조(5)를 수납하는 수조(2)가, 매다는 와이어(31a, 31b, 31c, 31d)와 이것을 감아올리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a, 32b, 32c, 32d)을 갖는 매다는 기구(30a, 30b, 30c, 30d)에 의해 4개소에 매달려 있다. 세탁이나 의류를 취출함에 있어서, 앞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a, 31b)의 매다는 길이를 길게 하고,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c, (31d)의 길이를 짧게 하면, 수조(2)는 용이하게 앞면을 향하여 경사한다. 수조(2)가 하강하면, 수조(2)는 본체(1)에 설치된 지지봉(91a, …)을 갖는 지지 기구(90a, …)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수조(2)를 하강시켜서, 수조(2)의 하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 기구(91a, …)의 일부 또는 전부에 맡긴 상태에서, 세탁이나 탈수 등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기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 특히, 수조의 각도가 변경 가능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펄세이터 방식과 드럼식으로 대별된다. 펄세이터 방식은, 세탁조에 배치된 펄세이터를 회전하여, 그 회전에 의해 「회류(回流)하는 수류(水流)」를 발생시키고, 마찰 또는 진동 등의 기계적 작용과 세제에 의한 화학 작용에 의해 오물을 제거한 것이고, 세탁된 의류의 탈수에는, 세탁조(펄세이터가 배치되어 있다)를 회전하여, 원심력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탈수 후의 의류의 건조는, 세탁조 내로 온풍을 불어넣으면서 펄세이터 또는 세탁조 자체를 회전하고 있다.
한편, 드럼식은, 수평 방향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드럼(세탁조에 상당한다)을 회전시키고, 그 회전에 의해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낙하할 때의 기계적 작용과 세제에 의한 화학 작용을 이용한 것이고, 세탁된 의류의 탈수에는, 드럼을 회전하여, 원심력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탈수 후의 의류의 건조는, 드럼 내로 온풍을 불어넣으면서 펄 드럼을 회전하거나 하고 있다.
그리고, 세탁기에는, 당연히, 의류에 부착한 오물을 빼는 세정 성능의 향상, 즉, 평균적인 「오물을 빼는 세정 성능」의 개선과, 「오물 세탁의 편차」의 축소가 요청됨과 함께, 의류의 건조 성능의 향상, 즉, 「의류의 건조 얼룩」이나 「열손상을 방지」하면서 「건조의 신속화」, 및 「소비 전력의 저감」이 요청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조는, 회전축이 저면에 수직(연직 방향)이고, 회전면은 저면에 평행(수평 방향)하고, 펄세이터(또는 세탁조 그 자체)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세정을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한 수류는 중앙부에 집중하기 때문에 천끼리가 얽히거나, 연직 방향의 흐름이나 움직임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세탁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하여, 세탁력이 저하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세정 성능의 향상에 따르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펄세이터 방식에 있어서, 「세탁조를 경사한 상태에서 세정함으로써 세정 성능이 향상하고, 오물 세탁의 편차도 작아진다」는 공지된 식견에 의거하여, 비스듬히 고정된 세탁조를 구비하는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또한, 건조의 신속화의 요청에 따르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세탁 공정부터 건조 공정까지를 일련의 세탁 사이클로서 행할 수 있는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에서, 건조 공정에 한하여 세탁조를 경사시키고, 의류를 전동시킴에 의해 건조 성능을 향상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1 : 특허 제3193699호 공보(제 3 내지 4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2 : 특개2000-312800호 공보(제 3페이지, 도 2)
특허 문헌 3 : 특개평2-249588호 공보(제 3페이지, 도 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세탁기는, 기울어져 있는 세탁조 내에서 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정 성능은 향상하는 것이지만,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a) 의류를 건조할 때, 세탁조의 회전면이 중력 방향으로 수직이 아니기 때문에(회전축이 연직이 아니기 때문에), 본래적으로 「원심력+중력 성분」 또는 「원심력-중력 성분」의 힘이 발생하여 회전이 언밸런스하게 되는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다.
(b) 또한, 세탁조 또는 펄세이터가 회전을 정지하면, 기울어진 세탁조의 일방측으로 의류가 치우치기 쉽기 때문에, 탈수 공정의 실행이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세탁조의 회전면이 중력 방향으로 수직이 아니기 때문에(회전축이 연직이 아니기 때문에), 일방측으로 의류가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가 치우쳐 있는 일방측의 원심력이 커져서, 「의류 중량(포함하는 물)에 의해 증대한 원심력+중력 성분」 또는 「의류가 없는 측의 원심력-중력 성분」의 힘이 발생하여 언밸런스가 조장되고, 진동이나 소음이 커지고 있다.
한편,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세탁기는, 세탁조를 기울여서 세탁한 후에 회전축을 연직으로 하여 건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a)에 기재한 바와 같은 중력 성분에 기인하는 언밸런스는 발생하지 않는 것이지만, 의류가 세탁조 내에서 치우친 상태에서 세탁이 종료된 경우에는, 세탁조의 회전에 언밸런스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c)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세탁기는, 모두 기울어진 세탁조 내에서 세탁하기 때문에, 투입할 수 있는 의류의 양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울어진 세탁조는 기울어지지 않은 세탁조에 비교하여,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어지고, 이러한 물에 의해 세탁할 수 있는 의류의 양도 자연히 적어진다.
(d) 즉, 소정량의 의류를 세탁 자유롭게 하려고 하면, 기울여서 세탁하는 세탁조는 기울이지 않고 세탁하는 세탁조에 비교하여, 대형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대형의 세탁조를 장비한 세탁기는, 그 외형 치수가 커진다는 문제점으로 바꾸어 읽을 수 있다.
(e)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개시된 세탁기는, 본체가 개략 직육면체이고, 상기 개략 직육면체의 윗면에 의류의 투입 및 취출을 위한 의류 취출구가 형성되고, 경사한 세탁조의 상단 개구부의 언저리(특히, 앞면측의 언저리)가 상기 의류 취출구로부터 쑥 들어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의류의 투입 및 취출 작업에서 사용감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정 용량 이상의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조가 크기 때문에, 의류 취출구는 상기 세탁기의 설치면(바닥면과 같다)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의류를 넣거나 취출하거나 할 때, 의류 취출구에서 세탁조의 저면을 들여다보거나, 손을 뻗기 위해 발돋움을 하여야 하게 되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사용감이 나쁨은, 특히 사용자를 주부층으로 하는 세탁기에서는 상품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양호한 세정 성능을 보증함과 함께, 건조할 때의 세탁조의 회전 언밸런스를 방지하고, 또한, 사용감이 좋은 세탁기를 개발하고 있다(특원2006-74866 등).
본 발명은, 이러한 세탁기를 더욱 개량한 것으로서, 세탁조의 경동 기구를 간소하게 함에 의해, 더한층의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운전시의 더한층의 정적(靜寂)화, 또한, 세탁조의 밀폐를 추진함에 의해, 건조시에 있어서의 주위의 청정화를 더욱더 가능하게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로부터, 세탁기가 발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각종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드럼식 세탁기에서, 드럼에 생기고 있는 편심 하중량을 미리 정한 임계치 이하로 설정하여, 드럼의 회전에 기인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 등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그러나, 세탁조의 경동을 가능하게 하는 세탁기에서는, 종래부터 익숙한 소음에 더하여, 수조의 각도 변경에 수반하는 새로운 소음이 추가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쪽에서 당혹함이나 혼란이 생길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4 : 특개2005-17709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또한, 수조의 연직 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한 세탁기에 있어서, 수조의 각도 변경에 기인하는 소음에 대한 이용자의 당혹함이나 혼란을 가능한 한 주지 않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납되고, 의류가 투입됨과 함께, 상기 의류를 세탁 및 탈수하기 위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수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를 본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상기 수조와 본체 사이의 지지 부재의 길이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가지며,
의류가 상기 세탁조에 투입되고 나서, 세탁 또는 탈수된 의류가 취출되기 까지의 공정에 따라, 상기 변경 수단이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를 변경함에 의해,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탁조」란, 세탁 및 탈수에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탈수겸 세탁조」와 같고, 별도 건조에 제공하는 경우(예를 들면, 온풍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건조겸 탈수겸 세탁조」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류를 세탁한다」라 함은, 「세탁」 또는 「헹굼」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제 1의 경사각도로 경사한 상태에서 세탁 후에 제 2의 경사각도로 경사하여 헹구는 경우, 또는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한 상태에서 세탁 후에 직립 상태에서 헹구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직립」이란, 세탁기의 저면에 수직한 자세, 즉, 통상은 연직한 자세를 가리키고, 「경사」란, 세탁기의 저면의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자세를 가리키고, 수조의 경사각도가 변경하는 상태를 「경동(傾動)」이라고 호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류」란, 문자 그대로 「의복」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포 등의 침구, 타월이나 커튼 등의 일용품을 포함하는 것이고, 천(布) 제품이나 섬유 제품 또한 피혁 제품이나 합성수지 제품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본체와, 세탁 탈수조를 내장한 수조와, 상기 세탁 탈수조의 저부에 배치된 펄세이터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조 지지 수단과, 상기 세탁 탈수조 및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원과, 상기 수조 지지 수단에 작용하여, 상기 수조의 연직 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는 경사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수조의 각도 변경시에, 상기 수조가 각도 변경중인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수조상태 고지(告知)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저소음화를 고려하지 않는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화를 고려한 저소음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수조의 직립 상태와 경사 상태 사이에서의 이동의 회수를, 상기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적게 한 것이다.
또한, 저소음화를 고려하지 않는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화를 고려한 저소음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수조의 경사 속도를, 상기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느리게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수조가 지지 부재인 매다는 부재 등에 의해 매달리고, 그 매다는 길이가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되기 때문에, 간소한 기구에 의해 수조의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조를 알맞은 타이밍에, 임의의 방향으로 소망하는 각도로 경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하의 효과를 이룬다.
(ㄱ) 매다는 부재를 복수 설치하고, 각각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을 설치함에 의해, 각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의 감아 올림(卷上) 모터를 저용량으로 할 수 있고, 경동시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아 올림 모터의 구동 타이밍을 비켜 놓음에 의해 상기 소음은 더욱 억제된다.
(ㄴ) 또한, 세탁기의 본체(본체와 같다)가 경사한 바닥면에 재치된 경우라도, 복수의 매다는 부재의 매다는 길이를 적절히 조정함에 의해, 세탁조의 회전축을 연직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탈수시에 있어서의 세탁조의 흔들려 돌아감이 억제되고, 저소음화가 촉진된다.
(ㄷ) 또한, 세탁조는, 경동에 더하여 승강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승한 상태에서, 의류를 취출하면, 작업이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세탁조를 경사한 후에 상승시키면, 세탁조의 상연(上緣)과 바깥덮개를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당접부(當接部)의 마모나 손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세탁조의 밀폐화가 촉진된다.
(ㄹ) 세탁조를 세탁 전에 미리 기울인 상태로 하여, 또는 세탁조를 세탁중에 기울이면서 의류를 세탁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 성능이 향상한다.
(ㅁ) 세탁조를 탈수 전에 미리 직립한 상태로 하여, 의류를 탈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의 언밸런스가 저감되고, 또는 회전의 언밸런스의 발생이 방지된다.
(ㅂ) 의류를 세탁조로부터 취출할 때, 세탁조를 경사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취출 작업이 용이해지고, 사용감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조가 각도 변경중인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수조상태 고지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조의 각도 변경에 기인하는 소음이 발생하여도, 그 소음원을 파악할 수 있고, 그 소음에 수반하는 이용자의 당혹함이나 혼란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저소음화를 고려하지 않는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화를 고려한 저소음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의 직립 상태와 경사 상태 사이에서의 이동의 회수를,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적게 하였기 때문에,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의 각도 변경에 수반하는 소음 발생 회수가 적어진다. 또한,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의 경사 속도를,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느리게 하였기 때문에,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를 움직이는 구동원의 출력을 저감할 수 있고, 그 만큼 발생하는 소음이 적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와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경동을 설명하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와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경동을 설명하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와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세탁기의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와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세탁기의 세탁 공정에서의 측면도와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세탁기의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와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세탁기의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와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세탁기의 탈수 공정과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세탁기의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세탁기의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세탁기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세탁기의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세탁기의 건조 공정 등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관한 세탁기의 건조 공정 등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부분 외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세탁기의 경동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세탁기의 효과를 포착적(抱捉的) 으로 설명하는 측면도.
도 18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 있어서의 제어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9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서의 제어 방법의 개략 플로우 차트.
도 20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임 차트.
도 21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임 차트.
도 22는 세탁조의 경사각도와 세탁 성능과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설명하는 상관도.
도 23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 있어서의 세탁조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세탁기의 수조가 직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내부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세탁기의 수조가 경사한 상태를 도시하는 내부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세탁기의 제어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7은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의,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 운전 모드의 운전 제어 방법의 비교 설명도.
도 28은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 운전 모드의 운전 제어 방법의 비교 설명도.
도 29는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 운전 모드의 모드별 운전 타임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수조 2a : 통형상부 2b : 원추부 2c : 수조 3 : 수조 플랜지 4 : 펄세이터 5 : 세탁조 6 : 밸런서 7 : 수조 커버 8 : 속덮개 9 : 바깥덮개 10 : 톱 커버 10a : 부분돌출부 10p : 조작 패널 11 : 수조 모터 12 : 급수 경로 13 : 급수 기구 14 : 급수 밸브 15 : 건조용 팬 16 : 송풍 덕트 17 : 히터 18 : 배수 호스 19 : 완충재(실시의 형태 6) 20 : 패킹 받이(실시의 형태 7) 21 : 속덮개 윗링 22 : 본체 윗링(실시의 형태 8) 30 : 매다는 기구(실시의 형태 1) 31 : 매다는 와이어 32 : 감아 올림 수단 38 : 감아 올림 드럼 39 : 감아 올림 모터 40a : 매다는 기구(실시의 형태 2) 41a : 매다는 봉 42a : 매다는 설치 암 43a : 코일 스프링 40b : 매다는 기구(실시의 형태 2) 41b : 매다는 봉 42b : 매다는 설치 암 43b : 코일 스프링 50 : 매다는 기구(실시의 형태 2) 51 : 매다는 와이어 52 : 감아 올림 수단 53 : 코일 스프링 54 : 매다는 시브 55 : 매다는 봉 56 : 안내 암 60 : 매다는 기구(실시의 형태 4) 61 : 매다는 나사봉 62 : 나사봉 승강 수단 63 : 고정 암 64 : 승강 모터 65 : 구동 나사 66 : 종동 나사 70 : 되돌림 기구(실시의 형태 5) 71 : 되돌림 와이어 73 : 텐셔너 74 : 되돌림 시브 80 : 표시부(실시의 형태 9) 81 : 주전원 표시부 82 : 운전 코스 표시부 82a : 세탁 표시부 82b : 헹굼 표시부 82c : 탈수 표시부 82d : 건조 표시부 83 : 스타트 표시부 84a : 종료 시각 표시부 84b : 종료 시각 표시부 85a : 무빙 표시부 85b : 문자 표시부 85c : 조(槽) 경사 표시부 85d : 조 경사 표시부 86c : 수직 표시점 86d : 수직 표시선 87c : 중표시점 87d : 중표시점 88c : 대표시점 88d : 대표시점 90 : 지지 기구 91 : 지지봉 92 : 설치 암 93 : 코일 스프링 1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1) 110 : 제어 수단 120 : 입력 인터페이스 121 : 경동 모터 122 : 피니언 123 : 래크 140 : 출력 인터페이스 150 : 메모리 160 : 클록 제어부 170 : 타이머 2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2) 3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3) 4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4) 5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5) 6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6) 7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7) 8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8) 900 : 세탁기(실시의 형태 9) 1000 : 의류 1001 : 본체 1002 : 수조 1003 : 매다는 봉 1004 : 펄세이터 1005 : 세탁 탈수조 1006 : 밸런서 1007 : 수조 커버 1008 : 속덮개 1009 : 바깥덮개 1010 : 톱 커버 1011 : 회전용 모터 1012 : 급수 경로 1013 : 급수 기구 1014 : 급수 밸브 1015 : 송풍 팬 1016 : 송풍 덕트 1017 : 히터 1018 : 배수 호스 1019 : 수평대 1020 : 경동대 1021 : 경동용 모터 1022 : 수조상태 고지장치 1023 : 조작부 및 작동 상태 표시부 1050 : 세탁물
[실시의 형태 1 ; 4개 매다는 와이어식]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a)는 측단면도, (b)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면중, 각 구성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그 치수 및 각 부분의 간격 등은 정확하지 않다. 특히, 박판에 의해 형성 되어 있는 부재에 대해서는, 명료하게 하기 위해, 두께를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첨자 「a, b, c, d」의 기재를 생략하고, 또한, 각 도면에서 같은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세탁기)
도 1의 (a)에서, 세탁기(100)는, 일련의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과 건조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조를 경사시킨 상태(회전축을 연직 방향에 대해 기울인 상태)에서, 주로 세탁 공정과 건조 공정을 실행하고, 세탁조를 직립시킨 상태(회전축을 연직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주로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a)에 도시하는 자세는, 탈수 공정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을 통합하여 「세탁 공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체)
본체(1)는 단면 직사각형의 통형상(개략 직육면체와 같다)이고, 천정면(天面)에는 톱 커버(10)가 설치되어 있다. 톱 커버(10)에는 앞면에 이어지는 천정면 개구부가 형성되고, 앞면(도 1의 (a)에서 좌측면)의 천정면 근처에는 앞면 개구부가 형성되고, 천정면 개구부와 앞면 개구부를 연결한 개구부가, 의류의 출입에 제공한 의류 투입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의류 투입구에 바깥덮개(9)가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톱 커버(10)에는, 조작 패널(10p)이 마련되고, 본체(1) 및 톱 커버(10)의 각 각의 면이 교차한 모서리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각(角)R)이 형성되어 있다.
(수조)
도 1의 (a)에서, 본체(1) 내에 수조(2)가 수납되어 있다. 수조(2)는 천정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폐색된 통형상이다.
수조(2)의 상단면(천정면 개구부의 주위와 같다)에는 내(內)플랜지 형상으로 수조 커버(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수조 커버(7)는 링형상이고, 상기 링의 내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의류를 투입하거나 취출하거나 하게 된다.
또한, 수조 커버(7)에는, 수조 커버(7)의 개구부(상기 링의 내측 개구부와 같다)를 폐색 또는 개방하는 속덮개(8)가 경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즉, 바깥덮개(9)의 하방에 속덮개(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깥덮개(9)의 개폐 동작(경동 동작과 같다)은, 도시하지 않은 연동 기구(기계적 또는 전기적 수단, 도시 생략)에 의해 속덮개(8)에 전달되고, 바깥덮개(9)를 열면 속덮개(8)도 열리고, 바깥덮개(9)를 닫으면 속덮개(8)도 닫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를 개방 불능으로 로크하는 덮개 로크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 로크기구는, 진퇴한 전자 핀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가 전동식의 덮개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 개폐 구동 기구가 전기적으로 구동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바깥덮개(9) 및 속덮개(8)는, 모두 투명한 재료(무색 또는 유색의 투 명 플라스틱 등의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덮개(9) 및 속덮개(8)를 닫은 상태에서, 유저는, 세탁조(5)의 속의 양상(세탁조(5)의 속에 투입된 의류(1000)의 양상)을 눈으로 볼 수 있다(도 1의 (b)참조). 또한, 속덮개(8)를 철거하고, 투명한 바깥덮개(9)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마찬가지로, 세탁조(5)의 내부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세탁조)
세탁조(5)는, 투입된 의류의 세탁과 헹굼과 탈수와 건조에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탁겸 탈수조 또는 세탁겸 탈수겸 건조조라고도 호칭되는 것이다. 세탁조(5)는 수조(2)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즉, 수조(2)가 경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탁조(5)는 수조(2)와 함께 경동하는 것이다(이에 관해서는 별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세탁조(5)는, 천정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폐색된 통형상이고, 측면에는 탈수를 위한 복수의 통수(通水)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또한, 세탁조(5)의 저면의 내측에는, 투입된 의류 및 주수(注水)된 물(이하 「세탁수」라고 칭한다)을 교반하는 펄세이터(4)가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 세탁조(5)의 회전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펄세이터(4)의 회전을 「선회(旋回)」라고 호칭한다.
세탁조(5)의 천정면 개구부의 주위에는 밸런서(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밸런서(6)의 내주로 둘러싸인 범위가 개구부로서, 의류를 투입하거나 취출하거나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세탁조(5)를 수납하는 수조(2)에는 수조 커버(7)가 설 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런서(6)의 상단면은 수조 커버(7)에 의해 덮여 가려 있다.
(수조 모터)
수조(2)의 저면에 펄세이터(4)를 선회 및 세탁조(5)를 회전하기 위한 공통의 수조 모터(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 모터(11)의 회전을 펄세이터(4) 또는 세탁조(5)에 분배하는 회전 분배 수단(도시 생략)과, 상기 공통의 회전 분배 수단으로부터 펄세이터(4)에 회전(선회)을 전달하는 펄세이터측 회전 전달 수단(도시 생략)과, 상기 공통의 회전 분배 수단으로부터 세탁조(5)에 회전을 전달하는 조측(槽側) 회전 전달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 모터(11) 및 상기 회전 분배 수단은, 제어 수단의 지령에 의해, 세탁 공정과 탈수 공정과 건조 공정에서, 각각 소정의 회전/정지 및 분배를 하는 것이다(이에 관해서는 별도 상세히 설명한다).
(급배수 기구)
수조(2)의 천정면(정확하게는, 수조 커버(7)의 하면측)에는 급수 기구(13)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기구(13)는, 일단이 본체(1)의 밖으로 도출되어 외부의 수도에 접속되는 급수 경로(12)와, 급수 경로(12)의 도중에 설치되고 물의 유통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14)를 갖고 있다.
수조(2)의 저면에는 배수구(도시 생략)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배수 호스(18)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 또는 배수 호스(18)에 물의 유통을 개폐한 배수 밸브(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 밸브(14) 및 배수 밸브를 닫음과 함께, 속덮개(8)를 닫으면, 수 조(2)는 밀폐 상태가 된다.
(건조 수단)
건조 수단은, 열풍에 의해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건조 공정시에 세탁조(5)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건조용 팬(15)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7)를 갖고 있다. 건조용 팬(15)은 수조(2)의 하면에 설치되고, 건조용 팬(15)의 케이싱 배출구에는 히터(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배출구에 연통하고, 수조(2)의 외벽에 따라 세워져서 수조(2)의 상부의 개구연에 개구하는 송풍 덕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히터(17)에 의해 가열된 온풍은, 세탁조(5) 내에서 의류의 건조에 제공한 후, 배기 덕트에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출되는 온풍을 향하여 산수(散水)하는 「수냉 제습」이 실행된 후, 재차, 송풍 덕트(16)에 보내진다. 이 때, 속덮개(8) 가 닫혀 있기 때문에, 수조(2)는 밀폐 상태이고, 건조에 제공한 온풍이 주위로 누설되는 일이 없다.
(매다는 기구)
수조(2)는 4개의 매다는 기구(30a, 30b, 30c, 30d)(이하 통합하여 「매다는 기구(30)」라고 칭한다)에 의해 본체(1) 내에 매달려 있다. 즉, 수조(2)의 하부에는 사방으로 돌출하는 수조 플랜지(3a, 3b, 3c, 3d)가 형성되고, 수조 플랜지(3a, 3b, 3c, 3d)에 각각 매다는 와이어(31a, 31b, 31c, 31d)(이하 통합하여 「매다는 와이어(31)」라고 칭한다)의 하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조(2)의 내부의 네모퉁이에 삭체(索遞) 감아 올림 수단(32)(정확하게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a, 32b, 32c, 32d))이 설치되어 있다.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은, 매다는 와이어(31)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매다는 와이어(31)가 권회(捲回)하는 감아 올림 드럼(38)과, 상기 감아 올림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감아 올림 모터(39)와, 감아 올림 모터(39)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모두 도시 생략). 또한, 매다는 와이어(31)는, 가요성을 구비하는 삭체인 한, 로프, 벨트, 체인 등으로 대치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 기구)
수조(2)는 4개의 지지 기구(90a, 90b, 90c, 90d)(이하 통합하여 「지지 기구(90)」라고 칭한다)에 의해 제진(制振)되어 있다. 즉, 수조(2)의 내부의 네모퉁이에서, 거의 연직 또는 약간 경사한 지지봉(91a, 91b, 91c, 91d)의 선단부가, 본체(1)에 형성된 설치 암(92a, 92b, 92c, 92d)(도시 생략, 도 2 참조)에 설치되고, 각각 수조(2)의 수조 플랜지(3a, 3b, 3c, 3d)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 생략)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봉(91a, 91b, 91c, 91d)의 하단부에는 완충 기구(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이하 「코일 스프링」이라고 칭한다)(93a, 93b, 93c, 93d)가 신축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매다는 와이어(31)에 의해 매달려 있는 수조(2)는, 매다는 와이어(31)를 풀면(되감기와 같다), 수조(2)는 코일 스프링(93)을 압축한 상태로, 지지봉(91)에 의해 매달리는, 즉, 수조(2)의 하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지봉(91)에 걸리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93)은, 완충 기능 내지 진동의 감쇠(또는 방진) 기능을 갖는 한, 공지의 쇽업소버, 판스프링, 합성 수지(우레탄 등)의 블록 등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 스프링(93)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좋다.
(경동(傾動)에 관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세탁기에서의 세탁조의 경동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a)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2의 (b)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배면도, 도 3의 (a)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3의 (b)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2의 (a), (b)에서, 세탁기(100)의 수조(2)는, 4개의 매다는 와이어(31)(각각 독립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에 의해 감아올리는 길이가 조정된다)에 의해 매달리고, 중심축이 연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세탁기가 경사한 바닥면에 재치된 경우라도, 수평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수평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매다는 와이어(31)의 각각의 매다는 길이를 조정하면, 수조(2)의 중심축(세탁조(5)의 회전축과 같다)을 연직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로 함에 의해,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조(5)의 접촉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기구(90)의 지지봉(91)(통상, 수조(2)의 하중을 받지 않는다)이 수조(2)의 수조 플랜지(3)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수조(2)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도 2에서, 수조(2)의 수조 플랜지(3)가 지지 기구(90)의 코일 스프링(93)으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조 플랜지(3)의 하나 이상이 코일 스프링(93)의 하나 이상에 맞닿아서, 이것을 압축하여도 좋다. 즉, 수조(2)의 하중의 일부가 지지 기구(90)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나머지 하중이 매다는 기구(30)에 의해 받아들여져도 좋다. 또한, 세탁기(100)가 수평한 바닥면에 재치된 경우에는, 모든 매다는 와이어(31)를 충분히 풀어서, 수조(2)의 전 하중이 지지 기구(90)에 의해 받아들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의 (a), (b)에서, 세탁기(100)의 수조(2)는, 4개의 매다는 와이어(31)에 의해 매달리고, 앞면측이 낮아지도록 중심축이 경사하고 있다.
즉, 앞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a, 31b)의 매다는 길이가 연장되고(되감겨지고),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c, 31d)의 매다는 길이가 단축되어(감아올리지고) 있다. 이 때,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은 각각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구성하는 모터는 소용량이기 때문에, 코일의 권선을 소경화(小徑化)할 수 있고, 또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의 운전 타이밍을 비켜 놓음에 의해, 상기 되감기 및 감아 올림에 즈음하여 발생하는 소음(또는 진동)은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중 감아 올림 부하(모터 부하)가 큰 쪽의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에서는, 감아 올림 속도를 느리게 하여 소음을 억제하여도 좋다.
또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을 구성하는 감아 올림 모터는, 매다는 와이어(31)를 되감을 때, 제너레이터(발전기)로서, 수조(2)의 하중에 의해 일을 하게 한다. 따라서 경동 전에 미리 서서히(저속도로) 수조(2)를 끌어올려 두고, 주로, 매다는 와이어(31)를 되감음에 의해, 수조(2)를 경동시키면, 에너지 절약 효과와 감아 올림 모터의 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은, 앞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a, 31b)의 매다는 길이와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c, 31d)의 매다는 길이의 양쪽이, 변경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c, 31d)의 매다는 길이는 변경하지 않고, 앞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a, 31b)의 매다는 길이를 연장(되감기)하여도 좋고, 또는, 앞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a, 31b)의 매다는 길이는 변경하지 않고,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c, 31d)의 매다는 길이를 단축(감아 올림)하여도 좋다.
또한, 수조(2)의 앞면측의 수조 플랜지(3a, 3b)를 코일 스프링(93a, 93b)에 맞닿게 하여, 앞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a, 31b)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저감하거나, 또는, 매다는 와이어(31a, 31b)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세탁 공정 등이 종료된 후에, 경사한 수조(2)를 직립시키는 요령은, 상기의 반대이다. 또한, 수조(2)에의 주수 타이밍 또는 배수 타이밍은, 각 공정의 신속화나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의 전력 절약화 내지 정적화의 요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경사 자세)
도 3에서, 수조(2)는 앞면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조(5)의 상단 개구부의 앞면측의 위치는 전진함과 함께, 하강하고 있다.
이 때, 본체(1)의 앞면의 상단연을 낮게 하여 두면, 앞면에 서서 작업하는 유저는, 세탁조(5)의 깁숙히 손이 닿기 쉽게 됨과 함께, 경동에 의해 세탁조(5)의 상부 개구부는 유저의 시선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조(5)의 저부까지 들여다보기 쉽다. 따라서 의류의 취출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수조(2)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 수단에 의해 경동 불능으로 로크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5)가 경사한 상태로 모든 매다는 와이어(31)를 감아올려서, 수조(2)(세탁조(5)와 같다)를 끌어올린 후 로크하면, 세탁조(5)로부터 의류를 취출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매다는 와이어(31)의 매다는 길이(감아올리는 길이와 같다)는, 각 공정마다 미리 설정되어도, 또는, 수조(2)의 경사한 각도를 검출하는 경사각도 검출기를 설치하여 두고, 그 경사각도 검출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여도 좋다. 이 때, 상기 경사각도 검출기의 형식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경동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것, 또는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최대 경사각도나 직립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비접촉식(광센서, 자기 센서 등), 또는 접촉식(이른바 터치 센서)이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 2개 매다는 와이어식]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세탁기에서의 세탁조의 경동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a)는 탈수 공정에서의 측면도, 도 4의 (b)는 탈수 공정에서의 배면도, 도 5의 (a)는 세탁 공정에서의 측면도, 도 5의 (b)는 세탁 공정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4, 5에서, 세탁기(200)는, 수조(2)가 앞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40a, 40b)와, 후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50c, 50d)에 의해 매달려 있는 점에서, 세탁 기(100)(실시의 형태 1)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은 세탁기(100)와 같다.
이하, 상위점에 관해 설명한다.
(매다는 기구)
도 3, 4에서, 매다는 기구(40a, 40b)는, 매다는 봉(41a, 41b)과, 매다는 봉(41a, 41b)의 상단부를 본체(1)에 탈락 불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 암(42a, 42b)과, 매다는 봉(41a, 41b)의 하단부에 신축 자유롭게 설치된 코일 스프링(43a, 43b)을 갖는다.
또한, 매다는 기구(50c, 50d)는, 매다는 와이어(51c, 51d)와, 본체(1)에 설치되고, 매다는 와이어(51c, 51d)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이것을 감아올리는/되감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c, 52d)과, 매다는 와이어(51c, 51d)의 감아올리는/되감기 방향을 변경하는 매다는 시브(54c, 54d)와, 매다는 와이어(51c, 51d)의 하단부에 연결된 매다는 봉(55c, 55d)과, 매다는 봉(55c, 55d)의 하단부에 신축 자유롭게 설치된 코일 스프링(53c, 53d)과, 본체(1)에 형성되고, 매다는 봉(55c, 55d)을 승강 자유로우면서 탈락 불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암(56c, 56d)을 갖는다.
그리고,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c, 52d)은 함께 공통되는 감아 올림 드럼(매다는 와이어(51c, 51d)의 양쪽을 감아올리는/되감는)과, 상기 감아 올림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공통되는 감아 올림 모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c)과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d)은 같은 것이다(이하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이라고 칭한다).
또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을 안내 암(56c, 56d)의 한쪽의 바로 위 근처 에 설치함에 의해, 매다는 시브(54c, 54d)의 한쪽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c, 52d)을, 각각 별개의 감아 올림 드럼을 갖도록 하여, 상기 감아 올림 드럼을 안내 암(56c, 56d)의 바로 위 근처에 설치함에 의해, 매다는 시브(54c, 54d)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매다는 와이어(51c, 51d)에 대해 공지의 텐셔너를 설치하여, 경년(經年) 신장에 대처하여도 좋다.
(경동에 관해)
도 4의 (a), (b)에서, 세탁기(200)의 수조(2)는, 앞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40a, 40b)와, 후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50c, 50d)에 의해 중심축이 연직이 되도록 매달려 있다. 즉, 수조(2)의 하중의 개략 반분이, 코일 스프링(43a, 43b)을 통하여 매다는 봉(41a, 42b)에 전달되고, 나머지 하중이, 코일 스프링(53c, 53d)을 통하여 매다는 봉(55c, 55d) 및 매다는 와이어(51c, 51d)에 전달된다.
그리고, 매다는 봉(41a, 41b)은 설치 암(42a, 42b)에 설치되고, 매다는 봉(55c, 55d)은 안내 암(56c, 56d)에 의해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모두 수조(2)의 하중을 받고 있다)에 의해 매달려 있는 수조(2)의 진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체(1) 등에 수평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평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매다는 와이어(51c, 51d)의 매다는 길이를 조정하면, 수조(2)의 중심축(세탁조(5)의 회전축과 같다)을 연직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로 함에 의해, 탈수 공정에서의 세탁조(5)의 접촉회전을 억제할 수 있고, 진동이 한층 억제된다.
도 5의 (a), (b)에서, 세탁기(200)의 수조(2)는,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 어(51c, 51d)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앞면측이 낮아지도록 중심축이 경사하고 있다.
즉,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51c, 51d)가 감아올려지고, 매다는 봉(55c, 55d)이 들어올려져 있다(삭체 감아 올림 수단(52)과 코일 스프링(53)의 윗면과의 거리를 「매다는 길이」라고 하면, 매다는 길이가 단축되어 있다).
이때, 매다는 와이어(51c, 51d)는 공통의 감아 올림 드럼에 의해 감아올려지기 때문에, 양자의 감아 올림 전후의 매다는 길이는 같고, 횡방향으로 경사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세탁 공정에서도 탈수 공정과 마찬가지로, 수조(2)의 하중을 받아 내고 있는 앞면측의 매다는 봉(41a, 41b)과 후면측의 매다는 봉(55c, 55d)에 의해 수조(2)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상은, 후면이 매다는 기구(50c, 50d)가 매다는 봉(55c, 55d)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다는 봉(55c, 55d)을 철거하고, 매다는 와이어(51c, 5ld)를 직접 수조(2)에 접속하여도 좋다. 이 때, 지지 기구(90c, 90d)(실시의 형태 1 참조)를 설치하여 두면, 수조(2)의 진동은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세탁기(100)(실시의 형태 1)에서, 매다는 와이어(31)를 매다는 와이어(51)와 매다는 봉(55)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지지 기구(90)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 1개 매다는 와이어식]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세탁기에서의 세탁조의 경 동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a)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6의 (b)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배면도, 도 7의 (a)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7의 (b)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배면도이다.
도 6, 7에서, 세탁기(300)는, 수조(2)가 앞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40a, 40b)와, 후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30e)에 의해 매달려 있는 점에서, 세탁기(100)(실시의 형태 1)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은 세탁기(100)와 같다. 이하, 상위점에 관해 설명한다.
(매다는 기구)
도 6, 7에서, 앞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40a, 40b)는 세탁기(200)(실시의 형태 2 참조)에서의 것과 같다.
후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30e)는, 수조(2)의 수조 플랜지(3c, 3d)에 각각 하단부가 접속된 매다는 와이어(31c, 37d)와, 매다는 와이어(31c, 37d)의 상단부에 접속된 매다는 와이어(31e)와, 본체(1)에 설치되고, 매다는 와이어(31e)를 감아올리는/되감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매다는 기구(30e)에는, 매다는 와이어(31e)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매다는 와이어(31e)가 권회하는 감아 올림 드럼과, 상기 감아 올림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감아 올림 모터와, 상기 감아 올림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모두 도시 생략).
또한, 후면측에는 지지 기구(90c, 90d)(실시의 형태 1 참조)가 설치되어 있 다.
(경동에 관해)
도 6의 (a), (b)에서, 세탁기(300)의 수조(2)는, 앞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40a, 40b)와, 후면측에 설치된 지지 기구(90c, 90d)에 의해, 중심축이 연직이 되도록 매달려 있다. 그리고, 매다는 봉(41a, 41b)은 설치 암(42a, 42b)에 설치되고, 지지봉(91c, 91d)은 지지 암(92c, 92d)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2)의 진동이, 이들(모두, 수조(2)의 하중을 받고 있다)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가령, 세탁기(300)가 앞면측이 높아지도록 경사한 바닥면에 재치된 경우에는, 수평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수평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후면측의 매다는 와이어(31e)를 감아올려서, 매다는 길이를 조정하면, 수조(2)의 중심축(세탁조(5)의 회전축과 같다)을 연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수조(2)의 하중은, 매다는 기구(40a, 40b)와 매다는 기구(30e)에 걸리는 것인데, 수조(2)의 수조 플랜지(3)를 매다는 기구(40a, 40b)의 매다는 봉(41a, 41b)(수조(2)의 하중을 받고 있다)과 지지 기구(90c, 90d)의 지지봉(91c, 91d)(수조(2)의 하중을 받지 않는다)이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수조(2)의 진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도 7의 (a), (b)에서, 세탁기(300)의 수조(2)는, 후면측이 감겨올려진 매다는 와이어(31e)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앞면측이 낮아지도록 중심축이 경사하고 있다.
즉, 수조(2)는, 앞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40a, 40b)와, 후면측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30e)에 의해 매달리고, 수조(2)의 하중은, 매다는 기구(40a, 40b)와 매다는 기구(30e)에 걸리는 것인데, 수조(2)의 수조 플랜지(3a, 3b)를 매다는 기구(40a, 40b)의 매다는 봉(41a, 41b)(수조(2)의 하중을 받고 있다)이 관통하고, 수조(2)의 수조 플랜지(3c, 3d)를 지지 기구(90c, 90d)의 지지봉(91c, 91d)(수조(2)의 하중을 받지 않는다)이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수조(2)의 진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은, 매다는 와이어(31e)가 실질적으로 Y자형상으로 분기된 것이고, 분기된 양 선단이 수조(2)의 수조 플랜지(3c, 3d)에 접속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다는 와이어(31e)가 분기되지 않고, 수조(2)의 1개소에 접속되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 4개 나사봉식]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세탁기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서,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한, 도 8의 (a)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8의 (b)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9는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세탁기(400)는, 세탁기(100)(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매다는 기구(30)를 매다는 기구(60)로 변경하고, 지지 기구(90)를 철거한 것이다.
(매다는 기구)
도 9에서, 매다는 기구(60)는, 수조(2)에 형성되어 있는 수조 플랜지(3a, 3b, 3c, 3d)에, 하단부가 설치된 매다는 나사봉(61a, 61b, 61c, 61d)(이하 통합하여 「매다는 나사봉(61)」이라고 칭한다)을 매다는 부재로 하고, 매다는 나사 봉(61)을 각각 승강시키는 나사봉 승강 수단(62)(정확하게는, 나사봉 승강 수단(62a, 62b, 62c, 62d))을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나사봉 승강 수단(62)은, 본체(1)에 형성된 고정 암(63)과, 고정 암(63)에 고정된 승강 모터(64)와, 승강 모터(64)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 나사(65)와, 매다는 나사봉(61)에 설치되고, 구동 나사(65)에 맞물리는 종동 나사(6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승강 모터(64)를 소정의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만큼 회전하면, 종동 나사(66)는 구동 나사(65)를 통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에 의해 매다는 나사봉(61)은 소정의 거리만큼 승강한다. 이 때, 종동 나사(66)는 매다는 나사봉(6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할 때, 매다는 나사봉(61)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종동 나사(66)를 매다는 나사봉(61)의 축방향으로 구속시키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승강에 즈음하여, 매다는 나사봉(61)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다는 기구(60)를 「나사 기구」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의 회전을 매다는 부재의 병진 운동으로 변경한 기구라면, 예를 들면, 래크/피니언 기구 등이라도 좋다. 또한, 본체(1)에 형성된 고정 암(63)에 매다는 나사봉(61)의 선단부를 설치하고, 수조(2)에 형성된 수조 플랜지(3)에 승강 모터(64)를 고정하고, 구동 나사(65)와 종동 나사(66)가 맞물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은, 매다는 기구(30)(4개 매다는 와이어식)를 매다는 기구(60)(4개 나사 봉식)로 변경한 것이지만, 이에 준하여, 매다는 기구(40)(2개 매다는 와이어식, 실시의 형태 2)나 매다는 기구(50)(1개 매다는 와이어식, 실시의 형태 3)도 또한, 매다는 나사봉과 나사봉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끝이 가는 수조)
도 8에서, 세탁기(400)는, 원통상의 수조(2)에 대체하여 하방이 끝이 가늘게 된 수조(2c)가 설치되어 있다. 즉, 수조(2c)는 통형상부(2a)와, 통형상부(2a)에 연결된 원추부(2b)로 형성되어 있다(수조(2c)의 하부가 이른바 「D 컷트」되어 있는 것과 같다). 그리고, 원추부(2b)의 측면에 수조 플랜지(3a, 3b, 3c, 3d)가 형성되고, 각각에, 매다는 나사봉(61a, 61b, 61c, 61d)의 하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a)에서, 수조(2c)가 직립한 때, 통형상부(2a)의 측면이 본체(1)의 배면과 평행하게 되고, 도 8의 (b)에서, 수조(2c)가 경사한 때, 원추부(2b)의 측면이 본체(1)의 배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즉, 수조(2c)의 저면 외주가, 본체(1)의 측면에 맞닿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체(1)의 속길이(도 8에서 좌우 방향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효과(원추부(2b)를 구비함에 의한 속길이 저감)는, 수조(2c)의 경동 중심을 본체(1)의 배면 근처(도 8에서 오른쪽 방향) 또는 천정면 가까이(도 8에서 윗방향)로 할수록, 현저해지는데,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수조(2c)의 내용적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원추부(2b)의 크기는, 본체(1)의 크기나, 세탁조(5)의 크기 등으로부터 결정되게 된다.
또한, 끝이 가는 수조(2c)는, 세탁기(100 내지 (300)(실시의 형태 1 내지 3)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5 ; 1개 되돌림 와이어식]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세탁기에서의 세탁조의 경동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세탁 공정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0에서, 세탁기(500)는, 세탁기(300)(실시의 형태 3 참조)의 매다는 기구(30e)에서의 와이어(31e)를 분기되지 않은 매다는 와이어(31f)로 변경하여, 수조(2)의 측면에 접속함과 함께, 후면측에 되돌림 기구(70)를 설치한 점에서, 세탁기(300)(실시의 형태 3)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은 세탁기(300)와 같다. 이하, 상위점에 관해 설명한다.
(매다는 기구)
도 10에서, 매다는 기구(30f)는, 수조(2)의 외면에 형성된 수조 플랜지(3f)에 하단부가 접속된 매다는 와이어(31f)와, 매다는 와이어(31f)의 상단부에 접속된 매다는 와이어(31f)를 감아올리는/되감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f)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f)은, 매다는 와이어(31f)의 상단부가 설치되고, 매다는 와이어(31f)가 권회하는 감아 올림 드럼(38f)과, 감아 올림 드럼(38f)을 회전 구동하는 감아 올림 모터(39f)와, 감아 올림 모터(39f)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되돌림 기구)
도 10에서, 되돌림 기구(70)는, 본체(2)의 후면측에 형성된 수조 플랜지(3g)에 한쪽의 단부가 접속된 되돌림 와이어(71)와, 되돌림 와이어(71)의 감아올리는/되감기 방향을 변경하는 되돌림 시브(74)와, 되돌림 와이어(71)에 소정의 장력을 부여한 텐셔너(73)를 구비하고, 되돌림 와이어(71)의 다른쪽의 단부는 매다는 기구(30f)의 감아 올림 드럼(38f)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상은,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f)이 본체(1)의 천정면 근처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다는 와이어(31f)의 방향을 변경하는 매다는 시브를 설치하고,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f)을 본체(1)의 지면(地面) 근처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때, 되돌림 시브(74)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되돌림 와이어(71)만을 감아올리는 또는 되감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을, 매다는 기구(30f)와는 별개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때, 되돌림 와이어(71)의 삭체 감아 올림 수단을 본체의 지면 근처에 배치하고, 되돌림 시브(74)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좋다.
(경동에 관해)
세탁기(500)에서의 수조(2)의 경동은, 세탁기(300)(실시의 형태 3 참조)의 수조(2)의 경동에 준한다. 단, 세탁기(500)에서는, 매다는 와이어(31f)가 감겨올려진 양과 같은 양만큼, 되돌림 와이어(71)가 되감기고, 마찬가지로, 되돌림 와이어(71)가 감겨올려진 양과 같은 양만큼, 매다는 와이어(31f)가 되감긴다.
따라서 수조(2)를 앞면을 향하여 경동하는 도중에, 수조(2)의 중심(重心)이 앞면측으로 이동하고, 수조(2)가 자중에 의해 경동 자유롭게 되는 경우라도, 이러한 제멋대로인 경동이 방지되고, 되돌림 와이어(71)의 되감기 속도에 의해 경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조(2)의 중심이 앞면측에 있고(예를 들면, 수조(2)의 경동 지점(支 點)이 본체(1)의 중앙 또는 배면이 근처에 있는 경우 등), 수조(2)가 자중에 의해 앞면측으로 경사하여 있는 경우라도, 되돌림 와이어(71)를 감아 올림에 의해 수조(2)를 직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동 지점의 위치 선정의 자유도가 확대한다.
또한, 되돌림 와이어(71)에 대해 텐셔너(7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대체하여 또는 이에 추가하여, 매다는 와이어(31f)에 대해 텐셔너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되돌림 와이어(71)와 매다는 와이어(31f)가 수조(2)의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한쪽이 감아올리는 양과 다른쪽의 되감는 양이 같아지기 때문에, 텐셔너(73)의 설치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수조(2)의 경동 기구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의 형태 1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조(2)의 매다는 지지 부분에 시향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도 11(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2)의 하방측 또는 측면측에 배치된 경동 모터(121)의 회전축에 피니언(122)을 고정하고, 이 피니언(122)과 승강 자유로운 래크(123)가 맞물리도록 한 수조(2)의 경동 기구라도 좋다.
[실시의 형태 6 ; 완충재 당접식(當接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2에서, 세탁기(600)는, 세탁기(400)(실시의 형태 4 참조)의 본체(1)의 앞면 내측에 완충재(19)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완충재(19)는, 수조(2)가 충돌한 때의 완충재가 됨과 함께, 경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본체(1)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수조(2)의 경동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지 기 때문에, 경사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의 앞면의 내측에 보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보강판에 완충재(19)를 설치하면, 세탁 공정에서 수조(2)가 흔들려서 본체(1)에 충돌하였다고 하여도, 완충재(19)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고, 또한, 본체(1)는 보강판에 의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가 변형하거나 손상을 받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상은, 본체(1)의 앞면(도 12에서 좌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의 후면(도 12에서 우측)에 설치하여, 수조(2c)의 원추부(2b)가 맞닿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1)의 내측에 대체하여 또는 본체(1)의 내측에 추가하여, 수조(2c)의 외측에 완충재(19)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세탁기(100, 200, 300, 500)(실시의 형태 1, 2, 3, 5 참조), 도 11의 세탁기에 완충재(19)를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7 ; 속덮개 밀폐식]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a)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b)는 건조 공정의 직전에 있어서의 측면도, (c)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3에서, 세탁기(700)는, 톱 커버(10)의 내측에 설치된 패킹 받이(20)와, 수조(2)의 상연에 설치된 탄성 고리형상재(예를 들면, 러버 등)로 이루어지는 속덮개 윗링(21)을 구비하는 점에서 세탁기(200)(실시의 형태 2 참조)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은 세탁기(200)와 같다. 또한, 매다는 와이어(51) 및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의 도시를 간소하게 하고 있다.
도 13의 (a)에서, 수조(2)는 직립하고 있다. 이 때, 패킹 받이(20)와 속덮개 윗링(21)와는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수조(2)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도 13의 (b)에서, 수조(2)는 앞면측으로 경사하고, 패킹 받이(20)의 후면 근처의 외주연부「A」가, 속덮개 윗링(21)의 후면 근처의 외주연부「C」에 맞닿아 있지만, 패킹 받이(20)의 앞면 근처의 외주연부「B」와, 속덮개 윗링(21)의 앞면 근처의 외주연부「C」는 떨어져 있다. 따라서 측면으로 보아 쐐기 모양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c)에서, 수조(2)는 더욱 앞면측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속덮개 윗링(21)의 후면 근처의 외주연부「B」가 패킹 받이(20)의 후면 근처의 외주연부「A」를 밀어올리고, 이로 인해, 패킹 받이(20)는 시소상태로 경동하여, 앞면 근처의 외주연부「B」가 압하된다. 따라서, 속덮개 윗링(21)의 전둘레가 패킹 받이(20)에 맞닿고, 수조(2)는 밀폐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건조 공정을 실행하면, 수조(2) 내를 순환하는 공기가 수조(2)로부터 누출하는 일이 없다. 즉, 건조 공정중에 세탁기(700)의 주위에 수증기나 물방울(水滴)이 부착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이상은, 패킹 받이(20)의 하면과 속덮개 윗링(21)의 윗면이 평면인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의 한쪽 또는 양쪽을 단면 원호면(원통의 측면의 일부)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수조(2)의 경동 도중에서의 속덮개 윗링(21)의 한쪽 닿음의 정도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은, 세탁기(200)에 패킹 받이(20)와 속덮개 윗링(21)을 설치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탁기(100, 300 내지 600)(실시의 형태 1, 3 내지 6)에, 패킹 받이(20)와 속덮개 윗링(21)을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8 ; 바깥덮개 밀폐식]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a)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b)는 건조 공정의 직전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4에서, 세탁기(800)는, 세탁기(100)의 매다는 기구(30)(4개 매다는 와이어식, 실시의 형태 1 참조)를 전부, 세탁기(200)의 매다는 기구(50)(2개 매다는 와이어식, 실시의 형태 2 참조)로 변경하고, 또한, 수조(2)의 상연에 설치된 탄성 고리형상재(예를 들면, 러버 등)로 이루어지는 본체 윗링(22)을 구비함과 함께, 지지 기구(90) 및 속덮개(8)를 철거한 것이다(이른바 「속덮개 없음」에 상당한다).
즉, 본체(1)의 내부 네모퉁이에, 매다는 기구(50a, 50b, 51c, 50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매다는 기구(50)를 구성하는 매다는 와이어(51) 및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의 도시를 간소하게 하고 있다.
도 14의 (a)에서, 예를 들면, 세탁 공정으로서, 수조(2)는 경사하고 있다. 이 때, 수조(2)의 하중은, 앞면측의 매다는 봉(55a, 55b)을 통하여 이것을 탈락 불능으로 지지하는 안내 암(56a, 56b)에, 후면측이 매다는 봉(55c, 55d) 및 매다는 와이어(51c, 51d)를 통하여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c, 52d)에, 각각 유입(流入)되 고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바깥덮개(9)와 본체 윗링(22)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수조(2)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도 14의 (b)에서, 모든 매다는 와이어(51)가 감아올려지고, 수조(2)는 경사한 채로 상승하고 있다. 즉, 수조(2)의 하중은, 모든 매다는 봉(55) 및 매다는 와이어(51)를 통하여 삭체 감아 올림 수단(52)에 유입되고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바깥덮개(9)에 본체 윗링(22)의 전둘레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수조(2)는 밀폐 구조가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건조 공정을 실행하면, 수조(2) 내를 순환한 공기가 수조(2)로부터 누출하는 일이 없다. 즉, 건조 공정중에 세탁기(800)의 주위에 수증기나 물방울이 부착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바깥덮개(9)의 하면과 본체 윗링(22)의 윗면이 평면인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 윗링(22)의 전둘레가 바깥덮개(9)에 맞닿는 한정에 있어서,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체 윗링(22)의 윗면에 압축 자유로운 탄성 실 수단을 설치하면, 상기 밀폐가 보다 확실해짐과 함께, 바깥덮개(9)의 하면과 본체 윗링(22)의 윗면과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경우라도, 상기 밀폐가 가능해진다.
또한, 세탁기(800)의 매다는 부재나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의 형식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속덮개(8)를 철거를 철거한 세탁기(400)(실시의 형태 4 참조)에서도, 같은 조작에 의해 수조(2c)를 밀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 경동 표시 식]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부분 외관도이 다. 이하의 설명하는, 세탁기(900a, 900b, 900c, 900d)(이하, 세탁기(900)라고 총칭한다)는, 각각 표시부(80a, 80b, 80c, 80d)(이하, 표시부(80)라고 총칭한다)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기(900)는, 세탁기(100 내지 800)(실시의 형태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표시부(80)의 어느 하나가 마련된 것과 같다.
(표시부 1)
도 15의 (a)에 있어서, 세탁기(900a)의 외면(천정면 또는 측면)에, 세탁기(900a)의 운전 상황을 알리는 표시부(80a)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80a)는, 주전원 스위치가 투입(0N)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주전원 표시부(81)와, 세탁기(900a)의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운전 코스 표시부(82)(세탁 공정인 것을 나타내는 세탁하는 표시부(82a), 헹굼 공정인 것을 나타내는 헹굼 표시부(82b), 탈지 공정인 것을 나타내는 탈수 표시부(82c), 건조 공정인 것을 나타내는 건조 표시부(82d)로 구성되어 있다)와, 운전이 시작되어 있는 것 또는 일시정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스타트 표시부(8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정된 운전 코스의 전부가 종료하는 시각을 표시하는 종료 시각 표시부(84a)와, 수조(2)가 경동하고 있는 것을 알리는 무빙 표시부(85a)(예를 들면, LED)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는, 운전 코스중의 어느 공정을 실행하고 있고, 모든 공정이 몇시 종료할 것인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2)가 경동중인 것인지 또는 경동을 정지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경동중의 모터 소리가 들려도, 그 이 유를 알기 때문에, 불안하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무빙 표시부(85a)(예를 들면, LED)는 점등하는 것이라도 점멸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표시부(80a)를 공통의 화면(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은, 표시부(80a)가 표시에 특화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운전 코스 표시부(82)나 스타트 표시부(83)를 표시 기능과 함께, 유저가 운전 코스나 ON/0FF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표시부(80a)의 전체 또는 일부를 터치 패널로 하여도 좋다.
(표시부 2)
도 15의 (b)에서, 세탁기(900b)는 표시부(80b)를 구비하고, 표시부(80b)는, 표시부(80a)의 무빙 표시부(85a)에 대체하여, 수조(2)가 경동하고 있는 동안, 표시 패널(84b) 내에 「조(槽) 경사 변경중(도면중, 검은 사각으로 나타낸다)」이라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부(85b)를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탁기(900a)와 마찬가지로, 유저는 수조(2)가 경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시부 3)
도 15의 (c)에서, 세탁기(900c)는 표시부(80c)를 구비하고, 표시부(80c)는, 표시부(80a)의 무빙 표시부(85a)에 대체하여 조 경사 표시부(85c)를 마련한 것이다. 조 경사 표시부(85c)는, 수조(2)가 직립하고 있는 때는 「수직 표시점(예를 들면, LED)(86c)」이 점등하고, 수조(2)가 중간의 경사각도에 있는 때는 「중표시점(87c)」이 점등하고, 수조(2)가 최대의 경사각도에 있는 때는 「대표시점(88c)」 이 점등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저는 수조(2)가 어떤 자세에 있는 것인지 알 수 있다.
또한, 수조(2)가 직립에 가까운 범위에서 경동하고 있는 동안은 「수직 표시점(86c)」이 점멸하고, 수조(2)가 중간의 경사각도에 가까운 범위에서 경동하고 있는 동안은 「중표시점(87c)」이 점멸하고, 수조(2)가 최대의 경사각도에 가까운 범위에서 경동하고 있는 동안은 「대표시점(88c)」이 점멸하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부 4)
도 15의 (d)에서, 세탁기(900d)는 표시부(80d)를 구비하고, 표시부(80d)는, 표시부(80c)의 조 경사 표시부(85c)(3개의 원형의 표시로 이루어진다)에 대체하여, 3개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조 경사 표시부(85d)를 마련한 것이다. 조 경사 표시부(85d)는, 본체(1)의 앞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표시선(예를 들면, LED)(86d)」과, 이에 대해 중간의 각도로 배치된 「중표시점(87d)」과, 수직선 표시에 대해 최대의 각도로서 배치된 「대표시점(88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표시하는 요령은, 조 경사 표시부(85c)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조 경사 표시부(85d)를 구성하는 직선의 수량을 늘려도 좋다. 또한, 직선을 표시한 개별적의 LED에 대체하여, 액정 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액정 패널에 경사의 정도에 따라 경사각이 변동하는 직선을 표시하거나, 경사의 정도에 따라 정각(頂角)이 변동하는 부채를 표시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부(80d)에 조작 기능을 부여하거나, 표시부(80d) 전체를 공통의 화면(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으로 할 수도 있는 점은, 표시부(80a)에 같다(표시부(80b) 및 표시부(80c)도 마찬가 지).
[실시의 형태 10 ; 앞 매달음 단척식(短尺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하는,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a)는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 (b)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15에서, 세탁기(400b)는, 세탁기(400)(4개 나사봉식, 실시의 형태 4 참조)에서 매다는 기구(60)중, 본체(1)의 앞면측에 형성되는 수조 플랜지(3a, 3b)의 위치를 후면측에 형성된 수조 플랜지(3c, 3d)의 위치보다도 낮게 하고, 앞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a, 61b)의 길이를 후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c, 61d)의 길이보다도 짧게 한 것이다. 또한, 각 부재의 부호는 세탁기(400)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도 16의 (a)에서, 앞면측의 매다는 나사봉(61a, 61b)이 끌어올려져 있고, 수조(2)는 직립하고 있다. 이 때,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는, 의류의 취출 작업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앞면측에 크게 경사하여 있는(도면중, 「θ2」로 나타낸다) 것인데, 앞면측의 매다는 나사봉(61a, 61b)은 짧기 때문에, 그 상단이,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에 맞닿는 일이 없다.
도 16의 (b)에서, 앞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a, 61b)이 끌어내려지고, 후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c, 61)이 끌어올려져서, 수조(2)는 경사하고 있다. 이 때, 앞면측의 매다는 나사봉(61a, 61b)의 상단은, 낮은 위치까지 내려가 있기 때문에,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가 앞면측에 크게 경사하여 있는(도면중, 「θ2」로 나타낸다) 효과와 어우러져, 의류의 취출 작업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0에 관한 세탁기의 효과를 포착적(抱捉的)으로 설명하는, 세탁기의 본체의 면을 투시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a)는 탈수 공정에서의 측면도, (b) 및 (c)는 세탁 공정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6의 (a), (b)에 도시하는 세탁기(400c), 및 도 17의 (c)에 도시하는 세탁기(400d)는, 어느 것이나 세탁기(400d)(도 15 참조)에 비교하여, 본체(1)의 앞면측보다 높은 위치에 수조 플랜지(3a, 3b)가 형성되고, 앞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a, 61b)의 길이가 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 17의 (a)에서는, 매다는 나사봉(61)은 본체(1) 및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에 간섭하는 일 없이, 앞면측에서는 끌어내려지고, 후면측에서는 끌어올려져 있기 때문에, 수조(2)는 경사하고 있다.
도 17의 (b)에서는, 매다는 나사봉(61)은, 앞면측에서는 끌어올려지고, 후면측에서는 끌어내려지고, 수조(2)는 직립하고 있다. 이 때, 앞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a, 61b)의 상단은 상승하여,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에 맞닿는다. 즉, 세탁기(400c)에서는, 톱 커버(10)의 경사를 크게(도면중, 「θ2」로 나타낸다) 하려고 하면, 상기 맞닿음을 회피하기 위해, 톱 커버(10)의 상기 부분을 상방으로 솟아 올린 부분돌출부(10a, 10b)가 필요하게 된다.
도 17의 (c)에서, 세탁기(400d)는, 세탁기(400c)에서의 부분돌출부(10a, 10b)의 설치를 회피하여,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의 윗면을 부분적인 요철이 없는 스무스한 곡면으로 한 것이다. 이 때, 앞면측이 매다는 나사봉(61a, 61b)의 상단과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와의 맞닿음은 없어지는 것이지만, 톱 커 버(10)(또는 바깥덮개(9))의 앞면측으로의 경사각도가 작게(도면중, 「θ1」로 나타낸다) 되기 때문에, 그 만큼 의류의 취출 작업이 저해되게 된다.
그러면, 세탁기(400b)(도 15 참조)는, 앞면측으로 크게 경사하고, 게다가, 부분적인 요철이 없는 스무스한 곡면이 되는 톱 커버(10)(또는 바깥덮개(9))를 가지며, 의류의 취출 작용을 용이하게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 내지 10에서 경동 제어]
여기서, 실시의 형태 1 내지 10에서의 경동 제어에 관해, 세탁기(100)(실시의 형태 1)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세탁기(100)에서의 수조(2)를 경동하는 제어 수단, 제어 방법, 경사 효과 등은 세탁기(200 내지 900)에 공통되는 것이다.
(제어 수단)
도 18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서의 제어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서, 제어 수단(110)은, CPU(130)와, 입력 인터페이스(120)와, 출력 인터페이스(140)와, 메모리(150)와, 클록 제어부(160)(타이머(170)에 접속되어 있다)를 갖고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에는 이를 통하여 CPU(130)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운전 코스 설정 스위치, 전원 스위치나 조작 스위치 등(도면중, 「‥‥SW]로 나타낸다)이나 경사각도 검출기가 접속되어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40)에는 이를 통하여 CPU(130)로부터의 소정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건조용 팬(15), 세탁조(5) 또는 펄세이터(4)를 회전하는 수조 모터(11), 삭체 감아 올림 수단(32)을 구성하는 감아 올림 모터(39) 등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 SW라 함은, 예를 들면, 바깥덮개(9)의 개폐를 로크하는 덮개 로크기구나, 수조(2)의 경동을 로크하는 경동 로크기구 등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스위치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메모리(150)에는, 운전 코스의 각각의 공정에 대응하여 제어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CPU(130)는, 후기하는 경사각도의 결정이나, 상기 결정한 경사각도로 경동시키는 제어 지령을, 운전 코스의 각 공정에 따라 발하고 있다.
(제어 방법)
도 19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서의 제어 수단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19는 개략 플로우 차트, 도 20은 세탁조를 기울여서 세탁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의 타임 차트, 도 21은 세탁조를 직립시켜서 세탁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의 타임 차트이다. 이하, 우선, 플로우의 개략을 도 19에 관해 설명하고, 계속해서, 플로우의 상세를 도 20 및 도 21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에서, 세탁기(100)는 전기한 바와 같이,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과, (이하,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을 통합하여 「세탁 공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와, 탈수 공정과, 건조 공정을 실행 가능한 것이고, 유저가 적절히 「운전 코스」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 코스를 실행하기 전에 「초기 공정」과, 운전 코스를 실행한 후에 「종기 공정」이 있다.
(i) 초기 공정에서, 운전 코스가 설정되면, 세탁조(5)를 경사한다.
(ⅱ) 설정된 운전 코스에 세탁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투입된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세탁조(5)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세탁하는 「직립 세탁」이 실행되고, 투입된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세탁조(5)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세탁하는 「경사 세탁」이 실행된다.
(ⅲ) 설정된 운전 코스에 헹굼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투입된 의류의 양에 관계없이, 세탁조(5)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세탁하는 「직립 헹굼」이 실행된다.
(ⅳ) 설정된 운전 코스에 탈수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투입된 의류의 양에 관계없이, 세탁조(5)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탈수하는 「직립 탈수」가 실행된다.
(v) 설정된 운전 코스에 건조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투입된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세탁조(5)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건조하는 「직립 건조」가 실행되고, 투입된 의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세탁조(5)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건조하는 「경사 건조」가 실행된다.
(ⅵ) 그리고, 종기 공정에서, 세탁조(5)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의류를 취출하는 「직립 취출」이 지정되어 있을 때는, 세탁조(5)는 직립하고, 「직립 취출」이 지정되지 않은 때는, 세탁조(5)를 경사한다.
(ⅶ) 그래서, 전원 조작 스위치가 꺼지면(0FF가 되면), 세탁조(5)를 직립 상태로 하여, 일련의 작업이 종료된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하는 타임 차트에 의거하여 「경사 세탁」의 제어의 플로우를 설명한다.
(S1 : 의류의 투입)
세탁기(100)의 전원의 투입(ON)을 기다리고, 세탁조(5)는, 예를 들면, 경사각도 20°로 경동하고, 경동 종료 후에, 속덮개(8) 및 바깥덮개(9)의 덮개 로크가 개방된다. 그러면, 속덮개(8) 및 바깥덮개(9)는 개폐 자유롭기 때문에, 유저는 적절히, 바깥덮개(9)를 열고(속덮개(8)도 연동하여 열린다), 의류를 세탁조(5)에 투입할 수 있다. 이 때, 세탁조(5)는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한 바와 같이, 의류의 투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100)의 세탁조(5)가 경사한 상태에서 전원이 꺼저 있는(0FF) 경우에는, 이 때, 세탁조(5)의 경동은 기계적으로 로크되고, 속덮개(8) 및 바깥덮개(9)는 개폐 자유롭기 때문에, 유저는 적절히, 바깥덮개(9)를 열고(속덮개(8)도 연동하여 열린다), 의류를 세탁조(5)에 투입할 수 있다. 이 때, 세탁조(5)는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한 바와 같이, 의류의 투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S2 : 운전 시작)
유저는, 운전 코스를 설정하고, 조작 스위치를 키고(ON),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가 닫히면,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는 개방 불능으로 로크된다. 한편, 바깥덮개 폐쇄신호(또는 속덮개 폐쇄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는, 바깥덮개 폐쇄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리고, 즉, 바깥덮개(9)가 닫혀지는 것을 기다려서,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가 로크된다.
또한, 일단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가 로크된 후는, 전원 스위치 또는 조작 스위치를 끄던지(0FF 한다), 설정된 운전 코스의 전 공정이 종료되지 않는 한, 상기 덮개 로크는 해제되지 않는다.
(S3 : 부하량 검지)
다음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투입되어 있는 의류의 중량을 검지한다. 즉, 수조 모터(11)를 기동하여 펄세이터(4)를 일정량만큼 회전시킨 후, 수조 모터(11)(펄세이터(4))를 정지하고, 정지한 후의 펄세이터(4)의 타성(惰性) 회전량으로 의류의 중량(「부하량」으로 환산 가능한 값)을 검지한다. 이러한 검지는, 세탁조(5)가 경사한 채로 실행되는 것이지만, 세탁조(5)를 경동하여, 직립한 상태에서 실행하여도 좋다.
(S4 : 주수량과 경사각도의 결정)
그리고, 상기 부하량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주수량, 및 세탁 공정에서의 세탁조(5)의 경사각도(축심이 연직 방향과 이루는 각도와 같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직경이 540㎜ 정도, 깊이 540㎜ 정도의 수조(2)일 때, 검지한 의류의 중량이 약 6㎏ 이하인 때는, 예를 들면, 경사각도를 30°로 한다. 그러면, 후기하는 바와 같이 세탁 성능이 향상함과 함께, 의류에 침투하는 충분한 수량(水量)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검지한 의류의 중량이 약 6㎏을 초과한 때는, 경사각도를 0°로 한다. 즉, 세탁조(5)를 경사하지 않고 직립시키고, 의류에 침투하는데 충분한 수량을 확보함과 함께, 세탁중에 세탁조(5) 내의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한다(이하 「직립 세탁 방법」이라고 칭한다).
(S5 : 주수 및 경동)
그리고, 상기 결정에 의거하여, 주수 및 경동을 실행한다. 즉, 감아 올림 모터(39)를 구동하고, 세탁조(5)(수조(2)와 같다)를 경동시킨다. 즉, 제어 수단은 감아 올림 모터(39)에 대해 경동 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경사각도 검출기가, 경사각도 θ가 20°(θ=20°)가 된 것을 검지한 때, 또는, 경사각도 20°의 위치에 설치된 경사각도 검출기(위치 센서에 상당한다)가 작동한 때에, 감아 올림 모터(39)를 정지한다. 즉, 제어 수단은 감아 올림 모터(39)에 대해 경동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주수가 종료된 후(일단 열렸던 급수 밸브가 닫혀진 후)에, 경동을 시작함과 함께, 경동중에 세탁을 시작하고 있지만, 경동에 병행하고 주수하거나, 또는 경동 종료 후에 주수를 시작하여도 좋다.
(S6 : 세탁)
세탁은, 세탁조(5)가 경사각도를 20°로 기울인 상태에서 경동 로크기구가 작동하고, 상기 로크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세탁조(5)를 기울여서 세탁함에 의한 「세정 성능의 향상」에 관해서는 별도 설명한다. 그리고, 세탁 공정의 종료가 근접한 때에, 배수 밸브를 열어, 배수하면서 수조 모터(11)를 감속 정지한다.
(S7 : 경동)
배수가 종료된 때에 경동 로크기구를 개방하고, 세탁조(5)의 경동을 시작하여 직립시킨다. 즉, 감아 올림 모터(39)를 재차 구동하고, 세탁조(5)를 경동시킨다. 즉, 제어 수단은 감아 올림 모터(39)에 대해 직립을 출력한다.
그리고, 경사각도 검출기가, 경사각도(θ)가 0°(θ=0°)가 된 것을 검지한 때, 또는, 경사각도 0°의 위치에 설치된 경사각도 검출기(상한 센서에 상당한다)가 작동한 때에, 감아 올림 모터(39)를 정지하고, 세탁조(5)를 바닥면에 수직(연직과 같다)으로 한다.
또한, 배수가 종료되기보다 전에 경동 로크기구를 개방하고, 세탁조(5)의 경동을 시작하여도 좋다. 가령, 헹굼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운전 코스가 설정된 경우라도, 세탁 공정이 종료되기 전에 직립 상태의 세탁조(5)에서 소정 시간의 세탁을 실행함에 의해, 세탁 공정 종료시의 의류의 치우침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직후의 탈수 공정에서의 회전의 언밸런스를 적게 할 수 있다.
(S8 : 헹굼)
헹굼은, 세탁조(5)가 직립한 상태에서 경동 로크기구를 작동(로크하고) 실행된다. 도 20에서, 급수하면서 수조 모터(11)를 「교반 회전」하고, 소정의 수량이 공급된 후는 급수를 정지하지만 회전은 계속하고, 이윽고, 헹굼 종료의 직전에 수조 모터(11)를 감속 정지함과 함께 배수 밸브를 열어 배수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어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중에 세탁조(5)를 고속 회전한 탈수 공정을 끼우고, 주수 → 헹굼 → 탈수 → 주수 → 헹굼 …를 실행하여도 좋다.
이 때, 세탁조(5)가 직립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조(5)를 고속으로 회전하여도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은 낮게 억제된다. 또한, 「교반 회전」이란, 펄세이터(4)를 크게 반전하여 의류를 바꾸어 놓는 운전을 가리키고, 세탁의 회전보다 느린, 예를 들면, 75rpm 정도로 회전한다.
즉, 세탁 공정의 종료시에 의류가 세탁조(5)의 한쪽에 치우친 경우라도, 세탁조(5)를 직립시켜서 실행한 헹굼에 의해, 의류의 치우침은 해소되기 때문에, 이후의 탈수 공정에서의 진동이나 소음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헹굼 공정을 위해 주수를 시작하기 전에, 배수 밸브를 연 상태에서, 수조 모터(11)를 회전(예를 들면, 800rpm 전후의 회전수로 회전한다)하여 「중간 탈수(세탁조(5)를 회전)」를 실시하여도 좋고, 주수와 헹굼(펄세이터(4)의 선회)과 배수를 동시에 실행하여도 좋다.
(S9 : 탈수)
탈수는, 세탁조(5)가 직립한 상태에서 수조 모터(11)(세탁조(5))를 고속 회전함에 의해 실행된다. 이 때, 세탁조(5)에는 중력 성분의 편하중(회전축에 대해 비스듬히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은 안정된다. 따라서, 가령, 세탁조(5) 내의 의류가 치우쳐 있는 경우라도, 고속 회전시에 심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거나, 세탁조(5)(수조(2))가 본체(1)에 충돌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S10 : 경동)
탈수가 종료된 때에 경동 로크기구를 개방하고, 세탁조(5)의 경동을 시작하여 경사시킨다. 즉, 감아 올림 모터(39)를 재차 구동하고, 예를 들면, 경사각도 검출기가 경사각도(θ)가 30°(θ=30°)가 된 것을 검지한 때에, 또는, 경사각도 30°의 위치에 설치된 경사각도 검출기(상한 센서에 상당한다)가 작동한 때에, 감아 올림 모터(39)를 정지함과 함께, 경동 로크기구를 작동(로크)한다.
(S11 : 건조)
그리고, 히터(17)에 통전(ON)함과 함께, 건조용 팬(15)을 기동(ON)하여, 송풍 덕트(16)를 경유하여 수조(2)에 온풍을 공급한다. 이 때, 세탁조(5)는 경사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의류에 대해 비대칭의 힘이 작용하고, 세탁조(5)가 직립 상태에 있는 때보다도 의류의 교반이 촉진되고, 효율적으로 건조를 행할 수 있고, 또한 건조 얼룩을 적게 할 수 있다. 단, 투입하는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 세탁조(5)를 직립시킨 채 건조하여도 좋다.
또한, 경동 동작에 병행하여 수조 모터(11)와 건조용 팬(15)을 기동하여도 좋다.
또한, 도 20(도 21도 같다)에서 건조 공정중에, 급수 밸브(14)를 열고 있는 것은 세탁조(5)에 약간 급수(의류에 직접 산수(散水))하여 정전기를 예방하거나, 도시하지 않은 변환 밸브에 의해 급수 방향을 변경하여, 의류의 건조에 제공한 후의 온풍이, 순환한 덕트 내로 되돌아 온 때에 덕트 내의 온풍을 향하여 산수하는 것이다. 즉, 의류로부터 증발한 수분(온풍에 포함되어 있다)의 결로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단, 건조 공정에서 상기 급수를 정지하여도 좋다.
(S12 : 경동 및 취출)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에 경동 로크기구를 개방하고, 재차 세탁조(5)를 경동하여, 경사각도를 20°로 하고 있다. 또한, 건조 공정의 종료 직전, 건조에 병행하여, 세탁조(5)의 경동을 시작하여도 좋다.
그리고, 경동이 종료된 시점(경사각도가 20°에 도달한 시점)에서, 경동 로크기구의 작동(로크) 및 수조 모터(11)의 정지를 조건으로, 덮개 로크가 해제된다. 그러면, 유저는, 바깥덮개(9)를 열고(속덮개(8)도 연동하여 열린다), 의류를 세탁조(5)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 때, 세탁조(5)는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세탁조(5)의 속에 손이 닿기 쉽게 됨과 함께, 세탁조(5)의 상부 개구부는 유저의 시선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세탁조(5)의 저부까지 들여다보기 쉽다. 또한, 매다는 와이어(31)를 감아올려서, 경사하여 있는 세탁조(5)를 들어올리면, 의류의 취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S13 : 직립 종료)
유저는, 의류를 세탁조(5)로부터 취출한 때에, 전원 스위치를 끈다(0FF). 그러면, 덮개 로크기구가 작동(ON)하여 바깥덮개(9)(또는 속덮개(8))는 개방 불능이 되고, 경동 로크기구가 일단 개방되어 세탁조(5)(수조(2)와 같다)는 경동하여 직립한다. 그래서, 경동 로크기구가 재차 작동(로크)하여 주전원이 꺼지고(0FF), 일련의 공정은 전부 종료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동 로크기구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조(2)의 경동이 직접 로크되는 것이라도, 전원 0FF에 수반하여 감아 올림 모터(39)의 회전이 로크되는 것이라도 좋다.
(S14 : 경사 종료)
또한, 의류를 세탁조(5)로부터 취출한 때에, 조작 스위치 또는 전원이 꺼진 때(0FF 된 때), 세탁기(100)의 세탁조(5)를 경사한 상태인 채로 하여 종료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사 종료」는, 초기 공정에서 운전 코스를 설정할 때에 지정하여도 좋고, 종기 공정에서 전원 스위치를 끄기 전에, 소정의 경사 종료 지정 스위치를 투입함에 의해 지정하여도 좋다. 즉, 수조(2)는 경동 불능으로 로크되고, 속덮 개(8) 및 바깥덮개(9)는 개폐 자유롭게 되기(덮개 로크를 개방한다) 때문에, 유저는, 세탁기(100)의 조작과는 관계없이 적절하게, 바깥덮개(9)를 열고(속덮개(8)도 연동하여 열린다), 의류를 세탁조(5)에 투입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1에 도시하는 타임 차트에 의거하여 「직립 세탁」의 제어의 플로우를 설명한다. 직립 세탁은,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 대응하여, 세탁조(5)를 직립시켜서,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의류의 투입 및 취출에 즈음해서, 세탁조(5)를 경사하는 것이다. 즉, 취출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세탁시 등의 진동을 보다 적게 하는 것이다.
(S1 내지 S4)
세탁기(100)의 전원을 투입(ON)하고 나서, 주수량과 경사각도를 결정하기까지의 공정은 경사 세탁과 같다.
(S5)
직립 세탁에서는, 주수 후 또는 주수중에 경동하여, 또는 경동 후에 주수하여, 세탁조(5)(수조(2)와 같다)를 직립시킨다. 즉, 제어 수단은 감아 올림 모터(39)에 대해 경동 지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경사각도 검출기가, 경사각도(θ)가 0°로 된 것을 검지한 때, 또는, 경사각도 0°의 위치에 설치된 경사각도 검출기(위치 센서, 또는 수평 센서에 상당한다)가 작동한 때에, 감아 올림 모터(39)를 정지한다. 즉, 제어 수단은 감아 올림 모터(39)에 대해 경동 정지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직립 세탁의 경우에는, 물이 수조(2)로부터 넘치지 않도록, 경동 종료 후에 주수하거나, 주수량이 꽉참에 근접하기 전에 경동이 종료되도록 하거나, 또는, 주 수량이 꽉참에 근접하기 전에 경동 속도(경사각도의 각속도)를 작게 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6 내지 S11)
세탁조(5)가 직립한 상태에서 경동 로크기구가 작동하고, 상기 로크된 상태에서, 세탁 공정(S6), 헹굼 공정(S8), 탈수 공정(S9), 건조 공정(S11)이 실행된다. 이 때, 세탁조(5)는 경동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수조 모터의 회전에 관해서는 경사 세탁과 같다.
(S12 내지 S13)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 세탁조(5)는 재차 경동하고, 경사한다. 그러면, 유저는, 세탁조(5)의 속에 손이 닿기 쉽게 됨과 함께, 세탁조(5)의 저부까지 들여다보기 쉽게 되기 때문에, 의류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매다는 와이어(31)를 감아올려서, 경사하여 있는 세탁조(5)를 들어올리면, 의류의 취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매우 큰 의류나 무거운 의류인 경우 등, 세탁조(5)를 직립시켜서 취출하도록, 유저가 선택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S14 내지 C15)
의류를 세탁조(5)로부터 취출한 후의 공정은, 경사 세탁과 같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직립 세탁의 한 예이고,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건조 공정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 세탁조(5)를 경동시켜도 좋다.
(세탁 성능)
도 22는,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서의 세탁조의 경사각도와 세탁 성능과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설명하는 상관도이다. 종축은, 직립하여 세탁한 경우의 오물 세탁 정도를 100%로 하고, 이에 대한 경사하여 세탁한 경우의 오물 세탁 정도의 비율을 「세정 성능」으로 하고 있다. 즉, 세정 성능의 값이 클수록 「오물이 세탁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직립하여 세탁한 경우가 오물 빠짐 정도의 편차를 100%로 하고, 이에 대한 경사하여 세탁한 경우의 오물 빠짐 정도의 편차의 비율을 「세탁 얼룩」으로 하고 있다. 즉, 세탁 얼룩의 값이 작을수록 「오물이 균일하게 세탁되는」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서, 경사각도가 15° 내지 20°에서, 세정 성능 및 세탁 얼룩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곡선은, 세탁조에 투입된 의류의 양(부하량과 같다) 및 세탁조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의해서도 변동하는 것이다.
(경동 효과)
도 23은, 도 1에 도시하는 세탁기(100)에서의 세탁조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3에서, 정지시, 세탁수의 표면(수면)은, 수평으로 채워지는 것이지만, 세탁조(5)가 기울어졌기 때문에 세탁조(5)의 회전축에 대해서는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체(1)를 본체(1)의 앞면측을 향하여 경사각도(θ)로 경사한 상태에서 세탁조(5)를 회전시킨 때, 세탁조(5)의 내주면에서의 질량[m]의 질점(質點)에는, 수직 방향으로 중력[m·g(g는 중력 가속도)]과, 세탁조(5)의 반경 방향으로 원심력[F]이 각각 작용한다. 이 때, 중력[m.g]은, 앞면측의 위치에서는, 내주면을 가압한 방향의 힘(도면중, [+m·g-sinθ]로 나타낸다), 후면측의 위치에서는,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도면중, [-m·g·sinθ]로 나타낸다)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앞면측에서는 회전면(수면) 하강 방향 성분이, 후면측에서는 회전면(수면) 상승 방향 성분이 된다.
따라서 직립하여 세탁조(5)를 회전한 경우에는, 수면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대칭면을 형성함에 대해, 경사하여 세탁조(5)를 회전한 경우에는, 수면은 회전축에 대해 비대칭인 면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세탁조(5) 내의 세탁수 및 의류에 작용하는 힘은 회전축에 대해 비대칭이 되고, 세탁조(5)가 직립 상태에 있는 때에 비하여, 수류(水流) 및 의류의 움직임은 복잡한 것으로 되고, 세정력이 증가하고, 세탁 얼룩도 적어진다(도 22 참조).
(경사각도의 결정)
이상에서, 세탁 공정에서의 경사각도를 30°, 의류의 투입시나 취출시 및 건조 공정에서의 경사각도를 20°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세탁 공정에서, 10° 내지 45°의 범위 내에서 의류의 양(부하량에 상당한다)에 따라 소정의 경사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투입시나 취출시 및 건조 공정에서, 0° 내지 (3)0°의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 성능을 최대로 하는 경사각도는, 세탁조의 형상이나 크기, 또한, 투입되는 의류의 양에 의해서도 변동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동 요인을 고려한 경사각도(세탁 공정)의 결정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도(취출 공정)는, 유저의 신장이나 본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저 각 사람이, 각각 사용감이 좋은 경사각도(취출 공정)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 세탁조(5)가 직립한 상태에서, 의류를 투입 또는 취출하고 싶다는 요청에 응하기 위해, 톱 커버(10)에 형성된 개구부, 즉, 바깥덮개(9)는, 세탁조(5)가 직립한 때에 의류의 취출이 가능한 크기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수평면에 투영한 때, 직립한 때의 세탁조(5)의 상부 개구부(속덮개(8)에 상당한다)가 바깥덮개(9)에 포함되도록(덮히도록) 한다. 즉, 바깥덮개(9)는 후면을 향하여 긴 것으로 된다.
또한, 경동의 전후의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어느 공정도 동일한 경사각도로 실행하도록 한 경우, 예를 들면, 의류를 투입한 후 세탁 공정으로 이행할 때의 경동이나, 건조 공정부터 의류가 취출로 이행할 때의 경동은, 당연히 없어진다. 즉, 경동(경사각도의 변경)에 필요로 한 시간이 불필요해지는 만큼, 일련의 운전 코스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경동 기구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세탁 공정 또는 건조 공정에서의 경사각도는 하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10° 내지 45° 또는 0° 내지 30°의 범위 내에서 하나 또는 2 이상의 경사각도를 선택하여 단계적(스텝적)으로 변동하여도 좋고, 상기 범위 내에서 경사각도를 연속적으로 변동, 즉, 최소 경사각도(직립을 포함한다) 내지 최대 경사각도 경사의 사이를, 1회 또는 2회 이상 왕복(본 발명에서 「경동」라고 칭한다)하여도 좋 다.
이 때, 세탁에서는 더한층의 복잡한 수류의 발생과 의류의 교반이 이루어지고, 세정 성능이 향상하고, 건조에서는 더한층의 의류의 교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류 뭉치의 내부에도 온풍을 포함하게 할 수 있어서, 건조 스피드가 향상한다.
(직립 세탁 방법)
이미 설명하고 있지만, 직립 세탁 방법에 관해 이하에 정리한다(도 16 참조). 직립 세탁 방법은, 투입된 의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 세탁수가 넘치거나, 세탁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세탁조(5)가 직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에 공급 가능하다(세탁중에 넘치지 않는다) 세탁수의 양은, 세탁조(5)가 경사하여 있는 경우보다도 많아진다. 따라서 직립 세탁 방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탁조(5)(본체(1)와 같다)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다량의 의류를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직립한 세탁조(5)에서 건조되고 있는데, 세탁조(5)를 기울여서 건조하여도 좋다. 이 때, 전술한 건조 촉진 효과가 이루어진다.
[실시의 형태 11 ; 소음 대책]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세탁기의 수조가 직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내부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세탁기의 수조가 경사한 상태를 도시하는 내부 측면도이다. 이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의 각 공정이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을 통합하여 「세탁 공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 이들 도 24, 도 25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1에 관한 세탁기를 설명한다.
(본체)
본체(1001)는 단면 직사각형의 통형상(개략 직육면체와 같다)이고, 천정면에는 톱 커버(1010)가 설치되어 있다. 톱 커버(1010)에는 천정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것이 세탁물의 출입에 제공하는 투입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에는 투명한 바깥덮개(1009)가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수조)
본체(1001) 내에는 수조(1002)가 수납되어 있다. 수조(1002)는 천정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폐색된 통형상이고, 경동대(1020)에 고정되어 있다. 수조(1002)의 상단면에는 내측이 개구부가 된 수조 커버(100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 커버(1007)에는, 수조 커버(1007)의 개구부를 폐색 또는 개방한 속덮개(1008)가 경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바깥덮개(1009)의 하방에 속덮개(1008)가 배치되어 있다.
바깥덮개(1009)의 개폐 동작은, 속덮개(1008)에 전달되고, 바깥덮개(1009)를 열면 속덮개(1008)도 열리고, 바깥덮개(1009)를 닫으면 속덮개(1008)도 닫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깥덮개(1009)(또는 속덮개(1008))를 개방 불능으로 로크하는 덮개 로크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 로크기구는, 진퇴하는 전자 핀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바깥덮개(1009)(또는 속덮개(1008))가 전동식의 덮개 개폐 구동 기구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 개폐 구동 기구가 전기적으로 구동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수조 지지 수단)
수조 지지 수단은, 본체(1001) 내에 마련되어 있고, 수조(1002)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수조 지지 수단은, 본체(1001)의 상부 네모퉁이에 일단이 고정된 4개의 매다는 봉(1003)과, 그 매다는 봉(1003)의 하단부에 고정된 수평대(1019)와, 매다는 봉(1003)에 경동 가능하게 부착된 경동대(1020)를 구비한다. 수평대(1019)는 그 앞면 근처에, 경동대(1020)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경동 지점(1020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경동대(1020)의 회전을, 세탁 탈수조(1005)의 회전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경동」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경동 구동원)
수조(1002)를 도 25와 같이 경사시키는 수조(1002)의 경동 동작은 각종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니언 및 래크를 이용하여, 경동 지점(1020a)을 중심으로 경동대(1020)를 회전시켜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조(1002)를 지지하고 있는 후측의 매다는 봉(100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조(1002)를 경사시킬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그 동력원으로서, 경동용 모터(1021)(도 24, 도 25에는 비(非)표시, 도 26에 표시 있음)가 설치되어 있다.
(세탁 탈수조)
세탁 탈수조(1005)는, 투입된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에 제공하는 것이고, 수조(1002) 내에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1002)가 경동대(1020)에 고정되고, 경동대(1020)와 함께 경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탁 탈수조(1005)도 수조(1002)와 함께 경동한다. 세탁 탈수조(1005)는, 천정면이 개방되 고, 저면이 폐색된 통형상이고, 측면에는 탈수를 위한 복수의 통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탁탈수조(1005)의 천정면 개구부의 주위에는 밸런서(1006)가 설치되어 있다. 밸런서(1006)의 내주로 둘러싸인 범위가, 개구부로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취출하거나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세탁 탈수조(1005)를 내장하는 수조(1002)에는 수조 커버(100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런서(1006)의 상단면은 수조 커버(1007)에 의해 덮어 가려져 있다.
(펄세이터)
세탁 탈수조(1005)의 저부에는, 투입된 세탁물 및 주수된 물(이하 「세탁수」라고 칭한다)을 교반하기 위한 펄세이터(1004)가, 회전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펄세이터(1004)에는 교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날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세탁 탈수조(1005)의 회전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펄세이터(1004)의 회전을 「선회」라고 칭한다.
(회전 구동원)
수조(1002)의 저면에서, 경동대(1020)의 하면에는, 펄세이터(1004) 및 세탁 탈수조(1005)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원으로서의 회전용 모터(1011)가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회전용 모터(1011)의 회전을 펄세이터(1004) 또는 세탁 탈수조(1005)에 분배하는 회전 분배 수단과, 상기 공통의 회전 분배 수단으로부터 펄세이터(1004)에 회전(선회)을 전달하는 펄세이터측 회전 전달 수단과, 상기 공통의 회전 분배 수단으로부터 세탁 탈수조(1005)에 회전을 전달하는 조측 회전 전달 수 단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들의 수단은 특히 도시하지 않는다. 회전용 모터(1011) 및 회전 분배 수단은, 후술하는 제어 수단의 지령에 의해, 세탁 공정과 탈수 공정과 건조 공정에서, 각각 소정의 회전/정지 및 분배를 하는 것이다.
(급배수 기구)
수조(1002)의 천정면에는, 세탁 탈수조(1005) 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기구(1013)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기구(1013)는, 일단이 본체(1001)의 밖으로 도출되어 외부의 수도에 접속되는 급수 경로(1012)와, 급수 경로(1012)의 도중에 설치되어 물의 유통을 개폐한 급수 밸브(1014)를 갖고 있다.
한편, 수조(1002)의 저면에는 배수구(도시 생략)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배수 호스(1018)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 또는 배수 호스(1018)에는 물의 유통을 개폐하는 배수 밸브(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급수 밸브(1014) 및 배수 밸브를 닫음과 함께, 속덮개(1008)를 닫으면, 수조(1002)는 밀폐 상태가 된다.
(건조 수단)
건조 수단은, 온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건조 공정시에 세탁 탈수조(1005) 내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 팬(1015)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017)를 갖고 이루어진다. 송풍 팬(1015)은 수평대(1019)의 하면에 설치되고, 송풍 팬(1015)의 케이싱 배출구에는 히터(10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배출구에 연통하여, 수조(1002)의 외벽에 따라 세워져 수조(1002)의 상부의 개구연에 개구하는 송풍 덕트(10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 덕트(1016)는 케이싱 배출구와의 연통부의 근처에서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조(1002)의 경동에 수반하여 경동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건조 수단을 경동대(1020)에 설치한 경우에는, 송풍 덕트(1016)에 가요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히터(1017)에 의해 가열된 온풍은, 세탁 탈수조(1005) 내에서 세탁물의 건조에 제공된 후, 배기 덕트(도시 생략)로 배출된다. 그리고, 그 배출된 수분 함유 온풍을 향하여 산수한 「수냉 제습」이 실행된 후, 재차, 송풍 덕트(1016)로 보내져서 순환한다.
(제어 수단)
도 26은, 도 24에 도시하는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세탁기의 제어 수단(1110)은, CPU(1130)와, 입력 인터페이스(1120)와, 출력 인터페이스(1140)와, 메모리(1150)와, 클록 제어부(1160)(타이머(1170)에 접속되어 있다)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판에 부착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20)에는 이를 통하여 CPU(1130)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운전 코스 설정 스위치, 전원 스위치 등의 각종의 조작 스위치(1031 내지 1035)나 수조(1002)의 경사각도 검출기(1036) 등이 접속된다.
한편, 출력 인터페이스(1140)에는, CPU(1130)로부터의 소정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는 송풍 팬(1015), 히터(1017), 회전용 모터(1011), 경동용 모터(1021), 급배수 밸브나 각종 로크기구 등이 접속된다. 출력 인터페이스(1140)에는 또한, 수조(1002)의 각도 변경시에, 상기 수조(1002)가 각도 변경중인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수조상태 고지장치(1022)나,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안전 SW란, 예를 들면, 바깥덮개(1009)의 개폐를 로크하는 덮개 로크기구나, 경동판(1020)의 경동을 로크하는 경동 로크기구 등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스위치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메모리(1150)에는, 운전 코스의 각각의 공정에 대응하여 제어 조건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CPU(1130)는, 경사각도의 결정이나, 결정한 경사각도로 경동시키는 제어 지령을, 운전 코스의 각 공정에 따라 발하고 있다.
(조작부 및 작동 상태 표시부)
본체(1001)의 앞측 윗면에는, 상기 조작 스위치(1031 내지 1035)와,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도시 생략)와, 수조(1002)의 각도 변경시에 수조(1002)가 각도 변경중인 것을 이용자에게 고지하는 수조상태 고지장치(1022)를 구비한, 조작부 및 작동 상태 표시부(10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조상태 고지장치(1022)에는, 액정 패널이나 LED 등의 표시로 고지하는 표시 장치 외에, 음성으로 고지하는 발성 장치도 이용할 수 있다.
(세탁기의 제어)
도 27, 도 28은, 제어 수단(1110)의 제어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27은 세탁물이 많은 경우(예를 들면 6㎏를 넘는 경우)의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 운전 모드의 운전 제어 방법의 비교 설명도, 도 28은 세탁물이 적은 경우(예를 들면 6㎏ 이하의 경우)의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 운전 모드의 운전 제어 방법의 비교 설명도이다.
또한, 도 27, 도 28에서의 용어, 「대」, 「소」, 또한 「고속」, 「중속」, 「저속」 등의 표시는, 비교를 위한 상대적인 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실제의 속도의 상태와는 상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저소음 운전 모드는, 나이트 모드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A. 세탁물이 많은 경우의 운전 제어
A-1. 표준 운전 모드
세탁물이 많은 경우의 표준 운전 모드에서, 수조(1002)의 경사, 펄세이터(1004)의 회전, 세탁 탈수조(1005)의 회전,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은, 예를 들면 도 27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어 플로우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경사하여 정지하고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에 세탁물(의류)이 투입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되돌린 후 또는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되돌리면서, 수조(1002) 내에 물을 급수한다.
그리고,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한 상태에서,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공정을 실행한다. 세탁, 헹굼의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으로 회전한다. 또한, 탈수 공정에서는 세탁 탈수조(1005)를 고속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최대 경사시의 도중(예를 들면, 직립 상태로부터 15 내지 20도의 경사 상태)까지 경사시킨 후,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 건조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으로 회전하고, 송풍 팬(1015)을 고속으로 회전한다. 수조(1002)(세탁 탈수조(1005)를 포함한다)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세탁물의 교반이 촉진되고, 건조 효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 수조(1002)를 최대 경사각도까지 경사시킨 다.
최후로, 경사하여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로부터 세탁물이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특히 건조 효율을 개선한 세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A-2. 저소음 운전 모드
세탁물이 많은 경우의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 수조(1002)의 경사, 펄세이터(1004)의 회전, 세탁 탈수조(1005)의 회전,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은, 예를 들면 도 27의 실선과 파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어 플로우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경사하여 정지하고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에 세탁물(의류)이 투입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되돌린 후 또는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되돌리면서, 수조(1002) 내에 물을 급수한다.
그리고,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한 상태에서,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공정을 실행한다. 세탁, 헹굼의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보다 더욱 느린 회전수로 회전한다. 또한, 탈수 공정에서는 세탁 탈수조(1005)를 중속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유지한 채로,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 건조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보다 더욱 느린 회전수로 회전하고, 송풍 팬(1015)을 저속으로 회전한다. 수조(1002)(세탁 탈수조(1005)를 포함한다)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건조 공정을 실행하는 쪽이 효율은 좋은 것이지만,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건조 효율보다도, 경동 모터(1021)의 동작 회수를 저감시켜서, 소음 발 생 회수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그리고,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 수조(1002)를 최대 경사각도까지 경사시킨다.
최후로, 경사하여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로부터 세탁물이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1002)의 경사 회수를 줄이고, 펄세이터(1004)와 세탁 탈수조(1005)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모터(1011),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수를, 표준 운전 모드보다 적게 함으로써, 세탁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고 있다.
B. 세탁물이 적은 경우의 운전 제어
B-1. 표준 운전 모드
세탁물이 적은 경우의 표준 운전 모드에서, 수조(1002)의 경사, 펄세이터(1004)의 회전, 세탁 탈수조(1005)의 회전,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은, 예를 들면 도 28의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어 플로우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경사하여 정지하고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에 세탁물(의류)이 투입된다.
계속해서, 수조(1002)의 경사를 도중(예를 들면, 직립 상태로부터 15 내지 20도 경사의 상태)까지 되돌린 후 또는 되돌리면서, 수조(1002) 내에 물을 급수한다.
그리고, 수조(1002)의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세탁 공정을 실행한다. 이 세탁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되돌린 후, 헹굼 및 탈수의 공정을 실행한다. 헹굼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으로 회전한다. 또한, 탈수 공정에서는 세탁 탈수조(1005)를 고속으로 회전한다.
탈수 공정의 종료 후, 수조(1002)를 최대 경사시의 도중까지 재차 경사시켜서,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 건조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으로 회전하고, 송풍 팬(1015)을 고속으로 회전한다. 수조(1002)(세탁 탈수조(1005)를 포함한다)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세탁물의 교반이 촉진되고, 건조 효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 수조(1002)를 최대 경사각도까지 경사시킨다.
최후로, 경사하여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로부터 세탁물이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세탁 및 건조 효율을 개선한 세탁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B-2. 저소음 운전 모드
세탁물이 적은 경우의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 수조(1002)의 경사, 펄세이터(1004)의 회전, 세탁 탈수조(1005)의 회전,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은, 예를 들면 도 28의 실선과 파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제어 플로우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경사하여 정지하고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에 세탁물(의류)이 투입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되돌린 후 또는 되돌리면서, 수조(1002) 내에 물을 급수한다.
그리고,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한 상태에서,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공정을 실행한다. 이 때, 세탁, 헹굼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보다 느린 회전수로 회전한다. 또한, 탈수 공정에서는 세탁 탈수조(1005)를 중속으로 회전한다.
계속해서, 수조(1002)를 직립 상태로 유지한 채로,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 건조 공정에서는, 펄세이터(1004)를 저속보다 더욱 느린 회전수로 회전하고, 송풍 팬(1015)을 저속으로 회전한다. 수조(1002)(세탁 탈수조(1005)를 포함한다)를 경사시킨 상태에서 건조 공정을 실행하는 쪽이 효율은 좋은 것이지만,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건조 효율보다도 경동 모터(1021)의 동작 회수의 저감에 의한 소음 발생 회수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그리고,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 수조(1002)를 최대 경사각도까지 경사시킨다.
최후로, 경사하여 있는 수조(1002) 내의 세탁 탈수조(1005)로부터 세탁물이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1002)의 경사 회수를 줄이고, 펄세이터(1004)와 세탁 탈수조(1005)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모터(1011),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수를, 표준 운전 모드보다 적게 함으로써, 세탁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고 있다.
또한,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회전용 모터(1011) 및 송풍 팬(1015)의 회전수를,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낮게 하였기 때문에,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의 세탁 시간은, 예를 들면 도 29의 모드별 운전 타임 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 탁, 헹굼, 탈수 및 건조의 각 공정에서, 표준 운전 모드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수조(1002)의 경사 속도를 표준 운전 모드보다도 느리게 하는, 즉, 예를 들면 경동용 모터(1021)의 회전수를, 수조(1002)가 경동 가능한 최저한의 속도로 함에 의해, 더욱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모드에서도, 수조(1002)의 각도 변경시에, 수조(1002)가 각도 변경중인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수조상태 고지장치(1022)가 작용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그것에 의해 경동 모터(1021)가 동작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용 모터(1011), 송풍 팬(1015), 및 경동용 모터(1021)에는 직류 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들의 모터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예를 들면 펄스폭 변조(PWM) 제어함에 의해, 각 모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이기 때문에, 세탁조의 경동 기구가 간소하며, 양호한 세정 성능, 조용한 탈수, 용이한 의류가 취출하는 등의 사용감의 양호함이나, 주위의 청정화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각종 가정용 및 각종 업무용의 세탁기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납되고, 의류가 투입됨과 함께, 상기 의류를 세탁 및 탈수하기 위한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수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를 본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상기 수조와 본체 사이의 지지 부재의 길이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가지며,
    의류가 상기 세탁조에 투입되고 나서, 세탁 또는 탈수된 의류가 취출되기 까지의 공정에 따라, 상기 변경 수단이 상기 지지 부재의 길이를 변경함에 의해,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조를 매다는 3개 이상의 매다는 부재로 하고,
    상기 매다는 부재의 적어도 1개에, 상기 매다는 부재의 매다는 길이를 변경하는 매다는 길이 변경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재치되어 있는 자세를 검지하는 수평 센서를 가지며,
    상기 수평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이 연직이 되 도록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다는 부재의 적어도 1개가 매다는 삭체이고,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이, 상기 매다는 삭체를 감아 올림 및 되감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다는 부재의 적어도 1개가, 상기 수조에 연결된 매다는 봉체와 상기 매다는 봉체에 연결된 매다는 삭체로 구성되고,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이, 상기 매다는 삭체를 감아 올림 및 되감는 삭체 감아 올림 수단이고,
    상기 매다는 봉체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매다는 봉 안내부에 의해 승강 자유로우면서 탈락 불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다는 부재의 적어도 1개가, 상기 수조에 연결되고, 일부 또는 전체 길이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봉체이고,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이, 상기 나사봉체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나사를 회전시키는 나사 회전 수단이고,
    상기 나사 회전 수단이 상기 나사봉체에 형성된 나사를 회전함에 의해, 상기 나사봉체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앞면 근처에 설치된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의 설치 위치가, 상기 본체의 후면 근처에 설치된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의 설치 위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앞면 근처에 설치된 상기 매다는 부재의 길이가, 상기 본체의 후면 근처에 설치된 상기 매다는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다는 부재와 함께 또는 상기 매다는 부재에 대체하여 지지봉체를 가지며,
    상기 지지봉체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지지봉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가 하강한 때, 상기 지지봉체의 하단부에서 상기 수조가 직접 또는 완충재를 통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 완충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가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수조의 측면이 상기 완충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개략 직육면체이고,
    상기 수조의 하부의 외각이 개략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연에 신축 가능한 탄성 고리형상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윗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바깥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바깥덮개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고, 또한, 상기 수조가 경사한 상태 또는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고리형상체의 전둘레가, 상기 바깥덮개와 상기 수조의 상연에 의해 끼워 가압(挾壓)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 투입된 의류의 건조 공정을 가지며,
    상기 건조 공정에서, 상기 탄성 고리형상체의 전둘레가 상기 바깥덮개와 상 기 수조의 상연에 의해 끼워 가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수조의 경사각도가 변경중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윗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투명한 바깥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바깥덮개가 상기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세탁조의 내부가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다는 부재가 매다는 방향과 개략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수조를 되돌리는 되돌림 기구를 가지며,
    상기 되돌림 기구가, 한쪽의 단부가 상기 수조에 연결된 당기는 부재와, 상기 당기는 부재의 다른쪽의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 당기는 길이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매다는 부재의 매다는 길이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당기는 부재가 당기는 길이가 상기 당기는 길이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 탁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당기는 부재의 되돌림 방향을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의 방향으로 변경하는 당기는 방향 변경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당기는 길이 변경 수단에 대체하여, 상기 당기는 부재의 다른쪽의 단부가 상기 매다는 길이 변경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본체와,
    세탁 탈수조를 내장한 수조와,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를 경사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조 지지 수단과,
    상기 세탁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원과,
    상기 수조 지지 수단에 작용하여, 상기 수조의 연직 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는 경사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수조의 각도 변경시에, 상기 수조가 각도 변경중인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수조상태 고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상태 고지장치가 표시에 의해 고지하는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상태 고지장치가 음성에 의해 고지하는 발성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18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소음화를 고려하지 않는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화를 고려한 저소음 운전 모드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수조의 직립 상태와 경사 상태 사이에서의 이동의 회수를, 상기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적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공정과, 상기 세탁 탈수조에 공기를 송입하면서 세탁물을 교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탈수 공정부터 상기 건조 공정으로의 이행시, 상기 수조는, 상기 표준 운전 모드에서는 직립 상태로부터 경사 상태로 이행되고,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직립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 18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소음화를 고려하지 않는 표준 운전 모드와 저소음화를 고려한 저소음 운전 모드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수조의 경사 속도를, 상기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느리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제 18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원으로서 회전용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회전용 모터의 회전 속도를, 상기 표준 운전 모드보다 느리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5. 제 18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탈수조에 공기를 보내는 송풍 팬을 구비하고,
    상기 저소음 운전 모드에서는, 상기 송풍 팬의 회전 속도를, 상기 표준 운전 모드인 경우보다 느리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87017055A 2006-08-08 2007-08-02 세탁기 KR200800885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5994A JP2008036225A (ja) 2006-08-08 2006-08-08 洗濯機
JPJP-P-2006-00215994 2006-08-08
JP2007004268A JP2008167965A (ja) 2007-01-12 2007-01-12 洗濯機
JPJP-P-2007-00004268 2007-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599A true KR20080088599A (ko) 2008-10-02

Family

ID=3903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055A KR20080088599A (ko) 2006-08-08 2007-08-02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8599A (ko)
WO (1) WO2008018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2328A (ja) * 2015-08-25 2017-03-02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TR201701564A2 (ko) * 2017-02-02 2018-08-27 Arcelik As
TR201701568A2 (tr) * 2017-02-02 2018-08-27 Arcelik As Hareket kabi̇li̇yeti̇ arttirilan bi̇r tambura sahi̇p bi̇r yikayici
CN110130052B (zh) * 2018-02-02 2023-04-28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投放量提醒结构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0722B2 (ja) * 1988-06-20 1997-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2650723B2 (ja) * 1988-06-20 1997-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H02124200A (ja) * 1988-11-02 1990-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JPH04166196A (ja) * 1990-10-31 1992-06-12 Hitachi Ltd 洗濯機器
JPH0615088A (ja) * 1992-06-30 1994-01-25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H0759983A (ja) * 1993-08-27 1995-03-07 Toshiba Corp 洗濯機
JPH09187594A (ja) * 1997-02-20 1997-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8350A1 (fr)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36225A (ja) 洗濯機
KR101306712B1 (ko) 페데스탈 세탁기
US8561438B2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0516341C (zh) 滚筒式洗衣机
AU2015201205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262141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647561B2 (ja) 洗濯機
KR20090096949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8599A (ko) 세탁기
KR101319879B1 (ko) 잠금 장치를 갖는 페데스탈 세탁기
AU2017409625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054950A (ja) 洗濯機
JP4440220B2 (ja) 洗米機
KR102340060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3103058A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5063982A1 (ja) 洗濯機
JP2012239585A (ja) 洗濯乾燥機
KR100505226B1 (ko) 세탁기
JP2002360978A (ja) 脱水洗濯機
JP2003190696A (ja) 洗濯機
KR100323533B1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1105757B1 (ko) 세탁기의 포 풀림 제어 방법
JP200711143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405045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00576B1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