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610B1 -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610B1
KR101357610B1 KR1020070117460A KR20070117460A KR101357610B1 KR 101357610 B1 KR101357610 B1 KR 101357610B1 KR 1020070117460 A KR1020070117460 A KR 1020070117460A KR 20070117460 A KR20070117460 A KR 20070117460A KR 101357610 B1 KR101357610 B1 KR 10135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ortcut
wireless internet
content
shortc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819A (ko
Inventor
이근우
서태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6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61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인터넷 신속한 접속을 위한 단축키 정보 등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측에서 관리하므로 단말기를 교체한 경우라도 사용자 식별정보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라면 별도의 조치 없이도 단말기를 교체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정보의 갱신을 통해 역시 전화번호를 변경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가 관리 등의 이유로 URL 등과 같은 콘텐츠 정보를 변경한 경우에도 콘텐츠 정보 갱신 과정을 거치면 콘텐츠 정보가 변경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선 인터넷, 즐겨찾기, 단축키 접속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MANAGEMENT APPARATUS FOR SHORTEN KEY OF WIRELESS INTERNE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USING THE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단축키를 이용하여 접속 절차를 단순화하는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러한 단축키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실현되었으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동 통신 단말 기 등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키를 눌러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한다. 그리고 나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의 메뉴 중에서 원하는 종류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 내에서 제공하는 하위 메뉴 및 그의 하위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그런데, 이러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시작으로 많은 종류의 키를 눌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원하는 무선 인터넷 컨텐츠에 이르기까지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무선 인터넷 접속 시간이 길어져서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고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느끼도록 만드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무선 인터넷의 이용이 익숙한 10대 내지 20대 초반의 사용자층이 아닌 익숙하지 못한 20대 후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는 이러한 단점은 무선 인터넷의 사용 자체에 대한 어려움 또는 거부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자마다 자신의 취향에 따라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의 종류가 정해져 있으며, 예컨대, 어떤 사용자는 주로 게임을 즐기고 어떤 사용자는 벨소리를 바꾸기 위한 벨소리 컨텐츠 다운로드를 주로 이용하며, 어떤 사용자는 주식 정보 제공 서비스를 주로 이용한다. 그런데,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러한 사용자마다의 상이한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즉, 사용자마다 상이한 취향과 관계없이 최초로 접속되는 무선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는 자체적으로 제작된 메인 화면이 먼저 제공되고, 이 메인 화면 내에서 순차적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찾아내야 한다. 따라서, 매 접속시마다 새로이 자신이 원하는 하위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한 많은 키 조작을 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선 인터넷 재접속시에 사용자가 이전에 접속하였던 최종 화면이 최초의 표시 화면이 되도록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더라도,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재접속시에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최종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에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다시 메인 화면 또는 상위 화면으로 돌아간 뒤에 원하는 화면을 찾아가야 하므로, 오히려 조작 회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브라우저에 채택된  즐겨찾기  기능 또한 무선 인터넷 접속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즐겨찾기 기능은 사용자가 자주 접속하는 소정 개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미리 등록해 둠으로써,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① 핫 키 를 눌러 디스플레이 되는 모바일 브라우저의 기능 메뉴 중, ② 즐겨찾기  버튼을 눌러 그때 디스플레이 되는 기 등록된 사이트 중, ③원하는 한 사이트를 선택하여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3단계 절차를 거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즐겨 찾기에 접속하려면,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한 다음→메뉴→즐겨찾기 리스트 보기→항목(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선택 등 4번의 키 입력을 이용하여 접속하거나 무선 인터넷 대기 화면에서 메뉴 키→주 메뉴 선택→즐겨찾기→항목 선택 등 4번의 키 입력을 이용하여 접속하였 으므로 여전히 즐겨찾기 접속에 번거로움이 많았다.
한편, 전술한 무선 인터넷 접속의 번거로움 등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URL에 대응하는 접속 번호를 단말기의 폰 북에 저장하고, 스피드 다이얼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안이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라 URL에 대응하는 접속 번호를 단말기의 폰 복에 저장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안은 무선 인터넷 접속 측면만을 고려하면 접속 절차의 단순화에 의해 빠른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단말기에 접속 번호가 저장되므로 동일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단말기를 교체한 경우에는 폰 북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안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가 관리 등의 이유로 URL을 변경한 경우에는 폰 북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안을 이용하더라도 희망하는 URL, 즉 희망하는 콘텐츠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새로운 무선 인터넷 접속 방안으로서, URL에 대응하는 단축키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측에서 관리하여 URL과 사용자 식별정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러한 단축키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획득하는 단축키 등록부와, 상기 단축키 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등록하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단축키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단축키를 검색해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희망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콘텐츠 정보 검색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갱신부를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기로 제 1 관점에 의하면, 상기 단축키 관리 장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갱신하는 콘텐츠 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전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대응하는 콘텐츠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축키 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축키 관리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겨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하기로 제 2 관점에 의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희망 콘텐츠를 즐겨찾기 메뉴에 미리 등록한 후에 상기 즐겨찾기 메뉴를 통해 상기 희망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즐겨찾기 관리장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제 2 관점에 의하면, 상기 단축키 관리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획득하는 단축키 등록부와, 상기 단축키 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등록하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단축키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단축키를 검색해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희망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콘텐츠 정보 검색부를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기로, 상기 단축키 관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갱신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으로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화면상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단축키의 등록이 요청되면 현재의 콘텐츠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이 요청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이전 단계에서 등록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검색한 후에 검색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축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이전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단축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추출한 후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등록이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기로 제 3 관점에 의하면,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신속한 접속을 위한 단축키 정보 등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측에서 관리하므로 단말기를 교체한 경우라도 사용자 식별정보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라면 별도의 조치 없이도 단말기를 교체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아울러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정보의 갱신을 통해 역시 전화번호를 변경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가 관리 등의 이유로 URL 등과 같은 콘텐츠 정보를 변경한 경우에도 콘텐츠 정보 갱신 과정을 거치면 콘텐츠 정보가 변경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단축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채택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300)은 서비스 서버(310), 단축키 관리장치(320), 즐겨찾기 관리장치(330)를 포함하며, 이동 통신망(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COMO사의 i-Mode 또는 에스케이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통해 이동 통신망(200)을 경유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30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이동 통신망(200)은 이동 단말기(100)에게 음성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 통신망(200)은 IS-95A 망, IS-95B 망, IS-95B 망에서 진화한 IS-95C 망, IMT-2000 망(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예컨대, CDMA2000 1X, 3X, EV-DO, WCDMA 등), HSDPA 망, GSM 망은 물론이고 제 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망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310)는 이동 통신망(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며,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단축키 관리장치(320)와의 연동을 통해 단축키를 이용하 여 대응하는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며, 즐겨찾기 관리장치(330)와의 연동을 통해 희망 콘텐츠를 즐겨찾기 메뉴에 미리 등록한 후에 해당 메뉴를 통해 희망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한다.
단축키 관리장치(320)는 이동 단말기(100)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희망 콘텐츠 정보(예로서, URL)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며,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단축키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등록 콘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310)에게 전달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등록 콘텐츠에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단축키 관리장치(320)는 이동 통신망(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게 단축키 관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며, 단축키 관리 모드에서 사용자 식별정보(예로서, 전화번호)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한다.
또한, 단축키 관리장치(320)는 서비스 서버(310)에게 콘텐츠 정보 관리 모드를 제공하며, 콘텐츠 정보 관리 모드에서 콘텐츠 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콘텐츠 정보를 갱신한다.
즐겨찾기 관리장치(330)는 서비스 서버(310)와의 연동을 통해 희망 콘텐츠를 즐겨찾기 메뉴에 미리 등록한 후에 해당 메뉴를 통해 희망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축키 관리장치(32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축키 관리장치(320)는 단축키 등록부(321),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 콘텐츠 정보 검색부(325), 콘텐츠 정보 갱신부(327)를 포함한다.
단축키 등록부(321)는 이동 단말기(100)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희망 콘텐츠 정보(예로서, URL)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한다.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는 단축키 등록부(321)의 요청에 따라 희망 콘텐츠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콘텐츠 정보 검색부(325)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 기 저장된 단축키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면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서 해당 단축키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추출한 후에 서비스 서버(310)로 전달한다.
콘텐츠 정보 갱신부(327)는 단축키 관리 모드에서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며, 콘텐츠 정보 관리 모드에서 콘텐츠 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콘텐츠 정보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키를 선택하면 클릭하면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가 구동(S401)되어 이동 통신 망(200)을 통해 서비스 서버(31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초기 화면에 접속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 화면을 탐색(S403)하여 희망하는 콘텐츠 화면상에서 즐겨찾기 관리장치(330)에 의해 제공되는  즐겨찾기  메뉴를 선택하여 등록을 요청(S405)하면 즐겨찾기 관리장치(330)는 이동 단말기(110)의 식별정보와 현재 콘텐츠 화면의 콘텐츠 정보를 즐겨찾기 정보로 등록하거나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즐겨찾기 정보를 갱신(S407)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즐겨찾기로 등록한 콘텐츠 화면에 접근할 때에는  즐겨찾기  메뉴를 통해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S409)한 후에 자신이 지정하고자 하는 단축키를 입력하면 단축키 등록부(321)는 콘텐츠 정보(예로서, URL)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하여 해당 단축키를 등록(S411)한다. 만약 동일한 콘텐츠 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단축키 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계 S405 및 S407을 통해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들의 즐겨찾기 메뉴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즐겨찾기와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 접속 방안을 접목한 것으로서,  즐겨찾기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S403 이후에 단계 S409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단축키를 이용 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단계 S409에서 등록한 단축키의 입력과 함께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에 해당된 특정 키를 선택하면 입력된 단축키가 이동 통신망(200)을 통해 단축키 관리장치(320)로 전송(S501)되며,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가 구동(S503)된다.
콘텐츠 정보 검색부(325)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식별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등록된 단축키들 중에서 단계 S501에서 입력된 단축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S505)하며, 단축키가 추출되면 해당 단축키로 등록된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서버(310)로 전달한다. 즉 해당 단축키에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가 존재(S507)할 경우에 해당 정보를 서비스 서버(310)로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10)는 단축키 관리장치(320)로부터 전달받은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무선 인터넷 콘텐츠를 이동 통신망(2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게 제공(S509)한다.
만약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를 검색하였으나 해당 단축키가 미등록되어 콘텐츠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면 단축키 관리장치(320)를 이를 서비스 서버(310)에 통보하며, 서비스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에게 오류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무선 인터넷의 초기 화면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오류 메시지를 먼저 제공한 후에 무선 인터넷의 초기 화면을 제공(S511)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단 축키 관리장치(320)에 의해 서비스 서버(310)를 통해 제공되는 단축키 관리 모드 메뉴를 선택한 후에 사용자 식별정보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단축키 관리 모드에서 사용자 식별정보인 전화번호의 변경 등록을 요청한다. 그러면 단축키 관리장치(320)는 변경되기 이전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변경되기 이전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콘텐츠 정보 갱신부(327)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를 검색하여 변경되기 이전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며, 단축키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모든 단축키 정보에 대해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전화번호로 변경 저장하며,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 식별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전화번호의 변경 없이 단말기만 교체한 경우에 단축키 관리장치(320)는 전화번호를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어떠한 갱신 과정이 없이도 본 발명에 의한 단축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가 관리 등의 이유로 특정 콘텐츠의 URL을 변경한 경우에는 단축키 관리장치(320)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 관리 모드(S701)에서 콘텐츠 정보의 변경을 요청(S703)한다.
그러면, 콘텐츠 정보 갱신부(327)는 변경되기 이전의 콘텐츠 정보와 변경된 콘텐츠 정보의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서비스 서버(310)로부터 변경되기 이전의 콘텐츠 정보와 변경된 콘텐츠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단축키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되어 있는 변경되기 이전의 콘텐츠 정보를 검색(S705)하여 변경된 콘텐츠 정보로 갱신(S707)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가 관리 등의 이유로 특정 콘텐츠의 URL를 변경한 경우라 할지라도 변경되기 이전과 동일하게 단축키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CDMA망, W-CDMA망, HSDPA망, GSM망 등은 물론이고 제4세대를 포함하여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채택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축키 관리장치의 세부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단축키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단축키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접속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콘텐츠 정보를 갱싱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310 : 서비스 서버
320 : 단축키 관리장치 321 : 단축키 등록부
323 : 단축키 데이터베이스 325 : 콘텐츠 정보 검색부
327 : 콘텐츠 정보 갱신부 330 : 즐겨찾기 관리장치

Claims (11)

  1. 이동 단말기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획득하는 단축키 등록부와,
    상기 단축키 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등록하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단축키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단축키를 검색해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희망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콘텐츠 정보 검색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갱신부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갱신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
  4.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축키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전달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대응하는 콘텐츠에 접속되도록 하는 단축키 관리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단축키 관리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희망 콘텐츠를 즐겨찾기 메뉴에 미리 등록한 후에 상기 즐겨찾기 메뉴를 통해 상기 희망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즐겨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즐겨찾기 관리장치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관리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희망 콘텐츠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등록을 요청할 때에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획득하는 단축키 등록부와,
    상기 단축키 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희망 콘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등록하는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단축키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단축키를 검색해 대응하는 콘텐츠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희망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콘텐츠 정보 검색부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관리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축키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갱신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9. 무선 인터넷 서비스 화면상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단축키의 등록이 요청되면 현재의 콘텐츠 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 및 단축키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이 요청된 단축키가 입력되면 이전 단계에서 등록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검색한 후에 검색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단축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이전 단계에서 검색된 상기 단축키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콘텐츠 정보를 추출한 후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등록이 요청된 콘텐츠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일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콘텐츠 정보의 변경 등록을 요청하면 상기 단축키 정보와 함께 기 등록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KR1020070117460A 2007-11-16 2007-11-16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35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60A KR101357610B1 (ko) 2007-11-16 2007-11-16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60A KR101357610B1 (ko) 2007-11-16 2007-11-16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19A KR20090050819A (ko) 2009-05-20
KR101357610B1 true KR101357610B1 (ko) 2014-02-05

Family

ID=4085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60A KR101357610B1 (ko) 2007-11-16 2007-11-16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6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727A (ko) * 1998-06-23 2000-01-15 윤종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단축키 운용방법
KR20060008396A (ko)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20060058588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무선 인터넷 콘텐츠에 접속하는 방법
KR100738042B1 (ko) * 2006-06-27 2007-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727A (ko) * 1998-06-23 2000-01-15 윤종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단축키 운용방법
KR20060008396A (ko) * 2004-07-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20060058588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무선 인터넷 콘텐츠에 접속하는 방법
KR100738042B1 (ko) * 2006-06-27 2007-07-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19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7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retrieving information service on mobile terminal
KR100854332B1 (ko)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N101820452B (zh) 一种获取联系人相关信息的方法及移动终端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0838993B1 (ko) 전화번호부 온라인 공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650945B1 (ko) 목표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목표 공유 서비스 방법
KR101357610B1 (ko)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62229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을이용하는 방법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585920B1 (ko) 무선 통신 환경에서 멀티 패스에 대한 상위 유알엘 주소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5208941A (ja) サーバシステム、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59265A (ko) 정보 제공 장치,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실행 방법, 이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방법
KR101747427B1 (ko)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0886763B1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34951A (ko) 이동 통신 장치를 이용한 전화 번호 정보 검색 시스템 및그 검색 방법
KR20080083742A (ko) 폰북 사진 설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62514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JP2005031906A (ja)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セス共有サーバ装置
KR10068766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US20080319963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Private Page
KR20010084474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열에 의한 인터넷 접속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70919B1 (ko) 무선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057385A (ja) 携帯端末装置用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用情報提供サーバ
KR100995871B1 (ko)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