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988A - 내용물 보관용 봉지 - Google Patents

내용물 보관용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988A
KR20080087988A KR1020070030265A KR20070030265A KR20080087988A KR 20080087988 A KR20080087988 A KR 20080087988A KR 1020070030265 A KR1020070030265 A KR 1020070030265A KR 20070030265 A KR20070030265 A KR 20070030265A KR 20080087988 A KR20080087988 A KR 2008008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ontents
opening
cutting lin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현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이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현 filed Critical 이기현
Priority to KR102007003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7988A/ko
Publication of KR2008008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보관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보관 되어지도록 밀봉된 봉지에 있어서, 상기 봉지는 전면지와 후면지의 테두리가 밀봉 접착된 모서리에 개폐부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지에 보관중인 내용물의 일부를 덜어 사용한 후 잔류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부를 접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잔류된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변질되거나 냄새 나는 것을 막으며 해충이 봉지의 내부로 들어와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용물, 밀봉, 봉지, 전면지, 후면지, 테두리, 개폐부

Description

내용물 보관용 봉지{The bag for the keeping of content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에 구비된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에 모서리 부분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모서리 부분이 절단된 상태에서 절단부위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봉지 10:전면지
20:후면지 30:테두리
40:모서리 50:개폐부
60:절취라인 50a:탄성층
50b:마그네틱층 60:절취라인
501:경사부 502:연장부
503:관통홀
본 발명은 내용물 보관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지와 후면지의 테두리가 기밀이 유지되어지도록 접착된 봉지의 모서리에 탄성력을 갖는 개폐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절취라인을 따라 모서리가 절단된 봉지에 보관중인 내용물을 일부 덜어 사용한 후 개폐부를 접어 잔류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개미나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봉지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만들때 사용되어지고 있는 설탕, 고추가루, 조리료 등과 세탁에 사용되어지는 세제, 유연제 등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생활품에는 제조, 보관, 운반, 진열 및 판매의 과정에서 그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봉지를 사용하게 된다.
봉지는 통상 터널형태로 압출되어지는 합성수지의 양측단을 절단하여 융착시켜 제조되어지는 간단한 것에서 부터 인쇄가 되어진 얇게 펼쳐진 봉지 원단이 절접공정, 접착공정을 통해 봉지의 형태를 갖도록 된 것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봉지 내부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투입공정 및 절단공정을 통해 내용물이 봉지에 들어가게 된다.
봉지의 표면인 모서리에는 사용자가 그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덜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절취라인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절취라인을 가위나 칼로 절단한 후 봉지의 내부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봉지의 모서리를 절취하여 한번에 내용물을 모두 덜어 사용치 못할 경우 모서리가 개방된 상태로 보관되어지는 과정에서 공기와의 접촉으로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사용자의 부주위로 보관되어지는 봉지가 넘어졌을 경우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봉지의 모서리가 개방된 상태에 있음으로 개미나 바퀴벌레가 그 속으로 들어와 내용물을 오염시키게 됨에 따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무줄이나 클립 또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오픈된 모서리를 묶거나 찝어 놓게 되나 이를 위해 별도의 고무줄, 클립, 집게 등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전면지와 후면지의 테두리가 기밀이 유지되어지도록 접착된 봉지의 모서리에 탄성력을 갖는 개폐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모서리가 오픈되도록 절단된 봉지에 보관중이 내용물을 일부 덜어 사용한 후 개폐부를 접어 잔류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개미나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봉지의 내부로 들어와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보관 되어지도록 밀봉된 봉지(A)에 있어서, 상기 봉지(A)는 전면지(10)와 후면지(20)의 테두리(30)가 밀봉 접착된 모서리(40)에 개폐부(5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50)는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형성된 탄성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박판형태를 갖는 폭이 넓은 탄성편 또는 박판형태로 폭이 좁은 라이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절취라인(60)과 평행한 경사부(501)에 상기 절취라인(60)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부(502)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에 관통홀(503)이 지그 재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50)는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박판형태의 탄성층(50a)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탄성층(50a)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는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박판형태의 마그네틱층(50b)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마그네틱층 (50b)은 열경화성 합성수지에 마그네틱 입자가 혼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에 구비된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지에 모서리 부분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보관용 봉지(A)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보관 되어지도록 밀봉된 것으로 전면지(10)와 후면지(20)의 테두리(30)가 둘레를 따라 밀봉 접착되어지고, 밀봉 접착된 모서리(40)에 보관중인 내용물을 덜어내거나 남아 있는 내용물이 있을 경우 공기와 차단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개폐부(50)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지(10)와 후면지(20)에는 광고를 위한 제품명이나 사용방법 및 사용상의 주의점이 인쇄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50)는 모서리(40)에 인쇄된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에 소정의 제공되어지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절취라인(60)을 따라 절취되어 모서리(40) 부분이 오픈된 상태에서 오픈된 모서리(40) 부분은 선택적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그 유로 즉, 오픈된 부분이 폐쇄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재를 전면지(10)에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제조형태에 따라 전면지(10)의 표면이나 전면지(10)의 내면에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면지(20)에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후면지(2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형태를 갖는 폭이 넓은 탄성편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탄성부재는 폭이 넓은 박판 형태 이외에 박판형태로 폭이 좁은 라이너로 즉, 폭이 좀 넓은 굵은 철사의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절취라인(60)과 평행한 경사부(501)에 상기 절취라인(60)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부(5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절취된 모서리 부분으로 부터 약간만 접을 경우 경사부(501)만을 접을 수 있으며 더 접을 경우 연장부(502)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에 관통홀(503)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도록 함과 동시에 그 단면적을 줄여 잘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가위나 칼을 이용하여 절취라인(60)을 절취하여 모서리(40) 부분을 뜯어냄과 동시에 모서리(40)가 오픈되어 봉지(A)를 꺼꾸로 들면 그 속에 들어 있던 내용물이 흘러 나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내용물을 사용한 후 봉지(A)속에 내용물이 아직 남아 있을 경우 절취된 부분의 양측을 손가락으로 잡아 도4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접게 됨과 동시에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경사부(501) 또는 연장부(502)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접혀지게 됨에 따라 전면지(10)와 후면지(20)가 같이 접혀지게 되면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오픈되었던 부분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됨에 따라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과 쏟아지는 것을 막고, 외부로 부터 개미나 바퀴벌레 등과 같은 해충이 들어와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사용시는 접혀져 있던 부분을 역방향으로 펼침과 동시에 경사부(501)와 연장부(502)가 펼쳐지게 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봉지(A)의 전면지(10)와 후면지(20)의 테두리(30)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501)와 연장부(502)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갖는 개폐부(50)가 형성되어지도록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개폐부(50)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박판형태의 탄성층(50a)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층(50a)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봉지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봉지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동시에 경화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봉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봉지(A)의 전면지(10)와 후면지(20)의 테두리(30)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501)와 연장부(502)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갖는 개폐부(50)가 형성되어지도록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개폐부(50)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박판형태의 마그네틱층(50b)이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그네틱층(50b)은 열경화성 합성수지에 마그네틱 입자가 혼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봉지를 융착하는 과정에서 봉지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봉지와 같이 제조되어지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탄성력 이외에 소정의 마그네틱의 자력에 의하여 더 잘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층(50b)은 자력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마그네틱 입자가 혼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열경화성 수지에 자화성을 갖는 입자가 혼합되어지도록 한 후 자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면지와 후면지의 테두리가 기밀이 유지되어지도록 접착된 봉지의 모서리에 탄성력을 갖는 개폐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절취라인을 따라 모서리가 절단되어 개봉된 봉지에 보관중이 내용물을 일부 덜어 사용한 후 사용자가 개폐부를 접어 잔류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봉지속의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변질되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개미나 바퀴벌레 등의 해충이 봉지의 내부로 들어와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내용물이 보관 되어지도록 밀봉된 봉지(A)에 있어서,
    상기 봉지(A)는 전면지(10)와 후면지(20)의 테두리(30)가 밀봉 접착된 모서리(40)에 개폐부(5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0)는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형성된 탄성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박판형태를 갖는 폭이 넓은 탄성편 또는 박판형태로 폭이 좁은 라이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절취라인(60)과 평행한 경사부(501)에 상기 절취라인(60)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부(502)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전면에 관통홀(503)이 지그 재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0)는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박판형태의 탄성층(50a)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탄성층(50a)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50)는 절취라인(60)의 내측으로 위치된 전면지(10) 또는 후면지(20)에 박판형태의 마그네틱층(50b)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마그네틱층(50b)은 열경화성 합성수지에 마그네틱 입자가 혼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용 봉지.
KR1020070030265A 2007-03-28 2007-03-28 내용물 보관용 봉지 KR20080087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265A KR20080087988A (ko) 2007-03-28 2007-03-28 내용물 보관용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265A KR20080087988A (ko) 2007-03-28 2007-03-28 내용물 보관용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988A true KR20080087988A (ko) 2008-10-02

Family

ID=4015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265A KR20080087988A (ko) 2007-03-28 2007-03-28 내용물 보관용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79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82U (ko) * 2017-03-28 2017-04-17 김명관 자석 지퍼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82U (ko) * 2017-03-28 2017-04-17 김명관 자석 지퍼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9196B2 (en) Bag having reclosable seal and associated methods
US6935783B2 (en) Single-use container
US20210101720A1 (en) Tamper evident tape and sealed bag assembly for handled bags and method
US9382043B2 (en) Reclosable bag made of a paper-plastic laminate
US11524828B2 (en) Tamper evident bag
US11377264B2 (en) Tamper evident sealable bag assembly with note tab and method
JP2005514280A (ja) 再閉鎖可能な包装袋
JP4363187B2 (ja) 柔軟性容器、その形成方法、柔軟性容器の開封ガイド、及び柔軟性容器への液体封入方法
KR20160115960A (ko) 포장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시트
KR20080087988A (ko) 내용물 보관용 봉지
US2099425A (en) Bag construction
TWI480210B (zh) 改良式容器
JP2004051129A (ja) 閉塞部材付きパウチ
JPH1081347A (ja) 小出し機能付き袋
US2547097A (en) Thermoplastic bag construction
JP3072089U (ja) 食品用包装材、及び食品包装体
JP3929878B2 (ja) 食品用の包装袋
JP2006020556A (ja) おにぎりの包装体
JP2002347840A (ja) 包装容器
JP2016222329A (ja) 複合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付替え包装体
JPH09328143A (ja) 袋容器、箱容器、袋容器形成シート及び袋容器を箱状容器に組み立てる方法
JP6500615B2 (ja) 複合容器
JP3028290U (ja) いなり寿司用包装袋及びその包装体
US20070095880A1 (en) Packaging material
JP2024036787A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