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089A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089A
KR20080077089A KR1020087008234A KR20087008234A KR20080077089A KR 20080077089 A KR20080077089 A KR 20080077089A KR 1020087008234 A KR1020087008234 A KR 1020087008234A KR 20087008234 A KR20087008234 A KR 20087008234A KR 20080077089 A KR20080077089 A KR 2008007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cylinder
printer
print
arm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069B1 (ko
Inventor
브라이언 리
다니엘 화이트
데이비드 리
마틴 비어즐리
필립 리
로버트 리
Original Assignee
포커스 라벨 머신어리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커스 라벨 머신어리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커스 라벨 머신어리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7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04Electric or hydraulic features of drives
    • B41F13/0045Electric dri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04Electric or hydraulic features of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30Arrangements for tripping, lifting, adjusting, or removing inking rollers; Supports, bearings, or fork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30Arrangements for tripping, lifting, adjusting, or removing inking rollers; Supports, bearings, or forks therefor
    • B41F31/304Arrangements for inking roller bearings, forks or supports
    • B41F31/307Sliding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Abstract

중앙 축(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 측부와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구비하는, 중앙 드럼(4); 중앙 축(6)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1 측부와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구비하는, 프린트 실린더(8); 및 중앙 축(6)과 제2 축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32);를 포함하는, 프린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린터{A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의복에의 부착을 위한 라벨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와 같은, 직물 상에 이미지(image)를 프린트하는데에 이용되는 형태의 프린터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그러한 프린터를 위한 잉크 카트리지(ink cartridge)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직물 프린터(textile printer)"라는 용어는, 직물 상에 이미지를 프린트하는 프린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직물 프린터는, 다양한 크기의 범위를 갖는 직물 상에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의복을 위한 라벨 상에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라벨은 일반적으로 의복의 제작, 의복이 만들어짐에 이용된 직물의 형태, 및 그 의복의 세탁 지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프린트된 라벨이 예를 들어 세탁 중의 고온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것과, 그 라벨 상에 프린트된 이미지가 보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라벨이 부착되는 의복의 수명 동안 읽혀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이와 같은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라벨(label)을 생산하기 위하여, 직물 상에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하여 고점도(high viscosity)의 잉크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액체 잉크는 직물 프린터에서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은데, 이것은 액체 잉크가 그것이 적용되는 직물 상에서 닳아지고 바래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직물 프린트에 채택될 수 있는 직물은, 다양한 폴리에스테르(polyester)들 및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같은 폴리머(polymer)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사틴(polyester satin), 나일론, 면화(cotton), 자기접착성 사틴(self-adhesive satin), 레이스(lace), 트윌(twill), 그로그레인(GroGrain), 및 인조 가죽 소재를 포함한다.
공지된 직물 프린터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중앙 드럼(central drum)을 포함한다. 프린트될 직물은, 직물이 드럼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드럼 상으로 공급된다. 중앙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서, 직물은 드럼 위로 공급되어 직물의 연속적인 스트립(strip)이 프린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프린트 실린더(print cylinder)는, 사용시에 프린트 실린더의 원주상 외측 표면(circumferentially outer surface)이 중앙 드럼의 원주상 외측 표면을 접촉(touch)만 하도록 위치된다. 사용시에, 프린트 실린더의 축은 중앙 드럼의 축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그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프린트 실린더의 원주상 외측 표면은 중앙 드럼의 둘레로 연장된 직물 상에 특정의 인쇄물(impression)을 적용(apply)하도록 형상화된다. 이 점에 관하여, 프린트 실린더의 표면이 요망되는 인쇄물을 제공하도록 직접적으로 윤곽화(contour)되거나, 또는 광폴리머(photopolymer) 소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소재로 만들어진 교체용 이미지 플레이트(relief image plate)가 프린트 실린더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인쇄물을 중앙의 실린더 둘레로 연장된 직물 상에 전달(transfer)하기 위하여는, 프린트 실린더에 잉크가 적용되어야 한다. 아닐록스 롤러(anilox roller)에 의하여 잉크를 프린트 실린더로 적용시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아닐록스 롤러는 잉크를 보유(hold)하도록 적합화된 복수의 작은 공동(cavity)들을 포함하는 표면을 구비한다. 처음에는 잉크가 잉크 덕트(ink duct)의 이용을 통하여 아닐록스 롤러에 가해지고, 아닐록스 롤러의 표면은 덕트로부터의 잉크를 흡수한다. 아닐록스 롤러는, 사용시에, 그것의 축이 프린트 실린더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것이 중앙 드럼으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그것의 원주상 외측 표면이 프린트 실린더의 원주상 외측 표면을 접촉하기만 하도록 배치된다. 사용시에는, 프린트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서 아닐록스 롤러가 회전되며, 이로써 프린트 실린더가 잉크로 코팅(coating)된다.
사용시에는, 중앙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서 프린트 실린더가 회전된다. 프린트 실린더는, 그것의 외측 표면이 중앙 드럼의 외측 표면을 접촉만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중앙 드럼 및 프린트 실린더의 회전은 중앙 드럼의 외측 표면 위로 지나가는 직물 상에 인쇄물이 전달되는 것으로 귀결된다. 프린트 실린더의 원주는 직물 상에 전달되는 인쇄물의 반복 길이를 결정할 것이다.
프린트의 적절한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프린트 실린더와 중앙 드럼의 상대적인 위치는 프린트 공정 중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직물에 가해지게 되도록 보장 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중앙 드럼에 대하여 프린트 실린더를 조정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한 조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중앙 드럼에 대하여 프린트 실린더의 적절한 측방향 위치선정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프린트 실린더의 위치를 프린트 실린더의 축에 직교한 방향으로 조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프린트 실린더를 프린트 실린더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 조정 과정에서는 상이한 프린트 실린더들의 다양한 크기도 고려해야 한다.
사용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에는 특정 색상의 잉크가 아닐록스 롤러에 의하여 공급되는데, 그것은 잉크 덕트로부터의 잉크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므로, 한 가지를 초과하는 색상으로 직물이 프린트되어야 한다면, 하나를 초과하는 프린트 실린더가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직물이 세 가지 색상으로 프린트되어야 한다면, 그 직물 프린터는 중앙 드럼의 둘레로 원주상으로 이격된 세 개의 프린트 실린더들을 포함할 것이다. 각 프린트 실린더는, 관련된 아닐록스 롤러와 잉크 덕트를 구비할 것이다.
직물이 한 가지를 초과하는 색상을 갖는 이미지로 인쇄되는 때에는, 그 이미지가 단계별로 인쇄될 것이다. 각 단계에서는, 특정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부분이 특정의 프린트 실린더에 의하여 직물 상으로 전달될 것이다. 완전한 이미지는, 프린트되는 직물의 부분에 각 프린트 실린더가 접촉된 후에 생성될 것이다. 따라서, 세 가지의 색상을 갖는 이미지가 직물에 프린트되는 경우에는, 프린트되는 직물의 부분이 세 개의 프린트 실린더들 모두로부터 인쇄물을 받은 후에야 완전한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다.
상이한 색상들이 다른 색상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물의 적절한 부분에 가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개별의 프린트 실린더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합(register)되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각 프린트 실린더가 다른 프린트 실린더와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각 실린더가 중앙 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회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과정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높은 수준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각 프린트 실린더를 중앙 드럼과의 접촉으로부터 교대로 이동시키고, 프린트 실린더를 적은 양만큼 회전시키며, 프린트 실린더를 재위치(reposition)시키고, 프린트 실린더가 현재 정합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이 요망된다. 프린트 실린더가 아직 정합된 것이 아니라면, 그 과정은 정합될 때까지 반복되어야 한다.
공지된 직물 프린터에 있어서의 다른 문제점은, 예를 들어 청소를 위하여 프린트 실린더가 직물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때마다, 향후의 사용을 위하여 프린트 실린더가 직물 프린터 내에 재배치되는 때에는 프린트 실린더를 정확하게 재위치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공지된 직물 프린터에 있어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아닐록스 롤러를 사용 후에 청소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관련된 잉크 챔버(ink chamber)에 대하여 아닐록스 롤러를 적합하게 배치시키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직물 프린터용 카트리지가 제공되는데, 그 프린터는: 중앙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 측부와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구비하는, 중앙 드럼; 중앙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1 측부와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구비하는, 프린트 실린더; 및 중앙 축과 제2 축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가 제1 보유 아암 및 제2 보유 아암을 포함하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를 포함하고, 제1 보유 아암과 제2 보유 아암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앙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제1 보유 아암은 프린트 실린더의 제1 측부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고, 제2 보유 아암은 프린트 실린더의 제2 측부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가, 제1 보유 아암의 제1 보유부 형성 부분, 및 제2 아암의 제2 보유부 형성 부분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프린트 실린더가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 내에서 중앙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가, 프린트 실린더를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 내의 위치에 조이는(clamping) 클램프(clamp)를 더 포함한다.
편리하게는, 클램프가, 제1 보유부(first retaining portion) 내에서 움직여질 수 있는 제1 클램프부(first clamp portion), 및 제2 보유부(second retaining portion) 내에서 움직여질 수 있는 제2 클램프부(second clamp portion)을 포함한다.
편리하게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가, 개별의 보유부 내에서 각 클램프부의 움직임을 야기하는 제1 클램프부 작동기(first clamp portion activator) 및 제2 클램프부 작동기(second clamp portion activator)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프부 작동기들 각각이 개별의 보유 아암의 공압 실린더 형성 부분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가 제1 조정 아암 및 제2 조정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1 조정 아암은 제1 보유 아암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2 조정 아암은 제2 보유 아암에 부착될 수 있고, 프린트 실린더가 클램프에 의하여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 내의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 제1 조정 아암 및 제2 조정 아암이 프린트 실린더의 추가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보유 아암 및 제2 보유 아암에 의하여, 프린트 실린더는 중앙 드럼에 대하여 제 위치에 유지된다. 프린트 실린더의 정확한 위치선정은, 보유 아암들이 프린트 실린더의 임의적인 측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프린트 실린더의 위치가 프린트 실린더 보유부들 내에서 보유 아암들 각각을 따르는 프린트 실린더의 움직임에 의하여 중앙 드럼으로부터 멀어지는 또는 중앙 드럼을 향하는 프린트 실린더의 움직임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도록, 제1 보유 아암 및 제2 보유 아암이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프린트 실린더의 제1 측부는 중앙 드럼의 제1 측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있고, 프린트 실린더의 제2 측부는 중앙 드럼의 제2 측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드럼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1 보유 아암의 일 단부는 사용 중에 그 샤프트의 제1 단부와 접촉하며, 제2 보유 아암의 일 단부는 사용 중에 그 샤프트의 제2 단부와 접촉한다.
이것은, 제1 보유 아암 및 제2 보유 아암 각각이 중앙 드럼의 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의 이와 같은 배치는, 프린트 실린더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프린트 실린더가 중앙 드럼과 적절히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는, 챔버화된 잉크 덕트(chambered ink duct), 상기 잉크 덕트에 부착된 잉크 롤러(ink roller), 및 상기 카트리지를 직물 프린터에 제거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기(attachment)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잉크 덕트와 잉크 롤러가 단일의 카트리지로 형성되며, 그 카트리지는 프린터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청소 또는 수리를 위하여 잉크 롤러를 제거하는 과정이 매우 단순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잉크 롤러와 잉크 덕트가 단일의 카트리지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잉크 덕트에 대하여 잉크 롤러를 정확하게 배치시킬 필요가 없게 되는데, 이것은 카트리지의 치수에 의하여 잉크 롤러가 잉크 덕트에 대하여 적합하게 배치되는 것이 보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롤러가 아닐록스 롤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가 카트리지의 측부로부터 연장된 부착기를 포함한다. 그 부착기는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프린터 내에 수용될 수 있어서, 카트리지를 프린터로부터 제거하는 것과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챔버화된 잉크 덕트가 적어도 하나의 개방면을 갖는 호퍼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의 개방면은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잉크가 호퍼 내로 부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편리하게는, 카트리지가 미사용된 잉크를 수집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그 트레이는 카트리지가 프린터로부터 제거되는 때에 비워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카트리지가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카트리지가 프린트 실린더와 적합하게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프린터에 카트리지를 부착시키는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를 구비한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의 제1 보유부 및 제2 보유부 각각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 실린더는 기어 하우징(gear housing) 내에 수용된 기어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프린터에 회전가능하게 움직여질 수 있도록 부착되며, 상기 프린터는 기어 하우징의 회전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하여 기어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기어 하우징 조정기를 더 포함하고, 이로써 프린트 실린더의 대응하는 회전 움직임이 야기될 수 있다.
기어 메카니즘에 의하여, 중앙 드럼에 대하여 프린트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나를 초과하는 프린트 실린더를 포함하는 프린터에서는, 프린트 실린더들 중의 하나의 그러한 움직임이 제2 프린트 실린더에 대한 그 프린트 실린더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야기할 것이다. 그러한 움직임은 그 두 개의 프린트 실린더들을 서로에 대해 정합되도록 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기어 하우징이 워엄 휠을 포함하고, 기어 하우징 조정기는 그 기어 하우징의 워엄 휠과 나사결합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워엄을 포함한다.
그 워엄은 제어 노브(control knob)와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메카니즘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그 제어 노브의 작동은 워엄의 회전을 야기할 것이고, 그것은 다시 기어 하우징의 회전을 야기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프린트 실린더가 출력 샤프트, 및 출력 샤프트에 부착된 입력 기어를 포함하는데, 그 입력 기어는 복수의 유성 기어들과 맞물릴 수 있고, 그 유성 기어들은 다시 기어 하우징 내에 둘러싸인 링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기의 첨부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프린터의 일 부분의 개략도이고;
도 3a, 3b, 및 3c 는 도 1 의 프린터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개략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잉크 카트리지의 절단도이고;
도 5 는 도 1 의 프린터의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조정 메카니즘(adjustment mechanism)에 장착된 도 3 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하고;
도 6 은 도 1 의 프린터의 배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두 개의 기어 메카니즘(gear mechanism)들을 도시하고;
도 7 내지 도 9 는 도 6 에 도시된 기어 메카니즘들 중의 하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들, 특히 처음으로서 도 1 및 도 2 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일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2 로서 표시된다. 프린터(2)는 직물 소재의 연속적인 스트립 상에 문구(text) 또는 다른 그래픽물(graphics) 형태의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하여 특히 적합한 것이다. 프린트되는 소재의 연속적인 스트립은 중앙 드럼 상으로 공급되고, 프린트된 후에는 절단되어서 의복 부착용의 개별적인 라벨들로 형성된다. 라벨들은 통상적으로 세탁 지침과, 라벨이 부착된 의복의 소재 성분을 나타낸다.
프린터는 전방 플레이트(front plate; 3) 및 후방 플레이트(back plate; 5)를 포함한다.
프린터는 중앙 샤프트(central shaft; 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중앙 드럼(4), 및 두 개의 프린트 실린더(8)들을 포함한다. 프린트 실린더(8)는 아닐록스 롤러(10)와 관련된다. 프린트 실린더들 각각은 특정 색상의 이미지를 그 소재의 스트립 상으로 전달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프린터(2)는 그 소재에 두 가지 의 색상을 프린트하기 위하여 두 개의 프린트 실린더(8)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보다 많은 색상이 그 소재의 스트립 상에 프린트되어야 한다면, 프린터(2)는 보다 많은 프린트 실린더들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유사하게, 그 소재가 한 가지의 색상만으로 프린트되는 경우에는 프린터가 단일의 프린트 실린더를 구비할 것이다.
프린트 실린더(8)는 플레이트들(3, 5) 각각에 부착된 중앙 샤프트(6)에 의하여, 전방 플레이트(3) 및 후방 플레이트(5) 사이에서 지지된다.
각 프린트 실린더와 관련된 아닐록스 롤러(10)는 도 3a, 3b, 3c, 및 4 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12)의 부분을 형성한다. 카트리지(12)는, 아닐록스 롤러(8) 뿐만 아니라, 챔버화(chambered)되고 호퍼 트레이(hopper tray; 15)를 포함하는 잉크 덕트(14)를 포함하는데, 그 호퍼 트레이 내로는 잉크가 수동적으로(manually) 또는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부어질 수 있다. 중앙 드럼(4)의 원주 둘레로 지나가는 소재 상에 특정의 색상을 갖는 이미지를 프린트하기 위해서는, 중앙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서 프린트 실린더(8)가 회전되고, 이로써 그 소재가 중앙 드럼(4)과 프린트 실린더(8) 사이를 지나가면서 프린트된다. 아닐록스 롤러(10)도 회전되는바, 이로써 호퍼 트레이(15) 내에 포함된 잉크가 아닐록스 롤러의 표면 상으로 전달된다. 아닐록스 롤러의 표면에는 새겨진 작은 셀(small engraved cell)들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들은 아닐록스 롤러가 미리 결정된 양의 잉크를 그 셀의 우묵부(indentation)들 내에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셀들의 크기는 롤러마다 상이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 미크론(micron) 내지 50 미크론 사이의 직경을 가질 것이다.
프린트 실린더(8)와 아닐록스 롤러(10)는, 사용시에 아닐록스 롤러(10)가 프린트 실린더(8)와 접촉하고, 또한 프린트 실린더(8)도 중앙 드럼(4), 또는 사용시에는 인쇄되는 소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중앙 드럼(4), 프린트 실린더(8), 및 아닐록스 롤러(10)는 각각 구동 기어(drive gear; 60, 62, 64)를 포함한다. 사용시에, 중앙 드럼의 구동 기어(60)와 프린트 실린더의 구동 기어(62)는 서로에 대하여 맞물릴 것이다. 또한, 프린트 실린더의 구동 기어(62)는 아닐록스 롤러의 구동 기어(64)와 맞물릴 것이다. 이것은, 중앙 드럼(4), 프린트 실린더(8), 및 아닐록스 롤러(10)의 회전이 동기화되는 것을 보장한다.
중앙 드럼(4), 프린트 실린더(8), 및 아닐록스 롤러(10)가 회전함에 따라서 호퍼 트레이(15)로부터의 잉크는 아닐록스 롤러(10)로 전달되고, 그 후에 프린트 실린더로 전달된다.
프린트 실린더(8)의 표면은, 중앙 드럼과 프린트 실린더(8) 사이로 소재가 지나갈 때에 인쇄물이 그 소재 상으로 전달되도록, 그 윤곽이 형성된다.
프린트 실린더(8) 및 아닐록스 롤러의 위치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중앙 드럼(4)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는데, 이것은 미리 결정된 수준의 압력이 중앙 드럼(4)과 프린트 실린더(8)에 의하여, 중앙 드럼(4) 위로 지나가는 소재 상에, 그리고 아닐록스 롤러(10)와 프린트 실린더(8) 사이에 가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잉크 카트리지(12)는, 직물 프린터(2)에 카트리지(12)를 제거가능하게 부착 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착기(attachment)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그 부착기가 카트리지(12)의 제1 측부(first side; 20)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착부(first attachment portion; 18), 및 카트리지(12)의 제2 측부(second side; 24)로부터 연장된 제2 부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들(18, 22) 각각은 부착 롤러(attachment roller; 26)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린터(2)의 롤러 수용부(roller receiving portion)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2)는 잉크 롤러의 위치를 챔버화된 덕트(chambered duct)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스크류(28)의 형태를 갖는 아닐록스 롤러 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12)는 아닐록스 롤러(10)의 표면에 들러붙지 않는 임의의 잉크를 수집하기 위한 트레이(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2)는, 한 쌍의 이격된 보유 아암들(retaining arms; 34, 36) 형태의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32), 및 조정 아암들(adjustment arms; 65, 66)을 더 포함한다.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32)는, 프린트 실린더(8)를 수용하고 또한 잉크 카트리지(12)의 부착 롤러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receiving portion; 38)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아암들(34, 36)은 각각 프린트 실린더(8)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카트리지(12) 및 프린트 실린더(8)가 각각 상기 아암(34, 36)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 중앙 드럼(4), 프린트 실린더(8), 및 아닐록스 롤러(10) 각각의 축들은 모두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될 것이다.
조정 아암들(65, 66)은 각각 피봇 지점(67, 68)에서 전방 플레이트(3) 및 후방 플레이트(5)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다.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32)는, 개별적인 아암(34, 36)의 부분을 형성하는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 40)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램프(clamp; 69)를 더 포함한다. 사용시에, 프린트 실린더(8)가 중앙 드럼(4)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때에는, 프린트 실린더가 수용부(38) 내에서 조정 아암들(34, 35) 사이에 위치될 것이다. 또한, 프린트 카트리지(12)는 수용부(38) 내에서 아암들(34, 36) 사이에 위치될 것이다.
일단 프린트 실린더(8)와 프린트 카트리지(12)가 아암들(34, 36) 사이에 위치되면, 클램프(69)는 부착 롤러(26)들과 맞물리는 프린트 카트리지(12)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야기될 것이고, 이로써 잉크 카트리지(12)는 프린트 실린더(8)의 베어링(70)에 지탱되도록 될 것이다.
중앙 드럼(4)에 대한 프린트 실린더의 위치를 조정하여 프린트 실린더(8)에 의하여 중앙 드럼 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프린트 실린더의 위치가 인쇄물 조정기의 스크류(42)들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42)들은 로드(rod; 71)들에 연결되는데, 이들 각각은 개별의 아암(65, 6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아암들이 피봇 지점(67, 68)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조정 아암(65, 66)은 슬롯(73) 내에 보유된 핀(72)에 의하여 개별의 아암(34, 35)에 움직임가능하게 부착된다. 아암들(65, 66)의 움직임은 수용부(38)의 움직임을 야기한다.
아암들(34, 36)들 각각은 제1 단부(42) 및 제2 단부(44)를 구비한다. 아암들(34, 36) 각각의 제2 단부(44)들은 중앙 드럼(4)의 중앙 샤프트(6)와 맞닿는다. 이것은 아암들(34, 36) 각각이 샤프트(6)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린트 실린더(8)의 길이는, 중앙 드럼(4)의 길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고, 부분(40)들은 실린더(8)가 부분(40)들 사이에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 프린트 실린더(8)의 측부(46)들이 중앙 드럼(4)의 측부(48)들과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위치된다.
예를 들어 실린더를 청소하기 위하여 프린트 실린더(8)를 분리시키거나 또는 예를 들어 그 실린더를 상이한 직경을 갖는 다른 실린더로 교체할 것이 요망되는 때에는, 먼저 잉크 카트리지를 아암들(34, 36)들을 따라서 중앙 드럼(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12)를 제거하고, 그 후에 프린트 실린더(8)를 제거할 것이 요망된다. 실린더(8)가 교체되거나 또는 새로운 실린더가 아암들(34, 36) 사이에 배치되는 때에는, 인쇄물 조정기 스크류(42)들을 통하여 조정 아암들(65, 66)을 조정함으로써 프린트 실린더(8)의 위치를 조정하기만 하면된다. 다른 조정은 필요하지 않다. 공압 실린더(40)들 및 클램프(69)와 함께, 보유 아암들(34, 36)에 의하여, 상이한 직경을 갖는 프린트 실린더들이 중앙 드럼(4)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일단 아암들(34, 36) 사이에 프린트 실린더(8)가 배치되면, 프린트 실린더(46)의 측부들이 중앙 드럼의 측부(48)들에 대하여 적합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일 단 프린트 실린더(8)가 아암들(34, 36) 사이에 보유되면, 유일하게 가능한 움직임은 중앙 샤프트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의 움직임뿐이다. 그러한 움직임은 인쇄물 조정기 스크류(42)를 통하여 조정 아암들(65, 66)을 조정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다시, 프린트 실린더 및 프린트 카트리지(12)가, 중앙 샤프트(6)의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중앙 드럼(6)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그를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귀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린터(2)는 관련된 아닐록스 롤러(10)를 각각 구비한 두 개의 프린트 실린더(8)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프린터(2)는 중앙 드럼(4)의 둘레로 연장된 소재의 연속적인 스트립에 두 가지의 상이한 색상을 프린트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두 개의 프린트 실린더(8)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합되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다. 상기 두 개의 실린더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합되지 않으면, 그 두 가지의 색상들은 연속적인 스트립 상에 프린트되는 이미지 내에서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을 것이다.
각 프린트 실린더는 프린터(2)의 후방 플레이트(5)를 통하여 연장되는 프린트 정합 조정용 기어박스(print registration adjusting gearbox; 50)를 포함한다.
프린트 정합 조정용 기어박스(50)는, 프린트 실린더(8)의 출력 샤프트(output shaft; 57)에 부착된 입력 기어(input gear; 56)를 둘러싸는 외측 케이싱(outer casing; 54), 및 입력 기어 주위를 선회하는 유성 기어(planet gear; 58)들을 포함한다. 또한, 기어박스는 링 기어(ring gear; 59)를 포함하고, 유성 기 어(58)들은 링 기어와 맞물리도록 된다. 케이싱(54)의 외측 표면에는 기어톱니가 형성되어 워엄 휠(worm wheel)이 형성된다. 기어박스(50)는 기어 케이싱(50)의 나사가 형성된 외측 표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게 맞물림가능한 워엄(60)을 더 포함한다.
두 개의 프린트 실린더(8)들이 서로에 대하여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프린트 실린더(8)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다를 중앙 드럼(4)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프린트 실린더(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프린트 실린더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특정의 프린터 실린더(8)와 관련된 외측 케이싱(50)은, 워엄(60)이 회전되도록 야기하는 터닝 노브(turning knob; 62)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워엄(60)과 케이싱(50)의 나사에 의한 맞물림 때문에, 워엄의 회전은 외측 케이싱의 대응되는 회전을 야기한다.
외측 케이싱이 회전되는 때에, 유성 기어(58)들은 외측 케이싱과 움직일 것이고, 입력 기어(56) 및 링 기어(59)와의 맞물림을 통하여 프린트 실린더(8)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중앙 드럼으로부터 프린트 실린더를 움직일 필요없이도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프린트 실린더의 기어 메카니즘에 의하여, 프린트 실린더(8)들 간의 정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프린트 실린더(8)를 작게 측정되는 양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프린터, 특히 의복에의 부착을 위한 라벨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 터와 같이 직물 상에 이미지를 프린트하는데에 이용되는 형태의 프린터, 그리고 그러한 프린터를 위한 잉크 카트리지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중앙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 측부와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구비하는, 중앙 드럼;
    중앙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로부터 이격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1 측부와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구비하는, 프린트 실린더; 및
    중앙 축과 제2 축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를 포함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는 제1 보유 아암 및 제2 보유 아암을 포함하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를 포함하고, 제1 보유 아암과 제2 보유 아암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중앙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제1 보유 아암은 프린트 실린더의 제1 측부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고, 제2 보유 아암은 프린트 실린더의 제2 측부와 작동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는, 제1 보유 아암의 제1 프린트 실린더 보유부 형성 부분, 및 제2 아암의 제2 프린트 실린더 보유부 형성 부분을 포함하는, 프린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 내에서 중앙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프린터.
  5.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는, 프린트 실린더를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 내의 위치에 조이는(clamping) 클램프(clamp)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6. 제 5 항에 있어서,
    클램프는, 제1 보유부(first retaining portion) 내에서 움직여질 수 있는 제1 클램프부(first clamp portion), 및 제2 보유부(second retaining portion) 내에서 움직여질 수 있는 제2 클램프부(second clamp portion)를 포함하는, 프린터.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는, 제1 클램프부 및 제2 클램프부의 움직임을 각각 야기하는 제1 클램프부 작동기(first clamp portion activator) 및 제2 클램프부 작동기(second clamp portion activator)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8. 제 7 항에 있어서,
    클램프부 작동기 각각은 제1 보유 아암 및 제2 보유 아암 중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프린터.
  9.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는 제1 조정 아암 및 제2 조정 아암을 더 포함하고, 제1 조정 아암은 제1 보유 아암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2 조정 아암은 제2 보유 아암에 부착될 수 있고, 프린트 실린더가 클램핑부(clamping portion)을 통하여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 내의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 제1 조정 아암 및 제2 조정 아암이 프린트 실린더의 추가적인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프린터.
  10.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의 제1 측부는 중앙 드럼의 제1 측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고, 프린트 실린더의 제2 측부는 중앙 드럼의 제2 측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는, 프린터.
  11.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드럼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1 아암의 제2 단부는 사용시에 그 샤프트의 제1 단부와 접촉되며, 제1 아암의 제2 단부는 사용시에 그 샤프트의 제2 단부와 접촉되는, 프린터.
  12.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챔버화된 잉크 덕트(chambered ink duct), 상기 잉크 덕트에 부착된 잉크 롤러(ink roller), 및 상기 카트리지를 직물 프린터에 제거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기(attachment)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기는 카트리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프린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제1 측부 및 그 반대측의 제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기는 제1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제1 부착부 및 제2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프린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 각각은 부착 롤러를 포함하는, 프린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 각각은 제1 부착 롤러 및 제2 부착 롤러를 포함하는, 프린터.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실린더 조정기는 잉크 롤러 수용부를 포함하는, 프린터.
  18. 제 126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챔버화된 잉크 덕트에 대한 잉크 롤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잉크 롤러 조정부(ink roller adjustment)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에 부착될 수 있는, 프린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가 프린터에 카트리지를 부착시키는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를 구비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때에, 상기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는 프린트 실린더 보유기의 제1 보유부 및 제2 보유부 내에 각각 수용될 수 있는, 프린터.
  21.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롤러 구동 기어 메카니즘(ink roller drive gear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프린터.
  22.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화된 잉크 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면(open face)을 갖는 호퍼(hopper)를 포함하는, 프린터.
  23.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된 잉크를 수집하기 위한 트레이(tray)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24. 앞선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린트 실린더는 기어 하우징(gear housing) 내에 수용된 기어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프린터에 회전가능하게 움직여질 수 있도록 부착되며, 상기 프린터는 기어 하우징의 회전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하여 기어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기어 하우징 조정기를 더 포함하고, 이로써 중앙 드럼에 대한 프린트 실린더의 대응하는 회전 움직임이 야기될 수 있는, 프린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기어 하우징은 워엄 휠(worm wheel)을 포함하고, 기어 하우징 조정기는 워엄 휠과 나사결합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워엄을 포함하는, 프린터.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기어 메카니즘은 링 기어를 형성하는 기어치가 형성된 내측 표면, 프린트 실린더의 출력 샤프트에 부착된 입력 기어, 및 상기 입력 기어 및 링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유성 기어들을 더 포함하는, 프린터.
  27.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카트리지.
  28.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프린터.
KR1020087008234A 2005-09-21 2006-09-21 직물 프린터 KR101510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9250A GB2430406A (en) 2005-09-21 2005-09-21 A printer
GB0519250.5 2005-09-21
PCT/GB2006/003520 WO2007034194A2 (en) 2005-09-21 2006-09-21 A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089A true KR20080077089A (ko) 2008-08-21
KR101510069B1 KR101510069B1 (ko) 2015-04-07

Family

ID=3524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234A KR101510069B1 (ko) 2005-09-21 2006-09-21 직물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926600B1 (ko)
KR (1) KR101510069B1 (ko)
CN (1) CN101090823B (ko)
ES (1) ES2399468T3 (ko)
GB (1) GB2430406A (ko)
HK (1) HK1116141A1 (ko)
WO (1) WO20070341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56B1 (ko) 2014-11-12 2016-01-20 이현규 파라핀을 이용한 직물지 프린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11736A1 (it) * 2011-09-27 2013-03-28 Lombardi Converting Machinery S R L Unità di stampa,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per la stampa flessografica e simili
EP3887166A1 (de) * 2018-11-27 2021-10-06 Bobst Bielefeld GmbH Druckmaschine
CN110126453B (zh) * 2019-06-01 2020-08-28 无锡市紫荆包装有限公司 一种三层标签生产工艺
US20230012187A1 (en) * 2019-12-13 2023-0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rum moun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709635A (en) * 1906-04-25 1907-10-03 Thomas Reno Brittain Improvements in Filters for Potters' Slip.
GB190709365A (en) * 1907-04-22 1908-04-22 Charles George Redfern Improvements in Printing Machinery.
FR2254433A1 (ko) * 1973-12-17 1975-07-11 Holweg Const Mec
US4210481A (en) * 1978-11-14 1980-07-01 Njm, Inc. Labeling machines
FR2527989A1 (fr) * 1982-06-04 1983-12-09 Holweg Atel Const Meca C 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prepositionnement des stations d'encrage d'une imprimeuse
DE4005681A1 (de) * 1990-02-22 1991-08-29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ausfuehren einer schnellverstellung von maschinenteilen o. dgl.
DE19515692A1 (de) * 1995-04-28 1996-10-31 Heidelberger Druckmasch Ag Stellvorrichtung für einen Gummituchzylinder
CN1220587C (zh) * 2001-03-26 2005-09-28 柯尼格及包尔公开股份有限公司 印刷单元的驱动装置
ATE365106T1 (de) * 2002-08-19 2007-07-15 Bobst Sa Rotationspresse zum anbringen von bildern auf einem substr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56B1 (ko) 2014-11-12 2016-01-20 이현규 파라핀을 이용한 직물지 프린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99468T3 (es) 2013-04-01
KR101510069B1 (ko) 2015-04-07
CN101090823A (zh) 2007-12-19
WO2007034194A2 (en) 2007-03-29
WO2007034194A3 (en) 2007-07-26
GB2430406A (en) 2007-03-28
HK1116141A1 (en) 2008-12-19
EP1926600B1 (en) 2012-10-24
GB0519250D0 (en) 2005-10-26
CN101090823B (zh) 2012-01-25
EP1926600A2 (en)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9546A1 (en) Printing unit convertible between at least two printing modes
US5111747A (en) Chambered doctor blade inker system
EP2809521B1 (en) Container decoration
KR101510069B1 (ko) 직물 프린터
JP2020508237A (ja) 微小光学構造の複製及び形成のためのインラインキャスティング装置を有する印刷機
KR101410799B1 (ko) 프린터
JP2006035862A (ja) 印刷胴支持ユニット、位置決め要素、位置決め要素を備えた印刷胴、印刷胴支持ユニットを備えた印刷機、及びその使用
KR20080077090A (ko) 프린터
WO2014203684A1 (ja) 凹版印刷機および凹版印刷方法
JP3133709B2 (ja) 交換可能なプレートシリンダを備えたリソグラフ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
JPS592615B2 (ja) 輪転印刷機のアニロックスロ−ルにおけるインキ掻取装置
JP2004160999A (ja) 支持リングを有する印刷シリンダ支持ユニット
US4833988A (en) Inking device for printing apparatus
US3474727A (en) Rotary tax stamp numbering machine with clutch drive
US2470243A (en) Printing apparatus
US3262384A (en) Offset machines
EP0008924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nk feed to printing presses
JPH08281918A (ja) フレキソ印刷装置
JP2015003424A (ja) 凹版印刷機
WO1999024260A1 (en) Variable repeat plate and blanket rolls
JP6265771B2 (ja)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機およびオフセット印刷方法
JPS62216746A (ja) 印刷機のインクメ−タ装置
JPH1071692A (ja) グラビア印刷のテーブルテスト機
CA1158476A (en) Inking unit attachment for lithographic printing machine
CA2312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nd inspecting ink for a printing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