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510B1 -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510B1
KR100431510B1 KR10-2001-0084210A KR20010084210A KR100431510B1 KR 100431510 B1 KR100431510 B1 KR 100431510B1 KR 20010084210 A KR20010084210 A KR 20010084210A KR 100431510 B1 KR100431510 B1 KR 10043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file
personalized
information
personaliz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104A (ko
Inventor
김재홍
손주찬
백종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5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를 정합하여 컨텐츠 개인화하여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개인의 취향,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능력, 컨텐츠의 표시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조건, 컨텐츠 저작자의 요구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프로파일로 구축하고,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정보를 정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을 자동 생성하여, 생성 규칙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자의 정보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표시되어야 하는 문서, 저작자의 선호 정보,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능력 정보를 모두 개인화를 위한 프로파일 정보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 단말기 등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환경에서도 컨텐츠를 자동으로 개인화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맞도록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 방법 {Contents person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by aggregating multiple profiles}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개인의 취향,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능력, 컨텐츠의 표시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조건, 컨텐츠 저작자의 요구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프로파일로 구축하고,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프로파일 정보를 정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을 자동 생성하여, 생성 규칙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되어지는 컨텐츠는 초기 저작시에 대상 단말기를 염두해 두고 만들어지며, 단말기에는 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 표시기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또한, 근래에는 과거와 달리 한 사용자가 여러대의 단말기(예를 들면, PC, 핸드폰, PDA 등)를 보유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으며, 정보의 양과 종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는 그들 정보를 자신이 가진 단말기에 최적화되고 개인화된 형태로 보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한편, 선행논문 한국인터넷 정보학회 제 1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2000년에 발표한 "지능형 에이전트를 이용한 개인화된 웹 정보 서비스"는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도에 따라 차별화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 시스템으로, 사용자 에이전트가 사용자가 작성한 자료와 사용자의 행동 성향에 근거한 관심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모니터링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성향을 추적하여 보관하고, 분석 에이전트는 모니터링 에이전트에서 채집한 정보를 분류,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논문의 목적은 쇼핑몰에 특화된 개인화된 웹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의 구매 동향을 파악하여 개인화된 웹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선행논문의 효과는 쇼핑몰 사용자에 대한 개인화된 웹 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상품을 고르는데 드는 노력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10-1999-0053852호 "인터넷을 통한 개인화 웹 페이지 제공 서비스 방법"은 개인화된 웹 페이지의 제작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개인화된 웹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화된 기본 페이지를 미리 구성하고, 기본 웹 페이지에 포함될 컨텐츠를 추출한 다음, 완성된 웹 페이지와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메커니즘이다.
템플리트 형태의 웹 페이지를 미리 만들어 두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빠른 시간에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개인화를 위한 방법들이 일부 존재하게 되었으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미리 정해진 선택 사항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선택사항을 선택하는 식으로 개인화를 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인터넷 상의 웹 컨텐츠에만 적용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대한 개인화만 가능하여 사용자가 가진 다양한 단말기에 대한 개인화된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제공되는 컨텐츠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의 종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일부 사용자 요구 정보만을 가지고 컨텐츠 개인화를 하는 것은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생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개인의 취향,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능력, 컨텐츠의 표시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조건, 컨텐츠 저작자의 요구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프로파일로 구축하고,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프로파일 정보를 정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을 자동 생성하여, 생성 규칙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표시되어야 하는 문서, 저작자의 선호 정보,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능력 정보를 모두 개인화를 위한 프로파일 정보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 단말기 등이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환경에서도 컨텐츠를 자동으로 개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프로파일 관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프로파일 정합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컨텐츠 개인화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130, 170 : 컨텐츠 표시기 120, 140, 180 : 단말기
200 :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210 : 컨텐츠 입출력부
220 : 프로파일 관리부 230 : 프로파일 정합부
231 : 프로파일 저장소 232 : 프로파일 정합기능 모듈
233 :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 240 :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
241 : 생성규칙 해석모듈 242 : 생성모듈 수행모듈
243 :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모듈 310, 320~390 : 컨텐츠 서버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개인화하여 제공하는데 있어서, 외부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 저장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프로파일 정보에서 프로파일을 정합하는 정합규칙과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정합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을 컨텐츠에 적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입출력 수단인 컨텐츠 입출력부, 개인화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파일 관리부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의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능력 등의 정보가 있는 단말기 프로파일, 저작된 컨텐츠가 표시되기 위해 장치가 가져야 하는 요구 조건 등의 정보를 담고있는 컨텐츠 프로파일, 컨텐츠를 제작한 저작자의 컨텐츠 표시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있는 저작자 프로파일 및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능력 정보를 담고 있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파일 정합부는 프로파일 저장소로부터 다수의 프로파일을 읽어 프로파일의 정합을 위한 규칙을 파악하여 기술한 프로파일 정합규칙, 프로파일 정합규칙에 따라 정합기능을 수행하여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정합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맞도록 변환하여 제공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로부터 사용자에게 맞도록 변환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기를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단말기의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컨텐츠 서버로 요청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컨텐츠를 프로파일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컨텐츠를 프로파일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수신 저장 관리하는 단계,다수의 프로파일을 파악하여 정합하는 단계, 다수의 프로파일의 정합에 따라 프로파일 정합 규칙을 생성하는 단계, 프로파일 정합규칙에 따라 정합기능을 실행하여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는 단계,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을 수신한 컨텐츠에 적용하여 사용자 개개인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제공되는 방식에 따라 선호도 등을 선택,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컨텐츠의 저작자가 제공되는 방식에 따라 선호도 등을 선택 설정할 수 있는 저작자 프로파일, 사용자의 단말기의 종류와 기능의 정보가 있는 단말기 프로파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정보가 있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취향, 선호도, 나이, 성별 등의 세부정보,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에 관한 세부정보 및 저작자의 세부정보, 사용자의단말기에 관한 세부정보,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세부정보를 프로파일 정보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컨텐츠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작자/서비스 제공자(300) 및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강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용자/서비스 이용자 부분은 여러가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나타내기 위해 도1과 같이 표현하고, 저작자/서비스 이용자 부분도 서비스 되는 컨텐츠에 컨텐츠를 저작한 저작자의 요구 사항이 유무형적으로 내포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도1과 같이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도1과 같은 구성도에 따라, 컨텐츠 서비스 이용자(100)는 PC와 같은 유선 단말기 또는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등 어떠한 종류의 종류의 단말기(120~180)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 전송 매체(920)를 통해 요청하게 되고, 요청 정보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의 컨텐츠 입출력부(210)에 도착한다. 컨텐츠 입출력부(210)에 입력된 정보가 이미 컨텐츠 관리부(250)에 저장된 컨텐츠이면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20~180)로 전송한다. 만약 컨텐츠 관리부(250)에 미리 저장된 컨텐츠가 아니면 인터넷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 전송 매체(910)를 통해 컨텐츠 서버(310~390)에 상기 요청이 전해지게 된다. 컨텐츠 서버는(310~390)는 요청된 컨텐츠를 인터넷 등과 같은 어떠한 형태의전송 매체(910)를 통해 보낸다. 보내진 컨텐츠는 개인화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것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로 보내지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는 도 2,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화된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부(250)가 저장을 하고 컨텐츠 입출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20~180)로 전송하며, 단말기 내부에 존재하는 컨텐츠 표시기(110~17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 1에서 컨텐츠 서버 (310~390)들은 웹 서버,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버, 무선 핸드폰의 컨텐츠 서버 등 현재 사용되고 있는 컨텐츠 서버 또는 앞으로 개발될 수 있는 컨텐츠 서버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PC, 핸드폰 및 PDA등과 같은 단말기(120~180) 및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 핸드폰의 왑 브라우저 및 ME 브라우저, 핸드폰의 가상머신, PDA의 웹 브라우저 및 왑 브라우저 등의 컨텐츠 표시기들(110~170)도 현재 사용중인 것 또는 앞으로 개발될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의 컨텐츠 서버(310~ 390), 단말기(120~180) 및 단말기 내의 컨텐츠 표시기(110~170)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며, 본 발명의 직접적인 대상인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 특히 프로파일 관리부(220), 프로파일 정합부(230) 및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240)를 이용한 서비스에 사용되는 요소들(100, 200, 300)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로파일 관리부(220)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파일의 수와 종류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 저장소(229)는 프로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공간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로파일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개인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취향 정보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 파일을 보겠다 또는 이미지 파일들을 보지 않겠다 또는 이미지는 컬러로 보겠다 또는 컬러 이미지를 흑백인 상태로 보겠다 등과 같은 것들을 선택,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은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말기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다 또는 이미지 중 컬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컬러 이미지는 표시할 수 없고 흑백 이미지만 표시할 수 있다 등과 같은 것들을 선택,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프로파일은 컨텐츠에 있는 특정 컨텐츠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컨텐츠가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는 컬러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또는 컬러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등과 같은 것들을 선택, 설정할 수 있다.
저작자 프로파일은 컨텐츠를 저작한 저작자 또는 저작자의 권한을 위임받은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이 권한을 가지는 컨텐츠가 표시될 때 준수해야 할 사항들에 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자신의 컨텐츠는 반드시 컨텐츠 원래의 의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컬러로 표시되어야 한다 또는 광고 컨텐츠라면 특정 광고 컨텐츠는 많은 광고 비용을 지불했으므로 어떤 단말기에서 보든 어떤 사용자가 사용하든 반드시 표시되어야 한다와 같은 것을 선택, 설정할 수 있다.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기술하는 것으로 컬러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는 가지고 있지 않다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다수의 프로파일들은 도 2에서와 같이 프로파일 저장소(229)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프로파일 저장소(229)는 각 프로파일 종류별로 따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상의 원격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다수의 프로파일들은 도 2에서와 같이 프로파일 관리부(220)의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 프로파일 검색 모듈(222), 프로파일 수정 모듈(227), 프로파일 삭제 모듈(228)등에 의해 관리되며 상세한 기능은 아래 설명과 같다.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은 다수의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프로파일의 종류에 따라 프로파일이 저장되는 시점이 다음과 같이 다르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의 프로파일 관리부(220)내의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이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프로파일의 내용을 제공하면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이 이를 저장한다.
저작자 프로파일은 저작자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의 프로파일 관리부(220)내의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이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프로파일의 내용을 제공하면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이 이를 저장한다.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은 단말기가 컨텐츠 요청을 할 시에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을 함께 요청에 포함하도록 하거나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이 있는 곳의 주소를 포함하도록 하여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은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또한 단말기가 요청에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 또는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의 주소를 함께 제공하지 아니할 경우는 단말기의 종류를 판별하여 관리자에 의해 프로파일 저장소(229)에 기 정의된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을 사용하도록 한다.
컨텐츠 프로파일은 컨텐츠가 생성되는 시점에 미리 제공될 수도 있고, 미리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든 후자의 경우든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이 상기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기능을 알수 있는 시점에서 미리 제공하여, 프로파일 저장 모듈(221)이 이를 저장하도록 한다.
프로파일 검색 모듈(222), 프로파일 수정 모듈(227) 및 프로파일 삭제 모듈(228)은 통상의 검색, 수정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로파일 정합부(230)의 상세 구성도로, 다수 프로파일의 내용들을 정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파일 정합부(230)에서 다수의 프로파일을 정합하는 간단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프로파일에는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 컨텐츠 프로파일 및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 3가지가 있는 예를 설명한다.
프로파일의 내용 중에 단말기 프로파일에는 단말기는 흑백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나 컬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컨텐츠 프로파일에는 컨텐츠는 컬러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으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에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가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단말기 프로파일(DCP), 컨텐츠 프로파일(DoCP),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PP)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은 프로파일 정합 규칙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고, 이하의 설명은 프로파일 정합 규칙의 다양한 표현의 일예를 설명한 것이다.
만약(IF)
단말기 장치 프로파일(DCP)이 "단말기가 흑백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가 컬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다."이고,
컨텐츠 프로파일((DoCP)가 "컨텐츠가 컬러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면,
THEN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라는 중간결과(DCP-DoCP)를 생성한다.
이때,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PP)이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모듈1(243)이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라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THEN
최종적으로 중간결과(DCP-DoCP)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PP)을 정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모듈 1(243)을 사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어 단말기로 전송해서 출력하도록 한다." 라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을 생성하게 된다.
즉, 본원발명의 프로파일 정합기능 모듈(232)은 상기한 프로파일 정합 규칙과 상술한 예의 프로파일들을 입력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233)을 생성한다.
즉, 프로파일 정합기능 모듈(232)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모듈 1(243)을 사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어라."라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모듈 1(243)은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는 기능을 가진 모듈로 자동화된 컨텐츠 생성기(200)의 한부분으로 미리 제공되고, 출력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233)은 도 4에서 입력으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220)의 상세 구성도로서, 프로파일 정합부(230)에서 생성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233)을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을 받아 컨텐츠 서버에서 전송된 개인화되지 않은 컨텐츠(311)를 입력으로 하고,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233)의 내용을 참조하여 생성 규칙 해석 모듈(241)에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233)을 해석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은 다음과 같다.
개인화된 생성 규칙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모듈 1(243)을 사용하여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어라." 이다.
즉, 생성규칙 해석모듈(241)에 의한 해석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모듈 1(243)이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모듈 1(243)을 실행하여 컬러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바꾸라는 것이다.
이 해석을 바탕으로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을 수행하는 생성모듈 수행모듈(242)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모듈들(243~248) 중 개인화된 생성규칙(233)에 포함되어 있어 생성 규칙 해석 모듈(241)에서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된 모듈(243)들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개인화된 개인화된 컨텐츠(249)를 얻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화되지 않은 컨텐츠(311)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컨텐츠 저작자로부터 제공되는 프로파일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로서, 3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첫번째 구성(400)은 개인화된 컨텐츠 성성기(200)가 컨텐츠 서버(310~390)와 같은 시스템에 구비되어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120~180)로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두번째 구성(500)은 컨텐츠 서버(310~390)와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가 별도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120~180)로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번째 구성(600)은 컨텐츠 서버(310~390) 그리고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200)가 단말기(120~180) 시스템 내에 구성되어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120~180)로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세번째(600) 구성과 같은 경우 프로파일의 수를 단말기(120~180)의 처리능력에 맞도록 프로파일의 수를 설정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정보를 미리 구조화된 정보체계 즉, 프로파일로 구성하고, 이들 프로파일을 정합한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개인화함으로써 사용자 및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사업자의 측면에서는 일일이 사용자의 취향과 단말기에 적합하도록 컨텐츠를 재구성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컨텐츠만을 제공하는 것 만으로도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사업자의 비용이 감소되어 사업자의 수익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컨텐츠를 개인화하여 제공하는데 있어서,
    외부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 저장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프로파일 관리부;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서 프로파일을 정합하는 정합규칙과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정합부;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을 컨텐츠에 적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입출력 수단인 컨텐츠 입출력부;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관리부는,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능력 등의 정보가 있는 단말기 프로파일;
    저작된 컨텐츠가 표시되기 위해 장치가 가져야 하는 요구 조건 등의 정보를 담고있는 컨텐츠 프로파일;
    상기 컨텐츠를 제작한 저작자의 컨텐츠 표시에 대한 선호도 정보가 있는 저작자 프로파일; 및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능력 정보를 담고 있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합부는,
    프로파일 저장소로부터 다수의 프로파일을 읽어 상기 프로파일의 정합을 위한 규칙을 파악하여 기술한 프로파일 정합규칙,
    상기 프로파일 정합규칙에 따라 정합기능을 수행하여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정합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부는, 개인화된 생성규칙을 입력하여 상기 생성규칙을 해석하는 생성규칙 해석모듈;
    해석된 상기 생성규칙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모듈을 실행시키는 생성모듈 수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5.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맞도록 변환하여 제공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맞도록 변환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는 상기 컨텐츠 서버에 구비되어 개인화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어 개인화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8.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상기 단말기의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컨텐츠 서버로 상기 요청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상기 컨텐츠를 프로파일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에서 상기 컨텐츠를 프로파일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다수의 프로파일을 수신 저장 관리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프로파일을 파악하여 정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프로파일의 정합에 따라 프로파일 정합 규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정합규칙에 따라 정합기능을 실행하여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규칙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 규칙을 수신한 컨텐츠에 적용하여 사용자 개개인에 적합한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제공되는 방식에 따라 선호도 등을 선택,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컨텐츠의 저작자가 제공되는 방식에 따라 선호도 등을 선택 설정할 수 있는 저작자 프로파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종류와 기능의 정보가 있는 단말기 프로파일;
    개인화된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정보가 있는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 프로파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취향, 선호도, 나이, 성별 등의 세부정보;
    컨텐츠 제작자의 컨텐츠에 관한 세부정보 및 상기 저작자의 세부정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관한 세부정보;
    개인화된 컨텐츠 생성기의 세부정보를 프로파일 정보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의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방법.
KR10-2001-0084210A 2001-12-24 2001-12-24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KR10043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210A KR100431510B1 (ko) 2001-12-24 2001-12-24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210A KR100431510B1 (ko) 2001-12-24 2001-12-24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104A KR20030054104A (ko) 2003-07-02
KR100431510B1 true KR100431510B1 (ko) 2004-05-14

Family

ID=3221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210A KR100431510B1 (ko) 2001-12-24 2001-12-24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075B1 (ko) * 2003-12-08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유저 인터넷냉장고
US7634533B2 (en) * 2004-04-30 2009-12-1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audio-visual communication and data collaboration in a network conference environment
WO2006019276A1 (en) 2004-08-19 2006-02-23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app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KR100679395B1 (ko) * 2004-08-24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운영자에 의한 단말기 정보 관리 방법
KR100688079B1 (ko) 2004-12-17 200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프로파일 정보 분류 및 처리 방법그리고 이를 이용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229354B1 (ko) * 2005-12-02 201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유아이 정보 변환 및 기록장치 및 방법
KR101264822B1 (ko) 2007-01-04 2013-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552186B1 (ko) * 2007-03-19 201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쇼핑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81583A1 (en) * 2007-05-07 2008-11-13 Biap , Inc. Context-dependent prediction and learning with a universal re-entrant predictive text input software component
KR100945749B1 (ko) * 2008-01-30 2010-03-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통합 프로파일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87256B1 (ko) * 2008-04-11 2010-10-12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00001373A (ko) * 2008-06-26 2010-01-06 (주) 아이티비엠지 유비쿼터스 환경의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KR101575886B1 (ko) * 2013-06-26 2015-12-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화된 라이프 스타일 모델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104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167B2 (en) Analyzing user viewership of advertisements appearing in a screen display in a user terminal
US20090077056A1 (en) Customization of search results
CN100476820C (zh) 在用户终端设备上生成用户界面的入口服务器和方法
US8700672B2 (en) Method of processing tag information and client-server system using the method
KR100431510B1 (ko) 다수의 프로파일 정보 정합을 통한 컨텐츠 개인화 장치 및방법
US20110119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information
KR100964325B1 (ko) 온톨로지를 이용한 공간의 상황정보 공유시스템
KR101812222B1 (ko)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KR100380842B1 (ko) 네트워크 기반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257359A (zh) 基于用户动作向计算设备提供可操作内容
WO2007018202A1 (ja) 携帯用シンジケート型情報配信システム
US20070101278A1 (en) Web site theme designer
CN106326486B (zh) 基于人工智能的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09862100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40289255A1 (en) Application of community-defined descriptors to mobile content
KR100372225B1 (ko) 홈페이지 작성시스템, 홈페이지 자동 변환방법, 프로그램기록매체 및 홈페이지 뷰잉 차별화방법
KR20020075368A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표시 장치, 정보 제공 장치 및 정보제공 시스템
CN101681370A (zh) 组合的个人及社区列表
CN105512307A (zh) 信息处理系统
KR20170142964A (ko)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Eisinger et al. Devices descriptions for context-based content adaptation
US7328253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terminal, cli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00018674A (ko) 블로그 포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R2878670A1 (fr) Procede d&#39;amelioration d&#39;ergonomie et vitesse d&#39;acces a de l&#39;information
KR20070110953A (ko) 개인화된 포털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