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422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422A
KR20080078422A KR1020070018525A KR20070018525A KR20080078422A KR 20080078422 A KR20080078422 A KR 20080078422A KR 1020070018525 A KR1020070018525 A KR 1020070018525A KR 20070018525 A KR20070018525 A KR 20070018525A KR 20080078422 A KR20080078422 A KR 20080078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memb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백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8422A/ko
Priority to US11/941,273 priority patent/US7764904B2/en
Priority to CNA2007100932951A priority patent/CN101251731A/zh
Publication of KR2008007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2Bringing electrostatic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Abstract

용지를 대전시켜 용지이송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의 구성 및 설치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기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순환 주행하며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체를 가진다. 복수의 현상기 중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에 위치하는 현상기에는 시트부재가 설치되는데, 시트부재는 용지이송체로 진입하는 용지를 대전시켜 용지이송체에 부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고전압을 시트부재로 전달하는 전압전달수단을 가진다. 전압전달수단은 시트부재의 단부가 고정되는 도전성 고정부재와, 일단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단자에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를 가지고, 타단은 고정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THEREOF}
도 1은 종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고정부재와 시트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40Y, 40M, 40C, 40K : 현상기
42 : 현상기 프레임 46 : 측면 프레임
51 : 용지이송체 100 : 시트부재
200 : 전압전달수단 210 : 고정부재
212 : 돌기 접촉부 220 : 전압전달 플레이트
221 : 단자 접촉부 222 : 전압전달 돌기
230 : 접착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를 용지이송체에 부착하여 이송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인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특히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를 감광체에 공급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중첩하여 용지에 전사함으로써 칼라 화상을 구현한다.
도 1은 종래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즉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1Y, 1M, 1C, 1K)와, 각 현상기(1Y, 1M, 1C, 1K)에 구비된 감광체(2Y, 2M, 2C, 2K)와 접촉한 상태로 순환 주행하는 용지이송벨트(3)와, 인쇄매체인 용지(P)를 용지이송벨트(3)에 부착하기 위한 용지부착롤러(4)를 구비한다.
용지부착롤러(4)와 용지이송벨트(3) 사이로 용지가 이송될 때 용지부착롤 러(4)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용지는 정전기력에 의해 용지이송벨트(3)에 부착되어 용지이송벨트(3)의 주행 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한편 각 현상기(1Y, 1M, 1C, 1K)는 색상별 화상 정보에 따라 각 감광체(2Y, 2M, 2C, 2K)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고, 이러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은 순차적으로 용지에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는 완성된 칼라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용지부착롤러(4)의 설치를 위해 현상기(1Y, 1M, 1C, 1K)와 용지이송벨트(3)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현상기의 외관을 설계하는데, 이에 따라 도 1에서 SM, SC, SK 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공간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측에 배치된 현상기(1Y)와 용지이송벨트(3) 사이에 형성된 공간(SY)은 용지부착롤러(4)가 설치되는 유용한 공간이나, 그 외 현상기(1M, 1C, 1K)와 용지이송벨트(3) 사이에 형성된 공간(SM, SC, SK)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공간인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용지부착롤러(4)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상류측에 배치된 현상기(1Y)의 외관만을 다르게 설계하거나, 현상기(1Y, 1M, 1C, 1K)와 용지이송벨트(3)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현상기(1Y, 1M, 1C, 1K)의 외관을 설계한 뒤 용지부착롤러(4)를 현상기(1Y)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현상기(1Y)와 현상기(1M, 1C, 1K) 형상이 달라지므로 부품의 공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후자의 방법은 용지부착롤러(4)의 크기만큼 세트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장치의 소형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용지부착롤러(4)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용지이송벨트(3) 쪽으로 가압되는데, 이러한 가압력이 적절한 설계치 보다 큰 경우에는 용지의 선단이 용지부착롤러(4)로 진입할 때나 용지의 후단이 용지부착롤러(4)에서 이탈할 때 가압력의 영향을 받아 용지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용지의 이송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색 부정합 등과 같은 화상 불량이 야기된다. 반대로 용지부착롤러(4)가 용지이송벨트(3)에 가압되는 압력이 적절한 설계치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색 부정합과 같은 화상 불량이 야기되지는 않지만 외부 충격에 의해 용지부착롤러(4)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장치의 내부에는 용지에서 발생한 지분이나 현상 과정에서 비산한 토너가 존재하는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용지부착롤러(4)의 외주면이 위와 같은 지분이나 토너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장치의 구성 및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의 대전 시 용지에 큰 압력이 작용하여 화상 불량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장치가 주위의 이물질에 쉽게 오염되지 않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순환 주행하며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에 위치하는 현상기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이송체로 진입하는 용지를 대전시켜 상기 용지이송체에 부착시키는 시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최상류 현상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일단은 상기 용지이송체로 진입하는 용지에 폭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도전성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일단은 상기 최상류 현상기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에 접하는 단자 접촉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시트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시트부재로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압전달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전압전달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압전달 돌기와 접촉하는 돌기 접촉부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최상류 현상기의 측면에는 측면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전압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부재는 그 위에 놓인 이물질을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지하고, 이 때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홀을 통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환 주행하며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체;와 일단이 상기 용지이송체에 접촉하고, 용지가 상기 용지이송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용지를 대전시키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로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용지이송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측에 배치된 현상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압전달수단은 상기 시트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도전성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단자에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전압전달수단은 상기 시트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도전성 접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압전달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기와 접하는 돌기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는 순환 주행하는 용지이송체에 부착된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기 프레임; 과 상기 현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일단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체에 접촉하는 도전성 시트부재;와 상기 현상기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시트부재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체결되는 도전성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는 상기 시트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성 접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는 상기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 급지유닛(20), 노광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및 배지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인 용지(P)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를 가진다. 픽업롤러(22)에 의해 픽업된 용지는 이송롤러(23)에 의해 현상유닛(40) 쪽으로 이동한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에는 노광유닛(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Y, 41M, 41C, 41K)가 구비된다. 각 노광유닛(30Y, 30M, 30C, 30K)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41Y, 41M, 41C, 41K)에 조사한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현상기(40Y, 40M, 40C, 40K)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현상기 프레임(42)을 가진다. 현상기 프레임(42)의 내부에는 각 감광체(41Y, 41M, 41C, 41K)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43),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44) 및 현상롤러(44)에 토너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공급롤러(45)가 설치된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현상기(40Y, 40M, 40C, 40K)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각 감광체(41Y, 41M, 41C, 41K)를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체(51)를 가진다. 급지유닛(20)에서 공급되는 용지는 용지이송체(51)에 부착되어 용지이송체(51)의 속도 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이송체(51)로서 용지이송벨트가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지를 부착한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 전사유닛(50)은 용지이송벨트(51a)를 구동하는 구동롤러(52)와, 용지이송벨트(51a)의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션롤러(53)와,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전사롤러(54)를 구비한다. 4개의 전사롤러(54)는 용지이송벨트(51a)를 사이에 두고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고정부재와 시트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일단이 용지이송벨트(51a)와 폭 방향으로 접촉하여 용지이송벨트(51a)로 진입하는 용지를 대전시키는 도전성 시트부재(100)와, 이 시트부재(100)가 용지를 대전시키는데 필요한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전달수단(200)을 구비한다.
전압전달수단(200)을 통해 전달된 전압이 시트부재(100)에 가해진 상태에서 급지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시트부재(100)와 용지이송벨트(51a) 사이로 진입하면 용지는 대전되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용지이송벨트(51a)에 부착된다.
시트부재(100)는 4개의 현상기 중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에 위치하 는 현상기(40Y)에 설치되고, 시트부재(100)의 일단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용지이송벨트(51a)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한다. 이 때 용지이송벨트(51a)를 사이에 두고 시트부재(100)의 반대편에는 텐션롤러(53)가 배치된다.
이러한 시트부재(100)는 용지의 대전을 위해 롤러를 사용하는 종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종래와 같이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롤러의 외주면이 오염되면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외주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에 의해 계속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본 발명과 같이 시트부재(100)를 사용하면 용지와 접촉하는 시트부재(100)의 일단이 오염되지 않는 한 시트부재(100)의 다른 부분이 오염되더라도 용지 대전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시트부재(100)는 현상기(40Y)에 설치되어 현상기(40Y)를 교체할 때 함께 교체되므로 시트부재(100)에 피로가 누적되거나 시트부재(100)가 오염되어 용지 대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트부재(100)로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도전성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고, 그 두께는 0.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지를 용지이송벨트(51a)에 부착시키기 위해 시트부재(100)가 용지를 가압하는 선압은 14.76gf/10mm 이하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100)로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전 달수단(200)은 일련의 전압전달부재 즉, 시트부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고정부재(210), 이 고정부재(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압전달 플레이트(220)는 현상기 프레임(42Y)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46)의 내측에 압입되는데, 전압전달 플레이트(220)의 일측 단부에는 측면 프레임(46)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 접촉부(221)가 마련되고, 전압전달 플레이트(220)의 타측 단부는 시트부재(100)를 향해 연장된다. 단자 접촉부(221)는 현상기(40Y)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10, 도 2 참조)에 마련된 단자(미도시)에 접촉한다. 안정성 및 용지부착력을 동시에 고려할 때 단자(미도시)를 통해 단자 접촉부(221)로 인가되는 전압은 400V ~ 600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압전달 플레이트(220)의 타측 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전압전달 돌기(222)가 마련되는데, 이 돌기(222)는 고정부재(210)가 전압전달 플레이트(22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재(210)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현상기 프레임(42Y)의 하부에 고정된다. 고정부재(210)는 현상기 프레임(42Y)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면에 시트부재(100)의 단부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단부에서 위쪽으로 절곡되는 돌기 접촉부(212)를 가진다. 고정부재(210)를 현상기 프레임(42Y)에 고정할 때 돌기 접촉부(212)의 내측면은 전압전달 플레이트(220)의 돌기(222)와 탄성 접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100)는 시트부재(100)와 고정부재(210)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성 접착부재(230)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재(230)로는 도전성 양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유닛(60)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가열롤러(6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배지유닛(70)은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롤러(71)와 배지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쇄 명령이 발생하면, 각 감광체(41Y, 41M, 41C, 41K)는 대전롤러(43)에 의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되고, 각 노광유닛(30Y, 30M, 30C, 30K)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에 조사한다. 그러면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의 표면에는 각 색상별 화상 정보에 따라 정전잠상이 형성되는데, 각 현상기(40Y, 40M, 40C, 40K)의 현상롤러(44)는 위와 같이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한편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되어 있던 용지(P)는 픽업롤러(22)에 의해 픽업된 후 용지이송벨트(51a) 쪽으로 이송된다. 이 때 본체(10)에서 전압전달 플레이 트(220)의 단자 접촉부(221)로 고전압이 인가되고, 이와 같이 인가된 전압은 전압전달 플레이트(220), 고정부재(210)를 거쳐 시트부재(100)로 전달된다. 시트부재(100)와 용지이송벨트(51a) 사이로 진입하는 용지는 시트부재(100)에 가해진 전압에 의해 대전되고, 이에 따라 용지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용지이송벨트(51a)에 부착되어 용지이송벨트(51a)의 주행 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송된다. 용지이송벨트(51a)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와 전사롤러(54)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각 감광체(41Y, 41M, 41C, 41K)에 현상되어 있던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가시화상이 용지로 중첩 전사되어 용지에는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이처럼 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닛(60)을 통과하면서 용지에 고착되며,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71)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하며, 도 4와 공통되는 구성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도 6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시트부재와 이물질 저장용기만을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는 용지에서 발생한 지분이나 현상 과정에서 비산한 토너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시트부재(100a)에 고전압이 가해질 때 시트부재(100a) 쪽으로 집중되어 시트부재(100a) 위에 쌓이게 된다. 그러면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시트부재(100a)가 변형되어 파손될 수 있다. 또 시트부재(100a)가 파손되지는 않더라도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시트부재(100a)가 용지를 가압하는 압력이 적절한 설계치 보다 커지게 되면 용지가 시트부재(100a)를 통과할 때 저항을 많이 받아 색 부정합과 같은 화상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시트부재(100a)는 도 6과 같이 그 위에 있는 이물질을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도록 형성된 홀(110)을 가진다.
이와 같이 시트부재(100)에 홀(11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홀(110)을 통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시트부재(100)의 하부에는 이물질 저장용기(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용지를 대전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시트부재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 공간을 많이 소요하지 않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부재는 현상기에 견고히 지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지를 적정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어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화상 불량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부재는 그 구조적 특성상 종래의 롤러보다 이물질의 영향을 적게 받는 이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시트부재는 현상기에 설치되므로 현상기의 교체 시에 시트부재를 함께 교체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안정된 용지 대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1)

  1.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순환 주행하며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에 위치하는 현상기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이송체로 진입하는 용지를 대전시켜 상기 용지이송체에 부착시키는 시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류 현상기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일단은 상기 용지이송체로 진입하는 용지에 폭 방향으로 접촉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도전성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최상류 현상기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단자에 접하는 단자 접 촉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시트부재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시트부재로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류 현상기에 고정되어 상기 시트부재를 지지하는 도전성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전달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전압전달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압전달 돌기와 접촉하는 돌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류 현상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그 위에 놓인 이물질을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도록 형성된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홀을 통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두께는 0.2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환 주행하며 용지를 이송하는 용지이송체;와
    일단이 상기 용지이송체에 접촉하고, 용지가 상기 용지이송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용지를 대전시키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로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이송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 중 용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 최상류측에 배치된 현상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달수단은 상기 시트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는 도전성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단자에 접촉하는 단자 접촉부를 가지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를 상기 고정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도전성 접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달 플레이트의 타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기와 접하는 돌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순환 주행하는 용지이송체에 부착된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있어서,
    현상기 프레임;
    상기 현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일단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체에 접촉하는 도전성 시트부재;
    상기 현상기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시트부재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는 상기 현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체결되는 도전성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는 상기 시트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성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압전달부재는 상기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압전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상면에 있는 이물질을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한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재의 두께는 0.2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1020070018525A 2007-02-23 2007-02-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KR20080078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25A KR20080078422A (ko) 2007-02-23 2007-02-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US11/941,273 US7764904B2 (en) 2007-02-23 2007-11-16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ductive member and developing device thereof
CNA2007100932951A CN101251731A (zh) 2007-02-23 2007-11-30 成像装置及其显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25A KR20080078422A (ko) 2007-02-23 2007-02-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22A true KR20080078422A (ko) 2008-08-27

Family

ID=3971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525A KR20080078422A (ko) 2007-02-23 2007-02-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64904B2 (ko)
KR (1) KR20080078422A (ko)
CN (1) CN1012517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490B2 (ja) 2008-01-31 2010-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30327B2 (ja) * 2010-06-14 2013-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249B2 (en) * 2000-09-29 2003-10-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overflow of toner on a clean blade
US6741832B2 (en) * 2001-03-16 2004-05-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hermal fix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64904B2 (en) 2010-07-27
CN101251731A (zh) 2008-08-27
US20080205946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86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support to adjust a rotator and a guide
US2015016059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12780A (ko) 화상 형성 장치
US76099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ollution control unit
US77649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waste storage container
US2006025144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29944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잔류토너 제거방법
KR20080078422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US72428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693921B2 (en) 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0868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developing bias volta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87452A (ja) 画像形成装置
US73022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stant conveying velocity
US6885843B2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subsidiary intermediate transfer unit for improving transfer efficiency
CN108255030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方法
JP5090982B2 (ja) 画像形成装置
US77427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mpactly arranged image forming devices
CN205507368U (zh) 感光体盒
CN1506779A (zh) 用纸运送装置和用纸运送方法
JP2007033606A (ja) 画像形成装置
US77517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122125A (zh) 转印装置
US1045938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49600Y1 (ko) 레이져 빔 프린터의 용지사행 보정장치
JP200812920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