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365A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365A
KR20080087365A KR1020070029469A KR20070029469A KR20080087365A KR 20080087365 A KR20080087365 A KR 20080087365A KR 1020070029469 A KR1020070029469 A KR 1020070029469A KR 20070029469 A KR20070029469 A KR 20070029469A KR 20080087365 A KR20080087365 A KR 20080087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motor
fan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404B1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이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철 filed Critical 이병철
Priority to KR102007002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4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부에 도형 또는 그림이 표시되어 날개부가 정지 또는 회전 상태에 있을 때, 날개부를 통해 도형이나 그림 또는 무늬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형 또는 그림이 도시된 도시부를 구비하며, 여기에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도시부의 도형 또는 그림이 정지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화상정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날개부의 정지 또는 회전시 사용자가 도형이나 문자 또는 그림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선풍기, 날개, 그림

Description

선풍기 {Electric f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날개부를 도시한 부분 발췌 분리 사시도,
도 3은 날개부 및 도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날개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2 실시예의 날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2 실시예의 날개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의 제2 실시예의 화상정지수단을 도시한 블럭도.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부에 도형 또는 그림이 표시되어 날개부가 정지 또는 회전 상태에 있을 때, 날개부를 통해 도형이나 그림 또는 무늬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날개부는 보통 본체 후측의 공기를 전면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바람을 일으키도록 제작되는데, 종래에는 날개부에 별도의 도형이나 그림이 도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날개부의 정지 또는 회전시에 이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도형, 그림, 문구등을 표현하지 못했었다.
본 발명은 날개부가 정지 또는 회전상태에 있을 때, 날개부를 통해 특정한 도형이나 그림 또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형 또는 그림이 도시된 도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시부는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시트부재의 일측에 상기 시트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시부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잉크 필름이 상기 날개부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형 또는 그림이 도시된 도시부 및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도시부의 도형 또는 그림이 정지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화상정지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시부는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시트부재의 일측에 상기 시트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상정지수단은 날개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광하며 상기 날개부의 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시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 마련되는 안전커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와, 날개부(20)와, 날개부(20)의 외주면에 마련된 도시부(2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모터(1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11)는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모터(11)의 전방에는 제2 안전커버(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안전커버(13)에 제1 안전커버(12)가 결합되어 날개부(2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날개부(20)는 날개부(20) 후방의 공기를 날개부(2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바람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21)와, 회전부재(21)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회전날개(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21)에 마련되는 회전날개(22)가 세 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회전날개(22)는 모터(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형태도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시부(23)는 날개부(2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효과를 내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의 성형시 내부에 인서트몰딩되어 있다. 도시부(23)에 도시된 도형 또는 그림은 날개부(20)가 정지된 상태에 있을 때, 도시된 그림 그대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도형 또는 그림에 의해 날개부(20)가 회전할 때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특한 형태의 무늬가 생성되어 날개부(20)의 회전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시부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날개부(20)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시트부재(24)를 통해 도형 또는 그림을 날개부(20)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시트부재(24)를 교체함으로써 원하는 도형 또는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시트부재(24)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날개부(20)의 회전시 시트부재(24)가 날개 부(20)로부터 돌출되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고 소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부재(24)가 날개부(20)의 내부로 일정깊이 인입되어 시트부재(24)와 회전날개(22)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날개(22)에 인입홈(2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홈(25)은 날개부(20)의 회전방향측의 시트부재(24)의 일부가 날개부(2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시트부재(24)의 일부가 인입홈(25)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날개부(20)의 회전시 시트부재(24)와 회전날개(2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입홈(25)이 시트부재(24)의 일정 영역만이 회전날개(22)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나, 인입홈(25)은 이와는 달리 시트부재(24) 전체가 회전날개(22)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부(23)는 상기 인서트몰딩, 시트부재(24)를 이용한 방법 외에도 날개부(20)의 외면에 직접 도형 또는 그림을 인쇄하는 방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부(23)에 표시되는 도형 또는 그림들은 외부 광원이 없을 때에도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야광 잉크나, 선풍기의 작동시 향기가 날 수 있도록 향료가 포함된 향기 잉크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 잉크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시온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도계를 확인하지 않아도 기온을 가늠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선풍기(200)는 모터(11)가 내장된 본체(10)와, 상기 모터(1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모터(11)에 결합되는 날개부(20)와, 날개부(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형 또는 그림이 도시된 도시부(26) 및 날개부(20)가 회전할 때, 상기 도시부(26)의 그림이 정지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화상정지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와 날개부(2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본체(10), 날개부(20)와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부(26)는 날개부(20)에 도형 또는 그림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도시부(26)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같이 인서트몰딩 성형되거나 시트부재(24)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부(20)의 회전날개(22)에 인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시부(26)는 화상정지수단(210)의 발광부(213)에서 조사되는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는 광반사 성질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정지수단(210)은 날개부(20)가 회전할 때, 상기 도시부(26)의 도형 또는 그림이 정지한 듯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날개부(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211)와, 센서(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212)와, 제어부(212)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부(213)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211)는 날개부(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20)가 모터(1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므로 모터(11)의 후면에 상기 모터(11)의 샤프트가 인입되도록 장착되어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엔코더가 센서(211)로서 적용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날개부(20)의 회전속도 를 측정하는 센서(211)로서 모터(11)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가 적용되었으나, 상기 센서(211)는 날개부(20)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모터(11)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센서(211) 또는 날개부(20)의 회전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211)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2)는 센서(21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발광부(213)에 발광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적용되었다.
상기 발광부(213)는 상기 제어부(212)에서 제어되는 신호에 의해 발광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2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213)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되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제1 안전커버(12)에 상기 날개부(20)의 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어서 도시부(26)에 도시된 문자 또는 그림들이 다양한 색상으로 보이도록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선풍기(200)가 작동할 때 즉, 날개부(20)가 회전할 때 화상정지수단(2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11)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날개부(20)가 회전하면 센서(211)는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12)에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12)에서는 센서(211)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발광부(213)에 발광신호를 보내며, 발광부(213)는 제어부(212)의 신호에 따라 날개부(20)의 전면을 향해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빛을 조사한다. 상기 도시부(26)의 도형 또는 그림이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발광부(213)에서 조사된 빛을 날개부(20)의 전방으로 반사하게 된다.
날개부(20)가 회전할 때, 제어부(212)가 센서(211)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도시부(26)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때마다 발광부(213)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하면 도시부(26)는 매 회전시 동일한 위치에서 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잔상효과에 의해 사용자는 날개부(20)에서 도형이나 문자 또는 그림이 정지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212)가 발광부(213)의 발광 간격을 날개부(20)의 회전속도보다 조금씩 느리게 하면, 도시부(26)의 그림이 날개부(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조금씩 이동한 위치에서 발광부(213) 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도시부(26)의 도형이나 문자 또는 그림이 조금씩 날개부(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상정지수단(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시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1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입력부(214)를 통해 사용자는 도시부(26)의 문구가 정지상태로 보이게 할 것인지 아니면 날개부(20)의 회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움직이게 보이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214)를 통해 이러한 지시사항을 입력하면 제어부(212)에서는 센서(211)에서 측정된 날개부(20)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광부(213)에서 빛이 조사되는 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도시부(26)의 문구가 정지 또는 진행 상태로 보이도록 조절한다.
본 실시예의 도시부(26)에 표시된 도형이나 문자 또는 그림 역시 야광 잉크, 향기 잉크, 시온 잉크와 특정 기능을 가진 다양한 잉크로 인쇄함으로써 선풍기의 작동시 향기가 나거나, 도시부(26)에 표시된 그림의 색상을 통해서 실내 온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날개부의 정지 또는 회전시 사용자가 도형이나 문자 또는 그림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모터가 내장된 본체;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형 또는 그림이 도시된 도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부는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시트부재의 일측에 일정 깊이 인입된 인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부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잉크 필름이 상기 날개부에 부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4. 모터가 내장된 본체;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도형 또는 그림이 도시된 도시부; 및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상기 도시부의 도형 또는 그림이 정지된 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화상정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부는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재와, 상기 날개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의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시트부재의 일측에 상기 시트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지수단은 상기 날개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발광하며, 상기 날개부의 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시부에 도시된 도형 또는 그림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날개부의 전면에 마련되는 안전커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부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온잉크 필름이 상기 날개부에 부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1020070029469A 2007-03-26 2007-03-26 선풍기 KR10089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469A KR100893404B1 (ko) 2007-03-26 2007-03-26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469A KR100893404B1 (ko) 2007-03-26 2007-03-26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365A true KR20080087365A (ko) 2008-10-01
KR100893404B1 KR100893404B1 (ko) 2009-04-17

Family

ID=4015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469A KR100893404B1 (ko) 2007-03-26 2007-03-26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4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33Y1 (ko) * 2009-09-03 2010-01-25 박상준 선풍기날개보호커버
CN106678068A (zh) * 2017-03-12 2017-05-17 金寨硕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温控智能电风扇
EP3273062A1 (en) 2016-07-20 2018-01-24 LG Electronics Inc. -1- Blower
EP3273063A1 (en) 2016-07-20 2018-01-24 LG Electronics Inc. Blower
WO2018016883A1 (ko) 2016-07-20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WO2019045223A1 (ko) 2017-09-01 2019-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KR102037704B1 (ko) 2018-05-16 2019-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US10914310B2 (en) 2016-03-02 2021-02-09 Lg Electronics Inc. Blowing device
US11067089B2 (en) 2017-09-01 2021-07-20 Lg Electronics Inc. Flow generator
KR20220100780A (ko) * 2021-01-09 2022-07-18 서순례 토양 수분 측정에 따른 회전날개의 회전력 제어 출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18A (ko) 2015-01-22 2016-08-01 김승연 선풍기 날개의 색혼합을 이용한 속도관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1892U (ko) 1985-09-02 1987-03-13
JPH05296188A (ja) * 1992-04-17 1993-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扇風機用装飾照明装置
JP2003314487A (ja) * 2002-04-25 2003-11-06 Toybox:Kk 残像表示機能を設けた携帯用扇風機
JP2005171887A (ja) * 2003-12-11 2005-06-30 Shinryu Ko 扇風機のプロペラ
KR100625650B1 (ko) 2005-04-12 2006-09-20 주식회사 쿨리더 냉난방 공급장치
KR200419400Y1 (ko) * 2006-04-10 2006-06-20 주식회사 비앤게이트 발광 선풍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33Y1 (ko) * 2009-09-03 2010-01-25 박상준 선풍기날개보호커버
US10914310B2 (en) 2016-03-02 2021-02-09 Lg Electronics Inc. Blowing device
EP3273063A1 (en) 2016-07-20 2018-01-24 LG Electronics Inc. Blower
EP3273062A1 (en) 2016-07-20 2018-01-24 LG Electronics Inc. -1- Blower
WO2018016883A1 (ko) 2016-07-20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US10605249B2 (en) 2016-07-20 2020-03-31 Lg Electronics Inc. Blower
US10738788B2 (en) 2016-07-20 2020-08-11 Lg Electronics Inc. Blower
US11187240B2 (en) 2016-07-20 2021-11-30 Lg Electronics Inc. Blower
CN106678068A (zh) * 2017-03-12 2017-05-17 金寨硕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温控智能电风扇
WO2019045223A1 (ko) 2017-09-01 2019-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US11067089B2 (en) 2017-09-01 2021-07-20 Lg Electronics Inc. Flow generator
US11300129B2 (en) 2017-09-01 2022-04-12 Lg Electronics Inc. Flow generator
KR102037704B1 (ko) 2018-05-16 2019-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KR20220100780A (ko) * 2021-01-09 2022-07-18 서순례 토양 수분 측정에 따른 회전날개의 회전력 제어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404B1 (ko) 200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404B1 (ko) 선풍기
KR101356648B1 (ko) 컨트롤패널 및 이를 갖춘 세탁기
US10040354B2 (en) Display apparatus
JP2007220537A (ja) 照光式回転操作装置
JP4792831B2 (ja) 計器用表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指針計器
EP3856473B1 (en) Handheld personal care device with a light indicator for indicating an operational condition
JP4287627B2 (ja) 指針式計器
JP2017139174A (ja) 回転操作装置
JP5408086B2 (ja) 表示装置
JP5353766B2 (ja) 指針計器
JP2007017410A (ja) 計器用発光指針及びそれを備えた計器
JP4667896B2 (ja) 指針計器
JP4933069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2006133415A (ja) 表示装置
JP2006300644A (ja) 車両用計器
JP6020048B2 (ja) 計器装置
JP2008209351A (ja) 指針計器
JP3812540B2 (ja) 車両用計器
JP4218604B2 (ja) 車両用指針計器
JP3755469B2 (ja) 車両用指針計器
KR20170051754A (ko) 스마트 채널사인
JP2005345287A (ja) 指針計器
KR20090062366A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02092A (ja) 計器
JP2007132760A (ja) 計器用表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指針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