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801A - 전주 - Google Patents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801A
KR20080083801A KR1020070024457A KR20070024457A KR20080083801A KR 20080083801 A KR20080083801 A KR 20080083801A KR 1020070024457 A KR1020070024457 A KR 1020070024457A KR 20070024457 A KR20070024457 A KR 20070024457A KR 20080083801 A KR20080083801 A KR 2008008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ransmission line
entrance
ho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배
Original Assignee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성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3801A/ko
Publication of KR2008008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2012/006Structures with truss-like sections combined with tubular-lik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관통공(12)이 형성된 기둥형태의 긴 몸체(10)를 가지되, 상기 관통공(12)과 연통 되는 복수 개의 출입관(20)이 상기 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송전선이 몸체를 관통하여 전주의 상부 가공 송전선로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송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별도의 송전선 커버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전주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나아가 전주를 오르고 내리는 작업자의 방해물이 제거됨으로써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전주에 관한 것이다.
전주, 송전, 전선, 송전선로.

Description

전주{A telegraph po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관통공,
20(20a, 20b) : 출입관 30 : 연결선.
본 발명은 전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선이 몸체를 관통하여 위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해 전주가 사용된다. 송전선은 지중에 매설되어 연장되다가 전주의 윗부분에서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되어 목적지까지 전류를 송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는 가공 송전선로를 통해 송전 된 전류를 지중에 매설된 송전선에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중에 매설된 송전선을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주의 하단 부분에서 송전선을 지상으로 노출한 다음 전주의 몸체를 따라 윗부분으로 연장하여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하게 된다. 즉, 송전선을 전주의 몸체 외주면을 따라 위쪽으로 배선한 다음, 송전선을 전주에 묶어주고, 그 말단을 전주의 윗부분에서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송전선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는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마련하여 전주의 몸체에 결합하여 송전선을 덮어줌으로써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커버를 마련하여 송전선을 덮어주는 구성은 전주를 설치한 다음 송전선을 전주 외주면에 고정한 후 커버를 덮어주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었는데, 이로 인해 작업공정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작업자가 전주의 상단까지 올라 커버를 설치해 주어야 하는 구성임에 따라 커버를 설치하거나 또는 가공 송전선로를 수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주를 오르고 내릴 때 장애물로서 작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해치는 위험요소가 되는 것이었다.
더불어 커버가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전주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으며, 최악의 경우 커버를 분리하기만 하면 송전선이 드러나게 되어서 유사시 부정한 의도를 가진 자에 의해 송전선이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전주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전선로가 전주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위쪽으로 연장되어 가공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송전선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전주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관통공이 형성된 기둥형태의 긴 몸체를 가지되, 상기 관통공과 연통 되는 복수 개의 출입관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를 제안한다.
상술한 기본 구성 외에, 상기 출입관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출입관이 더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출입관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주의 다른 실시예시도 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주는 콘크리트, 합성수 지, 금속 등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관통공(12)이 형성된 기둥형태의 긴 몸체(10)를 가지며, 복수 개의 출입관(20a)이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입관(20a)은 상기 관통공(12)과 연결되어 통해 있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이며, 하단이 몸체(10)에 일체로 고정되어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관(20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나, 별도로 제조된 다음 몸체(10)에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재질의 경우 일체로 사출 성형하게 됨에 따라 일체로 되나,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 별도로 마련하여 몸체(10)에 용접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출입관(20a)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1~4개를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이는 연결선(30)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며, 통상 전주 몸체(10)의 두께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2개 정도를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출입관(20a)과 관통공(12)에는 전류를 송전하는 연결선(30)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연결선(30)의 상단은 상기 출입관(20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전주의 상부에 고정된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되며, 하단은 전주 하부로 인출되어 지중에 매설된 송전선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을 통해 지중에 매설된 송전선과 전주의 상부에 고정된 가공 송전선로가 상기 연결선(30)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목적지에 송전 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출입관(20a)은 전주 몸체(10)에 대해 예각을 가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구성하여 입구가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줌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출입관(20a)을 통해 인출되는 연결선(30)의 말단이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된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되는바, 진행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꺾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선(30)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출입관(20a)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부에 형성된 출입관(20a)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되 입구의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출입관(20b)을 더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이는 관통공(12)을 통과하는 연결선(30)이 전주의 하부에서 몸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성은 연결선(30)이 전주의 몸체(10)에 마련된 출입관(20a)(20b)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연결선(30)의 설치시에는 연결선(30)을 진행시키는 방향에 따라 입구 또는 출구로서 이용될 것이다.
즉, 통상 전주가 상부로 갈수록 얇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윗부분에서 아래로 연결선(30)을 관통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때에는 전주 몸체(10) 상부에 형성된 출입관(20a)이 연결선(30)을 몸체(10)에 밀어넣는 입구로서 사용될 것이며, 몸체(10) 하부에 형성된 출입관(20b)은 연결선(30)이 빠져나오는 출구로서 사용될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 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관통공(12)을 관통한 연결선(30)이 출입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주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적당한 길이의 연결선(30)을 마련하여 전주 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출입관(20a)(20b)을 통해 밀어넣게 된다. 계속 밀어넣으면 연결선(30)의 끝단이 밀어넣는 출입관(20a)(20b)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출입관(20a)(20b) 쪽으로 향하게 되는바,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연결선(30)의 끝단을 잡고 끌어내게 된다. 이를 통해 연결선(30)의 양 끝단이 전주의 상부와 하부에서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선(30)의 배선이 완료되면 전주를 지중에 매설된 송전선의 말단 지점에 세우게 된다. 이후, 전주 몸체(10) 아랫부분에 드러나 있는 연결선(30)을 상기 지중에 매설된 송전선과 연결하여 주는 한편, 몸체(10) 상부에 들어나 있는 연결선(30)은 가공 송전선로와 연결하여 주어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선(30)이 관통된 출입관(20a)(20b)에는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를 충전하여 구멍을 막아주게 되는바, 이를 통해 전주 몸체(10) 내부로 빗물과 같은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을 확보하게 되면 설치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와 같은 전주를 구성하는 것은, 전주의 생산과정에서 미리 연결선(30)을 설치하여 주고 현장에서는 전주를 세운 후 연결선(30)의 양 끝단을 지중 송전선과 가공 송전선로에 각각 연결하여 주기만 하면 전주의 설치가 완료 되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필요한 수의 연결선(30)을 전주 몸체(10)에 설치하고, 앞서 본 바와 같이 전주를 세워 설치 과정을 거쳐 시행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따라 송전선이 전주의 몸체를 관통하여 상부 가공 송전선로과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송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별도의 송전선 커버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전주의 외관이 미려해짐과 아울러, 커버로 인해 전주를 오르고 내리는 작업자의 작업이 방해되는 위험요소가 제거되어 작업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전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전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관통공(12)이 형성된 기둥형태의 긴 몸체(10)를 가지되, 상기 관통공(12)과 연통 되는 복수 개의 출입관(20a)이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20a)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복수 개의 출입관(20b)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20b)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KR1020070024457A 2007-03-13 2007-03-13 전주 KR20080083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57A KR20080083801A (ko) 2007-03-13 2007-03-13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57A KR20080083801A (ko) 2007-03-13 2007-03-13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01A true KR20080083801A (ko) 2008-09-19

Family

ID=4002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457A KR20080083801A (ko) 2007-03-13 2007-03-13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3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987B1 (ko) * 2021-10-06 2022-09-26 김조권 다목적 나노 복합소재 기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987B1 (ko) * 2021-10-06 2022-09-26 김조권 다목적 나노 복합소재 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828B1 (ko) 전주용 보강구조 및 그것의 시공방법
US87273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fiber optic cable
KR100859014B1 (ko) 송전과 변전 및 배전 케이블의 보호장치
JP6916517B2 (ja) 電線収容設備における保護管の取付具
AU2018289387B2 (en) Fence post for a flexible fence
KR20080083801A (ko) 전주
US9260832B2 (en) Foundation equipment for a pole in particular for a lighting pole
KR100830928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전선보호관
JP2011019300A (ja) ケーブルの埋設方法
JP2016036220A (ja) ブロックセットとこれを用いた地中電線路
KR101183198B1 (ko) 통신전주용 보조전주
KR100856660B1 (ko) 강관전주 및 입상관로 설치구조
JP7046713B2 (ja) 給電柱
KR101301058B1 (ko) 케이블 수용 경계석
CN205604722U (zh) 用于成排预埋电气线管出楼板间距及垂直度的控制装置
JP7073185B2 (ja) 壁高欄埋設管路用作業空間の構造、構築方法及び構築に用いる型枠
JP2007113197A (ja) マンホール構造及びケーブル敷設方法
JP4355594B2 (ja) ケーブル敷設構造
JP656462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1062412B1 (ko) 지하매설용 가로등지주
KR20130050756A (ko) 지선 장력계
JP4991509B2 (ja) 集束継手
JPH0514174Y2 (ko)
KR20180131795A (ko) 배전맨홀
JP3054542U (ja) 管端連結用ベルマ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