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435A -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 Google Patents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435A
KR20080083435A KR1020070023988A KR20070023988A KR20080083435A KR 20080083435 A KR20080083435 A KR 20080083435A KR 1020070023988 A KR1020070023988 A KR 1020070023988A KR 20070023988 A KR20070023988 A KR 20070023988A KR 20080083435 A KR20080083435 A KR 2008008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ing
seed
sowing
bracket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336B1 (ko
Inventor
유지완
Original Assignee
유지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완 filed Critical 유지완
Priority to KR102007002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3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설치되고, 종자를 저장하는 종자통이 구비된 점파식 파종기에 있어서,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수용부와 구동축에 고정되어 상기 종자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격벽과 종자를 이동시키는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과 타측에는 종자의 파종을 담당하는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과 상기 종자 수용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파종뭉치와 다수개의 간격조절장치가원주둘레를 따라 착설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뭉치와 파종뭉치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를 파종기의 회전체의 원주에 용이하게 탈착 및 부착을 하여 파종뭉치의 설치수량을 선택하고 상기 조절장치로 하여금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함으로서 파종뭉치의 간격조절 효율성을 극대화한 파종기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구동축, 브라켓, 회전체, 파종뭉치, 파종몸체, 간격조절장치

Description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 {Seeder of a bundle of seeding and seeding body using a bundle of see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를 사용한 파종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몸체의 절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a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 몸체의 간격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파종시에 파종몸체 내부의 캠트랙의 각 구간별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를 사용한 파종기의 복수 열 결합시 파종몸체의 배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구동축 20: 핸들
30: 종자통 40: 종자이동구
50: 종자이동구 마개 60: 종자수용부
60a: 왼쪽 격벽 60b: 오른쪽 격벽
70: 내부회전판 80: 회전체
90: 외부회전판 100: 파종뭉치
110: 파종몸체 120: 수납홈거치대 단부
130: 브라켓 밀대 단부 140: 베어링
145: 밀대 유도홈 150: 종자수납홈
160: 수납홈 이동구 170: 수납홈 거치대
180: 수납홈 거치대 리턴 스프링 190: 브라켓 밀대
200: 브라켓 밀대 리턴 스프링 210: 브라켓
210a: 브라켓 고정부 210b: 브라켓 개폐부
220: 간격조절장치 225: 조절편
230: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 240: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
250: 유동부재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 위를 밀고 다니며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브라켓을 통해 지면에 소정 분량의 종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하는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파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 파종하는 원통형 점파식 파종기가 다양하게 개발이 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점파식 파종기는 파종구를 파종기 회전통 원주상에 등간격 복수개를 고정시켜 일체화된 것으로, 파종기 원주상에 위치한 동일 간격의 복수개 설치된 각 파종구와 파종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종자 파종간격을 일정 배수이상으로만 파종할 수밖에 없어 일정배수가 아닌 다양한 간격으로 종자를 파종하고자 할 때 파종간격이 다르게 파종구가 설치된 여러개의 파종기를 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실용신안 출원 20-2000-0009014와 같은 경우의 원통형 점파식 자동파종기는 종자의 파종간격 조절시에 등간격 복수개의 고정 파종구에서 1,3,5,7...번 파종구는 놓아두고 2,4,6,8....번 파종구의 파종작업을 억제하여 파종간격을 조절함으로서 2배수 이상의 파종간격의 조절만이 가능하였다. 즉, 10cm 등간격으로 파종구를 고정 설치한 파종기의 경우 다음 파종거리는 최소 20cm가되어 10cm 이상 20cm 이내의 2배수 이하의 파종거리 파종에 어려움이 있어서 11,12,13,14,...,19cm등의 파종거리 요구시 그 간격에 맞는 각각의 파종기를 별도로 구입을 해야하는 곤란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 파종기는 다열 파종시에 복수개의 파종기를 각기 개별 구동을 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어 횡방향 파종이 일직선상에 파종되지 않고 불균일하게 파종되며 파종기 몸체 폭을 최소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좁은 폭의 밀식파종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기존 파종기는 파종구의 브라켓에 흙이 묻는 경우 별도 흙 제거 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구동시에 묻은 흙으로 인한 종자의 부정확한 파종이 행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종기의 외주면 회전판에 추가적인 삽입 또는 제거를 할수 있는 복수개의 파종뭉치를 일정개수 설치하고, 이와 병행하여 각 파종뭉치와 파종뭉치 사이에 추가 삽입 또는 제거를 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간격조절장치를 일정 갯수 설치한 파종기를 제공하여 다양한 간격의 종자파종을 구현하고 종자수납홈의 교체를 통한 다양한 종류 및 수량의 종자 파종을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 복수열 넓은 폭 파종시에 종래 파종기와 동일하게 개별구동이 가능하며 밀식 파종시에는 각 개별 파종기의 종자통을 제거하고 종자이동구를 개방하여 맨 좌측 또는 맨 우측의 종자통만을 유지한 채 요구되는 길이의 구동축에 통합, 결합되어 1개의 종자통으로 복수개의 파종몸체에 종자의 이동이 가능한 좁은 폭의 다열 밀식 파종기를 제공하여 행열(行列) 모든 방향으로 정확히 요구되는 간격으로 밀식파종을 구현하며 파종뭉치를 구동시키는 캠트랙의 각 구간별 기능을 더욱 강화하여 파종뭉치 구동시에 종자의 수납, 이동, 배출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더욱 높여 파종 능률을 더욱 향상시킨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종기의 회전체의 원주에 장착되는 파종뭉치에 있어서, 상기 파종뭉치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홈 거치대 리턴스프링이 개재된 수납홈 거치대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일측이 개방되어 파종뭉치 내부와 연통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개방시키는 파종뭉치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 밀대 리턴스프링이 개재된 브라켓 밀대와 상기 몸체 양측면에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 거치대와 상기 브라켓 밀대의 단부에 각 베어링이 돌출, 형성되는 밀대유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종자와 종자량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는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수용부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어 상기 종자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는 한쌍의 격벽과 종자를 이동시키는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과 타측에는 종자를 파종시키도록 하는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과 상기 양 캠트랙의 내주면에 구름결합하는 내부회전판과 상기 양 캠트랙의 외주면에 구름결합하는 외부회전판과 상기 종자 수용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종자수용부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다수의 간격조절장치와 파종뭉치가 원주둘레를 따라 착설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양 캠트랙은 소정 위치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 거치대 단부와 상기 브라켓 밀대 단부가 상기 양 캠트랙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파종몸체에 수용된 종자를 파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간격조절장치의 내부에는 접동방식의 소정형상의 조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편의 접동작용으로 상기 조절편과 연결된 내부의 유동부재가 상기 간격조절장치 외부로의 인출과 내부로의 수용이 자유롭게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파종뭉치를 상기 회전체의 원주둘레의 소정 공간부에 추가하거나 제거함에 의하여, 상기 간격조절장치 내부의 유동부재의 유동으로 상기 파종뭉치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회전체를 1개의 중심축 상에 여러개를 다열로 장착시켜 다열 밀식 파종에서 다양한 파종간격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양 캠트랙은 각각 별도의 유동 각도를 두고 상기 파종뭉치로 작용을 하며, 상기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조절하고, 상기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조절하여 경사진 비탈면의 파종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가 결합된 파종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점파식 파종기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심축에 핸들(20)과 좌,우 격벽(60a, 60b)을 회전하지 않게 일정하게 고정하고, 한쪽 격벽 외부 면에 종자통(30)이 설치되고, 양쪽 격벽(60a, 60b) 외주면에 다수의 파종뭉치(100)가 결합된 중심부분에 구동축(10)이 형성된 회전체(80)가 구 비되어 있어, 상기 양 격벽(60a, 60b)과 회전체(80)의 중심에 종자수용부(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몸체의 절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 2와 상기 도 3a과 같이, 양 격벽(60a, 60b)의 내부의 좌측에는 수납홈 거치대(170) 작동에 관여하는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이 고정되고, 우측에는 브라켓 개폐 작용을 하는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이 고정되어 설치가 되며, 상기 양 캠트랙(230, 240) 내부에 구름결합하는 내부회전판(70)과 상기 양 캠트랙(230, 240)에 고정된 좌우의 격벽의 외주면에 구름결합하는 외부회전판(9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외부회전판(70, 90)의 원주상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파종뭉치(100)와 간격조절장치(220)를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파종뭉치(100)를 부착과 제거를 하고,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장치(220)의 탈부착 및 조정으로 회전체(80)의 원형을 유지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간격조절장치(220)의 조정으로 종자 파종거리를 더욱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 몸체의 간격조절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상세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3b를 참조하여 간격조절장치(220)에 관한 설명을 하면, 상기 간격조절장치(220)의 내부에는 "Y"자 형태의 조절편(225)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 조절편(225)의 양측 끝단부는 유동부재(250)가 각 나사결합이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편(225)은 슬라이드 접동 형식으로 되어 있고, 회전체(80)의 외주면에 체결과 해제를 하는 방법을 취하는데, 도 3b의 왼쪽 그림을 보면, 유동부 재(250)가 간격조절장치(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통(80)외주에 일정한 공간이 생기게 되어 파종뭉치(100)를 추가 삽입할 수가 있으므로, 파종뭉치(10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는 경우이다. 그리고, 도 3b의 오른쪽 그림을 보면, 반대로 파종뭉치(100)를 제거하여 파종뭉치(100) 사이의 간격을 늘려야 할 경우인데, 임의 개수의 파종뭉치(100)를 제거하고 상기 유동부재(250)가 조절편(225)의 회동으로 내부로부터 적출 되므로서 상기 제거된 공간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남은 파종뭉치(100)로 상기 파종뭉치(100)들 사이 간격을 다시 일정하게 조율한다. 따라서, 양끝에 결합되는 파종뭉치(100)들 간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파종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관해 더욱 자세한 설명을 하면, 예를 들어, 원주둘레가 150cm 인 경우, 최초 파종뭉치와 간격조절장치 10쌍을 등간격으로 설치할 때, 150/10 = 15 이므로 파종뭉치 상호 간격은 15 cm 가 되는 것인데, 파종뭉치와 간격조절장치 각 1개씩을 제거하고 조절편의 회동으로 파종뭉치를 등간격으로 조절하면 9개가 되므로, 150/9 = 16.66 cm가 되는 것이다. 또한, 3개를 제거할 경우, 150/7 = 21.42이므로 21.42 cm가 된다. 따라서, 다양하게 파종뭉치의 간격조절을 함으로서 더 많은 파종간격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파종기와는 달리 삽입, 제거, 교체의 편의와 파종간격의 자유조절을 가져다주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의 양 격벽(60a, 60b)의 하부에 종자이동구(40)를 소정크기로 절개하고 좌측격벽 외부에 종자통(30)을 결합하여, 상기 종자통(30)의 종자가 종자이동구(40)를 통해서 내부의 종자수용부(60)로 흐르도록 하고, 상기 종자이동 구(40)의 우측에는 종자이동구 마개(50)를 형성한다. 상기 종자이동구(40)는 격벽(60a, 60b) 아래 일정높이에 위치시켜 본 파종기를 진행하지 않아도 종자이동구(40)와 종자수용부(60) 하부의 높이차이로 종자통(30)의 종자가 종자수용부(60)로 유입되어 종자이동구(40)의 상단 높이 만큼의 일정 종자량이 항상 종자수용부(60) 내부에 충만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자의 파종뭉치(100)는 상기 파종뭉치 몸체(110)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좌측에는 수납홈 거치대 단부(120)가 밀대유도홈(145)을 통해 파종뭉치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형성하게 하며, 수납홈 거치대 리턴 스프링(180)을 내설하고 수납홈(150)을 결합, 몸체(110) 하부에는 내부의 일정한 공간과 연통하는 브라켓(210)을 설치하고 우측에는 브라켓 밀대 단부(130)가 몸체(110)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브라켓 밀대 리턴 스프링(200)을 내설하고 브라켓 밀대(190)하부에는 브라켓(210)의 일측면 개방부(210b)에 힌지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양 스프링(180, 200)들의 작용으로 수납홈 거치대(170)와 브라켓 밀대(190)가 연동하는 것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핸들(20)을 잡고 파종기를 운행하면 회전체(80)가 구름운동을 하게 되고 종자수용부(60)의 하부에 일정량 유지된 종자는 도 5의 파종뭉치가 캠트랙의 각 구간별 흐름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름운동하는 회전체(80)에 결합된 파종뭉치(100)들이 양 캠트랙(230, 240)의 각 구간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따라서, 각 구간별로의 일정한 싸이클(Cycle)을 통해서 종자수용부(60)에서 배출되어 지면으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도 5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종이 이뤄질 경우, 파종뭉치가 캠트랙의 각 구간별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두개의 캠트랙(230, 240)은 서로 고정되어 구속되지 아니하고, 각각 구동하여 각각의 파종뭉치(100)의 작용 구간을 가지게 되는 것을 밝혀두고자 한다. 파종뭉치(100)들의 구간별 세부작용을 보면 파종뭉치(100)가 고정된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A 1구간을 이동중에는 수납홈 거치대(170)의 단부(120)가 상기 캠트랙(230)의 반경이 큰 부위에서 반경이 작은 부위로 파고들며 수납홈 거치대 리턴 스프링(180)의 탄성에 의하여 수납홈(150)이 종자수용부(60) 내부로 진입하여 종자를 내부에 수납하고, 수납도중에 상기 캠트랙(230)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요철(미도시)로 인한 진동으로 확실한 종자의 수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파종뭉치(100)가 상기 캠트랙(230)의 A 2구간을 이동을 할 경우, 수납홈 거치대 단부(120)가 상기 캠트랙(230)의 반경이 작은 부위에서 큰 부위로 타고 넘으며 수납홈(150)을 포함한 수납홈 거치대(170)가 수납홈 이동구(160)를 통해 파종몸체(110) 내부로 이동하므로 수납홈(150)에 수용된 종자가 종자수용부(60)에서 파종뭉치(100)의 파종몸체(110) 내부로 이동하여 대기를 하는 상태가 된다. 파종뭉치(100)가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3구간으로 이동중에는 수납홈(150)이 계속하여 파종뭉치(100)의 파종몸체(110) 내부에 위치하고 수납홈(150)에서 대기중이던 종자가 자유낙하하여 수납홈(150)에서 이탈하여 소정부위에 형성된 요철(미도시)의 진동으로 종자를 더욱 확실히 상기 수납홈(150)에서 털어내게 되어 종자는 파종뭉치(100) 하단부의 브라켓(210)으로 이동되어 파종할 준비를 하 게 된다. 파종뭉치(100)는 다시금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A 1구간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에 언급한 A 1구간 - A 3구간의 과정을 연속해서 반복하는 싸이클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타측면에 형성된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구간별 세부작용을 역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B 1과 B 2 구간은 상기 좌측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A 1구간 부위에 위치하게 되며, 파종뭉치(100)가 상기 좌측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A 1구간을 통과시 동시에 우측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B 1, B 2구간을 통과하고, 파종뭉치(100)가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B 1구간을 이동중에는 파종뭉치(100)의 오른쪽에 설치된 브라켓 밀대(190)의 단부(130)가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반경이 작은 부위에서 반경이 큰 부위를 타고 넘으며 브라켓 밀대(190)가 하부로 밀리므로 이 밀대(190)의 끝에 힌지 결합된 브라켓(210)의 일측 개방부가 개방되어 브라켓(210) 내부에 수용된 종자가 배출되어 지면에 파종되는 것이다. 여기서, 파종뭉치(100)가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B 1구간중 반경이 큰 부위를 이동중에는 브라켓(210)이 계속 개방된 채로 있으며, 요철부위(미도시)를 이동중에는 반복되는 브라켓(210)의 개폐작동과 진동에 위하여 브라켓(210)에 묻어있던 흙을 털어내게 되고, 파종뭉치(100)가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B 2구간 이동중에는 브라켓 밀대 단부(130)가 브라켓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반경이 큰 부위에서 반경이 작은 부위로 타고 들며 브라켓 밀대 리턴 스프링(200)의 장력에 의하여 밀대(190)의 끝에 힌 지 결합된 브라켓(210)의 일측이 닫혀지게 된다. 파종뭉치(100)가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의 브라켓 개방구간을 이동하는 중에는 파종뭉치(100)의 종자수납홈(150)이 종자수용부(60) 내부에서 종자의 수납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수납홈 이동구(160)가 폐쇄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종자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종뭉치(100)가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의 A 2구간 이동을 할 때, 수납홈(150)에 수납된 종자가 종자수용부(60)에서 파종기 회전체(80)로 이동시 상기 종자수용부(60) 상부측 종자가 없는 곳에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수납홈(150)에 수용되지 않은 종자는 모두 아래로 낙하하고 상기 수납홈(150)에 수납된 일정량의 종자만을 파종뭉치(100)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수납홈(150)에 수용된 일정량의 종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종자수납홈(150)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수납홈 거치대(170)에 교체하는 방식으로 결합고정시켜, 파종시킬 종자의 특성이나 수량에 적합한 수납홈(150)을 선택, 결합하여 파종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 구간별로의 일정한 싸이클(Cycle)을 통해서 종자수용부(60)에서 파종뭉치(100)로 이동하여 브라켓(210)에서 종자가 배출되어 지면으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를 사용한 파종기의 복수 열 결합시 배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자의 밀식 파종이 요구될 경우, 복수개의 파종기중에서 가장 좌측 또는 가장 우측에 위치한 1개의 파 종기에 부착된 종자통(30)만을 남기고 가운데에 위치한 파종기에 부착된 종자통(30)을 모두 탈착하여 각 파종기들 사이에 연통하는 모든 종자이동구(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요구되는 길이의 구동축(10)에 통합, 장착하여 종자통(30)의 종자가 종자이동구(40)의 낙차로 인하여 순차적으로 각각 파종몸체(110)에 공급됨으로 통합된 파종기에 종자보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통합, 고정된 파종기는 통합하여 구동되어 종방향, 횡방향 모두 일직선상의 종자파종이 가능하며 최대 좁은 폭의 밀식파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종뭉치(100)의 종자수납의 이동에 관해서는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조절하고 브라켓 개방 캠트랙(240)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조절함으로서 비탈진 경사면에 파종할 경우에 있어서도 종자파종이 원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단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어 설명이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는 파종기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파종뭉치와 간격조절장치를 용이하게 추가하거나 제거를 하고 파종뭉치들 상호간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서 씨앗의 파종간격을 2배수 이상은 물론 2배수 이하에서도 원주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어떤 간격으로도 씨앗 파종간격을 조절하여 파종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평지 및 비탈진 경사지에서도 원활한 파종작업을 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파종기 몸체를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시켜 다열 밀식파종에 적합한 구조로 변환하여 밀식파종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파종기의 회전체(80)의 원주에 장착되는 파종뭉치(100)에 있어서,
    상기 파종뭉치(100)의 몸체(110) 상부에 형성되는 수납홈(150)이 형성된 수납홈 거치대 리턴스프링(180)이 개재된 수납홈 거치대(170);
    상기 몸체(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파종뭉치(100) 내부와 연통하는 브라켓(210);
    상기 브라켓(210)을 개방시키는 파종뭉치(100)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 밀대 리턴스프링(200)이 개재된 브라켓 밀대(190);
    상기 몸체(110) 양측면에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 거치대(170)와 상기 브라켓 밀대(190)의 단부(130)에 각 베어링(140)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밀대유도홈(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뭉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50)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종자와 종자량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뭉치(100).
  3. 구동축(10)과 상기 구동축(10)에 고정설치되고, 종자를 저장하는 종자통(30)이 구비된 파종기의 파종뭉치(100)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110)에 있어서,
    종자를 수용하는 종자수용부(60);
    상기 구동축(10)에 고정되어 상기 종자수용부(60)의 외벽을 형성하는 한쌍의 격벽(60a, 60b);
    종자를 이동시키는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
    타측에는 종자를 파종시키도록 하는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
    상기 양 캠트랙(230, 240)의 내주면에 구름결합하는 내부회전판(70);
    상기 양 캠트랙(230, 240)의 외주면에 구름결합하는 외부회전판(90);
    상기 종자 수용부(6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종자수용부(60)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간격조절장치(220);
    탈부착이 가능한 파종뭉치(100)가 원주둘레를 따라 착설된 회전체(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캠트랙(230, 240)은 소정 위치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 거치대 단부(120)와 상기 브라켓 밀대 단부(130)가 상기 양 캠트랙(230, 240)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파종몸체(110)에 수용된 종자를 파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220)의 내부에는 접동방식의 소정형상의 조절편(225)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편(225)의 접동작용으로 상기 조절편(225)과 연결된 내부의 유동부재(250)가 상기 간격조절장치(220) 외부로의 인출과 내부로의 수용이 자유롭게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파종뭉치(100)를 상기 회전체(80)의 원주둘레의 소정 공간부에 추가하거나 제거함에 의하여, 상기 파종뭉치(10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80)를 1개의 중심축 상에 여러 개를 다열로 장착시켜 다열 밀식 파종에서 다양한 파종간격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캠트랙(230, 240)은 각각 별도의 유동 각도를 두고 상기 파종뭉치(100)로 작용을 하며, 상기 수납홈 거치대 구동 캠트랙(230)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조절하고, 상기 브라켓 밀대 구동 캠트랙(240)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조절하여 경사진 비탈면의 파종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파종뭉치 및 이를 이용한 파종몸체.
KR1020070023988A 2007-03-12 2007-03-12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KR10087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988A KR100875336B1 (ko) 2007-03-12 2007-03-12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988A KR100875336B1 (ko) 2007-03-12 2007-03-12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35A true KR20080083435A (ko) 2008-09-18
KR100875336B1 KR100875336B1 (ko) 2008-12-22

Family

ID=4002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988A KR100875336B1 (ko) 2007-03-12 2007-03-12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828A (ko) * 2014-07-09 2016-01-2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점파식 파종기
KR102045178B1 (ko) * 2019-04-30 2019-11-15 정명식 파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46B1 (ko) * 2009-07-15 2012-05-08 박기한 밭 이랑에 홀을 뚫는 묘종 정식 간격 조정기
KR101177325B1 (ko) 2009-10-30 2012-08-30 박기한 밭 이랑에 홀을 뚫는 묘종 정식 간격 조정장치
CN105850306B (zh) * 2016-02-25 2017-11-28 新疆天诚农机具制造有限公司 一种分流式取种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961B1 (ko) 1998-01-21 2000-02-01 이창홍 점파파종기에서 종자량 및 파종간격 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194229Y1 (ko) 2000-03-30 2000-09-01 문동길 점파식 자동파종기
KR100443790B1 (ko) 2003-09-26 2004-08-11 문동길 담수직파용 점파식 파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828A (ko) * 2014-07-09 2016-01-2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점파식 파종기
KR102045178B1 (ko) * 2019-04-30 2019-11-15 정명식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336B1 (ko) 2008-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336B1 (ko) 파종기의 파종뭉치를 이용한 파종몸체장치
EP3311642B1 (en) Smart seeder
KR100347588B1 (ko) 마늘의 직립 파종장치
KR101722415B1 (ko) 강제 배출식 종자 또는 비료 점파장치
CN106385883B (zh) 排种器
CN212367876U (zh) 一种秧盘育秧流水线
CN113728758A (zh) 一种秧盘育秧流水线
JPS6239963B2 (ko)
CN211745667U (zh) 一种秧盘自动化播种装置
KR102161879B1 (ko) 휴대용 파종기
JP4820082B2 (ja) 播種機
JP2008099658A5 (ko)
CN210381855U (zh) 一种水稻精量点播播种装置
KR101158634B1 (ko) 밭작물 씨앗의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JP6623429B2 (ja) 育苗容器用厚播薄播兼用播種装置および育苗容器用厚播薄播兼用播種方法
KR101038632B1 (ko) 종자 파종기
JP5470112B2 (ja) 播種機
KR101194496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N115443776B (zh) 小麦小区播种机
KR100459506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RU2603926C1 (ru) Лесная сеялка крупноплодных семян
JPH09275715A (ja) 育苗用播種装置
JPH02211804A (ja) 育苗床への播種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3981202B2 (ja) ポット式育苗容器用播種装置
KR960009202Y1 (ko) 노즐식 자동 파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