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168A -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168A
KR20080076168A KR1020070015732A KR20070015732A KR20080076168A KR 20080076168 A KR20080076168 A KR 20080076168A KR 1020070015732 A KR1020070015732 A KR 1020070015732A KR 20070015732 A KR20070015732 A KR 20070015732A KR 20080076168 A KR20080076168 A KR 2008007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weight
flame retardant
abra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796B1 (ko
Inventor
장도훈
이건주
김인하
김선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96B1/ko
Priority to JP2008556237A priority patent/JP2009527620A/ja
Priority to PCT/KR2007/000840 priority patent/WO2007097546A1/en
Priority to EP07708990A priority patent/EP1991613A4/en
Priority to US12/280,462 priority patent/US20090036587A1/en
Publication of KR2008007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30 내지 90 중량%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 10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20 내지 20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성을 발현하고 있지만, 내마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에 변화를 주는 경우에도 성형성이나 기계적 물성의 저하없이, 백화 현상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며 현저하게 개선된 내마모성을 발현시킬 수 있어 내구력이 강한 산업용 전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폴리프로필렌, 난연성, 변성, 폴리올레핀, 표면처리, 첨가제

Description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ropylene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t and abra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를 블랜딩한 수지를 베이스수지로 활용하며, 적정한 무기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백화현상이 억제될 수 있으면서도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난연성이 높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수산화마그네슘이나 무기 충진제를 다량 첨가하였는데, 이렇게 제조된 복합수지는 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일정 이상의 인장강도나 신율을 요구하는 전선 등에 적용함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매트릭스 수지 구성에 엘라스토머 부분을 첨가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며, 백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무기 난연제의 엘라스토머 부분을 감싸기 위한 목적으로 엘라스토머 부분에 극성기를 도입하는 방법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엘라스토머 부분을 극성화 시킴으로써 오히 려 기계적 특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백화 현상도 충분하게 개선되지 못하였으며, 내마모성 확보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이 강하고, 백화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강한 물성을 갖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개발은 현재까지도 관련업계에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과제이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마모성을 확보하면서 백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하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30 내지 90 중량%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 10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20 내지 20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 0.1 내지 10 중 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다른 하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30 내지 89 중량%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 10 내지 70 중량%,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20 내지 20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무수말레인산, 실란, 및 지방산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 그라프트화된 폴리프로필렌수지이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는, 호모폴리머(homo polymer)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random copolymer)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폴리머(block polymer)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수지이면 바람직하고,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수지는, 폴리프로필렌-옥탄 및 폴리프로필렌-부텐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중합수지이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무기난연제는, 표면처리되지 않은 순수 무기난연제이거나 비닐실란, 아미노실란, 스테아린산 및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서 표면처리된 상태의 무기난연제이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필한 경우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하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로 블랜딩되어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와,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다른 하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와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무수말레인산, 실란, 및 지방산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 그라프트화된 폴리프로필렌수지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면 내열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난연성과 유연성이 저하되고, 백화현상이 심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는, 호모폴리머(homo polymer)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random copolymer)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폴리머(block polymer)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여러 종류의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백화 현상의 감소 내지 제거를 위한 목적이 강한 경우라면 랜덤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수지의 인장강도와 신율 등과 같은 기계적 성질과 백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를 혼합 블랜딩하여 베이스수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면 신율 및 필러로디(filler loady)성, 내한성이 저하되고, 백화현상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내열성, 인장강도, 하네스성, 내마모성 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알파 공중합수지는,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옥탄 및 폴리프로필렌-부텐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베이스수지로 이용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상기 무기난연제로 사용되는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하한치에 미달하면 난연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이 사용되는 무기난연제는, 그 표면에 아무런 처리도 없는 순수한 상태로 직접 이용될 수 있으며, 비닐실란, 아미노실란, 스테아린산 및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서 표면처리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서 실시예 1-1 내지 1-4의 경우는 베이스수지를 2성분(A+B)으로 블랜딩하는 경우이며, 실시예 2-1 내지 2-4의 경우는 베이스수지를 3성분(A+B+C)로 블랜딩하는 경우로 각각 구분 설정된 것이며, 비교예는 위 실시예에 대비되는 예로서 설정된 것으로서, 각각의 조성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준비하여 이를 혼련하여 각각의 예에 부합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1 1-2 1-3 1-4 2-1 2-2 2-3 2-4
A 30 50 70 90 30 47.5 65 70
B 70 50 30 10 69 47.5 25 10
C - - - - 1 5 10 20
D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E 3 3 3 3 3 3 3 3
구분 비교예
1-1 1-2 2-1 2-2 2-3
A 20 95 100 50 70
B 80 5 - - -
F - - - 50 30
D 150 150 150 150 150
E 3 3 3 3 3
상기 표 1 및 2에서, A로 표시된 성분은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수지인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수지로서, LG-칼텍스사(한국)의 상품명 R724J를 사용하였으며, B로 표시된 성분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인 폴리에틸렌 알파 프로필렌으로서, 미쯔이화학(일본)의 상품명 타프머(Tafmer)를 사용하였으며, D로 표시된 성분은 무기난연제인 수산화마그네슘으로서 알베마를레사(독일)의 상품명 매그니핀 H5(Magnifin H5)를 사용하였으며, E로 표시된 성분은 산화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에서, C로 표시된 성분은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 호남석유화학사의 상품명 CM1120인 물질이 사용되었으며, 상기 표 2에서 F로 표시된 성분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듀폰 다우 엘라스토머사(미국)의 상품명 인케이지 8150(Engage 8150)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1 및 2에 따르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을 갖는 조성물 각각을 이용하여 각각의 시험 시편을 제조한 후, 이들에 대해 인장특성, 굽힘변형시의 백화현상 및 내마모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인장특성은 ASTM D 638에 따라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여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였다. 굽힘변형시 백화현상의 측정은, 실제 전선 절연재료의 경우 수지 두께 1㎜, 곡률반경 5㎜의 조건에서 굽힘 변형을 주었을 때, 백화 현상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동일한 조건으로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1㎜ 두께를 갖는 시편을 압출 몰딩하여 제조한 후, 굴곡반경 5㎜의 조건으로 직경 2㎜ 두께의 원통형 시편을 제조하여 동일한 곡률반경에서 백화 현상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내마모성은 니들 스크래퍼(Needle scraper) 실험으로써, 0.45sq의 바늘에 무게가 710g인 추를 올리고 너비 2㎜×두께 1㎜×길이 100㎜인 시료에 왕복 300회 운동을 한 후 마모된 두께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1 1-2 1-3 1-4 2-1 2-2 2-3 2-4 1-1 1-2 2-1 2-2 2-3
인장강도(Mpa) 11 15 22 28 12 18 24 28 8 32 38 8 10
신율(%) 1000 800 500 170 950 680 340 150 1300 90 70 400 100
백화현상 없음 없음 약간 약간 없음 없음 약간 약간 없음 많음 아주많음 많음 많음
내마모성(㎛) 47 18 5 1 41 12 4 1 58 1 0 31 19
상기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백화현상이 약간 발생하하거나 발생하지 않았지만, 비교예 1-1의 경우를 제외한 다른 비교예에서는 백화현상이 발생하였고, 특히 비교예 2-1의 경우에는 백화현상의 발생정도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에 비해 비교예에서는 굽힘 변형에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마모성의 측정 기준치는 50㎛ 이하이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보면, 비교예 1-1의 경우에는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내마모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기준치를 초과하는 내마모성에 취약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난연제가 포함되어 난연성을 발현하고 있지만, 내마 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에 변화를 주는 경우에도 성형성이나 기계적 물성의 저하없이, 백화 현상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며 현저하게 개선된 내마모성을 발현시킬 수 있어 내구력이 강한 산업용 전선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30 내지 90 중량%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 10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20 내지 20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 30 내지 89 중량%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 10 내지 70 중량%,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수지 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무기난연제 20 내지 20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동산화방지제 및 할로겐제거제(Halogen scavanger)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타첨가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수지는, 호모폴리머(homo polymer) 폴리프로필렌, 랜덤코폴리머(random copolymer) 폴리프로필렌 및 블록폴 리머(block polymer)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수지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수지는, 폴리프로필렌-옥탄 및 폴리프로필렌-부텐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중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난연제는, 표면처리되지 않은 순수 무기난연제이거나 비닐실란, 아미노실란, 스테아린산 및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서 표면처리된 상태의 무기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를 구성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무수말레인산, 실란, 및 지방산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 그라프트화된 폴리프로필렌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70015732A 2006-02-22 2007-02-15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5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732A KR100855796B1 (ko) 2007-02-15 2007-02-15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8556237A JP2009527620A (ja) 2006-02-22 2007-02-16 耐摩耗性を持つ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PCT/KR2007/000840 WO2007097546A1 (en) 2006-02-22 2007-02-16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ce and abrasion resistance
EP07708990A EP1991613A4 (en) 2006-02-22 2007-02-16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SISTANCE AND ABRASION STRENGTH
US12/280,462 US20090036587A1 (en) 2006-02-22 2007-02-16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732A KR100855796B1 (ko) 2007-02-15 2007-02-15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168A true KR20080076168A (ko) 2008-08-20
KR100855796B1 KR100855796B1 (ko) 2008-09-01

Family

ID=3987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732A KR100855796B1 (ko) 2006-02-22 2007-02-15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601A2 (en) * 2008-08-27 2010-03-04 Ls Cable Ltd. Flame-retardant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polypropylene with improved disper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O2010024602A2 (en) * 2008-08-27 2010-03-04 Ls Cable Ltd. Polypropylene-based flame-resistant resin composition for cable insulation material with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KR101037817B1 (ko) * 2010-10-04 2011-05-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884B2 (ja) * 1991-03-05 1997-04-23 出光エヌエスジー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2146115A (ja) 2000-11-10 2002-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KR100745144B1 (ko) * 2004-05-24 2007-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687363B1 (ko) 2006-02-22 2007-02-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마모성이 증진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601A2 (en) * 2008-08-27 2010-03-04 Ls Cable Ltd. Flame-retardant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polypropylene with improved disper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O2010024602A2 (en) * 2008-08-27 2010-03-04 Ls Cable Ltd. Polypropylene-based flame-resistant resin composition for cable insulation material with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WO2010024601A3 (en) * 2008-08-27 2010-04-22 Ls Cable Ltd. Flame-retardant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polypropylene with improved disper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O2010024602A3 (en) * 2008-08-27 2010-06-24 Ls Cable Ltd. Polypropylene-based flame-resistant resin composition for cable insulation material with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KR101037817B1 (ko) * 2010-10-04 2011-05-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796B1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739B1 (ko) 굽힘 변형시 백화현상이 억제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737615B1 (ko) 전선 절연재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US6190772B1 (en) Flame-retardant, wear-resistant resin composition, useful for electrical insulation
KR101314010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20100025211A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20100025212A (ko) 분산성과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절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 전선
KR101012993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기반 절연 및 외피 물질층용 조성물 및 이를 갖춘 전선
KR20190000063A (ko) 내한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KR100687363B1 (ko) 내마모성이 증진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90036587A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ce And Abrasion Resistance
KR100855796B1 (ko) 내마모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83908B1 (ko) 절연재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절연재의 제조방법
KR20100006797A (ko)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우레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비수축튜브
KR101037817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745107B1 (ko) 자동차용 전선소재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828525B1 (ko)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철도차량 케이블용 시스 재료 조성물
KR100688993B1 (ko) 자동차 전선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55532B1 (ko) 굽힘 변형시 백화현상이 억제된 난연성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JP5367732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コード
KR101696928B1 (ko)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878948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74748B1 (ko) 수직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전선
KR101774449B1 (ko) 내마모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자동차 전선용 절연재료 조성물
KR101532330B1 (ko) 케이블 절연재 제조용 수지 조성물
KR20100090052A (ko)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기반 절연 및 외피 물질층용 조성물 및 이를 갖춘 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