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997B1 -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 Google Patents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997B1
KR101446997B1 KR1020130053985A KR20130053985A KR101446997B1 KR 101446997 B1 KR101446997 B1 KR 101446997B1 KR 1020130053985 A KR1020130053985 A KR 1020130053985A KR 20130053985 A KR20130053985 A KR 20130053985A KR 101446997 B1 KR101446997 B1 KR 10144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receiving groove
housing
seed receiving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권
노오섭
박광호
염승철
Original Assignee
윤순권
염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권, 염승철 filed Critical 윤순권
Priority to KR102013005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3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는,
직파기의 종자통(200)과 시드판(300) 사이에 배치되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로서,
상기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된 채, 상기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150)에 결합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종자수용홈(1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시드공급로울러(120); 상기 종자수용홈(121)의 내부에 삽입된 채 종자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종자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상태인 플런저(130); 및 상기 종자수용홈(121) 중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종자통(200)의 종자공급구(210)와 일치하였을 때 상기 특정 종자수용홈의 내부로 종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를 후퇴시켜주고, 종자수용홈 중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시드판의 종자배출구와 일치하였을 때 상기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 내에 수용된 종자가 상기 종자배출구를 통해 강제 배출되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를 전진시켜주는 진퇴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각 종자수용홈(1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축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장홀(141)을 포함하며;
상기 각 플런저(130)의 양쪽에 결합된 채 상기 각 장홀(141)의 외부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142);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롤러(142)를 안내하기 위한 캠홀(143a)이 형성되어, 상기 캠홀의 형태에 따라 가이드롤러와 결합된 플런저의 진퇴위치를 결정하는 비 회전체인 캠판(143); 및 상기 종자수용홈에 내장된 채 상기 플런저를 종자수용홈의 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144);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자수용홈(121) 내에 수용되는 종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종자량 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자량 조절수단(160)은, 상기 각 캠판(143)에 결합된 채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 핀(161);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상기 스토퍼 핀(161)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다수의 걸림홈(162a)을 갖는 핀 걸림부(162);
상기 스토퍼 핀(161)과 결속되어 상,하 조작에 따라 스토퍼 핀 및 캠판(143)을 회전시켜서 캠홀(143a)을 원주방향으로 변위시켜주는 조절레버(163);
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Direct spot-seeder force-emissions}
본 발명은 직파기의 종자통과 시드판 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강제로 점파하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캠구동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가 종자를 강제적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점파장치의 출구를 지면에 근접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정확한 점파 작업이 가능한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벼농사는 주로 이앙재배의 방법으로 재배되나, 벼의 육묘과정과, 이앙과정을 생략하고 벼가 자라야 할 논에 볍씨를 직접 파종하여 생육시키는 직파식 재배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직파 재배방식을 위해 직파기가 사용된다.
직파기는 트랙터 또는 이양기 등 주행 가능한 차량의 후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동력에 의해 재배지에 직접 종자를 파종하는 견인식 농기계로서, 통상,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작업, 고랑을 형성하여 시비 및 종자를 파종하는 작업 및 파종된 종자를 복토하는 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직파기는 파종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특히, 점파식 파종장치는 종자고랑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종자를 파종하는 장치로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대응하는 2개의 선행특허를 제시한다.
먼저, 선행특허 1에 개시된 자연 낙하식 점파식 파종장치는 국내특허등록 제10-0454245호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파부 프레임(1)에 지지되는 복수의 종자저장통(2)과, 각 종자저장통(2)으로부터 공급받은 종자를 원주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된 종자배출구(3)를 통해 점파 배출하는 복수의 로터리형 점파통(4)으로 구성되어, 상기 로터리형 점파통(4)이 소정 속도로 회전되면서 점파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종자배출구(3)를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종자가 배출됨으로써 점파가 이루어지게 된다.
선행기술 2에 개시된 자연 낙하식 점파식 파종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5)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종기 결합브라켓(6), 상기 파종기 결합브라켓(6)에 결합되는 파종기 프레임(7), 상기 파종기 프레임(7)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호퍼(8), 상기 파종기 프레임(7)의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통(9) 및 상기 회전통(9)의 일측에 구비되는 캠기구(미도시), 상기 캠기구에 의해 종자배출구(10)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1, 2는 로터리형 점파통(선행특허1) 및 회전통(선행특허2)과 같이, 로터리형 점파기구에 의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로터리형 점파기구는 지면과 근접되거나 또는 닿게 되면 지면의 흙에 의해 종자배출구가 막히게 되므로 파종불량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로터리형 점파기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서 파종을 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로터리형 점파기구로부터 지면과의 낙차에 의해 점파가 아닌 줄파 형식으로 파종이 이루어져서 점파 형식의 파종이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종자가 로터리형 점파기구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바람에 의해 흩날리면서 유실율이 커지게 되므로 파종수율이 저하되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자를 파종함에 있어서 플런저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서 배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점파장치의 출구를 지면에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정확한 점파작업이 가능하고, 종자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파기의 종자통(200)과 시드판(300) 사이에 배치되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로서,
상기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된 채, 상기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150)에 결합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종자수용홈(1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시드공급로울러(120); 상기 종자수용홈(121)의 내부에 삽입된 채 종자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종자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상태인 플런저(130); 및 상기 종자수용홈(121) 중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종자통(200)의 종자공급구(210)와 일치하였을 때 상기 특정 종자수용홈의 내부로 종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를 후퇴시켜주고, 종자수용홈 중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시드판의 종자배출구와 일치하였을 때 상기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 내에 수용된 종자가 상기 종자배출구를 통해 강제 배출되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를 전진시켜주는 진퇴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각 종자수용홈(1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축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장홀(141)을 포함하며;
상기 각 플런저(130)의 양쪽에 결합된 채 상기 각 장홀(141)의 외부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142);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롤러(142)를 안내하기 위한 캠홀(143a)이 형성되어, 상기 캠홀의 형태에 따라 가이드롤러와 결합된 플런저의 진퇴위치를 결정하는 비 회전체인 캠판(143); 및 상기 종자수용홈에 내장된 채 상기 플런저를 종자수용홈의 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144);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자수용홈(121) 내에 수용되는 종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종자량 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자량 조절수단(160)은, 상기 각 캠판(143)에 결합된 채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 핀(161);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상기 스토퍼 핀(161)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다수의 걸림홈(162a)을 갖는 핀 걸림부(162);
상기 스토퍼 핀(161)과 결속되어 상,하 조작에 따라 스토퍼 핀 및 캠판(143)을 회전시켜서 캠홀(143a)을 원주방향으로 변위시켜주는 조절레버(163);
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캠 구동방식으로 작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종자를 강제로 밀어서 배출하므로써, 점파장치를 지면에 밀접하게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흙에 의한 막힘 현상이 없이 정확한 점파가 가능하다.
또한, 점파장치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점파가 이루어지므로 종자가 바람에 날아가는 종자유실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종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연 낙하식 점파식 파종장치의 일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자연 낙하식 점파식 파종장치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의 완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종자량 조절수단의 구성 및 조절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는 직파기의 일 구성인 종자통(200)과 시드판(30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종자통(200)은 종자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하부에는 상기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로 종자를 공급하기 위한 종자공급구(210)(도 6 및 7에 도시됨)가 구비된다.
상기 시드판(300)은 그 저면에 종자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고랑형성돌기(310)(도 7에 도시됨)가 형성되며, 상기 고랑형성돌기(310)의 전방에는 상기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종자를 종자고랑으로 최종 배출하기 위한 종자배출구(320)(도 6 및 7에 도시됨)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의 완전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는 하우징(110), 시드공급로울러(120), 플런저(130) 및 진퇴수단(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기한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의 대부분의 부품들을 수납,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양 분할되게 구성되고, 각각의 수납공간(111)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형합한다.
여기서, 상기 각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하우징을 상기 종자통(200)의 하부에 결속하기 위한 브라켓(112)이 결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113)는 베어링 수납부이다.
시드공급로울러(120)는 실질적으로 종자를 배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된 채, 상기 하우징(110)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150)(도 6에 도시됨) 상에 끼움 결합되어 구동축(150)과 함께 연동 회전된다.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는 원주면 상에 다수의 종자수용홈(1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자수용홈(121)들은 시드공급로울러(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종자통(200)의 종자공급구(210)와 순차적으로 일치될 때마다 종자(s)를 수용하고, 상기 시드판(300)의 종자배출구(320)와 일치될 때마다 종자를 배출한다.
플런저(130)는 상기 각 종자수용홈(121)의 내부에 삽입된 채, 종자수용홈(121)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종자수용홈(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종자수용홈(121)의 깊이를 변화시키게 된다.
진퇴수단(140)은 각 플런저(130)의 방사상 위치에 따라 플런저를 진퇴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종자수용홈(121) 중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종자통(200)의 종자공급구(210)와 일치하였을 때는 상기 특정 종자수용홈의 내부로 종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130)를 후퇴시켜준다.
또한, 종자수용홈(121) 중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시드판(300)의 종자배출구(320)와 일치하였을 때는 상기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 내에 수용된 종자가 상기 종자배출구(320)를 통해 강제 배출되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130)를 전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축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각 종자배출홈(121)과 직교하게 연통되는 장홀(14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각 플런저(130)의 양쪽에 결합된 채 상기 각 장홀(141)의 외부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비 회전체인 캠판(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판(143)의 중앙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롤러(142)를 안내하기 위한 캠홀(143a)이 형성된다. 상기 캠홀(143a)은 상기 각 가이드롤러(142)를 안내함으로써 종국에는 이와 결합된 플런저(130)의 진퇴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종자수용홈(121)에 내장된 채 상기 플런저(130)를 종자수용홈의 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14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상사점에 위치하는 종자수용홈(121)이 상기 종자공급구(210)와 일치되었을 때는, 종자수용홈(121) 내의 플런저(130)는 가이드롤러(152) 및 캠홀(143a)에 의해 가장 아래로 후퇴되어 종자수용홈(121)에 적정의 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종자가 수용된 종자수용홈(121)이 하사점에 위치하여 종자배출구(320)와 일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144)의 탄성 추력에 의해 종자수용홈(121)의 출구까지 전진되어 종자수용홈(121) 내에 수용된 종자(s)를 상기 종자배출구(320)를 통해 강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종자수용홈(121)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종자수용홈(121) 내의 종자는 상기 하우징(110)의 차단 플랜지(114)에 의해 그 출구가 밀폐되므로 종자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는 상기 종자수용홈(121)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에 수용되는 종자량을 조절하기위한 종자량 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종자량 조절수단(160)은 스토퍼 핀(161), 핀 걸림부(162) 및 조절레버(163)를 포함한다.
스토퍼 핀(161)은 상기 캠판(143)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 캠판(143)에 결합된 채 상기 하우징(110)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핀홀(11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핀 걸림부(162)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핀(161)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다수의 걸림홈(162a)이 원호형으로 배열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핀(161)이 어느 걸림홈(162a)에 걸리냐에 따라 캠판(143)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캠판(143)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경우, 캠홀(143a)의 설정위치도 변경되므로 결국 상사점에 위치하는 플런저(130)의 후퇴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사점에 위치하는 종자수용홈(121)의 수용크기를 변화시켜서 종자량을 많게 혹은 적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레버(163)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외부에 배치된 채, 상기 스토퍼 핀(161)과 일체로 결속되어 상,하 회전조작에 따라 스토퍼 핀(161) 및 캠판(143)을 회전시켜서 캠홀(143a)을 원주방향으로 변위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60)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를 인라인 상으로 설치한다.
이로부터, 구동축(160)이 회전하게 되면 각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의 시드공급로울러(120)이 연동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각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상사점에 위치하는 종자수용홈이 종자통(200)의 종자공급구(210)와 일치하였을 때는 이 종자수용홈 내의 플런저(130)가 가이드롤러(152) 및 캠홀(153a)의 캠작용에 의해 여타 위치에 있는 플런저에 비해 최대로 후퇴하여 종자수용홈(121)의 크기를 확장한다.
확장된 상기 종자수용홈(121)으로는 상기 종자통(200)으로부터 종자가 공급되고, 종자를 수용한 종자수용홈(121)이 도 7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시드판(300)의 종자배출구(320)와 일치하게 되면 이 종자수용홈 내의 플런저(130)는 이를 탄력 지지하고 있는 탄성체(144)의 탄성 추력에 의해 종자수용홈(121)의 최선단까지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종자수용홈(121) 내의 종자(s)는 플런저(130)의 전진력에 의해 강제로 밀려 배출되므로써 종자수용홈(121)이 흙에 의해 막히더라도 플런저(130)가 종자를 강제로 밀어내기 때문에 파종불량 없는 점파식 파종이 가능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점파장치를 지면과 근접하게 설치하더라도 플런저에 의해 종자를 강압적으로 밀어서 파종함으로써 종가수용홈의 막힘여부에 관계없는 정상 파종이 가능하므로 파종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종자가 바람에 날리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100 :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110 : 하우징
120 : 시드공급로울러 121 : 종자수용홈
130 : 플런저 140 : 진퇴수단
141 : 장홀 142 : 가이드롤러
143 : 캠판 143a : 캠홀
144 : 탄성체 150 : 구동축
160 : 종자량 조절수단 161 : 스토퍼 핀
162 : 핀 걸림부 162a : 걸림홈
163 : 조절레버

Claims (5)

  1. 삭제
  2. 직파기의 종자통(200)과 시드판(300) 사이에 배치되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로서,
    상기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된 채, 상기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동축(150)에 결합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며,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종자수용홈(1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시드공급로울러(120);
    상기 종자수용홈(121)의 내부에 삽입된 채 종자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종자수용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상태인 플런저(130); 및
    상기 종자수용홈(121) 중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종자통(200)의 종자공급구(210)와 일치하였을 때 상기 특정 종자수용홈의 내부로 종자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를 후퇴시켜주고, 종자수용홈 중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이 상기 시드판의 종자배출구와 일치하였을 때 상기 다른 특정 종자수용홈 내에 수용된 종자가 상기 종자배출구를 통해 강제 배출되도록 그 내부의 플런저를 전진시켜주는 진퇴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진퇴수단(140)은,
    상기 각 종자수용홈(1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축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장홀(141)을 포함하며;
    상기 각 플런저(130)의 양쪽에 결합된 채 상기 각 장홀(141)의 외부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142); 상기 시드공급로울러(12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각 가이드롤러(142)를 안내하기 위한 캠홀(143a)이 형성되어, 상기 캠홀의 형태에 따라 가이드롤러와 결합된 플런저의 진퇴위치를 결정하는 비 회전체인 캠판(143); 및 상기 종자수용홈에 내장된 채 상기 플런저를 종자수용홈의 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144);로 구성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종자수용홈(121) 내에 수용되는 종자량을 조절하기 위한 종자량 조절수단(1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자량 조절수단(160)은, 상기 각 캠판(143)에 결합된 채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 핀(161);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상기 스토퍼 핀(161)이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다수의 걸림홈(162a)을 갖는 핀 걸림부(162);
    상기 스토퍼 핀(161)과 결속되어 상,하 조작에 따라 스토퍼 핀 및 캠판(143)을 회전시켜서 캠홀(143a)을 원주방향으로 변위시켜주는 조절레버(163);
    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53985A 2013-05-13 2013-05-13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KR10144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85A KR101446997B1 (ko) 2013-05-13 2013-05-13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85A KR101446997B1 (ko) 2013-05-13 2013-05-13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997B1 true KR101446997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985A KR101446997B1 (ko) 2013-05-13 2013-05-13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9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15B1 (ko) 2015-10-26 2017-04-03 염상민 강제 배출식 종자 또는 비료 점파장치
KR101859385B1 (ko) * 2016-04-17 2018-05-18 한재헌 곡물 파종장치
CN111183769A (zh) * 2019-12-25 2020-05-22 哈尔滨市农业科学院 零速穴播轮式水稻旱直播机构
CN111183769B (zh) * 2019-12-25 2024-05-28 哈尔滨市农业科学院 零速穴播轮式水稻旱直播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30Y1 (ko) * 2002-08-27 2002-12-11 정희권 담수직파기의 씨앗 로울러장치
JP2009065850A (ja) 2007-09-11 2009-04-02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点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30Y1 (ko) * 2002-08-27 2002-12-11 정희권 담수직파기의 씨앗 로울러장치
JP2009065850A (ja) 2007-09-11 2009-04-02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点播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15B1 (ko) 2015-10-26 2017-04-03 염상민 강제 배출식 종자 또는 비료 점파장치
KR101859385B1 (ko) * 2016-04-17 2018-05-18 한재헌 곡물 파종장치
CN111183769A (zh) * 2019-12-25 2020-05-22 哈尔滨市农业科学院 零速穴播轮式水稻旱直播机构
CN111183769B (zh) * 2019-12-25 2024-05-28 哈尔滨市农业科学院 零速穴播轮式水稻旱直播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415B1 (ko) 강제 배출식 종자 또는 비료 점파장치
CN105723885A (zh) 单体仿形双行绿豆播种机
KR100433265B1 (ko) 비닐피복 파종기
RU2015137777A (ru) Односемянная сеялка, содержа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высевающий элемент
KR101446997B1 (ko)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CN109691270A (zh) 水稻多功能旱直精量穴播机
CN101485249B (zh) 保墒播种机
CN105850302A (zh) 旱地播种机
CN205596565U (zh) 单体仿形双行绿豆播种机
CN104472076A (zh) 一种麦稻条穴播两用型播种装置
CN110140460B (zh) 一种用于玉米播种的翻耕、播种一体装置
CN209201496U (zh) 水稻多功能旱直精量穴播机
KR102185608B1 (ko) 플런저 방식 점파장치
CN104285561A (zh) 小区试验播种机
CN104285562A (zh) 小区试验播种机
CN204907071U (zh) 一种小籽粒精量播种机
CN211457972U (zh) 多种子播撒装置及播种机
RU2269884C2 (ru) Сеялк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CN204191131U (zh) 一种精量播种器
CN204119784U (zh) 小区试验播种机
CN204119783U (zh) 小区试验播种机
CN217011734U (zh) 一种农业种植用出粒均匀的玉米播种装置
KR101315328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N112602415B (zh) 一种农业用播种机
CN202799626U (zh) 调距、定量播种覆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