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576B1 -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576B1
KR100300576B1 KR1019990003716A KR19990003716A KR100300576B1 KR 100300576 B1 KR100300576 B1 KR 100300576B1 KR 1019990003716 A KR1019990003716 A KR 1019990003716A KR 19990003716 A KR19990003716 A KR 19990003716A KR 100300576 B1 KR100300576 B1 KR 10030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amper
rod
washing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208A (ko
Inventor
전시문
김동원
박영환
권오훈
김경환
이태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5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및 헹굼시에 세탁조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 및 헹굼시 세탁기의 외부 케이스에 매달리도록 하는 행거를 회전시켜 세탁조가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세정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세탁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세탁조와, 상단이 상기 외부 케이스에 피봇연결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그 일측이 걸리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일측에 구멍이 형성된 댐퍼 베이스와, 상단은 상기 댐퍼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댐퍼 베이스의 구멍을 통과하는 스프링과, 상기 세탁조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Washer having tilting drum}
본 발명은 세탁 및 헹굼시에 세탁조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 및 헹굼시 세탁기의 외부 케이스에 매달리도록 하는 행거를 회전시켜 세탁조가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세정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세탁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의류에 묻은 때를 제거하는 기계로서, 의류에 묻은 때는 세탁액 속에 넣으면 세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섬유에서 떨어지게 되나 세제만의작용으로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마찰이나 진동 등의 기계적인 작용을 가하면 때가 빠지는 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기계적인 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세탁기의 역할이다.
참조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우측면도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외부 케이스(1)와, 상기 외부 케이스(1) 내부에 매달린 세탁조(10)와, 상기 세탁조(10)를 상기 외부 케이스(1)에 매달리도록 하는 동시에 댐퍼 기능을 수행하는 네 개의 행거(2)와, 상기 세탁조(10)의 펄세이터(3) 및 세탁조(10)의 내조(1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조(10)는 하부에 네 개의 브래킷(12a)이 설치되어 상기 행거(2)의 하부 측이 걸리도록 되어 있는 외조(12)와, 상기 구동부(4)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세탁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펄세이터(3)가 설치된 내조(1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4)에는 클러치 장치(미도시) 및 유성기어(미도시)가 포함되어 상기 펄세이터(3) 및 내조(11)의 회전과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행거(2)는 그 상단이 상기 외부 케이스(1)에 형성된 브래킷(1a)에 걸려 있고, 그 하단에는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스프링(2a)이 구비된 댐퍼 케이스(2b)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외조(12)의 하부에 형성된 브래킷(12a)에 걸려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조(10)는 상기 외부 케이스(1) 내부에 매달려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내조(11)에 세탁물 및 세제를 넣고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세탁조(10)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세탁하기 위한 일정높이까지 물이 차 오르면 상기 구동부(4)가 동작되어 상기 펄세이터(3) 및 상기 내조(11)가 회전되어 세탁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세탁을 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구동부(4)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외조(12)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밸브(5)가 열리면서 상기 세탁조(10)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6)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10)에 다시 물이 공급되어 일정높이까지 차 오르게 되어 헹굼운전을 하게 되는데, 헹굼운전은 보통 2 ~ 3회에 걸쳐 이루어지고 상기한 세탁운전과 똑같은 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구동부(4)를 동작시키는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세탁 및 헹굼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내조(11)만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운전이 진행된다. 즉 상기 내조(11)가 빠른 속도로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상기 내조(11)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하여 상기 외조(12)로 이동된 후 상기 배수관(6)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 및 헹굼운전이 상기 세탁조(10)가 직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세정력에 한계가 있고 세탁물에 세탁편차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탁 및 헹굼운전시 세탁조를 외부 케이스에 매달리게 하는 행거를 회전시켜 자동적으로 세탁조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세탁편차를 감소시키고, 탈수시에는 다시 세탁조를 원상태인 직립상태로 세워지도록 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서 세탁조가 기울어진 세탁기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서 세탁조가 기울어진 상태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이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사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
도 10은 세탁조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세정력과 세탁편차에 관한 그래프,
도 11은 세탁조가 기울어진 경우 세탁조 내부의 한질점에서의 힘의 분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외부 케이스 51a : 외부 케이스의 브래킷 52 : 구동부
60 : 세탁조 61 : 외조 61a : 외조의 브래킷
62 : 내조 63 : 펄세이터
70, 80, 100, 110, 120 : 행거 81, 101, 111, 121 : 로드
82, 112 : 걸림 부재 83, 102,113, 122 : 댐퍼 케이스
84, 103, 115, 123 : 댐퍼 베이스 84a, 103a, 115a, 123a : 구멍
85, 104, 116, 125 : 스프링 90 : 모터
91 : 배수 밸브 92 : 배수관 93 : 드레인 모터
114, 124 : 회전자 117 : 와이어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세탁조와, 상단이 상기 외부 케이스에 피봇연결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그 일측이 걸리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일측에 구멍이 형성된 댐퍼 베이스와, 상단은 상기 댐퍼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댐퍼 베이스의 구멍을 통과하는 스프링과, 상기 세탁조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서 세탁조가 기울어진 세탁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서 세탁조가 기울어진 상태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이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사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댐퍼 케이스 단면도이며, 도 10은 세탁조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세정력과 세탁편차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11은 세탁조가 기울어진 경우 세탁조 내부의 한질점에서의 힘의 분포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 일실시예인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외부 케이스(51)와, 상기 외부 케이스(51) 내부에 네 개의 행거(70, 80)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세탁조(60)와, 상기 세탁조(6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조(60)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조(60)는 하부에 펄세이터(6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5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내조(62)와, 상기 내조(62)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51)에 행거(70, 80)에 의해 매달리는 외조(61)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행거(80)는 상기 세탁조(60)를 외부케이스(51)에 매달리도록 하는데, 그 구성은 외부 케이스의 브래킷(51a)에 걸리고 상부에 설치된 모터(90)에 연결된 걸림 부재(82)와, 외조의 브래킷(61a)에 상부가 걸리는 댐퍼 케이스(83)와, 상기 걸림 부재(82)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8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댐퍼 베이스(84)까지 연결되는 로드(81)와, 상기 댐퍼 베이스(84)의 상부, 즉 상기 댐퍼 케이스(83)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85)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로드(81)는 상기 댐퍼 베이스(84)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85)은 상기 댐퍼 케이스(83)의 일측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 베이스(84)의 일측에는 구멍(84a)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81)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85)을 따라 상기 댐퍼 베이스(84)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모터(90)에 의해 상기 걸림 부재(8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로드(81)와 상기 댐퍼 베이스(84)가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베이스(84)가 상기 스프링(85)을 타고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 및 헹굼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모터(90)가 상기 걸림 부재(8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로드(81) 및 상기 댐퍼 베이스(84)가 회전되어 상기 댐퍼 베이스(84)가 상기 스프링(85)을 타고 상기 댐퍼 케이스(83)의 일정높이까지 올라가게 되어 상기 세탁조(6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세탁 및 헹굼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브래킷(51a)과 상기 외조의 브래킷(61a) 사이의 로드(81) 길이는 상기 모터(9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모터(90)를 제어하여 상기 세탁조(6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탈수의 경우에는 상기 모터(90)가 세탁 및 헹굼운전과는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댐퍼 베이스(84)가 상기 스프링(85)을 타고 내려가 원래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탈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탈수가 진행되지 않으므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90)를 세탁기의 도어가 열릴 때에도 세탁시와 마찬가지로 동작되어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제 이실시예인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로드(101)에 스프링(104)이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모터(90)가 회전되면 상기 로드(10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로드(101)가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104)이 회전되어 상기 댐퍼 베이스(103)가 상기 스프링(104)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101)와 상기 댐퍼 베이스(103)의 접합부위의 마찰력에 비하여 상기 댐퍼 베이스(103)와 상기 댐퍼 케이스(102)의 마찰력이 더 크므로 상기댐퍼 베이스(103)는 상기 로드(101)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세탁 및 헹굼운전시에는 상기 모터(90)가 일방향으로 일정량만큼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90)에 의해 상기 로드(101) 및 스프링(104)이 회전되어 상기 댐퍼 베이스(103)가 상기 스프링(104)을 타고 올라가 상기 댐퍼 케이스(102)의 일정위치에 멈추게 되며,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브래킷(51a)과 상기 외조의 브래킷(61a) 사이의 로드(101) 길이가 길어져 상기 세탁조(60)가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물론, 세탁기의 도어가 열릴 때에도 상기 모터(90)기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세탁조(60)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탈수시에는 상기 모터(90)가 세탁운전시와는 반대방향, 즉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댐퍼 베이스(103)가 원래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탈수운전이 진행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103a는 구멍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 삼실시예인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베이스(115)의 하부에 드레인 모터(93)와 연동되는 회전자(114)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드레인 모터(93)는 상기 외조(61)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91)의 개폐를 제어하는 모터이다.
즉, 상기 드레인 모터(93)가 동작되어 상기 배수 밸브(91)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모터(93)가 상기 회전자(11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자(114)에 고정된 상기 스프링(116)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116)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댐퍼 베이스(115)가 상기 스프링(116)을 타고 올라가게 되어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모터(93)가 동작되어 상기 배수 밸브(9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모터(93)가 상기 회전자(114)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댐퍼 베이스(115)가 상기 스프링(116)을 타고 내려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세탁 및 헹굼시에는 상기 배수 밸브(91)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세탁조(60)가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운전이 진행된다.
물론, 평상시 즉 무부하시에는 상기 배수 밸브(91)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세탁조(60)가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어 세탁물을 상기 세탁조(60)에 수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탈수시에는 상기 배수 밸브(91)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으로 세워져 탈수가 진행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92는 배수관을, 110은 전방의 행거를, 112는 걸림 부재를, 113은 댐퍼 케이스를, 115a는 구멍을, 117은 와이어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 사실시예인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1)와 회전자(124)가 상호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제 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레인 모터(93)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수밸브(91)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모터(93)의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자(1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자(124)에 고정된 스프링(125)이 회전되고, 상기 스프링(125)의 회전에 의해 댐퍼 베이스(123)가 댐퍼 케이스(122) 속에서 상방향으로 상승되며, 그에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의 브래킷(51a)과 외조의 브래킷(61a) 사이의 로드(121) 길이가 증가하여 세탁조(60)가 일정각도 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 밸브(9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 모터(93)의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자(124)가 상기 배수 밸브(91)가 폐돼되는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댐퍼 베이스(123)가 하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배수 밸브(91)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세탁조(60)가 일정각도 전방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이고, 세탁 및 헹굼운전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배수 밸브(91)가 폐쇄되어 있게 되므로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진 상태로 운전이 진행되게 된다.
또한, 탈수의 경우에는 상기 배수 밸브(91)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상태로 세워져 탈수운전이 진행하게 된다.
한편, 도 10은 세탁조의 기울어진 각도에 따른 세정력과 세탁편차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세정력과 세탁편차가 각각 15°부근에서 최대와 최소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세탁편차는 세탁이 고르게 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작을수록좋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θ) 기울어진 세탁조(D)의 한 질점(m)에서의 힘의 분포를 살펴보면, 우선 수직방향으로는 중력(mg)이, 세탁조(D)의 경사면(S)으로는 펄세이터 또는 세탁조(D) 내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CF)이 각각 작용하게 되는데, 경사면(S)에서 세탁조(D)의 한 질점(m)에 작용하는 힘은 경사면(S)의 내려가는 방향으로는 원심력(CF)과 중력에 의한 힘(mg * sinθ)을 합친 힘(CF + mg * sinθ)이 작용하게 되고, 경사면(S)의 올라가는 방향으로는 원심력(CF)에서 중력에 의한 힘(mg * sinθ)을 뺀 힘(CF - mg * sinθ)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조(D)가 기울어진 각도(θ)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세탁조에 비하여 한 질점에 작용하는 힘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복잡한 포유동을 형성하게 되어 세정력이 증가되는 동시에 세탁편차가 감소되는 것이다.
하지만, 세탁조(D)가 심하게 기울어지게 되면, 원심력(CF)의 영향보다는 중력(mg)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세탁조(D)의 불균형이 심화되어 회전구동의 어려움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세탁조(D)의 벽면을 따라 발생되는 포유동이 약해지게 되어 세탁물이 고르게 퍼지면서 세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하나로 뭉쳐지게 된다. 결국, 하나로 뭉쳐진 세탁물의 내부 세탁물은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세정력은 감소되고 세탁편차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D)의 기울어진 각도(θ)는 0°〈 θ〈 30°에서 세탁조건과 세탁기의 구조에 따라 적정하게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는 무부하시와 세탁 및 헹굼운전시에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진 상태로 진행되므로 세정력이 향상되고 세탁편차가 감소되는 동시에 상기 세탁조(60)가 직립으로 다시 세워져 탈수가 진행되므로 상기 세탁조(60)가 기울어진 상태로 탈수될 경우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세탁조(60)가 무부하시에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세탁물의 수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외부 케이스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세탁조와, 상단이 상기 외부 케이스에 피봇연결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세탁조가 지지되도록 그 일측이 걸리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 내부에서 상하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일측에 구멍이 형성된 댐퍼 베이스와, 상단은 상기 댐퍼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댐퍼 베이스의 구멍을 통과하는 스프링과, 상기 세탁조가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베이스는 상기 로드와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은 그 상단이 상기 로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그 상단이 상기 댐퍼 케이스의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은 상기 댐퍼 베이스의 구멍을 통과하여 구동수단에 연결된 회전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그 하단이 상기 댐퍼 베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자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세탁조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드레인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19990003716A 1999-02-04 1999-02-04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300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16A KR100300576B1 (ko) 1999-02-04 1999-02-04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16A KR100300576B1 (ko) 1999-02-04 1999-02-04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08A KR20000055208A (ko) 2000-09-05
KR100300576B1 true KR100300576B1 (ko) 2001-09-26

Family

ID=1957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716A KR100300576B1 (ko) 1999-02-04 1999-02-04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9586A (ja) * 1989-03-23 1990-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KR940019910A (ko) * 1993-02-24 1994-09-15 김광호 세탁기의 세탁조 기울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9586A (ja) * 1989-03-23 1990-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KR940019910A (ko) * 1993-02-24 1994-09-15 김광호 세탁기의 세탁조 기울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08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75B1 (ko) 드럼식 세탁기
US6286344B1 (en) Washing machine with tilted tub assembly
US20010020376A1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JP2001276482A (ja) 傾斜式洗濯機のすすぎ方法
KR100300576B1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300577B1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300574B1 (ko) 경사가변 세탁기
KR100323531B1 (ko) 경사 가변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323533B1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323532B1 (ko) 경사가변 세탁기
JPH11319371A (ja) ドラムの振動を減少させ得るドラム型洗濯機
KR20000055212A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0423981B1 (ko) 세탁기
KR20000055205A (ko) 경사가변 세탁기
KR100300575B1 (ko) 세탁조가 기울어지는 세탁기
KR100400969B1 (ko) 드럼세탁기
KR20000055199A (ko) 세탁 내조가 기울어진 세탁기
KR100323530B1 (ko) 하부 프레임을 갖는 기울어진 세탁기
KR100315772B1 (ko) 원심 배수형 세탁기
KR20000055207A (ko) 지렛대로 기울어지는 세탁기
KR100719843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20000055200A (ko) 세탁조 및 그 바닥면이 기울어진 세탁기
KR100277583B1 (ko) 세탁기
KR100370042B1 (ko) 드럼 세탁기
KR100323529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