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673A -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 - Google Patents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673A
KR20080080673A KR1020087018617A KR20087018617A KR20080080673A KR 20080080673 A KR20080080673 A KR 20080080673A KR 1020087018617 A KR1020087018617 A KR 1020087018617A KR 20087018617 A KR20087018617 A KR 20087018617A KR 20080080673 A KR20080080673 A KR 20080080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top surface
opening
product
op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제이. 제이알. 클라크
드보라 에스. 한나
제임스 알. 마르노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80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4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 B65D75/46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contain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45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the inserts or accessories being located within a pouch or envelope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packages, e.g. shipping m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2Packaged tow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과,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갖고, 이는 패키지의 내부 격실을 함께 형성한다. 개방 장치는 상부면에 부착되고, 내부 체적에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다. 제품은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시 개방 장치와 결합 이동을 위해 개방 장치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벽의 일 부분은 상부면을 넘어 자유 에지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폐쇄 시스템은 패키지의 선택적인 개폐를 허용하도록 측벽의 연장부 상에서 작동가능하다.
가요성 패키지, 상부면, 하부면, 개방 장치, 폐쇄 시스템, 자유 에지

Description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FLEXIBLE PACKAGE WITH OPENING FEATURE}
본 발명은 제품을 내장 및 분배하기 위한 가요성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의 내용물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제공하는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징 백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패키징 백은 많은 다른 아이템 중에서 예를 들어, 성인 요실금 제품,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여성 위생 용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용품을 패키징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들 백은 용품에 대한 패키징과 소비자가 구매하도록 소매점 선반에 용품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는 판지형 외관 및 구성의 생성을 제공한다. 이들 백은 소매점에서부터 소비자의 가정 또는 사용을 위한 장소까지 용품을 수송하는 편리한 방법을 소비자에게 또한 제공한다. 통상, 이들 백에는 백 내에 내장된 용품에 소비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 장치가 제공된다.
현재 이용가능한 개방 장치는 백이 그 자체로, 그리고 용품이 제거됨에 따라 백에 남아있는 임의의 용품 상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주저앉게 하는 백의 구조를 대개 포함한다. 이는 소비자가 백으로부터 남아있는 용품을 제거하기 어렵게 만든다. 또한, 백이 주저앉을 때, 백은 상자형 구조를 잃게 되고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깔끔함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게 한다. 현재 이용가능한 다른 백에 있어서, 개방 장치는 백으로부터 용품에 용이하게 접근하고 백으로부터 용품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아니다. 개방 장치가 충분한 크기가 아니면, 소비자가 백으로부터 용품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의 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이용가능한 많은 백 개방 장치는 이런저런 이유로 소비자가 개방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많은 개방 장치는 핀치 및 당김 개구 수단을 갖고, 이는 사용자가 개구 시임의 대향 측면상의 패키징 백을 파지 및 핀치하고 시임에서 백을 개방하도록 외향으로 당겨야만 한다. 이렇게 백을 개방하기 위해 패키징 백을 파지 및 핀치하는 것은 사용자 손의 기민함에 영향을 주는 관절염과 같은 질병을 갖는 사용자들이나 노인들에게 어려울 수 있다.
상술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백으로부터 제품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개방 후에도 형상을 유지하고 백 내부에 저장된 제품에 용이한 접근을 제공하는 가요성 패키징 백이 본 기술분야에 필요하다. 또한, 개방하려는 소비자 특히, 폴리머 필름과 같은 재료를 파지하거나 핀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소비자에게 용이한 가요성 패키징 백이 본 기술분야에 필요하다. 반복적인 개폐가 가능한 이러한 가요성 패키징 백이 또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한다.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된다.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는다. 개방 장치는 상부면에 부착되고,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다. 개방 장치는 0보다 크고 상부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0보다 크고 상부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더 갖는다. 제품은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시 상부면에 대해 개방 장치와의 결합 이동을 위해 개방 장치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된다.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는다. 상부면은 상부면의 주연 에지와 이격된 관계로 내부에 개구를 더 갖는다. 개구를 위한 커버링 장치는 패키지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의 개구를 통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다. 커버링 장치는 0 보다 크고 상부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0 보다 크고 상부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더 갖는다. 제품은 상부면으로부터 커버링 장치의 분리시 패키지의 상부면에 대하여 커버링 장치와의 결합 이동을 위해 커버링 장치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된다.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는다. 개방 장치는 상부면에 부착되고,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다. 개방 장치는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당김줄은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 이후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패키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당기기 위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된다.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를 넘어 외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자유 에지를 갖는다. 개방 장치는 패키지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다. 개방 장치는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는다. 폐쇄 시스템은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 이후 패키지의 선택적인 개폐를 허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연장부 상에서 작동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된다.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 여유부를 갖는다. 상부면은 상부면의 주연 에지와 이격 관계로 내부에 제1 개구를 더 갖고, 상기 개구는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의 개구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의 개구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를 넘어 외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자유 에지를 갖는다. 자유 에지는 패키지의 상부면의 제1 개구로부터 이격된 패키지의 제2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제1 개구를 위한 커버링 장치는 패키지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부면의 제1 개구를 통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다. 폐쇄 시스템은 제2 개구가 적어도 패키지의 상부면의 제1 개구만큼 큰 개방 구조와 제2 개구가 패키지의 상부면의 제1 개구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폐쇄 구조 사이에서 연장부의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연장부 상에서 작동가능하다.
도1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의 개방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2는 가요성 패키지 내의 제품을 드러내는 개방 상태의 개방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3은 패키지 내에 적층된 제품의 두 개의 수평 열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정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4는 하부 밀봉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5는 다른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6은 다른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7은 개방 보조부를 갖는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8은 다른 개방 보조부를 갖는,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9는 다른 개방 보조부를 갖는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10은 다른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11은 다른 개방 장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12는 개방 장치가 제거되고, 메세지가 개방 장치의 반대 측면 상에 있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3은 미리 형성된 개구와 커버링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4는 미리 형성된 개구와 폐쇄 위치의 다른 커버링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5는 도14에 도시된 미리 형성된 개구 또는 개방 장치와 커버링 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상기 커버링 장치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16은 패키지의 반복된 개폐를 위한 폐쇄 시스템을 갖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7은 도16의 가요성 패키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18은 도16의 가요성 패키지와 유사하지만, 패키지를 위한 폐쇄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19A는 도18의 선 19-19의 평면으로 취한 단면의 확대부를 도시한다.
도19B는 도19a와 유사하지만 다른 구성의 폐쇄 시스템을 갖는 단면의 확대부를 도시한다.
도19C는 도19a와 유사하지만 다른 구성의 폐쇄 시스템을 갖는 단면의 확대부를 도시한다.
도20은 도16의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폐쇄된 구성의 패키지로 도시한다.
도21은 패키지의 개방 장치가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제품이 개방 장치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상태인, 다른 변경예에 따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21A는 도21의 가요성 패키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22는 패키지의 개방 장치가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제품이 개방 장치의 내부면에 고정된 상태인, 또 다른 변경예에 따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23은 도22와 유사하지만 제품이 개방 장치의 외부면에 고정된 상태인, 가요성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대응 도면 부호는 도면의 전반에 걸쳐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정의
본 개시물에 채용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및 근원 용어 "포함하다"로부터의 다른 파생어는 임의의 서술된 형상부, 요소,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열거하는 제한이 없는 용어이도록 의도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부, 요소,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화선"은 약화된 재료의 임의의 구역 또는 영역을 지칭하고, 이는 양호하게는 길이를 갖지만 한정된 폭을 가질 필요는 없다. "약화선"은 곡선 패턴의 약화 또는 원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의 비선형 패턴 및 선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약화선은 천공부 또는 다른 일련의 절결부, 재료의 시닝(thinning)부 또는 파단부 또는 분리부, 또는 인접부들보다 더 쉽게 찢어지고 파손되는 재료의 인접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다른 종류의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이는 사용자 또는 제조자가 약화선을 따라 인접부를 분리하게 한다. 약화선은 단일 연장된 슬릿 또는 절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수직의", "수평의", "상부", "하부", "전방", "후방", "단부" 및 "측면"과 같은 용어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다. 그러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제한적인 것으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목적의 지향점 또는 목적의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청구범위 및 본 명세서에 대한 참조로서, 용어 "상부"는 개방 장치 또는 개구를 갖는 패키지의 측면 또는 패널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개방 장치"는 가요성 패키지 내에 내장된 임의의 제품에 접근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패키지의 영역을 지칭한다. 개방 장치는 개방 장치가 개방된 후, 패키지로부터 제거가능할 수도 있고, 패키지에 부착된 채로 남겨질 수도 있다. 개방 장치는 상부면의 일 부분 또는 상부면에 부착된 분리 재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개구"는 내부 격실 내에 내장된 제품에 접근을 허용하고, 내부 격실로부터 제품이 제거되게 하는, 가요성 패키지의 제거된 또는 이와 달리 절결된 부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개인 위생 용품" 또는 "개인 위생 제품"은 체액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제품을 지칭하고, 소변, 대변, 피, 멘스를 포함하는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제품을 지칭하는 "흡수성 용품" 또는 "흡수성 제품"을 포함하고, 패키지된 또는 패키지되지 않은 구성으로 이러한 용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개인 위생 제품은 기저귀, 어린이 용변 교육 팬츠, 성인 요실금 의복, 여성 요실금 용품, 탐폰, 질 좌약(vaginal suppository), 팬티라이너, 패드, 생리대, 티슈, 와이프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상용적으로 이용가능한 개인 위생 용품의 예는 팬티라이너 및 패드를 포함하는 포이제®(Poise®) 여성 위생 용품과, 패드, 탐폰 및 라이너를 포함하는 코텍스®(Kotex®) 여성 위생 용품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위스콘신주 니나 소재의 킴벌리 클락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이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형상 유지"는, 내부에 제품이 내장되어 있는 상태의 가요성 패키지의 형상이, 패키지의 내부 격실로부터 제품이 제거되는 동안 그리고 모든 제품이 제거된 패키지의 형상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패키지의 측면은 내부 격실을 향해 내향으로 또는 내부 격실로부터 멀리 외향으로 붕괴되기 쉽지 않고, 상부면은 내부 격실을 향해 내향으로 붕괴되지 않는다. 패키지가 상부면의 길이 또는 폭까지 제거된 제품으로 가득 차 있을 때의 상부면의 길이 또는 폭과 비교하여 상부면의 폭 및/또는 길이에 있어 작은 정도 즉, 약 20% 미만의 변화가 형상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됨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내부에 제품이 내장된 상태로 상부면에서 10cm의 폭을 갖는 패키지에 있어서, 제품이 제거된 후에 패키지가 동일 지점에서 8 내지 12cm의 폭을 갖는다면, 패키지는 형상 유지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폴리머"는 호모 폴리머(homopolymer)와, 예를 들어 블록(block), 그라프트(graft), 랜덤(random), 및 교대 코폴리머 (alternating copolymer), 삼량체(terpolymer) 등과 같은 코폴리머(copolymer)와, 그 혼합 및 변형을 비제한적으로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달리 특정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폴리머"는 재료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구성을 포함해야 한다. 이들 구성은 이소택틱(isotactic), 신디오택틱(syndiotactic) 및 랜덤 대칭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그 일부를 형성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의 방식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자세하게 설명되었고,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고 기계적, 절차적 및 다른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주 내에서 만들어질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으로 취해지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는 후속의 청구범위와, 권리를 받은 이러한 청구범위에 대한 균등물의 전체 범주에 의해서만이 한정된다.
특정 도면, 특히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패키지(10)는 패키지의 내용물에 접근하도록 패키지를 개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개방 장치(5)를 갖는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면(20), 하부면(22), 전방벽(12), 후방벽(14) 및 제1 측벽(16)과 제2 측벽(18)을 갖는다. 제1 측벽(16) 및 제2 측벽(18)은 전방벽(12) 및 후방벽(14), 상부면(20) 및 하부면(22)과 같이 서로 대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벽(12), 후방벽(14), 두 개의 측벽(16, 18), 상부면(20) 및 하부면(22)은 내부 체적을 갖는 내부 격실(24)을 갖는 패키지(10)를 형성하도록 함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내부 격실(24)은 복수의 제품(26)을 내장할 수 있다. 패키지(10)는 종방향 축 Y-Y과, 횡방향 축 Z-Z 및 수직 축 X-X을 갖는다. 패키지는 높이(H), 폭(깊이)(W) 및 길이(L)를 갖는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패키지는 4 개의 측벽을 갖는다. 연속하는 단일 측벽, 2 개의 측벽, 3 개의 측벽, 또는 4 개 이상의 측벽을 갖는 가요성 패키지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통상의 구성에서 가요성 패키지는 4 개의 측벽을 갖고,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목적으로 가요성 패키지가 4 개의 측벽을 갖는 가요성 패키지의 관점으로 설명될 것임을 알아야 한다.
패키지(10)는 상부면(20) 상에 위치된 개방 장치(5)를 갖는다. 개방 장치(5)는 상부면(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약화선(70)으로 형성된다. 이 약화선(70)은, 상부면의 일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20)의 직접 또는 간접 연결에 의해 생성된 에지(90)와 개방 장치(5)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면(20)에 한정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개방 장치(5)는 상부면(20)을 넘어 임 의의 측벽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또한, 개방 장치는 상부면(20)의 폭(W)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길이(L0)를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W0)을 갖는다.
또한, 개방 장치는 상부면(20)의 길이(L)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폭(W0)을 따라 가장 긴 지점에서의 길이(L0)를 갖는다.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개방 장치의 폭(W0)이 상부면(20)의 폭(W)의 약 40% 미만이거나 또는 가장 긴 지점에서의 개방 장치의 길이(L0)가 상부면의 길이(L)의 약 40% 미만이면, 이는 내부 격실(24) 내에 내장된 제품을 제거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반면, 개방 장치의 폭(W0)이 상부면의 폭(W)의 약 99% 보다 크거나 또는 개방 장치의 길이(L0)가 상부면의 길이(L)의 약 99% 보다 크면, 패키지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없을 것이고, 이는 소비자에게 패키지가 말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게 만들 것이다. 가요성 패키지가 그 형상을 유지하지 않을 때, 이는 패키지가 그 자체로 그리고, 내부 격실(24) 내에 내장된 임의의 제품(26) 상에서 붕괴되기 쉬우므로 내부 격실(24)로부터 제품(26)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장치는 상부면의 폭(W)의 약 50%와 약 90% 사이인 개방 장치의 길이(L0)를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W0)을 갖는다. 적절하게는, 개방 장치의 길이(L0)를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W0)은 상부면의 폭(W)의 약 60%와 약 80% 사이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개방 장치는 개방 장치의 폭(W0)을 따라 가장 긴 지점에서의 길이(L0)를 갖고, 이는 상부면의 길이(L)의 약 50%와 약 90% 사이이다. 적절하게는, 개방 장치의 폭(W0)을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길이(L0)는 상부면의 길이(L)의 약 60%와 약 80% 사이이다. 개방될 때, 개방 장치(5)는 소비자가 가요성 패키지의 내부 격실(24) 내의 제품(26)에 접근하게 하도록 상부면에 개구(1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면(20)의 폭(W) 및 길이(L)는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폭(W)은 횡방향 축 Z-Z을 따라 측정된, 전방벽(12)과 후방벽(14) 사이에서 가장 넓은 길이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부면의 길이(L)는 종방향 축 Y-Y으로 측정된, 제1 측벽(16)과 제2 측벽(18) 사이에서 가장 긴 거리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넓은 거리는 제1 및/또는 제2 측면 근처의 길이(L)의 단부에서 또는 길이(L)를 따라 상부면(20)의 중심점 근처에서 발견된다. 유사하게, 가장 긴 거리는 폭(W) 또는 폭(W)의 단부를 따라 상부면(20)의 중심점 근처, 전방 및/또는 후방벽 근처에서 대체로 발생한다.
개방 장치를 형성하는 약화선(70)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약화선을 따라 상부면(20)으로부터 개방 장치(5)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약화선의 일 예는 천공선과, 복수의 랜드 영역(land area)에 의해 분리되는 슬롯과 같이 복수의 개구에 의해 형성된 선과, 감소된 재료 두께의 선과, 재료의 두 섹션이 함께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약화선, 또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 의 다른 구조적 구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약화선들의 각각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패키지 재료에 천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패키지 재료의 기계적 처리를 포함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1, 도2, 도5, 도6, 도7, 도8, 도9,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개방 장치(5)의 다른 구성이 도시된다. 도9 및 도10에서, 개방 장치(5)는 제1 약화선(71), 제2 약화선(72) 및 제3 약화선(73)을 포함하는 세 개의 약화선(70)을 갖는다. 제1 약화선(71)은 제1 단부(81) 및 제2 단부(82)를 갖고, 제2 약화선(72)은 제1 단부(83) 및 제2 단부(84)를 갖고, 제3 약화선(73)은 제1 단부(85) 및 제2 단부(86)를 갖는다. 제1 약화선의(71)의 제1 단부(81)는 제2 약화선(72)의 제1 단부(83)에 인접하고, 제2 약화선(72)의 제2 단부(84)는 제3 약화선(73)의 제1 단부(85)에 인접한다. 도10에 도시된 구성에 따르면, 제1 약화선(71)은 제3 약화선(73)과 평행하고, 제2 약화선(72)은 제1 약화선(71)과 제3 약화선(73) 양자 모두에 수직이다. 도9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제1 약화선(71) 및 제3 약화선(73)이 비선형적이지만, 제2 약화선(72)은 선형적이다. 또한, 도9 및 도10의 구성에서, 개방 장치(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후에 가요성 패키지(10)에 연결 또는 부착된 채로 남겨진다.
도6의 실시예에서, 개방 장치(5)는 세 개의 약화선(70)을 갖고, 약화선 중 하나는 비선형적이고, 두 개는 선형적이고, 약화선은 제1 약화선(71)과, 제2 약화선(72)과, 제3 약화선(73)을 포함한다. 제1 약화선(71)은 제1 단부(81) 및 제2 단부(82)를 갖고, 제2 약화선(72)은 제1 단부(83) 및 제2 단부(84)를 갖고, 제3 약화 선은 제1 단부(85) 및 제2 단부(86)를 갖는다. 제1 약화선(71)의 제1 단부(81)는 제2 약화선(72)의 제1 단부(83)에 인접하고, 제2 약화선(72)의 제2 단부(84)는 제3 약화선(73)의 제1 단부(85)에 인접하고, 제1 약화선의 제2 단부(81)는 제3 약화선(73)의 제2 단부(86)에 인접한다. 도6에 도시된 구성에서, 개방 장치(5)는 가요성 패키지(10)로부터 제거가능하다.
도7은 제1 약화선(71)과, 제2 약화선(72)과, 제3 약화선(73) 및 제4 약화선(74)을 포함하는 네 개의 약화선을 갖는 개방 장치를 도시한다. 제1 약화선(71)은 제1 단부(81) 및 제2 단부(82)를 갖고, 제2 약화선(72)은 제1 단부(83) 및 제2 단부(84)를 갖고, 제3 약화선은 제1 단부(85) 및 제2 단부(86)를 갖고, 제4 약화선은 제1 단부(87) 및 제2 단부(88)를 갖는다. 제1 약화선(71)의 제1 단부(81)는 제2 약화선(72)의 제1 단부(83)에 인접하고, 제2 약화선(72)의 제2 단부(84)는 제3 약화선(73)의 제1 단부(85)에 인접하고, 제3 약화선의 제2 단부(86)는 제4 약화선(74)의 제1 단부(87)에 인접하고, 제1 약화선(71)의 제2 단부(82)는 제4 약화선(74)의 제2 단부(88)에 인접한다.
도7의 실시예에서, 제1 약화선(71)은 제3 약화선(73)과 평행하고, 제2 약화선(72) 및 제4 약화선(74)은 제1 약화선(71) 및 제3 약화선(73) 양자 모두에 수직이다. 결과적으로, 제2 약화선(72)은 제4 약화선(74)과 평행하다.
도5 및 도8에서, 개방 장치는 타원형(도5), 이엽형(bilobal shape)(도8)을 갖는 단일 연속 약화선(70)이다. 개방 장치의 형상은, 상술된 폭(W0) 및 길이(L0) 가 충족되는 한,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도면에 도시된 이외의 형상 및 구성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1 및 도6 내지 도10에서, 하나의 약화선의 단부는 다른 약화선의 단부에 인접하고, 이는 도면에 기본적으로 동일한 지점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약화선의 단부가 다른 약화선의 단부와 동일 지점이거나, 기본적으로 동일 지점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 개방 장치를 개방하는데 많은 추가의 힘을 들이지 않고 개방 장치가 개방될 수도 있도록, 약화선의 단부 지점은 충분히 함께 폐쇄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화선의 단부는 연결선에 의해 다른 약화선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약화선(71), 제2 약화선(72), 제3 약화선(73) 및 제4 약화선(74)을 포함하는 네 개의 약화선을 갖는 개방 장치를 도시하는 도1 및 도11을 참조한다. 제1 약화선(71)은 제1 단부(81) 및 제2 단부(82)를 갖고, 제2 약화선(72)은 제1 단부(83) 및 제2 단부(84)를 갖고, 제3 약화선은 제1 단부(85) 및 제2 단부(86)를 갖고, 제4 약화선은 제1 단부(87) 및 제2 단부(88)를 갖는다. 제1 약화선(71)의 제1 단부(81)는 제2 약화선(72)의 제1 단부(73)에 인접하고, 제2 약화선(72)의 제2 단부(84)는 제3 약화선(73)의 제1 단부(75)에 인접하고, 제3 약화선의 제2 단부(86)는 제4 약화선의 제1 단부(74)에 인접하고, 제1 약화선(71)의 제2 단부(82)는 제4 약화선(74)의 제2 단부(88)에 인접한다.
도1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약화선의 단부는 연결선(99)을 사용하여 다른 약화선의 단부에 결합된다. 연결선(99)은 직선, 원호, 지그재그선 또는 이들 세 개 모두의 선의 조합일 수도 있다. 다른 연결선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선(99)이 원호라면, 원호는 반지름(R)을 가질 것이다. 원호의 반지름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반지름은 약 12.7cm (5inch) 미만이고, 선택된 반지름은 개구의 크기 및 가요성 패키지(10)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도5, 도6, 도7, 도8 및 도11은 제거가능한 개방 장치를 각각 도시한다. 반대로, 도1, 도9 및 도10은 제거가능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거가능하지 않은 개방 장치를 가짐으로써, 개방 장치가 내부 격실 내에 내장된 제품을 커버 및 보호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반면에, 제거가능한 개방 장치를 가짐으로써,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개방 장치의 다른 사용이 달성될 수도 있다. 개방 장치가 제거가능하지 않다면, 개방 후에 개방 장치를 폐쇄 위치로 보유하고 상부면에 개방 장치를 가능하게 재부착하기 위한 추가의 수단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유 수단의 예는 예를 들어, 개방 장치의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일 편의 테이프 및, 개방 장치의 폐쇄를 허용하는 다른 수단을 포함한다.
개방 장치는 개방 보조구(aid)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개방 보조구는 소비자가 개방 장치(5)를 파지하고 개방 장치(5)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개방 보조구는 개방 장치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소비자가 개방 보조구 및/또는 개방 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개방 장치에 또는 개방 장치에 밀접하게 외부적으로 부착된다. 개방 보조구는, 소비자가 손가락을 삽입하고 개방 보조구 또는 개방 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사람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구성 또는 크기 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서, 개방 보조구는 개방 장치에 밀접하게 또는 개방 장치 내에 위치된다. 이상적으로, 개방 보조구는, 사용자에게 개방 장치를 파지 및 개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여 사람의 손가락이 개방 보조구에 위치설정되도록, 사람 손의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개방 보조구는 개방 장치에 부착된 탭(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일 수도 있다.
개방 보조구(77)에 대한 모든 가능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7 내지 도9를 참조한다. 도7 및 도9에서, 개방 보조구(77)는 소비자가 손가락을 가요성 패키지(10)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인 약화선(78)을 포함하여, 개방 장치(5)가 소비자의 손가락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약화선(78)은 개방 장치(5)의 약화선과 유사하다. 도7에서 약화선(78)은 십자형으로 구성된다. 도9에서, 개방 보조구(77)의 약화선(78)은 원형으로 구성된다. 다른 형상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고, 본 발명 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른 가능한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Y형, I형, U형, 단일선 등을 포함한다. 소비자가 개방 보조구(77)로 손가락을 삽입하려 함에 따라, 약화선(78)은 제품의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개방 보조구(77)를 통해 손가락을 쉽게 삽입하도록 분리를 생성시킨다.
도8에 도시된 다른 가능한 구성에서, 구멍부(79)는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면의 위치에, 개방 장치 내에, 또는 개방 장치에 밀접하게 인접하여 위치된다. 구멍부는 개방 보조구(77)로서 역할을 하고, 가요성 패키지의 제품의 소비자 또는 사용 자가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구멍부에 삽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도8은 두 개의 구멍부를 도시하지만, 단일 구멍부 또는 두 개 이상의 구멍부를 갖는 것도 본 발명 내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구멍부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구멍부 개방 보조구는, 제품이 가요성 패키지에 적재되고 가요성 패키지가 밀봉됨에 따라, 임의의 포획된 공기가 가요성 패키지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제2의 목적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구멍부의 다른 가능한 형상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개방 보조구에 삽입할 수 있다면, 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Y형, I형, U형, 단일선 등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변경 구성에서, 상부면(20)은 내부에 미리 형성된 개구를 갖고, 이는 도13에 도시된 개구(80)와 유사하다. 이 구성에서, 개구(80)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연결에 의해 생성된 에지(91)와 개구(80) 사이에 위치된 상부면의 일 부분이 있도록 상부면에 한정된다. 개구(80)는 파라미터 에지(92)를 갖고, 상부면의 폭(W)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구의 길이(L)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W0)과, 상부면의 길이(L)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구의 폭(W)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L0)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개구(80)는 상부면의 폭(W)의 약 50%와 약 90% 사이인 개구(80)의 길이(L0)를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W0)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개방 장치의 길이(L0)를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폭(W0)은 상부면의 폭(W)의 약 60%와 약 80% 사이이다. 유사한 방식으 로, 개구(80)는 상부면의 길이(L)의 약 50%와 약 90% 사이의 개구(80)의 폭(W0)을 따라 가장 긴 지점에서의 길이(L0)를 갖는다. 양호하게, 개방 장치의 폭(W0)을 따라 가장 넓은 지점에서의 길이(L0)는 상부면의 길이(L)의 약 60%와 약 80% 사이이다. 개구(80)는 소비자가 가요성 패키지의 내부 격실(24)의 제품(26)에 접근하게 한다. 개구(80)는 가요성 패키지의 내부 격실 내에 있는 제품에 용이한 접근을 한다.
가요성 패키지가 미리 형성된 개구(80)를 갖는 경우에서, 개구는 커버링 장치(6)에 의해 커버되어야 하며, 이로써 제품(26)이 개방 이전에 내부 격실(24) 내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커버링 장치(6)는 개방 장치(5)로서 또한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개방 보조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링 장치는 개구보다 더 클 수도 있고, 패키지의 전체 상부면(20)까지 커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커버링 개방 장치는 개구(80)보다 약간 더 커야한다. 커버링 장치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상부면(2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임시 또는 영구적인 고정 수단일 수도 있다. 고정 수단의 예는 접착제, 열 접착(thermal bond), 초음파 접착, 스티칭, 스폿 용접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고정 수단 중에서는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한데, 이는 커버링 장치가 상부면에 재고정될 수도 있도록 접착제가 선택될 수 있어, 내부 격실 내부의 제품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다른 가능한 커버링 장치(6)가 도14 및 도15에 도시된다. 이 커버링 장치는 패키지가 미리 형성된 개구(80)를 갖거나 도1, 도2 및 도5 내지 도9에 도시된 개방 장치(5)를 갖든지 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커버링 장치는 표면, 일반적으로는 패키지(10)의 후방면(14), 전방면(12) 또는 상부면 중 하나에 부착되고, 개구(80)와, 상부면(20) 및 측면(16, 18)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이 커버링 장치는 패키지를 구성하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재료로 준비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3을 이제 참조하면, 가요성 패키지(10)는 적어도 하나의 거싯(32)(gusset), 양호하게는 한 쌍의 거싯(32, 34)으로 구성된다. "거싯"은 가요성 패키지(10)를 신장 및/또는 확대할 수 있는 부재, 예를 들어 삼각형 부재를 의미한다. 거싯(32)은 가요성 패키지(10)를 구성하는 재료의 분리편일 수 있고 또는 재료의 연장부일 수도 있고 또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거싯(32)은 포켓, 리셉터클, 캐비티 또는 개구로서 관찰될 수 있다. 거싯(32) 또는 거싯(32, 34)은 패키지(10)의 상부에 위치되고, 궁극적인 소비자에게 가시적이도록 노출된다. 두 개의 거싯(32, 34)이 존재할 때, 패키지(10)를 소비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제 위치를 제공하도록, 그것들은 상부벽(20)의 대향측면 및 하부벽(22)의 대향측면에, 또는 상부벽(20)에 하나, 하부벽(22)에 하나씩 위치될 수 있다. 제1 거싯(32)은 측벽(16)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제2 거싯(34)은 측벽(18)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삼각형 형상의 변형예가 채용될 수 있지만, 삼각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거싯(32, 34)의 실제 구성은 패키지(10)가 구성되는 재료를 절첩함으로써 형 성될 수 있다. 각각의 거싯(32, 34)은 상부벽(20)과 정렬될 수 있고 또는 상부벽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될 수 있는 제1 단부(36)를 갖는다. 각각의 거싯(32, 34)은 제1 단부(36)로부터 멀리 이격되고 하부벽(22)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단부(38)를 갖는다. 제1 단부(36)는 각각의 거싯(32, 34)의 삼각형 구성의 기부를 나타내고, 제2 단부(38)는 삼각형 구성의 정점을 나타낸다. 각각의 거싯(32, 34)은 패키지 높이(h)의 적어도 약 10% 연장되는 높이(h1)를 갖는다(도3 참조). 양호하게는, 각각의 거싯(32, 34)은 상기 패키지 높이(h)의 적어도 약 30% 연장되는 높이(h1)를 갖는다. 더 양호하게는, 각각의 거싯(32, 34)은 패키지 높이(h)의 약 20% 내지 약 90% 연장되는 높이(h1)를 갖는다. 거싯(32, 34)의 높이(h1)는 패키지(10)의 폭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10)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거싯(32, 34)의 높이(h1)가 전체적으로 더 커질 수도 있다.
각각의 거싯(32, 34)은 포켓(40)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대향 측벽(16, 18) 중 하나의 일 부분의 내향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포켓(40)은 내부 패널(도시되지 않음) 및 외부 패널(44)을 갖는다. 각각의 포켓(40)은 내부 패널 및 외부 패널(44)이 함께 결합되고 패키지(10)의 대향 상부 코너로부터 제2 단부(38) 아래로 비스듬히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패키지(10)를 형성하는 재료를 절첩함으로써 형성된다. 도3에서, 전방벽(12), 상부벽(20) 및 측벽(16)은 전방 상부 코너(46)를 형성하고, 후방벽(14), 상부벽(20) 및 측벽(16)은 후방 상부 코너(48)를 형성한다(도1 참조). 내부 및 외부 패널은 코너(46, 48)에서 각각 결합되고, 제2 단부(38)를 향 해 비스듬히 하향으로 그리고 내향으로 갈라지는 교차점의 공통선을 갖는다. 거싯(32, 34)의 역할은 측벽(16, 18)의 상부 구역을 강화시키고 확대된 영역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위치설정시켜 용이하게 패키지(10)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가요성 패키지(10)는 각각이 대향 측벽(16, 18)에 형성된 한 쌍의 밀봉부(50, 52)를 또한 포함한다. 한 쌍의 밀봉부(50, 52)는 가열 및 압력 접착, 열 접착, 초음파 접착, 접착제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밀봉부(50, 52)는 포켓(40)의 외부 패널(44)에 있고, 각각은 패키지(10)의 전체 높이(H)에 이른다. 각각의 한 쌍의 밀봉부(50, 52)는 거싯(32, 34) 중 하나의 제1 단부(36)로부터 하부벽(22)을 향해 아래로 연장된다. 한 쌍의 밀봉부(50, 52)는 필요에 따라 측벽(16)의 중심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4에서는, 한 쌍의 밀봉부(50, 52)가 하부벽(22)의 일 부분으로, 일 부분을 가로질러 실제로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한 쌍의 밀봉부(50, 52)가 하부벽(22)의 일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한 쌍의 밀봉부(50, 52)는 하부벽(22)의 길이(L)의 적어도 10%만큼 가로질러 연장될 것이다. 한 쌍의 밀봉부(50, 52)의 목적은 한 쌍의 측벽(16, 18)을 함께 고정하여, 전방벽(12), 후방벽(14), 한 쌍의 측벽(16, 18) 및 상부벽(20)이, 하부벽(22)에서만 개방되는 내부 격실(24)을 생성하는 것이다. 패키지(10)는 개방 하부벽(22)을 통해 삽입되는 다수의 제품(26)을 갖도록 설계된다. 제품(26)이 패키지(10) 내에 위치설정된 후, 하부벽(22)이 그 후 밀봉될 것이 다.
도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품(26)이 패키지(10)의 내부 격실(24)로 배치된 후, 하부 밀봉부(54)는 하부벽(22)에 또한 있거나 형성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제품(26)은 내부 격실(24) 내에 위치설정되기 전에 압축된다. 제품(26)이 패키지(10) 내에 위치설정되면, 하부벽(22)은 한 쌍의 밀봉부(50, 52)에 관해 상술된 임의의 접착에 의해 밀봉된다. 가열 및 압력 본드는 폴리머(polymeric) 필름 재료에 대해 잘 작용한다. 하부 밀봉부(54)는 패키지(10) 내에 제품(26)을 완전히 수납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밀봉부(50, 52)와 협동작용한다. “완전히 수납한다(completely enclose)”는 것은 복수의 제품(26)이 패키지(10)를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모든 측면 상에서 둘러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밀봉부(54)는 필요에 따라 패키지(10)의 중심 횡방향 축에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패키지(10)는 단일 편의 재료로 준비될 수 있고, 또는 다중 편의 재료로 준비될 수 있다. 다중 편의 재료가 사용되면, 개별 편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개별 편은 접착제 접착, 열 접착, 초음파 접착,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종래의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은 봉합, 스테플링(stapling), 리벳팅(riveting) 등과 같은 기계적 체결 시스템을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패키지(10)는 미리 형성된 거싯 및 천공부를 갖는 재료의 연속 롤로 형성된다. 측면에서 두 개의 패널을 가열 및 압축과 같은 것으로 밀봉하는 것은 제조시 개별 백이 또한 분리되게 한다.
모든 경우에, 알맞은 용접 또는 밀봉이 모든 위치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 하다. 시간, 온도, 압력, 밀봉 영역 및/또는 백 필름 재료의 조합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알맞은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밀봉 강도 조건이 개별 규격에 따라 변경되고, 소비자, 생산물, 장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밀봉은 표준 산업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트된다. 강도 테스트는 본 기술분야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백 뿐만 아니라 (거싯 영역 밀봉부를 포함하는) 측면 시임 양자 모두와 천공부에서도 수행된다. 소정의 예에서, 미네소타 미네아폴리스(Minneapolis, Minn.) 소재의 MTS 시스템 코포레이션(MTS Systems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AMTS Sintech 1"는 밀봉 및 천공 강도를 테스트하는데 사용된다.
패키지(10)는 소정 개수의 제품(26)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고, 재료가 과도하게 벌징(bulging)되거나 신장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면서 제품(26)을 보유 및 내장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폭넓게 다양한 임의의 재료 중 하나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재료는 폴리머 플라스틱 필름, 호일(foil), 종이, 종이 복합재, 편성물 또는 직물, 부직포 직물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적절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과 같은 폴리머 재료와 그 임의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필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재료는 LDPE/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필름 적층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재료는 LDPE/MDPE(medium density polyethylene) 필름 적층체, LDPE/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필름 적층체 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조합이 사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재료는 약 1과 약 5 밀(mils)(약 0.025 내지 0.125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이다.
도3을 참조하면, 가요성 패키지(10)는 복수의 제품(26)으로 채워진다. 제품(26)은 패키지(10) 내에 랜덤하게 또는 균일하게 정렬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제품(26)은 균일한 정렬로 패키지(10)의 내부 격실(24) 내에 배치되는데, 특히, 하나 이상의 열로 내부 격실(24) 내에 배열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성에서 제품(26)은 일 측벽(16)에서 다른 측벽(18)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28)로 배열된다. 다른 가능한 구성은 상부면(20)으로부터 하부면(2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도시되지 않음) 또는 전방벽(12)에서 후방벽(14)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또한 도시되지 않음)의 제품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내부 격실(24) 내에 내장된 제품(26) 열의 개수는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패키지(10)의 크기에 대한 제품의 크기에 좌우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열의 제품(28, 30)은 패키지(10)의 내부 격실(24) 내에 하부 열(30) 위에 상부 열(28)이 위치되도록 도시된다. 제품의 다른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열의 제품이 나란히 배열되거나, 두 개의 열 이상의 제품이 내부 격실(24)에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키지(10)는 패키지(10)의 하부를 따라 배열된 두 개 이상의 열과, 하부 열 상에 위치된 두 개 이상의 열을 내부 격실(24) 내에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는 두 개의 하부 열과 두 개의 수직 열을 내장할 수 있으므로, 패키지 내에 네 개의 열의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패키지가 두 개의 하부 열과 세 개의 수직 열을 내장하여, 패키지 내에 여섯 개의 열의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가능한 배열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패키지(10) 내에 내장된 제품(26)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열(28, 30)은 복수의 제품(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열(28, 30)은 16개의 제품을 내장한다. 그러나, 주어진 열 내에 내장되는 제품(26)의 개수는 변경될 수도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하여, 단일 패키지(10) 내에 수납된, 포장 재료로 포장되거나 포장되지 않은 제품의 개수는 주로 약 3개 내지 약 200개 사이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100 개의 일회용 흡수 제품이 주어진 열에 있다. 특히, 약 8개 내지 약 50개의 일회용 흡수 제품이 주어진 열에 있다. 각각의 열(28, 30)의 제품(26)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품(26)은 압축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 각각의 제품(26)은 적어도 10%만큼, 양호하게는 적어도 20%만큼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될 수 있는 제품을 압축함으로써, 패키지의 전체 크기가 감소되어, 패키지 재료 및 저장 공간의 절약을 제공할 수 있다. 제품(26)은 대부분의 임의 유형의 제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의 일 특정 사용은 일회용 흡수 개인 위생 제품(26)을 보유 및 분배하는 것이다. 일회용 흡수 개인 위생 제품은 소변, 멘스 및/또는 배설물과 같은 사람의 배출물을 흡수하도록 주로 설계 및 구성된 용품이다. 일회용 흡수 제품은 버려지기 전에 한번 사용되도록 설계되는 용품이고, 세탁되거나 재사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일회용 흡수 제품(26)의 예는 유아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생리대, 여성 팬티라이너 및 패드, 탐폰, 브리프(brief) 및 속옷과 같은 성인 요실금 의복 및 다른 일회용 흡수 용품을 포함한 다.
도1 내지 도11의 실시예의 개방 장치(5) 및 도12 내지 도15의 커버링 장치(6)에는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는 정보가 인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장치(6)는 전방측면(3) 및 후방측면(2)을 갖는다. 전방측면(3)은 패키지(10)가 폐쇄될 때 소비자 또는 사용자가 보는 커버링 장치(6)의 측면이고, 커버링 장치(6)의 후방측면(2)은 커버링 장치가 제거될 때 볼 수 있다. 커버링 장치(6)의 후방측면(2) 상에 제공될 수도 있는 정보는 구매욕구를 일으키는 메세지(inspirational message)와, 유사한 또는 상이한 용품의 추후 구매를 위한 쿠폰 및 무료 용품의 제공과 구매의 증거물에 대한 포인트와 같은 판촉성 제공물과, 내부 격실(24) 내에 내장된 용품의 흡수성 및 크기에 관한 정보, 주어진 용품 라인 내에 다른 유사한 용품에 대한 안내와, 감사 메세지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패키지(10)에는 내부 격실(24) 내의 제품(26)을 관찰할 수 있는 창 또는 클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패키지(10)의 치수는 패키지될 제품(26)의 유형 및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패키지(10)는 직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패키지는 약 16cm의 높이와, 약 22cm의 길이와, 약 10cm의 폭(깊이)을 갖는다. 물론 이들 치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패키지(10) 내에 배치되는 제품(26)의 유형, 양 및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패키지의 기부 또는 하부면은, 기부 또는 하부면이 패키지의 높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 및 길이를 갖는 것이어야 하지만, 이는 본 발명에 요구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섹션(20)에서 전방 또는 후방면(12 또는 14)까지의 변화를 형성하는 코너와 같은 패키지의 코너는 약간 만곡된다. 백(10)의 다른 종래의 구성 형상부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 유형의 가요성 백이 사용될 수 있고, 재료 선택에 관한 추가 정보가 이하에 주어진다.
본 발명의 패키지가 흡수성 개인 위생 제품으로 충전된다면, 전체적으로 가요성 패키지의 높이는 폭(W)의 적어도 약 1/4이어야 한다. 주로, 패키지의 높이는 폭의 적어도 약 3/4이고, 주로 그 폭 이상이다. 물론, 패키지의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 및 크기는 패키지로부터 분배되고 저장되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의 개방 장치(5)는 가요성 패키지가 개방되는 위치에 사용자의 주의가 집중되도록 하이라이트닝(highlighted)될 수도 있다. 하이라이트는 예를 들어 패키지의 나머지 부분에 나타나지 않는 색으로 개방 장치를 채색하거나, 주의를 끄는 예를 들어 오렌지색 또는 형광 타입의 색으로 개방 장치를 윤곽설정하고(outlining), 약화선을 하이라이트닝하고 또는 개방 장치의 위치를 확실히 나타내는 다른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요성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에 대한 사용자 사용설명서가 개방 장치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개방 장치 및/또는 개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패키지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가요성 패키지의 형성 이전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가요성 패키지가 형성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개방 장치 및/또는 개구는 편평한 구성인 패키징 재료 안으로 약화선을 다이 컷팅(die-cutting) 또는 개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은 형성하기 전에 패키징 재료를 반으로 절첩하는 단계와, 패키징 재료가 연결되고 절첩된 재료의 양자 모두의 층을 통하는 에지로부터 재료를 커팅하고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자의 방법은 개구가 대칭이 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가요성 패키지에는 가요성 패키지의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인쇄되거나 소비자에게 전달하도록 그래픽이 다르게는 제공될 수도 있다. 패키지의 그래픽은 만약 존재한다면 패키지의 내용물과 선택적으로 조화될 수도 있다.
이제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110으로 지칭된 가요성 패키지는 이전에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와 같이, 상부면(120)과, 하부면(도시되지 않았지만,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의 하부면(22)과 실질적으로 유사함)과, 전방측벽(112)과, 후방측벽(114)과 제1 측벽(116)과, 제2 측벽(118)과,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내부 격실(124)과, 개방 장치(105)를 갖는다(도19A, 도19B, 도19C, 도20). 상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패키지(110)는 다르게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단일 연속 측벽, 두 개의 측벽, 세 개의 측벽 또는 네 개 이상의 측벽(다수의 측벽 구성의 측벽은 함께 연결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는, 패키지(1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일 부분, 더 적 절하게는 전방측벽(112), 후방측벽(114), 제1 측벽(116) 및 제2 측벽(118)의 각각의 일 부분은 상부면(120)이 측벽에 연결되는 위치를 넘어 (예를 들어, 상부면의 주연 에지(190)에서) 외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면(120)은 상부면의 주연 에지(190)를 형성하도록 전방측벽(112), 후방측벽(114), 제1 측벽(116) 및 제2 측벽(118)의 각각에 연결된다. 상부면(120)을 넘어 외향으로 연장되는 측벽(112, 114, 116, 118)의 부분들은 각각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를 각각 갖는다.
일 특정의 적절한 실시예에서, 측벽(112, 114, 116, 118) 및 상부면(120)은 도19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측벽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의 실질적으로 내향으로 상부면의 주연 에지(190)를 형성하는 밀봉선을 따라 적절한 접착, 용접,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기술에 의해 측벽의 각각에 고정된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는 패키지(110)가 구성되는 재료로 된 중첩층을 포함한다. 그러나, 패키지(110)의 상부면(120)이 측벽(112, 114, 116, 118)으로부터 분리되고, 상부면의 주연 에지(190)를 형성하도록 적절한 고정 기술에 의해 그곳에 후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측벽은 단일 층 구성일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측벽(112, 114, 116, 118)의 일 부분이 상부면(120)의 주연 에지(190)의 외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패키지(110) 구성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또한 고려된다.
전체적으로 160으로 지칭되는 폐쇄 시스템은, 일단 개방 장치(105)가 패키지의 내용물(예를 들어, 도20에 도시된 제품(126))을 노출하도록 패키지의 상부 면(12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탈착되면, 패키지를 폐쇄하도록 적절하게는 패키지(110) 상에서, 더 적절하게는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에서, 더욱 적절하게는 측벽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서 작동가능하다.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예에서와 같이, 폐쇄 시스템(160)은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패키지(110)를 둘러싸는 당김줄을 포함한다.
당김줄(162)은 패키지의 격실(124) 내의 제품(126)이 개방 장치(105)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탈착시 패키지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접근가능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구성과, 내부 격실 내의 제품이 패키지로부터의 (예를 들어, 의도된 또는 의도되지 않은) 제거를 억제하는 폐쇄 구성(도20) 사이에서 패키지(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의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를 구성하도록 패키지(110)에 대하여 작동가능하다(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활주가능함).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는 패키지(110)의 제2 또는 두 번째 개구(202)를 함께 형성한다(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첫 번째 개구는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105)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탈착시 패키지의 상부면(105)에 형성된 개구(200)에 의해 형성됨). 패키지(110)의 개방 구성에서, 내용물이 상부면의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하도록 제2 개구(202)는 상부면(120)의 제1 개구(200)만큼 적어도 크고, 더 적절하게는 상부면의 제1 개구보다 더 크다. 폐쇄 구성에서, 내부 격실(124) 내의 제품(126)이 상대적으로 접근가능하지 않고 수동으로 제거되거나 이와 달리 패키지(110)의 외부로 나올 수 없도록, 제2 개구(202)는 상부면(120)에 형성된 제1 개구(200)보다 실질적으 로 더 작은 예를 들어 크기까지 실질적으로 좁혀진다.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줄(162)은, 당김줄이 통하여 연장되는 측벽(112, 114, 116, 118)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의 인접부와 같이 패키지(110) 상에 채널(163)을 형성함으로써 패키지에 적절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도16 및 도1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 중 하나(예를 들어, 도16의 후방측벽)의 세그먼트(164)는 당김줄(162)의 단부에 접근하기 위해 그 세그먼트를 따라 측벽에 형성된 채널(163)을 제거하도록 적절하게 노치 또는 커팅된다. 당김줄(162)의 단부는 당김줄이 패키지(11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함께 묶여진다. 다르게는, 클립(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당김줄(162)의 단부를 함께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당김줄(162)의 결합된 단부 상에서 당기는 것은 측벽의 연장부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 의해 형성된 제2 개구(202)를 실질적으로 좁히도록 함께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를 잡아당긴다. 패키지(11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에 외향 직접 힘을 간단히 인가하여 제2 개구(202)를 팽창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당김줄(162)은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서 전체적으로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에 연결되지만, 당김줄이 자유 에지의 중간 위치에서의 측벽의 연장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위치는 상부면(120)이 측벽(예를 들어, 상부면의 주연 에지(190))에 연결되는 위치라는 것이 이해된다.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므로 패키지(110)는 도1 내 지 도4의 패키지(10)와 대체로 유사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김줄(162)은 상부면(120)이 측벽에 연결되는 위치에 대체로 인접한 측벽에 연결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18의 변경예에서, 가요성 패키지(110)는 패키지에 연결된 한 쌍의 당김줄(162, 166)로 구성된 폐쇄 시스템(16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개방 세그먼트(164, 168)는 대향 측벽 예를 들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벽(116, 118) 또는 패키지의 폐쇄시 각각의 당김줄(162, 166)의 단부가 접근성을 위해 패키지(110)로부터 외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전방 및 후방 측벽(112, 114)에 형성된다. 도19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줄(162, 166)은 패키지 상에 형성된 동일한 채널(163) 내에 적절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공통의 채널(163)은 패키지의 상부면(120)의 주연 에지(190)를 형성하는 밀봉선과 이격 관계로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 인접하는 밀봉선(204)을 따라 측벽(112, 114, 116, 118)의 각각의 연장부의 재료의 두 개의 층을 함께 밀봉함으로써 패키지(110)의 측벽(112, 114, 116, 118)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19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당김줄(162)이 밀봉선(204)에 의해 측벽(112, 114, 116, 118)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 인접하여 형성된 채널(163)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당김줄(166)은 상부면(120)의 주연 에지(190)를 형성하는 밀봉선과 밀봉선(204) 사이에 형성된 채널(165) 내에 배치된다. 다르게는, 당김줄 양자 모두가 측벽의 자유에지와 상부면(120)의 주연 에지(190) 사이에 형성된 공통의 채널(163) 내에 느슨하게 배치되도록, 측벽(112, 114, 116, 118)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 인접하는 밀봉선(204)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키지를 폐쇄하기 위해 당김줄(162, 166)의 단부를 당길 때, 당김줄은 도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2, 114, 116, 118)의 자유 에지(132, 134, 136, 138)에 관하여 대체로 채널(163) 내부로 이동하기 쉽다.
채널, 예를 들어 도19A의, 당김줄(162, 166)이 통하여 연장되는 채널(163)은 패키지(110)에 당김줄을 충분히 연결하기 위해 측벽(112, 114, 116, 118)에 대해 연속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측벽(112, 114, 116, 118)의 개별 세그먼트는 개별의 채널이나, 당김줄(162, 166)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심지어 작은 루프 형상부(예를 들어 벨트 루프 방식)를 형성하도록 합께 접착되고 패키지 상에 유지될 수도 있다. 당김줄(162) 또는 당김줄(162, 166)이 측벽과 재료의 분리 스트립 사이에 형성된 채널에 배치되는 상태로 채널(163)이 측벽(112, 114, 116, 118)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고정된 재료의 분리 스트립(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르게는, 개별 루프 또는 다른 보유 부재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패키지에 당김줄(162, 166)을 연결하도록 측벽(112, 114, 116, 118)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당김줄(162, 166)은 패키지(110)를 반복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필요한 당김 힘을 견디기에 충분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적절한 당김줄(162, 166) 재료의 예는 나일론, 레이온, 면, 다른 적절한 꼰실(yarn) 또는 스트링 재료, 폴리머 재료, 가죽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당김줄(162, 166)은 탄성 재료로 또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16 내지 도20 각각의 실시예에 도시된 폐쇄 시스템(160)이 하나 이상의 당김줄(162, 166)을 포함하지만, 측벽(112, 114, 116, 118)이 패키지(110)의 상부면(120)의 외향이도록 함께 만들고 폐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적절한 폐쇄 시스템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는 것이 이해된다. 일 예로서, 다른 적절한 폐쇄 시스템은 스트랩(예를 들어, 표면 상에 재체결가능한 후크 및 루프를 가짐) 또는, 사용자가 측벽(112, 114, 116, 118)(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의 연장부에서)을 수동으로 함께 모으고 그 후 측벽을 함께 유지하도록 스트랩 또는 다른 적절한 끈을 사용할 때의 스트랩과, 패키지를 차단하도록 이 절첩된 구성에서 측벽이 함께 모아지고 절첩되고 해제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시스템(예를 들어, 후크 및 루프)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개구(80) 및 대응 커버링 장치(6)를 갖는 도12 내지 도15에 도시된 가요성 패키지(20)는, 도16 내지 도20의 측벽(112, 114, 116, 118)의 연장부와 유사한 연장부와, 도16 내지 도20의 실시예의 폐쇄 시스템(160)과 유사한 대응 폐쇄 시스템(160)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이제 도21을 참조로 다른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210으로 지칭된 가요성 패키지는 도시 및 설명된 임의의 이전 것들과 같이, 상부면(220)과, 하부면(222)(도21A)과, 전방 측벽(212)과, 후방 측벽(214)과 제1 측벽(216)과, 제2 측벽(218)과,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내부 격실(224)과, 개방 장치(205)를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패키지(205)는 단일 연속 측벽, 두 개의 측벽, 세 개의 측벽 또는 네 개 이상의 측벽을 (다중 측벽 구성의 측벽이 함께 연결되는 상태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대안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도21 및 도2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292로 지칭된 제품은 패키지(210)의 상부면(220)으로부터의 개방 장치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탈착시 개방 장치와의 결합이동을 위해 개방 장치(205)에 고정되고, 더 적절하게는 개방 장치의 내부면(302) 또는 후방 측면에 고정된다. 제품(292)은 구성, 제품 유형, 의도된 사용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또는 다른 특성에 있어, 패키지(210)의 내부 격실(224) 내에 내장된 하나 이상의 제품(292)(개방 장치(205)에 고정되지 않음)과 다른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패키지(210)의 내부 격실(224)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품(226)과 동일할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일 실시예의 예와 같이, 패키지(210) 내의 제품(126)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이 하나 이상의 흡수성 제품(넓게는, 하나 이상의 제1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넓게는, 제2 제품)은 흡수성 제품이 배치되고 사용 후 처리될 하나 이상의 일회용 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흡수성 제품의 처리를 위해 복수의 일회용 백(도시되지 않음)을 내장하는 포켓 또는 파우치(294)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넓게는, 제2 제품)은 개방 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이 이해된다. 제품(292)은 패키지 내에 제품(226)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제품과 함께 패키지(210)의 내부 격실(224) 내에 끼워맞추도록 적절히 충분히 얇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품(292)은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을 수용하도록 격실(224) 내에 요구된 공간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충분히 유연하다(예를 들어, 가요성 및/또는 압축성임).
다른 실시예의 다른 예와 같이,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티슈 또는 습식 와이프의 포켓 또는 파우치(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적절한 실시예에서,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적절한 패키징(예를 들어 찢어서 개방하는 포켓)(도시되지 않음)에 내장된 피부 치료 조성물(로션, 크림, 파우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품(292)은 다르게는 적절한 패키징(도시되지 않음)에 내장된 환약 또는 액체 형태로 약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그곳에 인가된 표시를 갖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웨브, 직포 웨브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얇은 시트 또는 재료 웨브(29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품(292)의 예는 쿠폰, 용품 설명서, 광고 및 판촉성 전달물(예를 들어, 경주 게임 피스, 콘테스트 룰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얇은 시트 또는 웨브(296)는 샘플 재료 견본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시트 또는 재료 웨브(296)는 절첩되고 개방 장치(205)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품(292)은 개방 장치(205)에 영구적으로 즉, 개방 장치를 손상(예를 들어, 찢음)시키지 않고는 개방 장치로부터 분리가능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개방 장치로부터 제품의 의도된 제거를 허용하도록 개방 장치에 해제가능하게 고정 될 수도 있다. 접착제 접착, 압력 접착, 초음파 또는 열 접착, 재체결가능한 후크 및 루프 체결구, 다른 기계적 체결구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종래의 고정 기술이 개방 장치(205)에 제품(292)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제품(292)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장치(205)의 상부측 또는 다른 표면(30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이 또한 이해된다. 제품(292)은 개방 장치(205)와 일체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품이 포켓 또는 파우치(도21에 도시된 일회용 백의 포켓 또는 파우치(294))를 포함하면, 개방 장치(205)는 포켓 또는 파우치의 일 측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20 내지 도23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길이 및/또는 폭, 더 적절하게는 길이 및 폭 양자 모두에 있어 개방 장치보다 더 작게 적절하게 크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품(292)은 개방 장치(205)의 길이보다 적어도 약 10퍼센트 더 짧은 길이를 갖고, 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약 15퍼센트 더 짧은, 더욱 적절하게는 약 20퍼센트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제품(292)의 폭은 적절하게는 개방 장치(205)의 폭보다 적어도 약 10퍼센트 더 짧고, 더 적절하게는 적어도 약 15퍼센트 더 짧고, 더욱 적절하게는 적어도 약 20퍼센트 더 짧은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제품(292) 사이의 길이와 개방 장치(205)의 길이의 차이는 제품 사이의 폭과 개방 장치의 폭과의 퍼센트 차이와 다를 수도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제품(292)이 상술된 것보다 더 짧은 길이 및/또는 더 좁은 폭일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특히 적절한 실시예에서, 제품(292)은 개방 장치의 주연 에지 각각으로부터 내향으로 이격된 개방 장치(205) 상에 위치설정된다. 그러나, 제품(292)이 개방 장치(205) 상에 중심 위치설정될 필요는 없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제품(292)은 개방 장치(205)의 각각의 주연 에지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지만, 일 단부가 다른 단부보다 더 가깝거나 일 측면이 다른 측면보다 더 가까울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품(292)은 제품이 개방 장치의 길이의 1/2 상에 대체로 고정 및 위치설정되는 개방 장치(205)의 길이의 50퍼센트 이하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즉, 개방 장치(205)의 길이는 횡방향(예를 들어 가로방향) 중심선(예를 들어, 개방 장치에 형성된 가상선 또는 실제의 절첩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으로 분할되고, 제품(292)은 횡방향 중심선의 단지 일측면 상에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품(292)은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이 개방 장치의 폭의 1/2 상에 대체로 고정 및 위치설정되는 개방 장치(205)의 폭의 50퍼센트 이하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즉, 개방 장치(205)의 폭은 종방향(예를 들어 세로방향) 중심선(예를 들어, 개방 장치에 형성된 가상선 또는 실제의 절첩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으로 분할되고, 제품(292)은 종방향 중심선의 단지 일측면 상에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방 장치(205)에 고정된 제품(292)은 개방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및 폭일 수도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음이 이해된다.
제품(292)은, 도1 내지 도11 및 도16 내지 도20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상술된 가요성 패키지(10, 110)의 개방 장치(5, 105) 중 임의의 것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12 내지 도15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상술된 가요성 패키지의 커버링 장치(6) 중 임의의 것에 고정될 수도 있음이 또한 이해된다.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주 내에서 변경이 만들어질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상세한 설명은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도록 의도되었고, 모든 균등물을 포함하는 이하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27)

  1. 가요성 패키지이며,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서,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상부면에 부착되고,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고, 0보다 크고 상부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0보다 크고 상부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더 갖는 개방 장치와,
    패키지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시 상부면에 대한 개방 장치와의 결합 이동을 위해 개방 장치에 고정되는 제품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의 내부 체적 내에 내장되고 개방 장치에 고정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제품과 조합하여, 개방 장치에 고정된 제품은 제1 제품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제품을 형성하는 가요성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제품은 상기 제1 제품과 상이한 가요성 패키지.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품은 흡수성 개인 위생 제품을 포함하고, 제2 제품은 흡수성 제품의 사용 이후 흡수성 제품의 수취 및 처리를 위한 일회용 백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에 고정된 제품은 상기 개방 장치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요성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는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향하는 내부 측면과 패키지의 외부를 향하는 외부 측면을 갖고,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 전에 제품이 접근가능하지 않도록 제품은 개방 장치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가요성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는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완전히 탈착가능한 가요성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개방 장치의 폭은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이고, 폭을 가로지르는 소정 지점에서의 개방 장치의 길이는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가요성 패키지.
  9.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은 피부 치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은 일 패키지의 티슈 및 일 패키지의 습식 와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11.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은 약제를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12.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은 쿠폰, 용품 설명서, 광고, 판촉성 전달물 및 샘플 재료 견본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요성 패키지.
  13.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는 패키지의 개방 장치와 상부면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약화선을 따라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탈착가능한 가요성 패키지.
  14.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은 부분적으로 개방 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요성 패키지.
  15. 제1항에 있어서, 개방 장치는 종방향 축 및 측방향 대향 측면 에지를 갖고, 개방 장치에 고정된 제품은 종방향 축과 개방 장치의 상기 측방향 대향 측면 에지 중 하나 사이에 배치되는 가요성 패키지.
  16. 가요성 패키지이며,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서,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고,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면의 주연 에지와 이격 관계로 내부에 개구를 더 갖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패키지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면의 개구를 통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고, 0 보다 크고 상부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0보다 크고 상부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더 갖는, 개구를 위한 커버링 장치와,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커버링 장치의 분리시 패키지의 상부면에 대한 커버링 장치와의 결합 이동을 위해 커버링 장치에 고정되는 제품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17. 제16항에 있어서, 개구는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의 개구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의 개구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
  18. 제16항에 있어서, 커버링 장치에 고정된 제품은 상기 커버링 장치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요성 패키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커버링 장치는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향하는 내부 측면 및 패키지의 외부를 향하는 외부 측면을 갖고,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커버링 장치의 분리 전에는 제품이 접근가능하지 않도록 제품은 커버링 장치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는 가요성 패키지.
  20. 가요성 패키지이며,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서,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은 길이와, 폭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상부면에 부착되고,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고,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는 개방 장치와,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 이후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패키지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당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당김줄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당김줄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는 가요성 패키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패키지의 상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 사이의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자유 에지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당김줄은 패키지의 상부면과 이격 관계로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는 가요성 패키지.
  23.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당김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자유 에지에 전체적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는 가요성 패키지.
  24. 제20항에 있어서, 패키지는 한 쌍의 당김줄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25.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당김줄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가요성 패키지.
  26. 가요성 패키지이며,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서, 상 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를 넘어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자유 에지를 갖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패키지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착가능하고,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인 개방 장치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는 개방 장치와,
    패키지의 상부면으로부터 개방 장치의 탈착 이후 패키지의 선택적인 개폐를 허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상기 부분 상에서 작동가능한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27. 가요성 패키지이며,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서, 상부면, 하부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내장하기 위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을 함께 형성하도록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면은 길이와, 폭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 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주연 에지 여유부를 갖고,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면의 주연 에지와 이격 관계로 내부에 제1 개구를 더 갖고, 상기 개구는 상부면의 폭의 약 40%와 약 99% 사이의 개구의 길이를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폭과, 상부면의 길이의 약 40%와 약 99% 사이의 개구의 폭을 따라 소정 지점에서의 길이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연결부를 넘어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대한 상부면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자유 에지를 갖고, 상기 자유 에지는 패키지의 상부면의 제1 개구로부터 이격된 패키지의 제2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면과,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 하부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패키지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면의 제1 개구를 통해 패키지의 내부 체적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부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한, 제1 개구를 위한 커버링 장치와,
    제2 개구가 패키지의 상부면의 제1 개구만큼 적어도 큰 개방 구성과, 제2 개구가 패키지의 상부면의 제1 개구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폐쇄 구성 사이에서 상기 부분의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상기 부분 상에서 작동가능한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는 가요성 패키지.
KR1020087018617A 2005-12-30 2006-10-26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 KR20080080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23,628 US7780006B2 (en) 2005-12-30 2005-12-30 Flexible package with opening feature
US11/323,628 2005-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673A true KR20080080673A (ko) 2008-09-04

Family

ID=3768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617A KR20080080673A (ko) 2005-12-30 2006-10-26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80006B2 (ko)
EP (2) EP2460736B1 (ko)
KR (1) KR20080080673A (ko)
AU (1) AU2006333484B2 (ko)
BR (2) BRPI0621276B1 (ko)
WO (1) WO20070783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4494A1 (en) * 2004-12-09 2006-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hape retaining flexible package with easy access opening feature
US7780006B2 (en) * 2005-12-30 2010-08-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package with opening feature
US8231024B2 (en) 2007-08-08 2012-07-31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US20090050507A1 (en) * 2007-08-22 2009-02-26 Barry John Jadin Packages of absorbent articles with with premiums
JP5016436B2 (ja) * 2007-10-05 2012-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
WO2010054226A2 (en) * 2008-11-06 2010-05-14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US20100136294A1 (en) * 2008-12-03 2010-06-03 John Allen Manifold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a lotion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9649830B2 (en) * 2008-12-03 2017-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ed fibrous sanitary tissu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EP2258628A1 (en) * 2009-06-05 2010-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lastic bag for stacked soft hygienic products
US8277426B2 (en) 2009-09-30 2012-10-02 Wilcox Heather J Male urinary incontinence device
JP6116904B2 (ja) * 2009-11-27 2017-04-19 ロレアル 美容シート包装体
US8851292B2 (en) 2010-06-25 2014-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storing, displaying, and/or dispensing absorbent articles
JP5833381B2 (ja) * 2011-06-20 2015-12-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ポケットティシュー包装体
US8490793B2 (en) * 2011-06-22 2013-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pening feature for packaging having absorbent articles contained therein
JP5791400B2 (ja) * 2011-07-08 2015-10-07 コスモテック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袋
US20130330512A1 (en) * 2012-06-11 2013-12-12 Jerry Ray Stephens Unique material for forming dispensing cartons
US10207850B2 (en) 2012-10-26 2019-02-19 Primapak, Llc.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888741C (en) 2012-10-26 2022-01-04 James J. Sanfilippo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284109B2 (en) * 2013-02-20 2016-03-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ispenser for flexible sheets
US20150023614A1 (en) * 2013-07-18 2015-01-22 Poly-America, L.P. Flexible Pouches for Goods on a Roll
USD715643S1 (en) 2013-07-30 2014-10-2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26535S1 (en) 2013-07-30 2015-04-1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25467S1 (en) 2013-07-30 2015-03-3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39232S1 (en) 2013-07-30 2015-09-2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used to make packages
US10144575B2 (en) * 2013-08-28 2018-12-04 Stephanie Tan Combination food pad container and dispenser
US10207858B2 (en) * 2013-08-28 2019-02-19 Stephanie Tan Combination food pad container and dispenser
USD747189S1 (en) 2013-09-09 2016-01-12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JP6255830B2 (ja) * 2013-09-18 2018-0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及び内容物を収納した包装体
USD733549S1 (en) 2013-10-25 2015-07-07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64914S1 (en) 2013-11-12 2016-08-30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77026S1 (en) 2013-11-12 2017-01-2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WO2015070404A1 (zh) * 2013-11-13 2015-05-21 特大纺织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环式无接缝攀岩快挂
USD741164S1 (en) * 2013-11-18 2015-10-20 Who-Rae Pty Ltd Package container for car accessories
USD768479S1 (en) 2014-01-16 2016-10-1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61651S1 (en) 2014-01-28 2016-07-19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MX2016009830A (es) 2014-01-31 2016-10-26 Graphic Packaging Int Inc Caja de carton con caracteristica de abertura.
USD748471S1 (en) 2014-02-14 2016-02-0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47195S1 (en) 2014-02-14 2016-01-1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47202S1 (en) 2014-02-28 2016-01-1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used to make packages
USD766082S1 (en) 2014-02-28 2016-09-13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30725S1 (en) 2014-03-07 2015-06-02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50477S1 (en) 2014-03-07 2016-03-0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0114S1 (en) 2014-03-07 2015-10-06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53995S1 (en) 2014-03-07 2016-04-19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813663S1 (en) 2014-03-13 2018-03-27 Primapak, Llc Package
USD753996S1 (en) 2014-03-26 2016-04-19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JP6339394B2 (ja) * 2014-03-26 2018-06-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収容体
ES2856251T3 (es) 2014-05-19 2021-09-27 Primapak Llc Aparato y método para fabricar un envase flexible
USD734144S1 (en) 2014-05-30 2015-07-1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7646S1 (en) 2014-06-20 2016-01-19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6673S1 (en) 2014-06-20 2016-01-05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81702S1 (en) 2014-08-25 2017-03-21 Clear Lam Packaging, Inc. Material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72069S1 (en) 2014-09-25 2016-11-2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making packages
USD754534S1 (en) 2014-09-25 2016-04-26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78719S1 (en) 2014-10-15 2017-02-1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CA2961072C (en) 2014-10-21 2019-09-0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Package for a product
USD788582S1 (en) 2014-10-31 2017-06-06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84127S1 (en) 2014-10-31 2017-04-18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56219S1 (en) 2014-10-31 2016-05-17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87319S1 (en) 2014-11-17 2017-05-23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CA2965366A1 (en) 2014-12-09 2016-06-16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Packaging scheme for a plurality of consumer goods
JP6873107B2 (ja) 2015-09-18 2021-05-26 プリマパック・エルエルシー 可撓性の包装を作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0202234B2 (en) * 2016-10-25 2019-02-12 Purple Innovation, Llc Bed linen packaging
FR3058130B1 (fr) * 2016-11-03 2018-12-07 Sleever International Company Enveloppe de securite et recipient recouvert d'une telle enveloppe
US9827150B1 (en) * 2016-11-30 2017-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ackage with enhanced opening and recloseability
JP6422064B2 (ja) * 2017-03-27 2018-11-14 下村 恭一 包装用積層フィルム又は該包装用積層フィルムで成形された包装袋及び包装用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9027426A1 (en) * 2017-07-31 2019-0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PACKAGING FOR ABSORBENT ARTICLE
JP7227699B2 (ja) * 2018-03-30 2023-02-22 大王製紙株式会社 集合包装体、ガセット包装袋、およびガセット包装袋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8584A (en) * 1959-08-20 1966-01-11 Bemis Co Inc Bags
US3089586A (en) * 1961-09-07 1963-05-14 David F Cole Combination dispenser and receptacle
US3738568A (en) * 1971-01-06 1973-06-12 Bagcraft Corp Bag with draw band separably integral with bag body
US4345393A (en) * 1977-09-26 1982-08-24 General Foods Corporation Peelable on-package coup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308679A (en) * 1979-01-10 1982-01-05 General Foods Corporation Laminated container structure incorporating a peelable panel section having a heat transferable image
JPS6122779U (ja) * 1984-07-14 1986-02-10 利宗 増井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納箱
US4779733A (en) * 1987-06-01 1988-10-25 The American Tobacco Company Display tab for overwrapped package
US5242057A (en) * 1992-12-21 1993-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venience kit for dispensing different personal hygiene components
GB2310652B (en) * 1996-02-29 2000-03-29 Hartmann Paul Ag Receptacle for compressible products
JP3195305B2 (ja) * 1998-12-10 2001-08-06 憲司 中村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95326A (en) * 1999-06-21 2000-08-01 Madhat; Maher N. Packaging of disposable gloves with consumer tissue products
US6808072B2 (en) * 2000-07-13 2004-10-26 Peter Sedgwick Snedeker Apparatus for cleansing hands
US6446796B1 (en) * 2000-07-21 2002-09-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ag in-pack enclosure
US20020175094A1 (en) * 2001-05-23 2002-11-28 Campbell Evangeline Eunice Expandable bag for used tissues
US6715633B2 (en) * 2002-03-06 2004-04-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folded sheet dispenser having a starter sheet pull-out system
US7051877B2 (en) * 2002-11-12 2006-05-30 Pai Yung Lin Napkin container having openable and sealable cover
US20050182379A1 (en) * 2004-02-18 2005-08-18 Olsen Bradley 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joined compactly stored disposable storage bag
DE202004007773U1 (de) 2004-05-13 2004-07-29 Sca Hygiene Products Ab Behälter für einen Stapel von einzel entnehmbaren Papierprodukten
US20070032768A1 (en) * 2005-08-05 2007-02-08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Article with premium
US7780006B2 (en) * 2005-12-30 2010-08-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package with opening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1536A2 (en) 2008-09-24
WO2007078392A3 (en) 2007-10-04
BR122018004096B1 (pt) 2019-07-02
US20100282637A1 (en) 2010-11-11
EP2460736A1 (en) 2012-06-06
EP2460736B1 (en) 2016-03-02
WO2007078392A2 (en) 2007-07-12
US20070151887A1 (en) 2007-07-05
US7780006B2 (en) 2010-08-24
EP1971536B1 (en) 2013-04-17
BRPI0621276A2 (pt) 2011-12-06
US8006833B2 (en) 2011-08-30
AU2006333484A1 (en) 2007-07-12
AU2006333484B2 (en) 2012-05-03
BRPI0621276B1 (pt)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0673A (ko) 개구 형상부를 갖는 가요성 패키지
US20060124494A1 (en) Shape retaining flexible package with easy access opening feature
US6705465B2 (en) Package for feminine care articles
KR101288245B1 (ko) 개인 위생 용품을 위한 패키지 및 분배 장치
JP2007296389A (ja) 吸収性物品のパッケージ
US6913146B2 (en) Interlabial pad packaging
ZA200303292B (en) Package for absorbent articles.
AU2002227058A1 (en) Package for absorbent articles
JP2009040507A (ja) 吸収性物品のパッケージ
AU2012205146B2 (en) Flexible package with opening feature
RU2286758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WO2019027426A1 (en) FLEXIBLE PACKAGING FOR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213

Effective date: 201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