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349A -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349A
KR20080076349A KR1020070016159A KR20070016159A KR20080076349A KR 20080076349 A KR20080076349 A KR 20080076349A KR 1020070016159 A KR1020070016159 A KR 1020070016159A KR 20070016159 A KR20070016159 A KR 20070016159A KR 20080076349 A KR20080076349 A KR 2008007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balt
licoo
solution
range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7423B1 (ko
Inventor
장현명
박영준
홍건표
허순영
Original Assignee
(주)이그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그잭스 filed Critical (주)이그잭스
Priority to KR102007001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42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42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0Alloys based on alkali metals
    • H01M4/405Alloys based on 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6/00Heat treatments such as Calcining; Fusing ; Py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인 고온결정상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코홀 용해성 코발트(II) 염을 알코올에 용해하고 과량의 LiOH를 첨가, 반응시켜 첨가하여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을 얻고 이를 열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고온결정상의 LiCoO2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반응조건이 종래의 기술보다 단순하고 비교적 낮은 온도인 400℃ 정도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입자형태의 변화가 거의 없고 미세공 구조의 전극특성이 우수한 HT-LiCoO2을 얻을 수 있다.
리튬 2차 전지, 양극활물질,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

Description

고온결정상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ing HT-LiCoO2}
도1과 도2는 실시예1에서 얻어진 열처리전 LiCoO2 분말의 SEM사진이고
도3은 실시예1에서 얻어진 각각 미열처리, 400℃로 전기로에서 2, 4, 8, 16시간 열처리한 샘플의 XRD패턴 그래프이고
도4와 도5는 실시예1에서 16시간 열처리한 샘플의 배율을 달리한 SEM사진이고
도6은 실시예2에서 얻어진 열처리전의 LiCoO2 분말의 SEM사진이고
도7에 실시예3에서 얻어진 열처리전의 LiCoO2 분말의 SEM사진이고
도8과 도9는 실시예3에서 얻어진 열처리전 LiCoO2 분말의 SEM사진이고
도10은 시험예1에서 제조된 전극성능 그래프이고
도11은 종래 기술의 전극성능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리튬 2차 전지용 양극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특히 고온결정상인 HT-LiCoO2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가 포터블화되고 무선화가 됨에 따라 소형, 경량이며 또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2차 전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2차 전지용의 양극활물질로는, LiCoO2, LiNiO2, LiMn2O4, LiMnO2등의 리튬과 전이금속의 복합산화물이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도,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LiCoO2)은, 이를 양극활물질로서 사용한 리튬 2차 전지는 높은 전압을 얻을 수 있어,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종래에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LiCoO2)의 양극활물질 제조방법으로는 고상의 Co3O4 와 LiCO3를 혼합한 후 800~900℃의 고온에서 장시간 소결하여 제조하는 고상합성법, 수용액상에서 폴리아크릴산 등의 착화합물제와 Co(NO3)2 및 LiOH를 반응 시켜 투명한 졸을 얻은 후 물을 증발시켜 겔을 생성시켜 이것을 800~900℃의 고온에서 소결하여 제조하는 졸-겔법과 Co(NO3)2 및 LiOH를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H2O2등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코발트(II)를 코발트(III)로 산화시킨 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고온(250℃) 고압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수열반응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높은 소결온도 또는 까다로운 반응조건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큰 부피용량밀도, 높은 대전류 방전 특성을 가지면서도 낮은 소결온도에서 경제적으로 고온결정성 LiCoO2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 LiCoO2 분말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용액상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i) 알코홀 용해성 코발트(II) 염을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에 용해하여 코발트(II)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용액에 4당량 이상 과량의 LiOH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iii)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된 흑색 침전물을 분리, 세척 및/또는 건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에서 건조된 침전 분말을 330 ~ 700℃의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리튬 2차전지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고온결정상의 LiCoO2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코발트(II) 염은 바람직하게는 Co(NO3)2 혹은 CoCl2이고, 상기 알코홀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2-프로판올, 1-헥산올, 1-옥탄올, 벤질알코홀, 3-페닐-1-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준비된 코발트(II) 용액에 LiOH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ii) 단계는 바람직하 게는, 상기 용액에 4당량 이상 7당량 이하의 과량의 LiOH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반응온도는 30 ~ 1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나 바람직하게는 30∼100℃의 범위이다. 검정색을 띄는 LiCoO2 분말이 침전되고 이들을 원심 분리하거나 여과하면 검은색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iii) 단계에서 열처리 하기 위한 시료는 세척과정의 H2O를 생략하고 EtOH 혹은 아세톤만을 이용하여 1회 세척 후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된 알코올 류가 EtOH 혹은 2-프로판올과 같이 끓는점이 낮은 경우 원심 분리만으로 세척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iv) 단계의 열처리는 바람직하게는 350 ~ 600℃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 ~ 5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반드시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반응기전을 추정해보면 다음 표1과 같다.
표1
Figure 112007014323521-PAT00001
상기의 화학반응 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보여지며 알코올 용매가 LiCoO2까지 반응이 진행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발트(II)가 코발트(III)로 산화되는 것은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주요 반응이 용액상에서 시작되어 종국에 분말을 얻는 방법이므로 계면활성제와 같은 형태 유발 시약을 첨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자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최근 LiCoO2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피복물질(예를 들면, aluminum pohosphate등)을 용액 상에 바로 도입하여 바로 피복 혹은 도핑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Co(NO3)2ㆍ6H2O (1.28 g, 0.0044 mole)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담긴 1-옥탄올 (40 mL)에 첨가한 후 완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반응 용기를 50℃ 오일용탕에 담그고 6당량의 LiOH (0.62 g)를 한번에 첨가한 후 24시간 교반하였다. 이때 반응 용기내의 초기 짙은 적자색 용액이 점차로 탁해지며 녹색을 띠다가 검정색의 침전물을 형성한다. 반응 종결 후 형성된 검은색 침전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얻어진 고체를 EtOH (40 mL), H2O (40 mL), EtOH (40 mL)의 순서로 세척한 후 70℃의 오븐에서 건조하여 약 0.4 g의 LiCoO2 검정 분말을 얻었다. 상기 분말의 SEM을 배율을 달리하여각각 도1과 도2에 도시하였다. HT-LiCoO2는 상기에서 얻어진 LiCoO2 검정 분말을 다섯 가지 샘플로 나누어 각각 미열처리, 400℃로 전기로에서 2, 4, 8, 16시간 열처리하였다. 각 샘플에 대하여 XRD패턴을 조사하여 도3에 도시하였다. 16시간 열처리한 샘플의 SEM이미지를 배율을 달리하여 도4와 도5에 도시한다.
실시예2
1-옥탄올 대신에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열처리 전의 SEM 사진을 도6에 도시하였다. 입자들이 뷸규칙적이고 특징적인 외관이 없다.
실시예3
1-옥탄올 대신에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열처리 전의 SEM 사진을 도7에 도시하였다. 얇은 판들이 겹쳐진 듯한 형상이다. 다시 400℃로 전기로에서 4시간 열처리하였다. 열처리한 샘플의 SEM이미지를 배율을 달리하여 도8와 도9에 도시한다. 얇은 판들이 겹쳐진 듯한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시험예1
상기 실시예1에서 16시간 열처리한 샘플로 전극을 제조한다. 상기 양극활성물질; 수퍼P카본블락: 폴리비닐리덴 바인드를 중량비 94:3:3으로 구성하였다. 셀은 코인형 반쪽 전지[coin-type half cell (2016 R type)}를 이용하여 전극성능을 측정하였다. 음극은 리튬포일이다. 0.1C 조건으로 1회, 0.2C 1회, 0.5C 1회, 1C로 충방전을 하였다. 전극성능을 도10에 표시하였다. 반쪽전지의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디에틸렌카보네이트/에틸메틸카보네이트의 30:30:40의 용량비 용매의 1M의 LiPF6용액을 사용하였다. 다른 방법(일본 큐슈 대학의 테츄야 카와무라)에 의하여 합성된 나노입자의 전극성능을 도시한 도11과 비교하여 전극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반응조건이 종래의 기술보다 단순하고 기존 합성법의 경우 HT상을 얻기 위해서는 800℃ 정도의 고온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입자형태의 변화가 거의 없고 미세공 구조의 전극특성이 우수한 HT-LiCoO2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i) 코발트(II) 염을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에 용해하여 코발트(II)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용액에 4당량 이상 과량의 LiOH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iii)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된 흑색 침전물을 분리,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iii) 단계에서 건조된 침전 분말을 330 ~ 700℃의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리튬 2차전지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고온결정상의 LiCoO2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II) 염은 Co(NO3)2 혹은 CoCl2이고 상기 알코홀은 에탄올, 2-프로판올, 1-헥산올, 1-옥탄올, 벤질알코홀, 3-페닐-1-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고온결정상의 LiCoO2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30 ~ 150℃의 범위이고 상기 iv) 단계는 350 ~ 60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고온결정상의 LiCoO2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40 ~ 100℃의 범위이고 상기 iv) 단계는 400 ~ 550℃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고온결정상의 LiCoO2 제조방법.
  5. i) 질산코발트(II) 또는 염화코발트(II)을 탄소수 1 내지 8의 알칸올에 용해하여 코발트(II)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용액에 4당량 이상의 LiOH를 첨가하여 40 ~ 100℃의 범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된 흑색 침전물을 분리, 세척 및 건조 또는 분리 및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LiCoO2 분말 제조방법.
KR1020070016159A 2007-02-15 2007-02-15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KR10085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59A KR100857423B1 (ko) 2007-02-15 2007-02-15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59A KR100857423B1 (ko) 2007-02-15 2007-02-15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49A true KR20080076349A (ko) 2008-08-20
KR100857423B1 KR100857423B1 (ko) 2008-09-08

Family

ID=3987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59A KR100857423B1 (ko) 2007-02-15 2007-02-15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511A3 (ko) * 2017-07-10 2019-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52B1 (ko) 2014-02-26 2016-01-28 전자부품연구원 양극 활물질, 그를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527A (ja) 1996-08-13 1998-05-06 Murata Mfg Co Ltd リチウムコバルト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DE69805886D1 (de) * 1997-03-10 2002-07-18 Toda Kogy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Kobalt Oxid
JP4040184B2 (ja) 1998-08-28 2008-01-30 株式会社コンポン研究所 リチウム系金属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JP2005272213A (ja) 2004-03-25 2005-10-0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リチウムコバルト酸化物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511A3 (ko) * 2017-07-10 2019-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1735709B2 (en) 2017-07-10 2023-08-22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423B1 (ko) 2008-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76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과 그 제조 방법
JP4546937B2 (ja)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Huang et al. Microscopically porous, interconnected single crystal LiNi 1/3 Co 1/3 Mn 1/3 O 2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CN110931772A (zh) 一种高功率型的锂离子电池用正极材料的制备方法
Gao et al. Recycling LiNi0. 5Co0. 2Mn0. 3O2 material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by oxalate co-precipitation
JP200030658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054709A1 (en) Solid lithium electrolytes and process of production
CN108899480A (zh) 一种长循环寿命高比容量镍钴铝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579237B (zh) 一种三元正极材料制备方法及三元正极材料
CN115504524B (zh) 一种单晶高镍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74071A (ko) 산화리튬의 제조방법 및 리튬니켈산화물의 제조방법
CN108365216A (zh) 一种新型高镍三元正极材料及制备
JP6872816B2 (ja) ニッケル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845152A (zh) 镍锰酸锂正极材料、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CN111933904A (zh) 双金属硫化物及其制备方法、复合物及其制备方法、锂硫正极材料及锂硫电池
US20220013773A1 (en) Lithium compound, nickel-based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lithium oxide, method for preparing nickel-base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WO1996040590A1 (en) An improved process for making a lithiated lithium manganese oxide spinel
Gou et al. High specific capacity and mechanism of a metal–organic framework based cathode for aqueous zinc-ion batteries
KR100857423B1 (ko) 층상구조의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KR101779301B1 (ko) 벌집구조의 입자형상을 가진 리튬-바나듐 산화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리튬-바나듐 산화물
CN115548298A (zh) 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正极极片、二次电池和电子设备
CN115241435A (zh) 一种层状Na3M2XO6氧化物包覆改性的锰酸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400315A (zh) 一种锂离子电池层状四元正极材料的制备方法
KR102381520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im et al.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yolk-shell structured layered-layered composite cathode powder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