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197A -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197A
KR20080086197A KR1020070028046A KR20070028046A KR20080086197A KR 20080086197 A KR20080086197 A KR 20080086197A KR 1020070028046 A KR1020070028046 A KR 1020070028046A KR 20070028046 A KR20070028046 A KR 20070028046A KR 20080086197 A KR20080086197 A KR 2008008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input
password
key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정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6197A/ko
Priority to DE102008015273A priority patent/DE102008015273A1/de
Priority to US12/053,510 priority patent/US20080231477A1/en
Publication of KR2008008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패스워드 입력시에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입력하여 패스워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패스워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입력하게 됨에 따라, 패스워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패스워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롤키, 조그키, 패스워드, 기호, 보안, 스텝 방식, 이동 단말기

Description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Symbol inpu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롤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하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스크롤 동작에 따른 패스워드의 입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단말기 110 : 스크롤키
120 : 표시부 130 : 키입력부
210 : 통신부 220 : 버스
230 : 제어부 240 : 저장부
본 발명은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조그키(Jog key) 또는 스크롤키(Scroll key)가 구비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그키 또는 스크롤키 하나만으로 대부분의 메뉴들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조그키 또는 스크롤키 하나만으로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콜(Call) 수행을 위해 숫자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작성을 위해 문자를 입력하거나,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키패드를 사용해야 했다.
특히, 특정 기능 등에 패스워드를 설정해 둔 경우, 그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패스워드에 해당되는 키버튼을 직접 누르게 됨에 따라 패스워드가 노출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패스워드 입력시에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입력하여 패스워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패스워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은, 스크롤키로부터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스크롤 동작을 기호(Symbol)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롤 동작은 상이나 하 방향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인식하여 화면 상에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스텝에 따른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동작의 하나의 스텝을 비밀번호의 하나의 기호로 인식하여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텝은, 일정한 각도의 회전 동작이 하나의 스텝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 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커서(Cursor)가 이동되며, 상기 스크롤키의 누름 입력시 상기 커서가 위치해 있는 곳에 대응된 기능의 실행을 입력받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텝 방식에 따른 각각의 스크롤 동작시마다 상기 스크롤키의 누름 입력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스크롤 동작과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입력을 혼합하여 입력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상 또는 우 방향 스크롤 동작에 따라 입력 숫자를 상승시키고, 상기 스크롤키의 하 또는 좌 방향 스크롤 동작에 따라 입력 숫자를 하강시키며, 상기 상 방향 스크롤 동작 또는 상기 하 방향 스크롤 동작 후에 상기 스크롤키의 누름 입력으로 상기 상이나 우 방향 스크롤 동작 또는 상기 하나 좌 방향 스크롤 동작에 대응된 숫자를 입력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는 스크롤키;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른 기호(Symbol)의 입력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스크롤 동작을 상기 기호로 인식하고, 상기 기호의 입력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롤키는, 상이나 하 방향 또는 좌나 우 방향으로 스크롤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인식하여,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상기 표시부의 패스워드 입력창에 표시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롤키는 스텝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키의 스텝 횟수를 숫자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숫자를 패스워드로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동작을 기호로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스크롤 동작을 상기 기호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는 스크롤키(110)와, 스크롤 동작에 따른 기호(Symbol)의 입력을 표시하는 표시부(120) 및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롤 동작은 상이나 하 방향 또는 좌나 우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 을 포함하고, 기호는 숫자나 문자 등의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스크롤키(11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우측면 상단에 위치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측면 상단이나 하단 등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키(110)는 스텝(Step) 방식으로 스크롤 동작하며, 스크롤 동작을 제어부(230)로 전달하고, 스크롤 동작 후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키(110)의 눌려짐 동작을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스크롤키(1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그키(Jog key)를 포함한다. 이때, 조그키는 키입력부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정면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b는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롤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통신부(210), 스크롤키(110), 표시부(120), 키입력부(130), 제어부(230), 저장부(240) 및 프로그램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장치는 버스(22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나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패스워드의 입력 상태를 화면 상에 기호 등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키입력부(130)는 문자나 숫자 및 기호에 관한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키입력부(130)는 스크롤키(110)나 조그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여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즉, 키입력부(130)는 패스워드 입력시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문자나 숫자 및 기호에 관한 키버튼 데이터를 제어부(230)로 입력시킨다.
저장부(240)는 패스워드 입력시 스크롤키(110)로부터 입력된 스크롤 동작에 대응된 패스워드 또는 키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문자나 숫자 및 기호에 관한 키버튼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저장부(240)는 다른 저장 영역에 패스워드 입력에 관한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입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크롤 동작에 관한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단말기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130)를 통해 다수의 메뉴 중에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패스워드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S302).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스크롤키(110)를 통해 편리하게 동작하기 위해, 스크롤키(110)를 이용하여 패스워드의 입력이 필요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크롤키(110)의 스크롤 동작을 미리 패스워드로 설정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키(110)의 상이나 하 방향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설정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즉, 스크롤 동작의 한 스텝을 비밀번호의 하나의 기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230)는 패스워드 입력 모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화면을 표시부(130)로 표시함과 더불어 스크롤키(110)와 키입력부(130)를 활성화시킨다(304).
도 4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입력 화면은, 패스워드의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410)과 패스워드의 입력 위치를 가리키는 커서(420)를 포함한다. 또한, 패스워드 입력 화면은 패스워드 입력창(410)에 표시된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기 위한 확인(OK) 버튼과, 입력시키려는 패스워드를 취소하는 취소(Cancel)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창(410)을 확인하면, 스크롤키(110)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방향으로 하강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방향으로 상승 스크롤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5는 하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스크롤키(1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동작이 제어부(230)로 입력된다(S306). 이때, 스크롤 동작은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의 스텝 단위로 입력된다. 또한, 스텝 단위로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이 제어부(230)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텝 단위는 일정한 각도의 회전 동작을 하나의 스텝으로 간주하거나,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멈춤으로 입력된 것을 하나의 스크롤 동작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패스워드 입력 프로그램에 따라 스크롤키(110)로부터 입력된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인식한다(S308).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크롤키(110)를 상 방향으로 한 스텝, 하 방향으로 한 스텝, 상 방향으로 한 스텝, 다시 상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패스워드 입력 모드 상태이므로 스크롤키(110)로부터 입력된 상 방향으로 한 스텝, 하 방향으로 한 스텝, 상 방향으로 한 스텝, 다시 상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인식한다.
제어부(230)는 패스워드로 인식한 상 방향으로 한 스텝, 하 방향으로 한 스텝, 상 방향으로 한 스텝, 다시 상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을 저장부(240)에 버퍼링(Buffering)해 놓는다.
또한,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텝 방식에 따른 각각의 스크롤 동작시마다 스크롤키(110)의 누름 입력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 후 스크롤키(110)를 눌러 입력시키고, 하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 후 스크롤키(110)를 입력시키며, 상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 후 스크롤키(110)를 입력시키며, 다시 상 방향으로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 후 스크롤키(110)를 입력시킬 때, 제어부(230)는 각각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로부터 입력된 스크롤 동작에 관한 패스워드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 상의 패스워드 입력창에 기호 "*"(710)로 표시해 준다(S310). 도 7은 스크롤 동작에 따른 패스워드의 입력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크롤키(110)를 이용하여 패스워드들 입력할 때, 주변의 사람들이 스크롤 동작을 용이하게 인식하지 못하므로, 스크롤키(110)를 이용해 패스워드를 입력함에 따라 패스워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스크롤 동작과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입력을 혼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4 자리의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경우, 처음과 두번째 입력은 각각 상 방향의 한 스텝과 하 방향의 한 스텝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으며, 세번째 입력은 숫자 "8" 버튼을 입력받으며, 네번째 입력은 문자 "ㄷ"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스크롤 동작의 스텝 횟수를 숫자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상 방향 스크롤 동작에 따라 입력 숫자를 상승시켜 표시하고, 스크롤키(110)의 하 방향 스크롤 동작에 따라 입력 숫자를 하강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 방향 스크롤 동작 또는 하 방향 스크롤 동작 후에 스크롤키(110)의 누름 입력으로 상 방향 스크롤 동작 또는 하 방향 스크롤 동작에 대응된 숫자를 입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서의 커서(Cursor)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어느 위치에 커서가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스크롤키(110)의 누름 입력시 커서가 위치해 있는 곳에 대응된 기능의 실행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크롤키(110)를 통해 상 방향으로 한 스텝씩 스크롤 동작하면, 제어부(230)는 도 4에 도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서의 커서를 한 줄 단위로 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하 방향으로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커서를 한 줄 단위씩 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230)는 스크롤키(110)의 좌 또는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서의 커서를 한 칸 단위씩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스크롤키(110)로부터 패스워드에 해당되는 스크롤 동작이 입력되고, 스크롤 동작에 따른 패스워드의 입력이 패스워드 입력창(410)을 통해 표시된 후,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키(110)의 하 방향에 관한 스크롤 동작에 따라 커서가 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확인(OK) 버튼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스크롤키(110)의 누름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스워드에 관한 스크롤 동작을 입력시키는 확인(OK)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패스워드 입력시에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입력하여 패스워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패스워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입력하게 됨에 따라, 패스워드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패스워드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스크롤키로부터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스크롤 동작을 기호(Symbol)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동작은 상이나 하 방향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인식하여 화면 상에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스텝에 따른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동작의 하나의 스텝을 비밀번호의 하나의 기호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일정한 각도의 회전 동작이 하나의 스텝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크롤 동작에 따라 커서(Cursor)가 이동되며, 상기 스크롤키의 누름 입력시 상기 커서가 위치해 있는 곳에 대응된 기능의 실행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상이나 하 또는 좌나 우 방향의 스텝 방식에 따른 각각의 스크롤 동작시마다 상기 스크롤키의 누름 입력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스크롤 동작을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스크롤 동작과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입력을 혼합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키의 상 또는 우 방향 스크롤 동작에 따라 입력 숫자를 상승시키고, 상기 스크롤키의 하 또는 좌 방향 스크롤 동작에 따라 입력 숫자를 하강시키며, 상기 상 방향 스크롤 동작 또는 상기 하 방향 스크롤 동작 후에 상기 스크롤키의 누름 입력으로 상기 상이나 우 방향 스크롤 동작 또는 상기 하나 좌 방향 스크롤 동작에 대응된 숫자를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기호 입력 방법.
  11.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는 스크롤키;
    상기 스크롤 동작에 따른 기호(Symbol)의 입력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스크롤 동작을 상기 기호로 인식하고, 상기 기호의 입력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키는, 상이나 하 방향 또는 좌나 우 방향으로 스크롤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 동작을 패스워드로 인식하여, 상기 패스워드의 입력을 상기 표시부의 패스워드 입력창에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키는 스텝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키의 스텝 횟수를 숫자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숫자를 패스워드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동작을 기호로 설정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에 따라 상기 스크롤 동작을 상기 기호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70028046A 2007-03-22 2007-03-22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KR20080086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46A KR20080086197A (ko) 2007-03-22 2007-03-22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DE102008015273A DE102008015273A1 (de) 2007-03-22 2008-03-20 Eingeben von Informationen unter Verwendung einer Scroll-Taste
US12/053,510 US20080231477A1 (en) 2007-03-22 2008-03-21 Inputting information using a scroll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46A KR20080086197A (ko) 2007-03-22 2007-03-22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197A true KR20080086197A (ko) 2008-09-25

Family

ID=3971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046A KR20080086197A (ko) 2007-03-22 2007-03-22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31477A1 (ko)
KR (1) KR20080086197A (ko)
DE (1) DE1020080152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0263A (zh) * 2011-09-26 2012-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以三维移动轨迹为输入的方法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379B1 (ko) * 2009-05-07 2015-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신호 종류 별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5320415A (zh) * 2014-05-27 2016-02-10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页面跳转方法及系统
CN105278813A (zh) * 2014-07-22 2016-01-27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档显示方法及装置
CN110832554A (zh) * 2017-04-05 2020-02-21 睿能创意公司 载具操作系统及其关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956A (en) * 1994-12-30 1998-10-27 Sony Electronics, Inc. Programmable cellular telephone and system
JPH10289088A (ja) * 1997-04-15 1998-10-2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3416626B2 (ja) * 2000-07-31 2003-06-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識別情報入力装置
US7308652B2 (en) * 2001-06-08 2007-12-11 Lenovo Singapore Pte. Ltd Entry of a password through a touch-sensitive computer screen
US7092495B2 (en) * 2001-12-13 2006-08-15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7403977B2 (en) * 2003-10-14 2008-07-22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having hinting capabilities for operation function selection
JP2005208194A (ja) * 2004-01-21 2005-08-0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影装置
US7808480B2 (en) * 2005-10-28 2010-10-05 Sap Ag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input
US8311530B2 (en) * 2007-01-26 2012-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 entry of password on a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0263A (zh) * 2011-09-26 2012-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以三维移动轨迹为输入的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15273A1 (de) 2008-09-25
US20080231477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381B2 (en) User interface
US20110247065A1 (en) Simultaneous screen unlock and operation initiation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68491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EP2282257A2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5762850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80086197A (ko)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KR101608799B1 (ko)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0653784B1 (ko) 다중 출력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JP5507829B2 (ja) 電子機器
US20150123916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ethod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218820B1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665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트로크 인식 인터페이스 입력방법
JP6724871B2 (ja) 表示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4132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배열형의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JP2011060166A (ja) 携帯端末装置
JPWO2007099728A1 (ja) 携帯端末機および入力受付方法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100765218B1 (ko)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JP5189706B1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携帯端末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756343B2 (ja) 携帯機器および携帯機器における入力情報設定方法
US20150248545A1 (en) Sign shortcut
JP4697816B2 (ja) 入力制御装置
JP3866584B2 (ja) 端末装置、スクロール開始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