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400Y1 - 발광 선풍기 - Google Patents

발광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400Y1
KR200419400Y1 KR2020060009537U KR20060009537U KR200419400Y1 KR 200419400 Y1 KR200419400 Y1 KR 200419400Y1 KR 2020060009537 U KR2020060009537 U KR 2020060009537U KR 20060009537 U KR20060009537 U KR 20060009537U KR 200419400 Y1 KR200419400 Y1 KR 200419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lade
fan
mo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게이트
Priority to KR2020060009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6Fans, e.g. ceil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터가 내장된 몸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날개; 날개에 설치되어 빛을 내는 발광소자; 그리고, 날개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날개가 회전하여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센서가 감지한 날개의 회전수에 따라 발광소자의 점멸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이다.
선풍기, 발광, 문자, 도형, 그림, 잔상, LED

Description

발광 선풍기{ELECTRIC FAN EMITTING LIGHT}
도 1은 종래의 발광 선풍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 분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에 구비된 날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 측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에 구비된 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가 문자를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가 도형을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번의 설명>
100-몸체 110-모터
111-회전축 120-배터리
130-스위치 140-전원단자
141-제1 단자 142-제2 단자
200-날개 210-회전부
220-중심부 300-발광소자
400-제어부
본 고안은 발광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날개의 회전수에 따라 점멸하는 발광소자를 지니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하여, 날개의 회전에 따라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발광 선풍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광 선풍기는 모터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몸체(10)와,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는 날개(20)와, 날개(20)에 설치되어 빛을 내는 발광소자(30)로 이루어져, 날개(20)가 회전하여 바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다양한 빛을 내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 선풍기는 날개(20)의 회전에 따라 원형의 형상만을 나타내어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날개의 회전에 따라 점멸되는 발 광소자를 구비한 선풍기를 제공하여, 날개가 회전하면서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등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식별가능한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등을 나타내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하여, 선풍기의 기능이 다양해 지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가 내장된 몸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날개; 날개에 설치되어 빛을 내는 발광소자; 그리고, 날개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날개가 회전하여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센서가 감지한 날개의 회전수에 따라 발광소자의 점멸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소자가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어부가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순차 또는 동시에 점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소자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어부가 날개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오직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 할 수 있는 것이 본 고안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 구성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 분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광 선풍기는 몸체(100)와, 날개(200)와, 발광소자(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모터(110)와 배터리(120)와 스위치(130)를 구비한다. 몸체(100)는 본 실시예에서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도록 중공되되,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100) 상측 내부에 모터(110)가 설치된다. 이때, 모터(110)의 회전축(111)은 몸체(100)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배터리(120)는 몸체(100) 하측에 안착되어 모터(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120)는 소형 건전지가 사용된다. 스위치(130)는 배터리(120)가 모터(110)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몸체(100)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00) 우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스위치(130)는 몸체(100)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에 구비된 날개(20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날개(200)는 모터(110)와 연결되어 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바람을 발생시키는데, 모터(110)에 구비된 회전축(11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날 개(200)는 회전부(210)와 중심부(220)로 이루어지는데, 회전부(210)는 발광소자(300)를 통해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고, 회전시 부상을 방지하도록 탄력을 지니며 구부러지기 쉬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210)는 2엽이 사용되지만, 4엽 또는 8엽 등 다수엽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때, 회전부(210)에는 발광소자(30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210)의 한쪽에만 발광소자(300)가 삽입된다. 이를 위해 발광소자(300)가 삽입되는 회전부(210)는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발광소자(300)가 삽입된다. 여기서, 발광소자(300)는 회전부(210) 내부뿐만 아니라 회전부(210) 외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중심부(220)는 모터(110)의 회전축(111)에 끼워지며 회전부(210)가 장착되고, 내부에 제어부(40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 측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날개(200)에 구비된 중심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모터(110)의 회전축(111)에 전원단자(14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전원단자(140)는 제1 단자(141)와 제2 단자(142)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141)는 모터(110)의 회전축(111)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날개(200)의 중심부(220)와 연결된다. 또한, 제1 단자(141)는 3개의 금속편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며 모터(110)의 회전축(111) 둘레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자(142)는 몸체(100)에 장착된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치(130)와 연결되며, 3개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제1 단자(141)가 회전함에 따라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단자(141) 외면 양측에 닿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자(142)는 'V'자 형상을 이루어 제1 단자(141)에 끼워진 다. 이에 따라, 몸체(100)에서 배터리(120)로부터 스위치(130)를 통해 제2 단자(142)와 제1 단자(141)를 통해 날개(200)의 중심부(220)로 전원이 공급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에 구비된 제어부(40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광소자(300)는 다수개가 날개(200)에 설치되어 빛을 내는데, 본 실시예에서 날개(200)의 중심부(220)에 구비된 제어부(400)와 연결되는 LED로 이루어진다.
제어부(400)는 날개(200)의 중심부(220) 내부에 설치되고, 날개(20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날개(200)가 회전하여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센서가 감지한 회전수에 따라 발광소자(300)의 점멸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모터(110)의 회전축(111)에 설치된 제1 단자(141)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 작용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가 문자를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날개(200)가 회전하고 제어부(400)에 구비된 센서가 날개(200)의 회전수를 감지함과 동시에 제어부(400)가 회전수에 따라 발광소자(300)가 점멸하도록 하여 문자를 표시하는데, 사용자는 안구 내부의 망막이 빛에 의해 자극 받고, 이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잔상으로 인해 문자가 나타나는 것으로 인지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선풍기가 도형을 표시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형을 표시하는 과정 또한 전술된 문자의 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날개의 회전에 따라 점멸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 선풍기를 제공하여, 날개가 회전하면서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식별가능한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등을 나타내는 발광 선풍기를 제공하여, 선풍기의 기능이 다양해 지도록 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모터가 내장된 몸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날개; 날개에 설치되어 빛을 내는 발광소자; 그리고, 날개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날개가 회전하여 기호, 문자, 도형 또는 그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센서가 감지한 날개의 회전수에 따라 발광소자의 점멸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순차 또는 동시에 점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날개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선풍기.
KR2020060009537U 2006-04-10 2006-04-10 발광 선풍기 KR200419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37U KR200419400Y1 (ko) 2006-04-10 2006-04-10 발광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37U KR200419400Y1 (ko) 2006-04-10 2006-04-10 발광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400Y1 true KR200419400Y1 (ko) 2006-06-20

Family

ID=4176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37U KR200419400Y1 (ko) 2006-04-10 2006-04-10 발광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4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68B1 (ko) 2007-04-19 2009-02-17 김문섭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KR100891502B1 (ko) 2007-06-28 2009-04-06 송영웅 선풍기의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를 통해 다양한 문자 표현 방식을 이루는 문자 구현 장치
KR100893404B1 (ko) * 2007-03-26 2009-04-17 이병철 선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04B1 (ko) * 2007-03-26 2009-04-17 이병철 선풍기
KR100883568B1 (ko) 2007-04-19 2009-02-17 김문섭 회전체에 장착되는 잔상표시장치
KR100891502B1 (ko) 2007-06-28 2009-04-06 송영웅 선풍기의 발광다이오드 어셈블리를 통해 다양한 문자 표현 방식을 이루는 문자 구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515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electrically operated devices to a display panel
KR200419400Y1 (ko) 발광 선풍기
WO2009020026A1 (ja) 操作装置
KR200391385Y1 (ko) 잔상을 이용한 다기능 줄넘기
EP2650869A1 (en) Light-emitting display stick
JP2015100385A (ja) 遊技機の可動装飾装置
JP2013236873A (ja) 発光玩具
US8721387B2 (en) Novelty and confection rotating device
JP2023531209A (ja) 視覚的フィードバック手段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US10504394B2 (en) Smart phone fan and LED display
US20140125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s
CN210119722U (zh) 一种外圈转动的旋钮
CN204463668U (zh) 一种电影原理演示装置
KR100754022B1 (ko)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장치
KR101380428B1 (ko) 잔상을 이용한 다기능 줄넘기
US4998364A (en) Visual display and amusement device
GB2406503A (en) A powered toothbrush
KR200355482Y1 (ko) 엘이디 회전 잔상을 이용한 입식 광고장치
KR200373474Y1 (ko) 메시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손목 운동기
JP3111819U (ja) 残像表示機能を備えた携帯用扇風機。
KR20090006217U (ko) 차량용 휠 디스플레이장치
JP2004151293A (ja) 扇風機の羽根の文字又は図形の表示制御装置
KR200424217Y1 (ko) 문양을 구현하기 위한 선풍기의 구동 제어장치
CN104165278A (zh) 手持式便携灯具
KR20190135305A (ko) 잔상표시기능을 갖는 피젯 스피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