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136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136B1
KR100584136B1 KR1020040057084A KR20040057084A KR100584136B1 KR 100584136 B1 KR100584136 B1 KR 100584136B1 KR 1020040057084 A KR1020040057084 A KR 1020040057084A KR 20040057084 A KR20040057084 A KR 20040057084A KR 100584136 B1 KR100584136 B1 KR 10058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p
shortcut
setting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396A (ko
Inventor
윤석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136B1/ko
Priority to CNA2005100017338A priority patent/CN1725786A/zh
Publication of KR2006000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핫키 : HOT KEY핫키) 설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축키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맵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 후 상기 맵에 설정하고자 하는 단축명령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단축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단축키의 키맵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및 단축키 기능 설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구동명령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단축키 명령을 상기 키맵데이터에 갱신 등록하는 명령처리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단말기, 단축키,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축키맵, 단축키설정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An apparatus to set up the ho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축키 설정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단축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키맵화면을 나나태는 도면이며,
도3은 상기 키맵화면의 특정 맵에 단축명령을 설정하기 위한 단축명령 입력 화면이고,
도4는 단축키 설정을 위한 멀티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부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로세서 110 : LCD제어부
120 : 키패드제어부 130 : 명령처리부
200 : LCD 300 : 키패드
400 : 외부저장부
본원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핫키 : hot key) 설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축키 설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맵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 후 상기 키맵에 설정하고자 하는 단축명령 및 해당 단축키로 사용될 맵 또는 키 버튼을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맵 또는 키 버튼을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이동통신시스템의 발달과 더불어 발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신 및 문자메시지의 전송은 물론, 에이오디(AOD), 브이오디(VOD) 서비스, 전자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기능에서 현저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상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은 LCD 출력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선택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한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단계의 메뉴화면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주 사용되는 기능 또는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단축키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이용편리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는 키패드의 설계에 따라 고정되는 키맵데이터를 가지며 키맵데이터를 변경하는 경우 키패드를 다시 설계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대부분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검색한 후 검색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등의 여러 절차의 제어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의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는, 단축키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키맵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및 단축키 기능 설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구동명령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키맵데이터의 갱신에 의한 단축키 기능설정 및 설정된 단축키의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명령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분할된 영역 각각을 맵으로 가지는 키맵화면과, 상기 키맵화면의 맵 선택에 따라 각각의 맵에 설정될 단축키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키 기능 메뉴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맵은 맵 자체가 단축키 버튼으로 기능할 수 있고, 키패드부의 특정 키를 상기 맵에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축키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키맵데이터는 맵의 위치 정보 또는 맵에 대응되는 키 정보를 포함하는 키맵정보와 상기 맵에 대응되는 단축기능제어명령정보를 가진다.
상기 키패드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을 위한 키맵설정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한 후 맵 또는 키패드부의 특정키에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원발명의 단축키 설정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단축키 설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축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LCD(200)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30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키맵이 저장되는 저장부(400)를 구비하며, LCD제어부(110)와 키패드제어부(12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선택 명령을 실행하고, 사용자 설정 단축키 제어명령을 키맵데이터에 갱신 등록하는 명령처리부(130) 등을 구비한 프로세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프로세서(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통화연결을 위한 호제어를 수행하는 호제어부와,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모뎀부, 마이크, 스피커 또는 리시버, 오디오 신호처리부 및 RF통신을 위한 RF통신부 등을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명백하므로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술한 프로세서(100)의 구성 중 LCD제어부(110)는 프로세서(100)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처리과정, 키패드(300)로부터 입력되는 키입력에 따른 커서의 이동, 메뉴화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의 LCD(200) 출력화면을 제어한다. 키패드제어부(120)는 키패드(300)로부터 입력되는 키 값들의 조합에 따른 명령을 해석하여 프로세서(100) 내부에서 실행되는 제어명령의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명령처리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하여 LCD(200)에 출력하고 키패드제어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키맵 설정 정보에 따라 키맵 데이터를 갱신하여 키패드의 특정키 또는 키맵의 특정 맵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로 설정한다. 그리고, 키맵에 등록된 해당 단축기능을 가지는 맵 또는 키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명령처리부(130)가 키맵데이터에 등록된 제어명령으로서 도1의 도면부호 140의 블록에 기재된 것과 같은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모듈)의 구동을 위해 키패드(300)에는 키맵설정버튼(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거나,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설정 메뉴에 키맵 설정을 위한 기능 선택 메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맵의 특정 맵(영역)이 단축키로 설정된 후에는 키맵 설정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시킨 후 해당 맵을 선택함으로써 단축키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외부저장부(400)는 프로세서(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플래시메모리와 프로세서(100)에 의해 소프트웨어가 구동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할당된 작업 영역으로 로딩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외부저장부(400)에는 본원발명의 특징으로서의 단축키 설정을 위한 키맵화면과 단축키 기능 설정 메뉴 등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모듈)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정되는 단축키의 맵 정보 및 해당 맵에 할당된 단축키 기능을 위한 제어명령을 가지는 키맵데이터가 저장된다. 상술한 키맵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 구동시에 외부저장부(400)의 플래시메모리로부터 램으로 로딩되어 실행됨으로써 각각의 맵 및 키패드부의 키버튼의 선택 시 각각에 설정된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도2 및 도3은 단축키 설정을 위한 키맵을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과 키맵의 특정 맵에 단축키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단축키 기능 설정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키 맵 설정버튼 또는 메뉴화면의 키 맵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모듈)가 구동되어 초기 화면으로서의 키맵화면(210)이 출력된다. 키맵화면(210)에는 분할된 영역 각각에 할당된 맵과 맵의 단축키 기능 편집을 위한 메뉴가 구비된다. 상기 메뉴에는 단축키 기능의 편집, 삭제, 설정 등의 하부메뉴를 가지며, 메뉴의 하부메뉴에서 편집을 선택하면 도3과 같이 모네타, K-MERCE와 같은 전자상거래 관련 기능 설정, GPS 기능 설정 등의 기능설정화면이 출력된다. 도3에 출력된 각각의 기능메뉴는 모네타의 경우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 출력, GPS의 경우 시간 또는 위치 정보 출력 등의 기능을 위한 하부 메뉴가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키 기능 설정을 위한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도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패드에 설정된 키맵설정버튼 또는 메뉴에 구성되는 키 맵 설정메뉴를 선택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맵화면(210)이 출력된다. 사용자가 LCD(200)에 출력된 키맵화면(210)에서 키패드의 화살표 키 등을 이용하여 맵을 선택하고 메뉴의 하부메뉴 중 편집을 선택하게 되면 맵에 단축키 기능 설정을 위한 단축키 기능메뉴가 도3과 같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단축키의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맵에 대한 단축키 기능으로 설정한다. 이와 달리, 이동통신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는 단축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단축키의 기능을 매크로형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축키의 기능을 설정하고 도3의 화면에 도시된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명령처리부(130)가 외부저장부(400)에 저장된 키맵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각각의 맵에 대한 단축키 기능이 설정된다. 사용자는 상술한 설정에 의해 특정 맵을 특정 기능을 위한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단축키의 기능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네타, K-MERCE 등의 전자결제 기능, GPS 표시 기능 등일 수 있으며, 음성의 녹음-저장, 텔레뱅킹을 이용한 계좌이체를 위한 인터넷 접속 및 인증정보 입력화면 출력 등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맵이 단축키로 설정된 후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여 해당 맵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맵의 단축키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맵은 사용자가 설정한 단축키의 기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문 자, 아이콘 등의 단축키 기능 정보표시가 맵상에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는 달리 문자, 아이콘 등의 단축키 기능 정보표시가 각각의 맵상에 출력되는 키맵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부에 바탕화면으로 항상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본원 발명의 단축키 기능 설정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맵과 키패드의 멀티버튼(310)의 영역을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키 패드의 멀티버튼(310)의 특정 영역에 단축키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300)에는 눌림의 위치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버튼(310)과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화살표 버튼(320)및 숫자, 문자 등이 할당된 다수의 키버튼(330)이 구비된다.
상술한 멀티버튼(310)은 세개의 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영역(311)을 가지고 4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버튼영역(311)에는 숫자가 표시되며, 해당 숫자는 도2에서와 같이, 각각의 맵1 내지 맵12에 대응된다. 도4의 키패드의 구성은 본원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본원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키맵을 이용한 단축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각각의 맵에 단축키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해당 단축키의 기능이 도4에 도시된 멀티버튼(310)의 각각의 버튼영역에 할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버튼(310)의 버튼영역(311)을 누름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임의로 단축키를 설정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단축키의 설정은 멀티버튼의 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패드의 특정키를 단축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2 내지 도3의 단축키 기능을 가지는 맵이 선택되거나, 도4의 단축키로 설정된 멀티버튼(310)의 특정 버튼영역(311)이 눌려지게 되면, 단축키에 설정된 기능 명령이 실행됨으로써, 도1의 도면부호 140으로 표시된 블록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네타 서비스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 등을 위한 모네타서비스의 구동, GPS 정보 출력, 개인 보안 설정을 위한 프라이버시 설정 화면, 공과금의 자동 납부 화면 출력 등의 단축키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해당 키 버튼 또는 맵에 매크로형태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순차적으로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축키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성 및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단축키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키맵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및 단축키 기능 설정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구동명령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동, 키맵데이터의 갱신에 의한 단축키 기능설정 및 설정된 단축키의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명령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분할된 영역 각각을 맵으로 가지는 키맵화면과, 상기 키맵화면의 맵 선택에 따라 각각의 맵에 설정될 단축키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키 기능 메뉴화면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이 단축키 버튼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맵은 단축키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키 기능정보표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맵화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맵에 지정된 단축키 기능은 상기 키패드부의 키 버튼 중 어느 하나에 지정되어 상기 키 버튼의 키입력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맵데이터는 상기 키맵정보, 상기 맵에 대응되는 단축기능제어명령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맵데이터는 상기 맵에 대응되는 키버튼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부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동을 위한 키 맵설정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1020040057084A 2004-07-22 2004-07-22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100584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84A KR100584136B1 (ko) 2004-07-22 2004-07-22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CNA2005100017338A CN1725786A (zh) 2004-07-22 2005-01-14 移动通信终端的快捷键设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084A KR100584136B1 (ko) 2004-07-22 2004-07-22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396A KR20060008396A (ko) 2006-01-26
KR100584136B1 true KR100584136B1 (ko) 2006-05-26

Family

ID=3592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084A KR100584136B1 (ko) 2004-07-22 2004-07-22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4136B1 (ko)
CN (1) CN17257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5659B (zh) * 2006-02-20 201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实现快捷开启和关闭应用程序的方法
KR100760365B1 (ko) * 2006-07-10 2007-09-20 온타임텍 주식회사 키 맵을 설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79130B1 (ko) * 2006-11-30 2007-11-23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사용자 정의 한글 텍스트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장치
KR100827123B1 (ko) * 2006-12-28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핫키 지정 및 표시 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KR101357610B1 (ko) * 2007-11-16 2014-02-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CN102196162A (zh) * 2010-03-08 2011-09-21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提供使用者定义热键组合的方法及摄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47A (ko) * 2000-07-31 2002-02-07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47A (ko) * 2000-07-31 2002-02-07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5786A (zh) 2006-01-25
KR20060008396A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JPWO2008010432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101161763B1 (ko) 개선된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처리 장치
JPH08237338A (ja) セルラー電話機用ローラーバーメニューアクセス装置及び方法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JP5507829B2 (ja) 電子機器
JPH1023117A (ja) 携帯電話装置
KR200500828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설정 방법
KR20030055855A (ko)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1004132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배열형의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JP3354549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607927B1 (ko) 특정 메뉴 구동용 휴대형 단말기 및 메뉴 구동 방법
WO2010035774A1 (ja) 電子機器
KR100417194B1 (ko) 이동 전화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90063455A (ko) 터치스크린 동작 인식을 이용한 기능키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60056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JP2000091940A (ja) 携帯無線機
KR100806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20000056153A (ko) 터치스크린패널 입력을 통해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표시 상태 제어 방법
KR100664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용구 입력 방법
KR100603441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키를 이용한 옵션 메뉴 제어방법
KR100685792B1 (ko) 소프트웨어적인 포인팅 입력 기능 제공 방법 및 그를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KR20030086123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060012392A (ko) 핫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핫키 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