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506B1 -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506B1
KR100459506B1 KR1020040067500A KR20040067500A KR100459506B1 KR 100459506 B1 KR100459506 B1 KR 100459506B1 KR 1020040067500 A KR1020040067500 A KR 1020040067500A KR 20040067500 A KR20040067500 A KR 20040067500A KR 100459506 B1 KR100459506 B1 KR 10045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rotary cylinder
guide
seeds
s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길
Original Assignee
문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길 filed Critical 문동길
Priority to KR102004006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통(1)의 회전중심에 호퍼(2)로부터 소정량의 종자를 유입하여 배출하는 종자유치부(3)가 구비되고, 상기 종자유치부(3)의 일측에 종자토출구(3a)가 형성되며, 상기 종자유치부(3)의 종자토출구(3a) 선단 일측에 제1종자가이드(10)가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종자유치부(3)의 종자토출구(3a) 선단 타측에 제2종자가이드(20)가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와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호퍼(2)에서 회전통(1) 내부로 종자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일회 파종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을 함유한 종자를 교반시겨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종자가 밀집되어 종자의 배출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A device for pushing out seeds of a spot seeder }
본 발명은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면위를 밀고 다니면서 복수개의 파종구를 통해 지면에 소정량의 종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하는 점파식 파종기에서 호퍼로부터 종자를 유입하여 파종구로 종자를 안내하는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직접 손으로 파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여 기계적으로 자동 파종하는 자동파종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특히 등간격으로 종자를 파종하는 점파식 파종기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점파식 파종기는 지면위를 구름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통(10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101)의 원주면에 복수개의 파종구(102)를 등간격으로 구비하며, 상기 회전통(101)의 회전중심에 호퍼(103)로부터 소정량의 종자를 유입하여 배출하는 종자유치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101)의 일측에 상기 종자유치부(104)에서 낙하하는 종자를 상기 파종구(102)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종자배출구(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퍼(103)에 저장된 종자는 종자공급구(106)를 통하여 회전통(101)의 종자유치부(104)안에 공급되어 저장되고, 회전통(101)의 외측 원주면에는 복수개의 파종구(102)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지면에 인접할 때 파종기구에 의해 개방되어 지면으로 종자를 배출하며, 상기 종자유치부(104)에서 종자배출구(105)를 통해 상기 파종구(102)로 종자를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종자유치부(104)는 회전통(101)의 회전중심에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회전통(101)으로 종자를 배출하는 종자토출구(104a)가 형성되며, 상기 종자토출구(104a)의 개폐면적을 조절하는 개폐레버(107)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레버(107)는 회전통(101)의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면서 상기 종자토출구(104a)의 개폐면적을 조절하여 종자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개폐레버(107)는 개폐면적만을 조절하게 되므로 종자토출구(104a)가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을 때에는 일정량의 종자가 계속해서 낙하하게 되고, 종자배출구(105)를 통해 파종구(102)로 배출되는 종자량과 종자토출구(104a)에서 낙하하는 종자량을 동일하게 유지하지 않는한 회전통(101)의 연속회전에 의해 배출되는 종자가 회전통(101)의 내부에 계속해서 퇴적된다.
이와 같이 종자유치부(104)로부터 회전통(101)의 내부로 종자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면 회전통(101) 내부에서 종자의 밀도가 높아짐으로써 종자의 유동공간이 감소하여 상기 종자배출구(105)로 배출되는 종자의 양이 감소되거나, 종자배출구(105)에 인접한 종자들이 한번에 다량 배출되기도 하는 등 종자배출량이 불규칙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종자유치부(104)의 내부에서 종자들이 서로 달라 붙게 되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자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회 파종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을 함유한 종자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회전통 1a : 파종구
1b : 종자배출구 2 : 호퍼
3 : 종자유치부 3a : 종자토출구
10 : 제1종자가이드 11 : 제1수직부
12 : 제1수평부 20 : 제2종자가이드
21 : 제2수평부 22 : 제2수직부
30 : 편심스월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회전통(1)의 회전중심에 호퍼(2)로부터 소정량의종자를 유입하여 배출하는 종자유치부(3)가 구비되고, 상기 종자유치부(3)의 일측에 종자토출구(3a)가 형성되며, 상기 종자유치부(3)의 선단 일측에 제1종자가이드(10)가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종자유치부(3)의 선단 타측에 제2종자가이드(20)가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와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종자가이드(10)는 상기 종자유치부(3)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수직부(11)와, 상기 제1수직부(11)의 선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수평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평부(12)는 상기 회전통(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상기 종자토출구(3a)에서 회전통(1)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는 종자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2종자가이드(20)는 상기 종자유치부(3)의 일측에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의 제1수평부(12)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수평부(21)와, 상기 제2수평부(21)의 선단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된 제2수직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수평부(21)는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의 제1수평부(12)와 함께 상기 회전통(1)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종자토출구(3a)로 배출되는 종자를 회전통(1)의 원주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제2수직부(22)는 상기 회전통(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에 의해 회전통(1)의 원주방향으로 배출되는 종자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의 사이 토출구로 낙하하는 종자는 종자배출구(1b)로 유입되어 파종구(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는 회전통(1)의 원심을 중심으로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에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부(12')가 제1수직부(11')에 대하여 소정의 둔각을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부(22')가 제2수평부(21')에 대하여 소정의 둔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a)의 회전각 상태에서는 상기 종자토출구(3a)가 지면을 향하게 되어 종자가 종자토출구(3a)를 통해 제1종자가이드(10)쪽으로 낙하하기 시작하고, 이때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의 제1수평부(12)가 종자를 지지함으로써 소정량의 종자만이 종자토출구(3a)로 배출된 상태에서 배출된 종자에 의해 종자토출구(3a)가 막혀 종자배출이 정지되며, 제1종자가이드(10)까지 배출된 종자는 종자배출구(1b)쪽으로 낙하되지 않는다.
도 7(b)의 회전각 상태에서는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의 제1수평부(12)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1수평부(12)의 선단에 위치하던 종자의 일부가 종자배출구(1b)쪽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때 상기 종자토출구(3a)를 막고 있던 종자가 배출되어 종자토출구(3a)로부터 종자가 다시 배출되기 시작한다.
도 7(c)의 회전각 상태에서는 상기 제1종자가이드(10)가 아래쪽을 향하여 개방되면서 제1종자가이드(10)에 있던 종자가 낙하하게 되고, 이때 상기 종자토출구(3a)가 수평을 유지하기 시작하면서 종자토출구(3a)로 종자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통(1)이 수회 반복된 경우에는 도 7(a)와 도 7(b)의 과정을 거치면서 배출된 종자가 도 7(c)와 같이 회전통(1)의 내부에 채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회전통(1) 내부의 종자가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의 사이의 토출구를 막아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의 사이에 위치한 종자의 배출이 정지되며, 그로 인해 종자토출구(3a)에서도 종자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도 7(d)의 회전각에서는 상기 제2종자가이드(20)의 제2수직부(22)가 위쪽을 향하기 시작하면서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 사이에 위치한 종자를 지지하여 종자가 회전통(1)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저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종자토출구(3a)도 위쪽을 향하기 시작하여 종자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의 (a)(b)(c)(d) 동작에서 종자가 회전통(1)의 내부로 배출되는 구간은 (b)(c)구간이고, 이 구간에서도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에 의해 종자가 제한적으로 배출되며, 제1종자가이드(10)와 제2종자가이드(20)가 종자유치부(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비례하여 종자배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종자유치부(3)의 내부에는 편심스월러(30)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편심스월러(30)는 상기 회전통(1)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1)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종자유치부(3)에 저장된 종자를 교반시킴으로써 수분이 흡수된 눅눅한 종자를 서로 달라붙지 않게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분이 흡수되어 서로 달라붙어 있는 종자들로 인해 상기 종자토출구(3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제1종자가이드(10) 쪽으로 종자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에 의하면, 호퍼에서 회전통 내부로 종자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일회 파종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을 함유한 종자를 교반시겨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종자가 밀집되어 종자의 배출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면위를 구름접촉하면서 회전하는 회전통(1)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파종구(1a)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1)의 회전중심에 호퍼(2)로부터 소정량의 종자를 유입하여 배출하는 종자유치부(3)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통(1)의 일측에 상기 종자유치부(3)에서 낙하하는 종자를 상기 파종구(1a)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종자배출구(1b)가 형성된 점파식 파종기에서, 상기 종자유치부(3)에서 낙하하는 종자를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자유치부(3)의 외측에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종자유치부(3)에서 회전통(1)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는 종자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종자가이드(10)와;
    상기 종자유치부(3)의 외측에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와 소정간격을 두고 회전통(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종자가이드(10)에 의해 회전통(1)의 원주방향으로 배출되는 종자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종자가이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자가이드(10)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유치부(3)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회전통(1)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1)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종자유치부(3)에 저장된 종자를 교반시키는 편심스월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KR1020040067500A 2004-08-26 2004-08-26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KR10045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00A KR100459506B1 (ko) 2004-08-26 2004-08-26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00A KR100459506B1 (ko) 2004-08-26 2004-08-26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506B1 true KR100459506B1 (ko) 2004-12-03

Family

ID=3737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500A KR100459506B1 (ko) 2004-08-26 2004-08-26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496B1 (ko) 2010-03-02 2012-10-24 문동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N102918966A (zh) * 2012-11-15 2013-02-13 华中农业大学 一种带导向搅种齿的吸种盘
KR101315328B1 (ko) 2011-03-21 2013-10-11 문동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496B1 (ko) 2010-03-02 2012-10-24 문동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KR101315328B1 (ko) 2011-03-21 2013-10-11 문동길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N102918966A (zh) * 2012-11-15 2013-02-13 华中农业大学 一种带导向搅种齿的吸种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4697C2 (ru) Узел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закрытия борозды
UA80021C2 (en) Sowing machine for the application of seed
CA2333088C (en) A distributor of horticultural seeds for a sowing agricultural implement
US8733259B2 (en) Seed metering apparatus for a seeder
JPS6328562B2 (ko)
US4703868A (en) Apparatu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seeds
KR100459506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UA80434C2 (uk) Сівалка
EA035922B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накопительной ёмкостью
CN110393059B (zh) 水稻穴播装置
UA122907C2 (uk) Висівний апарат для гранульованого матеріалу з блоком попереднього дозування
KR101446997B1 (ko)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KR102185608B1 (ko) 플런저 방식 점파장치
KR101315328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KR100349335B1 (ko) 진공펌프를 이용한 직파용 씨앗 파종기
FI121910B (fi) Kylvölaitteen annostuspää
KR101194496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JP3799258B2 (ja) 育苗箱用の肥料や薬剤の粒剤繰出装置
KR20000005134U (ko) 씨앗 파종기의 씨앗 공급판
US5988536A (en) Electro-mechanical dosimeter of seeds and fertilizer
CN107295841A (zh) 强推组合调节槽轮精密排种器
RU2148900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KR101525007B1 (ko) 직파기용 스크류 타입 종자 배출장치
KR20050011826A (ko) 볍씨 파종기
KR970000001Y1 (ko) 줄파종과 점파종이 가능한 파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