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839A -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 Google Patents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839A
KR20080076839A KR1020080013975A KR20080013975A KR20080076839A KR 20080076839 A KR20080076839 A KR 20080076839A KR 1020080013975 A KR1020080013975 A KR 1020080013975A KR 20080013975 A KR20080013975 A KR 20080013975A KR 20080076839 A KR20080076839 A KR 20080076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iston
plate
platen
contac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623B1 (ko
Inventor
클라우스 쉬르만
로타르 세바스티안
클라우스 볼니
Original Assignee
짐펠캄프 마쉬넨-운트 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3365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768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200710008312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7008312A1/de
Application filed by 짐펠캄프 마쉬넨-운트 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짐펠캄프 마쉬넨-운트 안라겐바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7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3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plungers unde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64Tube joined to flat sheet longitudinally, i.e., tub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생산에 있어서 플레이트 에지, 특히 플레이트(1)의 종방향 에지를 예비 굽힘가공하기 위한 프레스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2)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프레스 프레임(3), 상부 프레스 압반(4)과 하부 프레스 압반(5) 및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에 작용하고 상기 프레스 프레임(2) 상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6), 및 하나 이상의 상부 공구(17)용 하나 이상의 상부 공구 홀더(7a, 7b) 및 하나 이상의 하부 공구(18)용 하나 이상의 공구 홀더(8a, 8b)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하부 공구 홀더(들)의 위치는 프레스의 종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고정 가능한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PRESS}
본 발명은 파이프 또는 이와 유사한 중공 형상체의 생산에 있어서, 플레이트 에지, 특히 종방향 플레이트 에지 등을 예비 굽힘가공 하기 위한 (유압)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라 함은 특히 종방향 시임(seam)을 갖는 파이프 및/또는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여러 단계에 걸쳐 굽힘가공되어 종방향 시임을 따라 파이프에 용접이 가해지는 종방향 용접 시임을 갖는 파이프를 가리킨다. 평판으로부터 이러한 파이프를 생산하기 위해, 플레이트는 제1 형상화 단계에서 (2곳의) 종방향 에지에서 예비 굽힘가공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굽힘 반경은 예를 들어, 생산될 파이프의 직경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프레스"란 이러한 (제1) 형상화 단계에서 플레이트를 예비 굽힘가공 하기 위한 유압 프레스를 가리킨다. 제2 단계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준비된 플레이트는 이른바 U-프레스로 U자 형상으로 굽힘가공된다. 제3 형상화 단계에서, U-자 형상은 둥근 파이프 및/또는 추가 단계에서 이른바 O-프레스로 개방형 시임 파이프로 굽힘가공된다. 추가적인 공정 단계 후에, 종방향 시임은 필요에 따라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제1 형상화 단계에서의 종방향 플레이트 에지의 예비 굽힘가공은 파이프 생산의 공정에서 중요한 단계를 의미하며, 따라서 파이프의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단계를 최적화하게 된다. 예비 굽힘가공 프레스에 있어서, 상부 공구 및 하부 공구가 2개의 종방향 플레이트 에지 각각을 위해 제공되며, 상부 공구는 볼록 형상을 갖고, 하부 공구는 오목 형상을 갖게 되며, 또는 이와 반대로 상부 공구가 오목 형상을 갖고, 하부 공구가 볼록 형상을 갖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폭을 갖는 플레이트가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레스를 다양한 폭의 플레이트에 적용할 수 있기 위해서, C-프레임 프레스로 설계된 독립 프레스에서 2개의 플레이트 에지 각각을 위치 설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모든 C-프레임 프레스는 일반적으로 조정을 위해 수평으로 방향 전환된다(DE 23 52 573[US 3,911,709] 및 DE 24 55 596[휴 1,537,055] 참조). 최근 공지된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안정성에 관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것이 바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에지의 예비 굽힘가공을 위한 프레스로서, 안정되고 콤팩트한 구조를 갖고 간단하면서도 기능적으로 다양한 조건에 맞춰 조절될 수 있는 프레스를 생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레이트 에지, 특히 파이프 등의 생산에 있어서 종방향 플레이트 에지의 예비 성형을 위한 프레스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나의 프레스 프레임워크, 상부 프레스 압반 및 하부 프레스 압반 및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에 작용하고 상기 프레스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및 하나 이상의 상부 공구용 하나 이상의 상부 공구 홀더 및 하나 이상의 하부 공구용 하나 이상의 공구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공구 홀더(들)의 위치는 프레스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스 프레임 내에서 프레스의 횡방향으로 및/또는 프레스 프레임에 대해 조정 가능하고, 필요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고정 가능한 프레스를 개시한다. 종방향이란 플레이트가 프레스에 공급되거나 및/또는 프레스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이는 프레스 프레임의 작업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공구용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액추에이터는 스핀들 드라이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레스 프레임은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이다.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이란 특히, 환형 프레임 플레이트로 제조되는 프레스 프레임으로서, 프레임 플레이트가 상부 부재, 하부 부재 및 양측의 연결 부재를 갖는 프레스 프레임을 가리킨다. 이러한 프레임 플레이트는 하나의 부재(piece)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서로 용접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은 각각의 상부 부재, 하부 부재 및 컬럼 프레스(column press)처럼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프레스 컬럼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먼저, 형상화 공정 동안 발생되는 프레스 힘이 특히, 프레스 프레임이 폐쇄될 때 상기 형상화가 실행되는 경우에 잘 흡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 역시 양 종방향 에지에서 발생되는 프레스 힘을 흡수한다는 사실의 발견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플레이트가 매우 두꺼운 파이프를 생산하기 위해 굽힘가공될 때 특히 유리하다. 프레임 구조에도 불구하고, 프레스를 다양한 조건, 특히 다양한 플레이트 폭 및 다양한 굽힘가공 반경에 맞춰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공구 홀더 및 이에 따라 상기 공구 홀더에 부착된 공구가 프레스 프레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유롭게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치 설정은 원격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값비싼 수동 조정에 대한 요구를 방지하게 된다. 대신에, 공구 홀더(들)는 외부 제어에 의해 요구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는 하나 이상의 적합한 제어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에 할당되는 액추에이터는 위치 설정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고정하는 것도 허용한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위치 설정된 공구 홀더를 기계적으로 로킹, 즉 파지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로서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인 경우, 실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는 위치 설정 및 유압 고정을 실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스톤/실런더 조립체는 유압적으로 로킹된다. 피스톤/실런더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NC 제어되는 유압식 피스톤/실런더 조립체이다. 공구의 위치 설정은 기계적인 고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예를 들어 1/10mm 크기로, 프레스 실린더를 통해 프레스 힘의 적용 동안에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와 같은 액추에이터의 도움으로, 공구 홀더의 위치 설정 및 구속만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레스 가공 공정 동안 하나 이상의 공구 홀더를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선택 사양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프레스 가공 공정은 다양한 조건에 맞춰 완벽하게 조절될 수 있다. 작동식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는 이중 작동식(차동)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액추에이터의 적어도 일 단부)는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에 지지된다. 만약, 액추에이터가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인 경우, 본 발명은 피스톤 및/또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를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에 고정적으로 연결하고, 공구 홀더를 실린더 및/또는 실린더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선택 사항이 허용되어, 위치 설정 동안, 실린더 하우징이 공구 홀더와 동반하고, 피스톤 및/또는 피스톤 로드는 프레스 프레임워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유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만약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이 액추에이터(들)가 지지 및/또는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접촉 블럭을 갖는다면 특히 유용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2개의 상부 공구 홀더 및 2개의 하부 공구 홀더가 양 플레이트 에지의 동시 공정을 위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들)가 각각의 공구 홀더를 위해 제공된다는 발견으로부터 진행된다. 2개의 플레이트 에지용 2개의 공구 홀더는 중앙 접촉 블럭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는 양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접촉 블럭(들) 상에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피스톤 로드는 각 측에서 접촉 블럭과 연결될 수 있다. 이의 장점은 2개의 플레이트 에지를 예비 굽힘가공할 때, 프레스 가공 동안 공구 홀더에 가해지는 힘이 접촉 블럭에 의해 중심에서 흡수될 수 있어 본질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예비 굽힘가공 동안 플레이트 에지에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도입되는 힘이 공구의 형상에 의해 다량으로 수평 방향 및/또는 횡방향 힘으로 전환된다는 발견으로부터 진행된다.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에지에서 발생되는 힘은 대향력이며, 따라서 이들 힘은 이러한 힘이 할당된 접촉 블럭에 가해지는 경우에 크게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 특히 수직 프레임 요소 및/또는 컬럼이 큰 힘에 견뎌야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특히 안정적인 구조를 보장하게 된다. 반대로, 힘의 보상은 프레스 프레임워크의 매우 컴팩트한 구조를 허용하기 때문에, 특히 컴팩트한 구조가 특정 프레스 힘을 얻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예비 굽힘가공 동안에도 플레이트의 많은 부분을 예비 굽힘가공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공정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로 최적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피스톤이 프레스 프레임워크에 고정되어 있는 것, 예를 들어 중앙 접촉 블럭에서와 같은 프레스 프레임워크 상에 피스톤 로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유리다는 것은 이미 설명되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변경된 실시예의 범위에서, 피스톤 로드가 관형이거나 중공형이며, 적어도 하나의 타이 로드가 피스톤 로드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이면 유리할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2개의 실린더 배치부에 할당된 피스톤 로드가 중앙 접촉 블럭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면,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가, 피스톤 로드를 통해 연장되고 피스톤에 고정되는 타이 로드에 의해 접촉 블럭을 떠 받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일 할당 타이 로드는 접촉 블럭 측면에 위치하는 관형 피스톤 로드를 통해 연장되며, 이때 상기 타이 로드의 단부는 피스톤에 고정되고, 타이 로드는 중앙 접촉 블럭에 대해 2개의 피스톤 및 관형 피스톤 로드를 떠 받치고, 또한 서로를 떠 받치게 된다. 이 때문에, 접촉 블럭은 중앙 타이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질 수도 있다.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는 각각의 공구 홀더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이중-작용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이다. 공구에 및/또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측의 하부 프레스에 할당되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가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작동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경로 측정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에 할당되어, 실린더 하우징 내의 피스톤의 위치 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제안한다. 예를 들어, 이는 피스톤 및/또는 피스톤 로드에 할당되는 정밀 리드 나사(lead screw)일 수 있다.
공정 동안 프레스에서의 위치에 처리될 플레이트를 구속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 결과,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파지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구 홀더용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실시예 뿐 아니라, 액추에이터가 스핀들 드라이브이며, 상기 스핀들이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실시예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오직 예시로서 도시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유압 굽힘가공 프레스 및/또는 플레이트 에지의 예비 굽힘가공(prebending)용 형상화 프레스를 도시한다. 이러한 프레스는 종방향으로 용접된 시임을 갖는 파이프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에 있어서, 플레이트(1)의 종방향 에지는 예비 굽힘가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 및 예비 굽힘가공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U-프레스에서, 이어서 O-프레스에서 굽힘가공되어, 맞대기 용접으로 파이프를 형성한다. 예비 굽힘가공된 플레이트의 이러한 추가 공정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는 복수의 프레스 프레임(2)으로 구성되는 프레스 프레임워크(3)를 갖는다. 또한, 프레스는 상부 프레스 압반(4) 및 하부 프레스 압반(5)을 구비하고, 복수의 형상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6)가 프레스 프레임(2) 상 에 지지되고 상부 프레스 압반(4) 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5) 상에 지지된다.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피스톤, 고정 배치된 하부 프레스 압반(5) 및 승강 가능한 상부 압반(4)을 갖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를 도시한다. 2개의 상부 공구(17)용 2개의 상부 공구 홀더(7a, 7b)는 상부 프레스 압반(4) 상에 제공된다. 2개의 하부 공구(18)용 2개의 하부 공구 홀더(8a, 8b)는 하부 프레스 압반(5)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의 도움으로, 플레이트(1)의 양 종방향 에지는 동시에 예비 굽힘가공되며, 공구 홀더(7a, 8a)는 하나의 종방향 에지(즉, 도 1에 있어서 좌측 종방향 에지)에 위치되고, 공구 홀더(7b, 8b)는 다른 하나의 종방향 에지(즉, 도 1에 있어서 우측 종방향 에지)에 위치된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상부 공구(17)는 볼록 형상을 갖고, 하부 공구(18)는 오목 형상을 갖는다.
프레스 프레임(2)은 환형 프레스 프레임이다. 도 1은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이 단일 부재 또는 상부 크로스 플레이트(2a), 하부 크로스 플레이트(2b) 및 2개의 측방 플레이트 림(limb; 2c)의 복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프레임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공구 홀더(7a, 7b 및 8a, 8b) 및 이에 따라 공구(17, 18)는 폐쇄형 프레임 구조에 불구하고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모든 공구 홀더의 수평 위치는 프레스의 종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액추에이터(9a, 9b, 10a, 10b)에 의해 프레스의 수평 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에서, 공구 홀더는 프레스 프레임 내에서 및/또는 프레스 프레임(2)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리고 프레스 압반(4, 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치 설정 및 /또는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각각의 액추에이터(9a, 9b, 10a, 10b)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2개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프레스의 횡방향 및 수평면으로 및/또는 플레이트 면에 대해 평행하게 작동하는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이다.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a, 9b, 10a, 10b)는 공구 홀더(7a, 7b, 8a, 8b)를 위치 설정할 뿐 아니라, 기계적인 어떠한 도움 없이, 동시에 이들을 로킹 및/또는 구속하게 된다. 그러나,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a, 9b, 10a, 10b)의 도움을 받는 경우 공구 홀더(7a, 7b, 8a, 8b)의 변위에 관한 선택 사항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공된다.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a, 9b, 10a, 10b)는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에 의해 지지 및/또는 유지된다. 그 결과, 상부 및 하부 프레스 압반은 상기 실시예의 상부 프레스 압반(4) 및 하부 프레스 압반(5)이 실질적으로 T 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T 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각각의 중앙 접촉 블럭(14) 또는 복수의 중앙 접촉 블럭을 갖는다. 접촉 블럭은 각각의 프레스 압반(4, 5)의 일체형 구성이거나, 별도의 부품으로서 각각의 프레스 압반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는 접촉 블럭(14)에서 각각의 프레스 압반(4, 5)에 지지된다.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및 그들의 피스톤(11) 및/또는 피스톤 로드(11a)가 각각의 프레스 압반(4, 5) 및/또는 접촉 블럭(14)에 견고하게 연결된다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공구 홀더(7a, 7b, 8a, 8b)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a, 9b, 10a, 10b)의 실린더 하우징(12)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가 작동될 때, 실 린더 하우징(12) 및 이에 고정된 공구 홀더(7a, 7b 및/또는 8a, 8b)는 고정된 피스톤 로드(11a)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된다.
도 1은 다양한 기능적 위치에 대한 여러 측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좌측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a, 10a)는 최내측 위치에 공구 홀더를 도시하며, 우측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b, 10b)는 공구 홀더가 최외측으로 변위된 기능적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의 단면은 하나의 예시로 여러 기능적 위치에 대한 명확한 개요를 제공하기 위해, 좌측 절반부에, 프레스가 폐쇄된 경우 수직으로 작동하는 프레스 실린더(6)를 나타내며, 우측 절반부에, 프레스가 개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동일한 사항이 도 3에 적용된다.
도 1은 프레스 가공 동안 공구 홀더에 가해지는 수직 힘이 공구 형상에 의해 본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재방향 설정되고, 이어서 피스톤 로드(11a)를 통해 프레스 압반(4, 5) 및/또는 그들의 접촉 블럭(14)에 전달된다. 대칭적 배치 및/또는 양 측면 상의 배치 및/또는 양 측면 상에서의 접촉 블럭(14)에 대한 피스톤 로드(11a)의 연결로 인해, 힘은 접촉 블럭(14)의 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며, 이로써 대부분의 힘이 프레임(2)으로 전달되지 않고 본질적으로 측방 프레임 림에 전달된다. 이는 또한 실린더 하우징(12)이 프레임(2)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대신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피스톤 로드(11a)가 프레스 내의 중앙 영역에서 프레스 압반(4, 5)에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플레이트-파지 배치부(15)가 프레스 내의 제 위치에서 플레이트(1)를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플레이트 파지 수단은 (유 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내의 제 위치에 플레이트를 로킹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도시되지 않는다. 대향 멈춤부(16)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공구 홀더에 대해 플레이트를 구속하는 하부 피스톤/실린더 클램프(15)만이 도 1에 제공된다.
도 2는 3개의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9a, 9b, 10a, 10b)가 종방향 프레스 방향(L)으로 연장하는 공구 홀더(7a, 7b, 8a, 8b)에 대한 작동 실린더로서 할당되는 것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러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의 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조건에 맞춰 조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대응한다. 다시, 우측 및 좌측 프레스 측의 여러 기능적 위치가 배치된다. 프레스는 개방된다. 액추에이터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이며, 피스톤 로드(11a) 및 피스톤(11)은 프레스 압반(4 및/또는 5) 상에 다시 고정되고, 실린더 하우징(12)은 공구를 위치 설정하도록 변위된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11a)는 관형 또는 중공형 피스톤 로드(11a)이며, 타이 로드(11b)는 피스톤 로드(11a)를 통해 연장된다. 그 결과, 도 3이 특히 참조된다. 피스톤(11) 및 피스톤 로드(11a)는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조된다. 도 3에서는 예를 들어, 단일 할당 중앙 타이 로드(11b)가, 하부 프레스 부분(5)에 제공되고 접촉 블럭(14)을 측면에 위치시키는 피스톤 로드(11a)를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타이 로드는 양 측면에서 2개의 피스톤(11)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타이 로드(11b)는 2개의 피 스톤(11) 및 서로에 대해 2개의 피스톤 로드(11a) 및 중앙 접촉 블럭(14)에 대해 지지된다. 피스톤(11)은 피스톤 로드(11a)를 통해 중앙 접촉 블럭(14)에 부착된다. 단일 중앙 타이 로드(11b)와 연동할 수 있도록, 접촉 블럭이 타이 로드(11b)가 안내되는 개구(14a)를 갖는 실시예가 제공된다. 중앙 개구(14a)를 갖는 접촉 블럭(14)은 본 실시예에서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나사에 의해 하부 프레스 부분(5)에 고정된다.
도 3은 각각의 경로 측정 시스템(21)이 각각의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상에 제공되는 것을 추가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로 측정 시스템(21)에는 정밀 리드 나사가 장착되고, 및/또는 정밀 리드 나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리드 나사는 실린더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하우징과 각각의 피스톤 사이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여 공구의 위치 설정을 실행하고, 및/또는 이러한 방식으로 공구의 위치 설정을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다. 본 프레스는 프레임 프레스이다. 그러나, 프레임(2)은 각각 상부 프레스 요소(2a), 하부 프레스 요소(2b) 및 타이 로드(2d) 및/또는 컬럼을 통해 지지되는 측방 림(2c)으로 각각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하부-램 프레스이며, 즉 하부 프레스 압반(5)만이 실린더(6)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도 5는 액추에이터(9a, 9b, 10a, 10b)가 유압 피스톤/실린더 조립체가 아니라, 스핀들 드라이브인 선택 사항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프레스 압반(4) 및 하부 프레스 압반(5)은 각각 스핀들 드라이브가 그들의 스핀들(13)의 단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접촉 블럭(14)을 갖는다. 프레스 압반(4, 5) 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스핀들은 수동으로 또는 (전동기와 같은) 모터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되어, 공구 홀더(7a, 7b, 8a, 8b)가 스핀들을 따라 변위된다. 한편으로, 도 1 및 도 2 및/또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다른 한편으로,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 역시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컬럼 프레스에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 플레이트 프레스에는 스핀들 드라이브가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부 또는 하부 피스톤 프레스로서의 구성은 변경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은 상부 및 하부 공구 홀더의 위치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프레스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절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공구 홀더의 위치가 액추에이터 없이 조절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단순화한) 변경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프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프레스의 하부 프레스 압반(5)만을 도시한다. 도 7은 어떠한 액추에이터도 사용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다. 대신에, 공구 홀더(8a, 8b)는 소망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면 상에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조절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제 위치에 로킹시키고 프레스 압반(5) 상의 공구 홀더(8a 및/또는 8b)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블럭 및/또는 스페이서(20)를 사용함으로써 로킹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중앙 접촉 블럭(14)을 위해 제공된다. 그 결과, 프레스 압반(4)은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질적으로 M형상 및/또는 W형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적인) 구조에 대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구조에 대한 변경된 실시예,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조의 간략화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구조에 대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프레스 프레임 2a: 상부 프레스 요소
2b: 하부 프레스 요소 2c: 측방 플레이트 림
3: 프레스 프레임워크 4: 상부 프레스 압반
5: 하부 프레스 압반 6: 피스톤/실린더 조립체
7a, 7b: 상부 공구 홀더 8a, 8b: 하부 공구 홀더
9a, 9b, 10a, 10b: 액추에이터
11: 피스톤 12: 실린더 하우징

Claims (11)

  1. 파이프 등의 생산에 있어서 플레이트 에지, 특히 플레이트(1)의 종방향 에지를 예비 굽힘가공 하기 위한 프레스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형 프레스 프레임(2)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프레스 프레임(3);
    상부 프레스 압반(4)과 하부 프레스 압반(5) 및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에 작용하고 상기 프레스 프레임(2) 상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화 피스톤/실린더 조립체(6); 및
    하나 이상의 상부 공구(17)용 하나 이상의 상부 공구 홀더(7a, 7b) 및 하나 이상의 하부 공구(18)용 하나 이상의 공구 홀더(8a, 8b)
    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하부 공구 홀더(들)의 위치는 프레스의 종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고정 가능한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부 공구 홀더(들)(17, 18)의 위치(들)는 상기 프레스의 종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9a, 9b, 10a, 10b)에 의해 고정 가능한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a, 9b, 10a, 10b)는, 예를 들어, 유압 피 스톤/실린더 조립체 및/또는 스핀들 드라이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a, 9b, 10a, 10b)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에 지지되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 조립체로서 형성되는 액추에이터(9a, 9b, 10a, 10b)는 피스톤(11) 또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압반(4, 5) 상에 고정되거나 구속되는 피스톤 로드(11a)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공구 홀더(7a, 7b, 8a 또는 8b)는 위치 설정 동안 상기 실린더(12)와 함께 이동 가능한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드라이브(9a, 9b, 10a 및 10b)의 스핀들(13) 각각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또는 5) 상에서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한 일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구 홀더는 위치 설정 동안 상기 각각의 스핀들 상에서, 또는 상기 각각의 스핀들과 함께 이동 가능한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은 상기 액추에이터(91, 9b, 10-a 및 10b)가 지지되거나 유지되는 적어 도 하나의 (중앙) 접촉 블럭(14)을 구비하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스 압반(4)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에지와 병치되는 한 쌍의 공구 홀더(7a 및 7b)를 구비하고, 및/또는 상기 하부 프레스 압반(5)은 상기 2개의 플레이트 에지와 병치되는 한 쌍의 공구 캐리어(8a 및 8b)를 구비하며, 상기 두 쌍의 공구 홀더(7a, 7b, 8a, 8b)는, 형상화 공정 동안 상기 공구 홀더 내에 발생되는 힘이 2개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상기 접촉 블럭(14)에 대해 가해지도록 상기 상부 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의 중앙 접촉 블럭(14)을 측면에 위치시키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11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형 또는 중공형이며, 타이 로드(11b)가 관통하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피스톤 로드(11a) 및 접촉 블럭 측면에 위치하는 피스톤(11)은 상기 접촉 블럭(1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타이 로드(11b)와 상호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접촉 블럭(14)에 대해 예비 응력이 가해지며, 이때 상기 타이 로드(11b)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 로드(11a)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프레스 압반(4, 5)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변형을 위해 및/또는 상기 변형 동안 및/또는 상기 변형 후에 상기 플레이트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클램프(15)가 제공되는 것인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KR1020080013975A 2007-02-16 2008-02-15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KR100995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8312.4 2007-02-16
DE200710008312 DE102007008312A1 (de) 2007-02-16 2007-02-16 Presse
DE202007007517.0 2007-05-26
DE202007007517U DE202007007517U1 (de) 2007-02-16 2007-05-26 Pre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839A true KR20080076839A (ko) 2008-08-20
KR100995623B1 KR100995623B1 (ko) 2010-11-22

Family

ID=3833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975A KR100995623B1 (ko) 2007-02-16 2008-02-15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65849B2 (ko)
EP (1) EP1958712B2 (ko)
KR (1) KR100995623B1 (ko)
AT (1) ATE468928T1 (ko)
DE (2) DE202007007517U1 (ko)
ES (1) ES2345464T3 (ko)
RU (1) RU237301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8393A1 (de) * 2008-09-22 2010-03-25 Siempelkamp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 Co. Kg Rahmenpresse, insbesondere Einetagenpresse
IT1391762B1 (it) * 2008-11-11 2012-01-27 Sms Demag Innse Spa Ora Sms Innse Spa Pressa piega-bordi
DE102010008894A1 (de) 2010-02-23 2011-08-25 SMS Meer GmbH, 41069 Verfahren zum Anbiegen eines Bleches
CN102935728A (zh) * 2012-11-16 2013-02-20 无锡阳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中小型液压机的横梁结构
CN113199771A (zh) * 2021-07-06 2021-08-03 山东永丰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纤维增强塑料管与铝材的高速压合装置
IT202200008012A1 (it) * 2022-04-22 2023-10-22 L M C Mecc S R L Pressa per la piegatura di lamiere.
CN117698197B (zh) * 2024-02-06 2024-04-19 大同宇林德石墨新材料股份有限公司 柔性石墨挤压成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2053A (en) * 1967-02-10 1969-10-14 Yoder Co Tube mill
SU654153A3 (ru) 1973-10-17 1979-03-25 Маннесманн Аг (Фирм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ибки кромок листа
DE2455596C3 (de) 1974-11-23 1978-05-03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Presse mit Konvex- und Konkavwerkzeug zum Anbiegen der Ränder von Blechen
JPS6044050B2 (ja) * 1976-09-10 1985-10-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長尺郭状体の多段成形法
DE2701207C2 (de) * 1977-01-13 1978-11-09 G. Siempelkamp Gmbh & Co, 4150 Krefeld Hydraulische Blechbiegepresse
US4476703A (en) * 1980-06-17 1984-10-16 Kaiser Steel (Delaware), Inc. Edge preforming of metal plate
JPS6022992A (ja) * 1983-07-18 1985-02-05 Kubota Ltd 汚水処理装置
JPS60166121A (ja) * 1984-02-10 1985-08-29 Nippon Kokan Kk <Nkk> 鋼板端部曲げ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190282A (ja) * 2001-12-27 2003-07-08 Terumo Corp 金属製の管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32098B4 (de) * 2002-07-15 2004-05-06 Sms Meer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Rohren aus Blechtafel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623B1 (ko) 2010-11-22
EP1958712B1 (de) 2010-05-26
RU2008105901A (ru) 2009-08-20
RU2373012C1 (ru) 2009-11-20
DE202007007517U1 (de) 2007-08-09
EP1958712A1 (de) 2008-08-20
DE502008000697D1 (de) 2010-07-08
US7765849B2 (en) 2010-08-03
ES2345464T3 (es) 2010-09-23
ATE468928T1 (de) 2010-06-15
EP1958712B2 (de) 2018-09-19
US20080202359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623B1 (ko) 예비 굽힘가공용 프레스
DE102013110371B3 (de) Vorrichtung zum Einspannen und Ausrichten von segmentartig ausgebildeten, dünnwandigen und hohlprofilierten Bauteilen sowie deren Verwendung
KR101767345B1 (ko) 다양한 반지름을 갖는 곡선 금속판 제작용 용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KR101533739B1 (ko) 다기능 절곡 장치
US6098866A (en) Diffusion bonding apparatus for pipes
CA2705880C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necting of strips
US20160271671A1 (en) Bending press and bending method
CN109909325B (zh) 一种钢箱梁边缘矫正机
KR101892444B1 (ko) 밴딩 장치
JP3453364B2 (ja) 傾斜ロール型矯正機
JP2003535697A (ja) 成形材矯正機
CN113646104A (zh) 用于枢转弯折和冲压弯折工件的组合机
CN101396762B (zh) 自动焊接机的电极调节机构
JPS6018518B2 (ja) 門形プレス
US7861566B2 (en) Sheet-bending press for making pipe
KR101554566B1 (ko) 다기능 절곡기의 복합 금형 장치
KR20140119225A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JPH0615372A (ja) レ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レール
JP2009502517A (ja) 液圧形成処理の間に工具の部品を留め合わせる装置および方法
CN101274491B (zh) 压力机
WO1989010807A1 (en) Precision press brake
CN218252306U (zh) 高精度三维伺服液压拉弯机
CN218426507U (zh) 一种车架焊接工装
EP3895836B1 (en) Welding apparatus
KR102409117B1 (ko) 금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