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681A - 쇼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681A
KR20080085681A KR1020080017495A KR20080017495A KR20080085681A KR 20080085681 A KR20080085681 A KR 20080085681A KR 1020080017495 A KR1020080017495 A KR 1020080017495A KR 20080017495 A KR20080017495 A KR 20080017495A KR 20080085681 A KR20080085681 A KR 20080085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ntent
service reques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186B1 (ko
Inventor
신성국
이상권
최혁승
한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15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14995A1/en
Priority to US12/531,932 priority patent/US20100153233A1/en
Priority to EP08723562A priority patent/EP2137683A4/en
Publication of KR2008008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25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display capabilities, e.g. screen resolution of a mobile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권한을 바탕으로 서비스 요청 결과에 따라 소정의 통신 망을 연결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을 구성하여 해당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공하는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쇼핑, 컨텐츠, 정보 교환

Description

쇼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본 발명은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권한이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되고, 제어 권한을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어 권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인쇄 해상도 중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이 발전되어 감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물품을 구입하거나, 기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인터넷사이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사이트는 인터넷서버에 로딩된 것으로, 고객들은 웹 브라우저가 탑재된 인터넷단말기(PC나 휴대폰과 같은 인터넷용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인터넷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사이트의 인터페이스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넷서버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며, 상기 인터넷사이트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링크된 다양한 링크버튼이 구비되 어, 인터넷서버, 즉,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은 인터넷사이트에 구비된 링크 버튼을 클릭하여,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통상적으로 B2B 또는 B2C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기업과 기업간 또는 기업과 개인(고객)간의 거래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판매자가 판매할 물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인터넷사이트에 로딩함과 동시에, 이 인터넷사이트에 주문시스템과 결제시스템을 탑재하여,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이 인터넷, 즉, 온라인 상에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필요에 따라,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거래는 일반적인 물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보험상품이나, 여행상품을 거래하거나, 예약을 하는 등과 같이, 인터넷상에서 무형의 서비스를 구매할 수도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고객의 취향이 다양해져 감에 따라, 인터넷사이트에 로딩된 정보만으로는 고객이 자신에게 적합한 물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객은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세세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데 반해, 인터넷사이트에는 상품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만이 로딩되어 있으므로, 고객이 해당물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특히, 보험상품이나 여행상품과 같이, 각 상품마다 조금씩 차이점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공개 번호: 2001-0077585) "전자상거래의 구매자 상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매자가 상담을 원할 경우, 인터넷 폰에 의해 연결된 구매자와 상담자가, 동일화면을 보면서 서로의 의견을 상대방에게 용이하게 이해시키며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한 전자상거래의 구매자 상담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국 공개 특허(공개 번호: 2002-0023695) "웹 화면 공유를 통한 쇼핑 상품 검색 및 쇼핑 정보 교환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화면의 공유 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전자상거래 서버에 접속하여, 쇼핑 상품의 검색 및 쇼핑 정보의 교환을 통해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관련 기술들에서는 구매자와 상담자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통해 쇼핑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여 소정 상품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 지는데, 이러한 기술들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의 요청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쇼핑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무관하게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어 권한이 소정 통신 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되고,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와 쇼핑 도우미간에 실시간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쇼핑 도우미는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해상도 및 인쇄 해상도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듈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공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 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쇼핑 도우미의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컨텐츠 재구성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의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공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쇼핑 도우미의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쇼핑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제어하거나 다단계의 메뉴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결과들이 서비스를 요청한 디스플레이 장치 별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원격지에 위치하여 소정 통신 망(120)으로 연결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상적인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및 케이블 방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송을 송출하는 헤드 엔드(Head End, 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로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 대해 소정 서비스를 요청 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부터 헤드 엔드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 엔드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는 "제 1컨텐츠"라 칭하고, 헤드 엔드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컨텐츠는 "제 2컨텐츠"라 칭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리모컨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버튼 등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 1컨텐츠 또는 제 2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서비스 요청시, 사용자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는 사전에 미리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여 서비스 요청시에는 별도로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 대한 서비스 요청은 사용자(110)가 구비하는 입력 모듈(미도시, 예를 들어, 리모컨)을 통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통신 망(12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컨텐츠 제공 장치(130)를 연결하는 통신 망(120)은 통상적인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망, 전력선 통신 망 및 이동 통신 망 중 어느 하 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망(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의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권한을 전송하는 것으로 해당 정보들을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수신된 제어 권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델명, 버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전송되면,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고유한 식별 정보(이하, "서비스 요청 ID"라 함)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ID는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유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상태 정보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해당 서비스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서비스 상태 정보로는 "서비스 요청 상태", "서비스 대기 상태", "서비스 연결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110) 인증은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미도시)을 통해 이루어진 인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110)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 요청 ID,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컨텐츠 제공 장치(130) 또는 쇼핑 도우미(140)가 구비하는 소정 장치(예를 들어, PC)를 통해 쇼핑 도우미(140)에게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 쇼핑 도우미(140)는 공중 전화 교환 망, VoIP 및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쇼핑 도우미(140)가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이전에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라면, 쇼핑 도우미(140)는 사용자(110)의 연결시까지 남은 대기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게 되고,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전송된 대기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송받은 대기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110)가 쇼핑 도우미(140)와 연결될때까지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대기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 쇼핑 도우미(140)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가 서비스 요청 전송시에 서비스 요청 ID, 사용자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쇼핑 도우미(140)로 서비스 요청 ID만을 전송하고, 쇼핑 도우미(140)가 사용자(110)와의 연결 시도 및 사용자(11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요청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쇼핑 도우미(140)가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이전에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가 아니라면, 쇼핑 도우미(140)는 전술한 다양한 연결 방법을 통해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시도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110)와 실시간으로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쇼핑 도우미(140)로부터 사용자(110)에게 연결이 요청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의류 판매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해당 의류에 대한 사용자(110) 연출 방법과 같은 정보를 원할 경우 입력 모듈을 통해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 제어 명령 입력은 사전 설정된 단축 키 입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요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제공하고, 해당 정보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이들 정보를 참조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인증 결과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 요청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요청 ID와 함께 사용자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그리고 컨텐츠 정보를 쇼핑 도우미(140)에 전 송하여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의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의 정보 교환으로 서비스 요청 정보를 획득한 쇼핑 도우미(140)는 획득된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쇼핑 도우미(140)는 사용자(110)와 연결이 이루어지면,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획득한 제어 권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서는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연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제어 권한에 따라 사용자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예를 들어, 모델명, 버전, 화면 해상도, 인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등)를 참조하여 사용자(110) 별 맞춤 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11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에 대한 소정 정보(예를 들어, 채널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전술했듯이, 채널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이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에 무관한 서비스 요청인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요청 단축 키에 소정의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정보를 등록을 함으로써 서비스 요청 시 사전 등록된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서비스가 요청된다.
한편, 사용자(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요청을 통해 해당하는 시비스를 제공받은 다음, 서비스 요청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버튼 등을 통해 취소 요청을 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 취소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전송된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라 해당하는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ID를 삭제하게 되고, 서비스 요청 취소를 쇼핑 도우미(140)에게 전송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른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제어 모듈(210), 컨텐츠 요청 모듈(220), 정보 저장 모듈(230) 및 컨텐츠 수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통상적인 컨텐츠를 표시하는 모듈로 헤드 엔드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 권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2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컨텐츠 또는 제 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시에,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권한이 쇼핑 도우미(140)에게 있기 때문에 사용자(110)와 쇼핑 도우미(140)와의 정보 교환으로 쇼핑 도우미(140)에 의해 제어되는 화면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110)는 쇼핑 도우미(140)와의 정보 교환만으로 서비스 요청에 대한 화면을 확인하게 된다.
제어 모듈(210)은 리모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버튼 등의 입력 모듈(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정보 저장 모듈(23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컨텐츠 요청 모듈(220)을 통해 전달되도록 정보 저장 모듈(230) 및 컨텐츠 요청 모듈(220)에 서비스 요청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보 저장 모듈(230)에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비스 요청 시에 사용자(110)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도 서비스 요청 시에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컨텐츠 요청 모듈(220)은 정보 저장 모듈(23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소정 통신 망(12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 즉 컨텐츠 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대한 화면 정보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신호가 제어 모듈(210)로 전달 되는 순간 제어 모듈(21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표시되는 채널 정보를 참조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컨텐츠 수신 모듈(240)은 컨텐츠 요청 모듈(2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 권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수신하는 모듈이다.
컨텐츠 수신 모듈(240)을 통해 수신되는 화면은 컨텐츠 요청 모듈(220)로부터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되는 모델명, 버전, 화면 해상도, 인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사용자(110) 요청 결과에 따라 생성된 화면이다. 이러한 화면들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소정 화면에 대한 디스플레이제어 권한을 컨텐츠 요청 모듈(220)을 통해 전송하여 사용자(110)와 쇼핑 도우미(140)간 정보 교환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서 사용자(110) 요청 결과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이다. 이때, 사용자(110)와 쇼핑 도우미(140)간 정보 교환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공중 전화 교환 망, VoIP 및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110)는 서비스 요청 결과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제어 권한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된 제어 권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인증 모듈(300), 제어 모듈(310), 컨텐츠 제공 모듈(320),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 및 정보 저장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300)은 컨텐츠 제공 모듈(320)을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소정의 인증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인증 모듈(300)에서의 인증은 소정 통신 망(120)으로 연결된 인증 기관(미도시)에서 인증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인증 모듈(3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사용자(110)에 대한 인증이 요구되는 경우 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 모듈(310)로 전달한다.
제어 모듈(310)은 인증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정보 저장 모듈(340)에 저장 되도록 하고, 사용자 정보를 쇼핑 도우미(140)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 모듈(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사용자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및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여 유일한 서비스 요청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310)는 생성된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로서, "서비스 요청 상태", "서비스 대기 상태" 및 "서비스 연결 상태" 등과 같 이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쇼핑 도우미(140)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을 위해 참조되는 정보로 정보 교환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망에 따라 그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도우미와 사용자간에 공중 전화 망을 통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사용자 정보에 통상적이 유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것이다.
쇼핑 도우미(140)가 사용자(110)와의 연결이 완료된 경우, 제어 모듈(310)은 해당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연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쇼핑 도우미(140)가 이미 다른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은 상태라면, 사용자(110)의 연결이 시도될때까지 대기해야할 대기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제어 모듈(310)은 전송된 대기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110)가 대기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컨텐츠 제공 장치(13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를 이용하는 쇼핑 도우미(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권한을 얻게 된다. 여기에서의 제어 권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델명, 버전, 화면 해상도, 인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등을 이용하여 일 대일 실물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 정보를 획득한 쇼핑 도우미(140)는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을 시도한다.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은 전술한 도 1, 도 2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 방법에 따라 그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제어 모듈(310)은 사용자(11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쇼핑 도우미(140)의 컨텐츠 재구성 명령을 바탕으로 정보 저장 모듈(34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로 제공되도록 한다.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은 정보 저장 모듈(34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권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구성하는 모듈이다. 이때,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는 화면 해상도 및 인쇄 해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서비스가 요청된 방송 채널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110)가 요청하는 특정 컨텐츠를 구성할 수도 있다.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에서 재구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 모듈(3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권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델명, 버전, 화면 해상도, 인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한다.
한편, 한편, 사용자(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요청을 통해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은 다음, 서비스 요청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버튼 등을 통해 취소 요청을 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 취소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제어 모듈(310)에서는 전송된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라 해당하는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ID를 삭제하게 되고, 서비스 요청 취소를 쇼핑 도우미(140)에게 전송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른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이때, 도 4는소정 통신 망(120)을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컨텐츠 제공 장치(130)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디스플레이의 제어 권한을 갖는 쇼핑 도우미(140)간에 실시간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과 같은 입력 모듈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모듈(210)에서 판단한다(S400). 이러한 서비스 요청은 사용자(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제 1컨텐츠 또는 제 2컨텐츠를 시청하는 도중 리모컨 등과 같은 입력 모듈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리모컨을 통한 서비스 요청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미도시)로부터 혹은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사전 설정에 의한 소정 단축 키가 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사용자(1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에 무관하게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정보 저장 모듈(23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컨텐츠 요청 모듈(22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된다(S410). 이때, 컨텐츠 요청 모듈(2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단계(S400)에서 서비스 요청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에 대한 요청인 경우는 제어 권한 전송(S410) 시 해당 화면에 대한 채널 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반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과 무관한 요청인 경우는 사용자(110)가 사전 설정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채널)에 대한 요청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 권한이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넘어가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 권한이라고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제어 권한을 의미한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제어 권한이 전송되면(S410),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420).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제어 모듈(310)은 인증 절차가 완료되 면,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유일한 서비스 요청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게 되며, 서비스 요청시에는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요청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인증 결과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에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S430). 이때,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의 정보 교환은 컨텐츠 제공 장치(130)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쇼핑 도우미(140)에 전송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장(130)는 서비스 요청 ID, 사용자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쇼핑 도우미(140)에게 전송하게 되고, 쇼핑 도우미(140)는 사용자(110)와의 연결 시도시에 전소받은 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쇼핑 도우미(140)는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이전에 다른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연결을 시도할때까지 남은 대기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고,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대기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110)가 어느 정도의 시간 경과 후, 쇼핑 도우미(140)로부터 연결을 시도를 받을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대기 시간 정보 전송시, 해당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대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이 없거나 대기 시간이 경과된 후, 쇼핑 도우미(140)는 전송받은 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 정보 교환은 공중 전화 교환 망, 문자 메시지 및 VoIP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 루어지는 것으로 쇼핑 도우미(140)는 이때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제어 모듈(310)은 쇼핑 도우미(140)와 사용자(110)간의 정보 교환시, 해당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비스 연결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에 대한 소정의 정보가 획득되면, 쇼핑 도우미(140)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을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한다(S440). 이때, S440단계에서 획득된 정보란, 쇼핑 도우미(140)가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요청받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에서의 화면 구성(S440)은 컨텐츠 제공 장치(130)의 정보 저장 모듈(340)에 저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된 화면으로 구성된다. 컨텐츠 재구성 모듈(330)에서 화면 구성(S440)이 완료되면, 컨텐츠 제공 모듈(320)을 통해 원격지에 소정 통신 망(120)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S450).
소정 통신 망(120)을 통해 재구성 된 화면을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텐츠 수신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재구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460).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제어 권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서비스 요청 결과에 따라 재구성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통상적인 케이블 방송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결과에 따라 재구성 된 화면이 수신되면, 케이블 방송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에서 재구성된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 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110)가 쇼핑 도우미(14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받은 경우, 전술한 입력 모듈을 통해 서비스 요청을 취소하게 된다(S470).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 취소시, 제어 모듈(310)은 서비스 요청 ID를 삭제하게 된다(S480). 또한, 제어 모듈(310)은 서비스 요청 취소를 쇼핑 도우미(140)에게 전송하게 되고,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른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130)가 쇼핑 도우미(140)에 의해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컨텐츠에 연관된 제 2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S510). 사용자(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2컨텐츠를 확인하고, 원하는 제 2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S520). 이때, 사용자(110)의 서비스 요청시에는, 사용자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사용자가 서비스를 요청한 컨텐츠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에 해당하는 서비스 요청 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요청 ID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S530). 이때, 서비스 요청 ID 생성시의 서비스 상태 정보는 "서비스 요청 상태"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을 쇼핑 도우미(140)에게 전송하게 된다(S540).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쇼핑 도우미(140)에서 서비스 요청 전송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저보 및 컨텐츠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쇼핑 도우미(140)가 즉시 사용자(110)의 연결을 시도하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다른 사용자와 연결된 경우, 쇼핑 도우미(140)는 대기 시간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게 된다(S550).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쇼핑 도우미(140)로부터 대기 시간 정보가 전송된 경우,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대기 상태"로 변경하고(S560), 전송된 대기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S570). 따라서, 사용자(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대기 시간 정보를 통해 쇼핑 도우미(140)로부터 연결이 시도되는 시간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쇼핑 도우미(140)가 사용자(110)와의 연결 시도가 가능해지면, 쇼핑 도우미(140)는 서비스 요청 전송시, 함께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등을 통해 사용자(110)와의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S580).
사용자(110)가 쇼핑 도우미(140)로부터의 연결 시도에 응답하여, 사용자(110)와 쇼핑 도우미(14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연결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게 되고(S590),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서비스 상태 정보를 "서비스 연결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S600).
이후, 쇼핑 도우미(140)는 사용자(11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제어 권한에 근거하여 사용자(110)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610).
이때, 도 5에서 쇼핑 도우미(140)가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받은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바로 사용자(110)와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는, S550 단계 내지 S57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 취소 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 취소 방법은, 사용자(110)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았거나,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전술한 입력 모듈을 통해 서비스 요청 취소를 입력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라 서비스 요청 취소를 컨텐츠 제공 장치(130)로 전송하게 된다(S710).
컨텐츠 제공 장치(130)는 전송된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라 생성된 서비스 요청 ID를 삭제하고(S720),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요청 취소를 쇼핑 도우미(140)에게 전송하여, 쇼핑 도우미(140)로 하여금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안게 할 수 있다(S73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이 도시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요청 취소 방법이 도시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사용자
120: 통신 망 130: 컨텐츠 제공 장치
140: 쇼핑 도우미

Claims (22)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상기 정보 저장 모듈에 저장된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요청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 제어 권한을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 전화 번호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델명, 버전, 화 면 해상도, 인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공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 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쇼핑 도우미의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컨텐츠 재구성 모듈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쇼핑 도우미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도우미는, 상기 전송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도우미는, 상기 연결 시도를 위해 대기하여야 할 대기 시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대기 시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도우미는, 상기 사용자와의 연결시, 상기 사용자와의 교환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 재구성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쇼핑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취소가 전송된 경우,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삭제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 취소를 상기 쇼핑 도 우미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1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의 정보와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제어 권한을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 전화 번호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델명, 버전, 화 면 해상도, 인쇄 해상도, 코덱,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공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 요청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쇼핑 도우미의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통해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권한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정 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상기 쇼핑 도우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도우미는, 상기 전송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시도를 위해 대기하여야 할 대기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시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의 연결시, 상기 사용자와의 교환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취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 취소에 따라 상기 생성된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취소를 상기 쇼핑 도우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80017495A 2007-03-19 2008-02-26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10155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1525 WO2008114995A1 (en) 2007-03-19 2008-03-18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US12/531,932 US20100153233A1 (en) 2007-03-19 2008-03-18 System and method for shopping
EP08723562A EP2137683A4 (en) 2007-03-19 2008-03-18 SYSTEM AND METHOD OF PURCH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15 2007-03-19
KR20070026715 2007-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681A true KR20080085681A (ko) 2008-09-24
KR101552186B1 KR101552186B1 (ko) 2015-09-14

Family

ID=4002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495A KR101552186B1 (ko) 2007-03-19 2008-02-26 쇼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53233A1 (ko)
EP (1) EP2137683A4 (ko)
KR (1) KR101552186B1 (ko)
CN (1) CN101652794A (ko)
WO (1) WO2008114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2562B2 (en) * 2009-12-23 2013-03-05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eferred client connectivity to servers via multi-core system
KR20130111851A (ko) * 2012-04-02 2013-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기능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935438B (zh) * 2020-07-02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参数调节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03492B2 (en) * 1995-09-14 1999-03-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6169789B1 (en) *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GB9726484D0 (en) * 1997-12-15 1998-02-11 British Telecomm Data communications
US6278449B1 (en) * 1998-09-03 2001-08-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information to be retrieved over a computer network
US7334260B1 (en) * 1999-05-21 2008-02-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is recorded
KR20010077585A (ko) 2000-02-03 2001-08-20 남태희 전자상거래의 구매자 상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10095638A (ko) * 2000-04-11 2001-11-07 임석영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제품 상담 지원 시스템 및 방법
GB2371707B (en) * 2001-01-30 2004-06-30 Media Logic Systems Ltd Improved interactive system for enabling TV shopping
WO2002069113A2 (en) * 2001-02-27 2002-09-06 3Cim System and method for web presentation utilizing voice, voice-over, text, streaming images and escorted browsing, in real time
US7363384B2 (en) * 2001-07-11 2008-04-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election of content in response to communication environment
US7496751B2 (en) * 2001-10-29 2009-02-24 Sun Microsystems, Inc. Privacy and identification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7085840B2 (en) * 2001-10-29 2006-08-01 Sun Microsystems, Inc. Enhanced quality of identification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7275260B2 (en) * 2001-10-29 2007-09-25 Sun Microsystems, Inc. Enhanced privacy protection in identification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110234A1 (en) 2001-11-08 2003-06-12 Lightsurf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ology for delivering media to multiple disparate client devices based on their capabilities
US7162451B2 (en) * 2001-11-30 2007-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ormation content distribution based on privacy and/or personal information
KR20020023695A (ko) 2001-12-06 2002-03-29 김병혜 웹 화면 공유를 통한 쇼핑 상품 검색 및 쇼핑 정보 교환시스템
KR100431510B1 (ko) * 2001-12-24 2004-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US7281139B2 (en) * 2002-07-11 2007-10-09 Sun Microsystems, Inc. Authenticating legacy service via web technology
US7349949B1 (en) * 2002-12-26 2008-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velopment of a customizable portlet
WO2005040999A1 (en) * 2003-09-30 2005-05-0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Personalisation
KR100810515B1 (ko) * 2003-12-13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관리시스템
JP2005328322A (ja) * 2004-05-14 2005-11-24 Ricoh Co Ltd 画像出力装置
US7554027B2 (en) * 2005-12-05 2009-06-30 Daniel William Moffatt Method to playback multiple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MIDI) and audio sound files
US7680804B2 (en) * 2005-12-30 2010-03-16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nd indexing content
US7853694B2 (en) * 2006-12-07 2010-12-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using service relaying apparatus
EP1983481A1 (en) * 2007-04-16 2008-10-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supplying advertising content
WO2009039066A2 (en) * 2007-09-17 2009-03-26 Metabyte, Inc. Online anonymous multi-session trials
KR20100066169A (ko) * 2008-12-09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익명 인증을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205059A (ja) * 2009-03-04 2010-09-16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サーバ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333178A1 (en) * 2009-06-30 2010-12-30 Suthoff Brian J System and Method for Unique User Identification via Correlation of Public and Private Data by a Third-Party
KR101651283B1 (ko) * 2009-11-13 2016-08-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컨텐츠제공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4995A1 (en) 2008-09-25
US20100153233A1 (en) 2010-06-17
EP2137683A4 (en) 2012-05-09
CN101652794A (zh) 2010-02-17
KR101552186B1 (ko) 2015-09-14
EP2137683A1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3639B2 (ja) 販売方法、及び販売システム
KR102457229B1 (ko) 원격 제어 가능한 물품 디스펜싱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JP2002352138A (ja) サーバ、検索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情報検索方法、情報提供方法、情報表示方法
JP2009541871A (ja) サービス証憑としての機器によるネットワークからの情報獲得の方法、機器及びシステム
JP5496398B1 (ja) 決済装置、決済プログラム、及びecサーバ
KR101552186B1 (ko)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101261982B1 (ko) 오픈마켓을 이용한 판매정보 거래시스템 및 거래방법
KR20010091446A (ko) 다수의 가상 캐릭터를 적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그것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WO2014045419A1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認証方法
KR20120105885A (ko) 매장 감시 시스템
KR20110035571A (ko) 위젯을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310886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0621206B1 (ko) 쇼핑몰을 이용한 상품공급 및 중개방법
KR101636281B1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 방법
JP6193154B2 (ja) Ecサーバ、決済装置、プログラム
KR20010099141A (ko) 무선 전자상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
JP6353667B2 (ja) 携帯端末機用決済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07114A (ja) 決済方法、決済システム、決済用プログラム
JP6211645B1 (ja) 情報処理装置
JP2003323374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
KR100737744B1 (ko) 온라인 매물 등록 대행 서비스 방법
JP2002073993A (ja) 保険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方法
JP3801873B2 (ja) サービス代行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216580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並びにそれに好適なポータル業者ウェブサーバ
JP2002236833A (ja) 宿泊予約システム及びチケット予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