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286A -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286A
KR20080079286A KR1020087015421A KR20087015421A KR20080079286A KR 20080079286 A KR20080079286 A KR 20080079286A KR 1020087015421 A KR1020087015421 A KR 1020087015421A KR 20087015421 A KR20087015421 A KR 20087015421A KR 20080079286 A KR20080079286 A KR 2008007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wave
wave voltage
control
organic
voltag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083B1 (ko
Inventor
미노루 마에하라
후토시 오카모토
아키노리 히라마쓰
도모유키 나카노
히로키 가와나미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직사각형파 전압원, 제어부, 및 검출기를 포함하는 OLED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직사각형파 전압원은, 제1 제어에 따라, 직사각형파 전압을 발생시키고, 직사각형파 전압을 하나 이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인가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제어부는, 제1 제어에 따라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한다. 검출기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내재하는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제어부는, 등가 용량에 기초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1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이지 않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2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Description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OLED DRIVER AND ILLUMINATOR EQUIPPED WITH SUCH DRIV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를 구동시키기 위한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 또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함]는, 박형이며 경량의 발광 소자로서 사용되고, 방전 램프에 비해 낮은 구동 전압(예를 들면, 몇 볼트 내지 몇십 볼트)에서 구동된다. 따라서, OLED 구동 장치는 종래의 안정기(ballast)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박형이며 경량인 OLED 구동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EL 소자는 조명 용도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발광 수명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그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OLED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필수적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번호 제2663648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EL 소자에 역극성의 전력(inverse-polarity power)을 공급한다. 이 장치에 의하면, EL 소자의 발광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에 더하여, OLED 구동 장치는, 유기 EL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을 때(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의 수명이 다했을 때 또는 열화되었을 때), 이러한 정상적이지 않은 소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어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조명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유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원을 교체 가능하게 탑재하도록 구성된 경우, 광원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것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의 광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광원의 조도를 변화시키거나, 광원의 광 출력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이러한 정상적이지 않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OLED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OLED 구동 장치는, 직사각형파 전압원(square-wave voltage source)과 제어부(controller)를 구비한다. 직사각형파 전압원은, 제1 제어에 따라, 직사각형파 전압을 발생시켜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인가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제어부는, 제1 제어에 따라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OLED 구동 장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내재하는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검출기에서 검출된 등가 용량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인 경우, 제어부는 제1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이러한 정상적이지 않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2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OLED 구동 장치는, 정상적이지 않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검출기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직사각형파 전압의 상승에 따른 과도(돌입) 전류 파형을 측정하여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용량의 검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검출기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하강에 따른 방전 전류 파형을 측정하여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검출기는, 직사각형파 전압의 주기마다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용량을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검출기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개시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온도가 안정되었을 때의 등가 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검출기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개시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에만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온도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등가 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는,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낮추도록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는,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높이도록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광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는, 검출기에서 검출된 등가 용량에 따라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열화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으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는,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이 정지되도록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을 때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앞서 설명한 OLED 구동 장치 및 앞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유기 EL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등가 용량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되는 등가 용량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변형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변형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변형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조명 장치(1)를 나타낸다. 조명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EL 소자(OLED)(10)와, 이 유기 EL 소자(10)를 구동시키기 위한 OLED 구동 장치(11)를 구비한다.
유기 EL 소자(10)는, 발광층(유기 박막)과, 이 발광층을 그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기 EL 소자(10)는, 캐소드로서 기능하는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에서 애노드로서 기능하는 다른 쪽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재결합할 때에 발광한다.
OLED 구동 장치(11)는, 직류 전원(12), 극성 반전 회로(인버터)(13), 및 전류 제한 소자(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사각형파 전압원(square-wave voltage source)을 구비하는 동시에, 검출기(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한다. OLED 구동 장치는 직사각형파 전압을 발생하여 유기 EL 소자(10)에 인가한다.
직류 전원(12)은, 제어부(16)의 제1 제어(예를 들면, PWM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용 전원 AC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류 전원(12)에는, 전파 정류기(full wave rectifier)로서의 다이오드 브리지(121), 이 다이오드 브리지(121)의 양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평활 커패시터(122), 및 평활 커패시터(122)의 양단에 접속되는 강압형 컨버터(voltage step down converter)가 포함된다. 강압형 컨버터는, 평활 커패시터(122)의 정 단자(positive terminal)에 한쪽 단자가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MOSFET)(123); 스위칭 소자(123)의 다른 쪽 단자 및 평활 커패시터(122)의 부 단자(negative terminal)에 각각 캐소드 및 애노드가 접속되는 다이오드(124); 스위칭 소자(123)의 다른 쪽 단자에 한쪽 단자가 접속되는 인덕터(125); 및 인덕터(125)의 다른 쪽 단자와 다이오드(124)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직류 전원(12)에서는, 직류 전원 AC의 교류 전력이 다이오드 브리지(121)에서 맥동 직류 전력(pulsating direct current power)으로 정류되고, 이 맥동 직류 전력의 전압이 평활 커패시터(122)에서 평활된다. 이어서, 평활된 전압이 강압형 컨버터에서 유기 EL 소자(10)의 구동 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압으로 변환됨으로써, 직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극성 반전 회로(13)는, 제어부(16)로부터의 제1 제어(예를 들면,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직류 전원(12)으로부터의 직류 전력의 전압 극성을 주기적으로 반전하여 직사각형파 전압을 발생하고, 극성이 반전될 때의 돌입 전류(inrush current)의 피크 값을 제한하기 위한 전류 제한 소자(14)를 경유하여 직 사각형파 전압을 유기 EL 소자(10)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극성 반전 회로(13)에는, 풀 브리지 회로(full-bridge circuit)를 구성하는 4개의 스위칭 소자(예를 들면, MOSFET)(131~134)가 포함되어 있다. 전류 제한 소자(14)는, 예를 들면 전류 제한 작용 및 작은 인덕턴스를 가진 인덕터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기(15)는, 유기 EL 소자(10)에 인가되는 직사각형파 전압의 상승에 따른 과도(돌입) 전류 파형을 측정하여, 유기 EL 소자(10)에 내재하는 등가 용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등가 용량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기 EL 소자(10)는, 평행 평면형(plane-parallel) 커패시터의 구조를 가지므로, 도 2에 나타내는 등가 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EL 소자(10)에서, 다이오드(D)는 커패시터(C)와 병렬로 접속되고, 다이오드(D) 및 커패시터(C)의 병렬 조합이 저항(R)과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직사각형파 전압이 유기 EL 소자(10)에 인가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파 전압의 극성이 반전될 때에 유기 EL 소자(10)에 돌입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에 흐르는 돌입 전류는, 유기 EL 소자의 등가 용량(C)의 영향을 받는다. 용량(C)이 임계값을 초과한 후, 돌입 전류의 피크 값(Ip)은, 용량(C)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실험을 통해 알려져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의 등가 용량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과도 전류의 연속적인 공급에 의해 파괴된 유기 EL 소자의 등가 용량은, 정상적인 유기 EL 소자보다 훨씬 작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유기 EL 소자(10)를 통해 흐르는 돌입 전류의 피크 값을 측정함으로써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 량을 검출할 수 있고, 이 등가 용량으로부터 유기 EL 소자(10)의 잔여 수명(발광 수명)을 추정할 수 있다.
다음에, 검출기(15)의 구체적인 회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기 EL 소자(10)를 통해 흐르는 돌입 전류의 피크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출기(15)는, 예를 들면 피크 검출 회로(150)와 비교 회로(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크 검출 회로(150)는, 저항(151), 전압 팔로워(voltage follower)(152), 및 커패시터(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기 EL 소자(10)를 통해 흐르는 돌입 전류의 피크 값에 대응하는 전압(검출된 전압)을 비교 회로(155)에 공급한다. 비교 회로(155)는, 연산 증폭기(156) 및 저항(157, 15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검출 전압을, 저항(157, 158)을 통하여 얻어지는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검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비교 회로(155)는 유기 EL 소자(10)가 정상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HIGH 신호를 제어부(16)에 공급한다. 검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지 않으면, 비교 회로(155)는 유기 EL 소자(10)가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LOW 신호를 제어부(16)에 공급한다. 기준 전압은, 유기 EL 소자의 발광 수명 또는 열화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등가 용량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기준 전압은 정상적인 유기 EL 소자의 돌입 전류에 대해 규정된 최저 값보다 작은 값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설정된다. 변형예로서, 검출기(15)는, 전압 팔로워(152)를 대신하여 적분 회로를 구비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파 전압의 상승 시점부터 직사각형파 전압의 안정 시점까지의 전류 적산값 S를 검출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검출기(15)는, 돌입 전류의 상승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해도 된다.
제어부(16)는, 예를 들면 발진기와, 직류 전원(12) 및 극성 반전 회로(13)용의 구동 회로와, 제어 회로(예를 들면, 각종 IC 및/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제어 및 제2 제어 등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제1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출력 전압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직류 전원(12)의 출력 전압[커패시터(126)의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한 전압에 따라, 제어부(16)는, 직류 전원(12)의 출력 전압이 유기 EL 소자(10)의 구동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PWM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 소자(123)의 제어 단자(게이트)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6)는, 극성 반전 회로(13)가 직류 전원(12)으로부터의 직류 전력의 전압 극성을 주기적으로 반전하여 직사각형파 전압을 발생하도록, 예를 들면 규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각각 가지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 소자(131~134)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순방향 제어 및 역방향 제어가 교대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순방향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스위칭 소자(131) 및 스위칭 소자(134)에 턴온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칭 소자(132) 및 스위칭 소자(133)에 턴오프 신호를 공급한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10)는 발광을 행한다. 역방향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스위칭 소자(131) 및 스위칭 소자(134)에 턴오프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칭 소자(132) 및 스위칭 소자(133)에 턴온 신호를 공급한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10)는 발광의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16)는, 검출기(1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제어를 유지할 것인지 제2 제어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HIGH 신호의 경우, 제 어부(16)는, 제1 제어에 따라 동작을 계속한다. LOW 신호의 경우, 제어부(16)는, 정상적이지 않은 유기 EL 소자(10)에 대한 미리 결정된 제2 제어에 따라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류 전원(12)의 출력 전압을 낮추기 위한 PWM 제어 신호를 스위칭 소자(123)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6)는, 역방향 제어의 시간에 대한 순방향 제어의 시간의 비율을 낮게 하기 위한 신호를 스위칭 소자(131~134)에 공급해도 된다.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OLED 구동 장치(11)가 작동하면, 제어부(16)는, PWM 제어 신호를 직류 전원(12)의 스위칭 소자(123)에 공급하고, 또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 소자(131~134)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유기 EL 소자(10)는 규정된 광 출력으로 동작한다. 이어서, 제어부(16)는, 검출기(15)로부터 HIGH 신호를 받으면, 제1 제어에 따라 계속해서 동작하고, 검출기(15)로부터 LOW 신호를 받으면, 제2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제1 제어의 경우, 유기 EL 소자(10)는 규정된 광 출력으로 동작한다. 제2 제어의 경우, 유기 EL 소자(10)는, 규정된 광 출력보다 낮은 광 출력으로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EL 소자(10)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OLED 구동 장치(11)는, 정상적이지 않은 유기 EL 소자(10)에 대응하는 제2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기 EL 소자(1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기(15)는, 유기 EL 소자(10)에 인가되는 직사각형파 전압의 하강에 따른 방전 전류 파형을 측정하여, 유 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기(15)는, 직사각형파 전압의 주기마다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검출기(15)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파 전압의 극성 반전 또는 일정 기간마다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해도 된다.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등가 용량을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10)가 노이즈 또는 낙뢰 서지에 의해 갑자기 열화되어도, 그 열화를 즉시 검출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검출기(15)는, 유기 EL 소자(10)가 동작을 개시하고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 동안에만,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된 유기 EL 소자(10)의 온도가 안정되었을 때의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검출기(15)는, 유기 EL 소자(10)가 동작을 개시하고나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에만,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EL 소자(10)의 온도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직류 전원(12)에 대하여 출력 전압을 높이도록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EL 소자(10)의 광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직류 전원(12)에 대하여, 검출기(15)에 의해 검출된 등가 용량에 따라 직류 전 원(12)의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16)는, 유기 EL 소자(10)에 대해 역방향 제어의 시간에 대한 순방향 제어의 시간의 비율을 낮추도록, 극성 반전 회로(13)를 제어해도 된다. 이들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EL 소자(10)는 유기 EL 소자(10)의 열화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10)의 발광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유기 EL 소자(10)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10)의 광 출력의 변화를 통해 유기 EL 소자(10)의 잔여 수명(발광 수명)의 정도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제2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즉 직류 전원(12)의 출력 및 극성 반전 회로(13)의 출력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EL 소자(10)가 정상적이지 않을 때에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제1 제어의 경우, 제어부(16)는, 미리 정해진 전류보다 작은 돌입 전류가 유기 EL 소자(10)를 통해 흐르도록, 각 극성 반전을 완만하게 한 직사각형파 전압을 유기 EL 소자(10)에 공급한다. 제어부(16)는, 검출기(15)를 통한 검출 시간 동안에만, 미리 정해진 전류보다 큰 돌입 전류가 유기 EL 소자(10)를 통해 흐르도록, 각 극성 반전을 가파르게 한 직사각형파 전압을 유기 EL 소자(10)에 공급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유기 EL 소자(10)의 열화를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OLED 구동 장치(11)는, 예 를 들면 유기 EL 소자(10)의 광을 전압 Vp로 변환하는 포토 센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부(16)는, 직사각형파 전압 V가 유기 EL 소자(10)에 공급되는 시점과 포토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광 출력(전압 Vp)이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는 시점 사이의 검출 구간 T에 기초하여,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파 전압을 유기 EL 소자에 인가했을 때, 돌입 전류를 포함하는 전류(도 7의 I 참조)가 유기 EL 소자를 통해 흐르지만, 이 유기 EL 소자는, 광을 어떠한 레벨로 발광하기까지 유기 EL 소자의 등가 용량에 대응하는 커패시터(도 2의 C 참조)가 충전될 필요가 있다. 즉, 검출 구간은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과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OLED 구동 장치(11)는, 이러한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검출 구간 T에서 유기 EL 소자(10)의 등가 용량을 검출한다.
본 발명을 몇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 둘 또는 그 이상의 유기 EL 소자를 구비해도 된다.

Claims (18)

  1.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1 제어에 따라, 직사각형파 전압(square-wave voltage)을 발생시키고,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을 하나 이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에 인가하여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직사각형파 전압원; 및
    상기 제1 제어에 따라,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내재하는 등가 용량(equivalent capacitance)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등가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이지 않은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제2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OLED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상기 전압의 상승에 따른 과도 전류 파형(transient current waveform)을 측정하여,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상기 전압의 하강에 따른 방전 전류 파형(discharge current waveform)을 측정하여,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의 주기마다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의 주기마다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개시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개시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개시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에만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동작을 개시한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에만 상기 등가 용량을 검출하는, OLED 구동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낮추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낮추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높이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높이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등가 용량에 따라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등가 용량에 따라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이 정지되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의 출력이 정지되도록 상기 직사각형파 전압원을 제어하는, OLED 구동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OLED 구동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087015421A 2005-11-25 2006-11-21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0957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1197 2005-11-25
JP2005341197A JP4887757B2 (ja) 2005-11-25 2005-11-25 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286A true KR20080079286A (ko) 2008-08-29
KR100957083B1 KR100957083B1 (ko) 2010-05-13

Family

ID=3806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421A KR100957083B1 (ko) 2005-11-25 2006-11-21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95778A1 (ko)
EP (1) EP1973385B1 (ko)
JP (1) JP4887757B2 (ko)
KR (1) KR100957083B1 (ko)
CN (1) CN101313631B (ko)
DE (1) DE602006020495D1 (ko)
WO (1) WO2007060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2981A (ja) * 2005-10-26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5317325B2 (ja) * 2008-03-26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
DE112009002171A5 (de) 2008-09-25 2011-09-29 Tridonic Gmbh & Co. Kg Gerät und Verfahren zum Betrieb von Leuchtmitteln
DE102008056867A1 (de) * 2008-11-12 2010-05-20 Hella Kgaa Hueck & Co. Schaltungsanordnung zur Ansteuerung von organischen Leuchtdioden
US8334659B2 (en) 2009-12-10 2012-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driver dimming control using ramped pulsed modulation for large area solid-state OLEDs
DE102009055048A1 (de) * 2009-12-21 2011-06-22 Tridonic Ag Betrieb organischer Leuchtdioden mittels Pulsweitemodulation
JP5942179B2 (ja) * 2010-03-26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判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9159481B2 (en) * 2010-09-21 2015-10-13 Polyresearch Ag Non-contact torque sensor with permanent shaft magnetization
JP5036859B2 (ja) * 2010-11-02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
US8779689B2 (en) 2010-12-13 2014-07-15 General Electric Company Ramp controlled driver for series/parallel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CN102169674B (zh) * 2011-01-21 2013-06-0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动态负载调整模块和液晶显示设备以及电压调整方法
DE102011053902B4 (de) * 2011-09-23 2015-10-01 Novaled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ichtemittierenden Vorrichtung und Anordnung
WO2013171853A1 (ja) * 2012-05-16 2013-11-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発光装置
US9900939B2 (en) 2013-08-19 2018-02-20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ED driver, light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with prolonged lifetime of luminous output
CN103957620A (zh) * 2014-04-28 2014-07-30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两极性oled照明驱动方法及电源
KR101597037B1 (ko) * 2014-06-26 2016-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소자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EP3182572B1 (en) * 2015-12-17 2019-11-13 Grundfos Holding A/S Electronic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067A (en) * 1994-03-11 1996-07-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gnal driver circuit operable to control signal rise and fall times
JPH08153585A (ja) * 1994-11-25 1996-06-11 Showa Shell Sekiyu Kk El(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駆動装置
US6072477A (en) * 1996-07-10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 display and driving circuit for the same
JPH11307245A (ja) * 1998-04-24 1999-11-05 Citizen Electronics Co Ltd El駆動回路
JP2002535722A (ja) * 1999-01-21 2002-10-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GB2386007B (en) * 2002-02-27 2005-08-24 Design Design Technology Ltd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US6987400B2 (en) * 2003-05-20 2006-01-17 Panelvision Technologies Testing flat panel display plates using high frequency AC signals
CN1598919A (zh) * 2003-09-16 2005-03-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反馈控制装置
JP2005128089A (ja) 2003-10-21 2005-05-19 Tohoku Pioneer Corp 発光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3385A1 (en) 2008-09-24
DE602006020495D1 (de) 2011-04-14
JP4887757B2 (ja) 2012-02-29
US20090295778A1 (en) 2009-12-03
KR100957083B1 (ko) 2010-05-13
EP1973385A4 (en) 2010-02-17
CN101313631B (zh) 2010-09-08
WO2007060937A1 (ja) 2007-05-31
CN101313631A (zh) 2008-11-26
JP2007149464A (ja) 2007-06-14
EP1973385B1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083B1 (ko) Oled 구동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0957082B1 (ko) Oled 구동 장치, oled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조정 방법
US8665922B2 (en) Driver circuit of light-emitting element
US8421360B2 (en) Load deter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same
JP5632664B2 (ja) 半導体発光素子の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5367173B2 (ja) 定電流駆動ledモジュール装置
KR10193236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비를 위한 led 백라이트 소스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비
KR101160154B1 (ko) 고조파 감쇄 기능을 갖는 단방향 led모듈 장치
KR100975263B1 (ko) Oled 구동 장치 및 oled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1103629B1 (ko) 플래시램프용 점등 장치
JP2014131420A (ja) 電源装置
KR101047027B1 (ko) 정전류 구동 단방향 led 모듈 장치
JP2010521766A (ja) ランプ駆動回路、及び寿命末期の状態を検出する検出回路
JP2018181438A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2012169183A (ja) 調光型点灯回路
KR20110045263A (ko) 정전류 구동 양방향 led 모듈 장치
JP6358526B2 (ja) 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6288814B2 (ja) 発光素子駆動装置
KR101437232B1 (ko) Bcm을 이용한 고효율 ac 입력 led 드라이버 장치
JP7326823B2 (ja) 点灯装置、照明器具、点灯装置の制御方法
KR20170006475A (ko)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기반의 LED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10170846A (ja) 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040087217A (ko) 이엘 램프와 엘이디 구동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