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639A -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639A
KR20080075639A KR1020070014818A KR20070014818A KR20080075639A KR 20080075639 A KR20080075639 A KR 20080075639A KR 1020070014818 A KR1020070014818 A KR 1020070014818A KR 20070014818 A KR20070014818 A KR 20070014818A KR 20080075639 A KR20080075639 A KR 20080075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integrated multi
mode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001B1 (ko
Inventor
이심홍
김민철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추형의 상단 부분에 천공을 향한 렌즈 부가 삽입되고 상기 원추형의 높이 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면으로 상기 렌즈 부가 모드 선택에 근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절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프로젝트 모드와 조명 모드를 구분하여 동작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를 제공하여 평소에는 꽃병 모양의 오브제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고 40도 회절 면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로 DVD 영화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일체형, 영상, 조명

Description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United multi-functional projector}
도 1(a-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정면도.
도 1(a-2)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측면도.
도 1(b-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렌즈부가 회절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정면도.
도 1(b-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렌즈 부가 회절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전면부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후면부 예시도.
도 3(a~c)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부 위치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
도 4(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명 기구로 사용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조명을 출력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
도 5b와 5(b-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DVD 영상을 출력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
도 5(b-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외부 연결 단자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저장 매체 모듈 603.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605. 신호 입력부 607. 영상 처리부
609. 제어부 611. 전원 구동부
613. 프로젝터부 615. 조명부
617. 음향 처리부 619. 영상 소자
623. 조도 조절부 625. 광원
627. 모드 선택부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Projector)는 화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표시 장치이다. 최근 빔 프로젝터는 LCD TV 대체용으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빔 프로젝터는 영화 상영, 디지털 사진 투영, 기업용 및 교육용 프리젠테이션, 비디오 게임용 등으로 사용되면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쓰이는 빔 프 로젝터는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소비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그 모양과 크기로 인해 천정 또는 선반에 고정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보이지 않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트 모드와 조명 모드를 구분하여 동작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를 제공하여 평소에는 꽃병 모양의 오브제로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고 40도 회절 면을 이용하여 빔 프로젝터로 DVD 영화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원추형의 상단 부분에 천공을 향한 렌즈 부가 삽입되고 상기 원추형의 높이 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면으로 상기 렌즈 부가 모드 선택에 근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선택은 사용자로부터 조명 모드 및 프로젝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면은 40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원추형의 상단부분에 삽입되어 모드 선택에 근거하여 회절 면을 따라 이동하고 광원에 의해 생성된 영상 광을 전면의 스크린에 투사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렌즈부; 상기 원추형의 회절 면 하단에 위치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디스크 삽입부; 상기 비디 오 디스크 삽입부와 반대 방향인 원추형 하단에 위치하며 외부 미디어 매체와 연결하는 외부 입력 포트부; 상기 원추형 하단 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외부 입력 포트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 상태를 감지하여 내부공기를 환풍하는 환풍구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선택은 사용자로부터 조명 모드 및 프로젝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절 면은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입력 포트부는 게임 player, TV, PC, VCR 및 USB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선택에 따른 조명 부와 프로젝터 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일정 방향 회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정면도이다. 도 1(a-2)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회절 가능한 렌즈부(30),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삽입부(20), 측면 하단에 스피커(40)를 포함한다.
도 1(b-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렌즈 부가 회절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정면도이다. 도 1(b-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렌즈부가 회절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원추형의 상단부에 렌즈 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중간 부분이 40도 정도의 기울기로 비스듬히 회절하는 회절면으로 절단된다. 이때, 몸체의 중심에 힌지를 이용하여 원추형의 렌즈 부가 천공을 향한 조명 상태와 40도 회전하여 프로젝터 구동 상태로 구분하여 동작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전면부 예시도이다.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중심부의 회절면(10)은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가 조명 상태일 때와 프로젝터로 구동될 때 렌즈 부의 방향을 이동시킨다. 회절면(10) 하단에 전원 공급하는 파워 스위치(50)가 온/오프 버튼 방식으로 위치한다. 파워 스위치(50) 아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하단부에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삽입부(20)가 위치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후면부 예시도이다.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양 측면 하단부에는 스피커(40)가 각각 위치하고, 환풍구(60)는 후면부 중앙에 위치하여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구동에 따른 발열 상 태를 감지하여 내부공기가 환풍하도록 한다.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후면부에 환풍구(60)하단에 외부 입력 포트부(60)가 삽입되어 터치 방식으로 개폐된다.
도 3(a~c)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부 위치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이다.
(a)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가 조명 기능으로 사용될 때, 렌즈부가 수평면과 수직되어 천공을 향하고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이 렌즈부를 통해 투과되도록 한다. (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가 프로젝터로 사용하기 위해 렌즈부가 수직면과 직각이 되도록 렌즈부의 회절 면(10)을 이동시켜 렌즈부가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c)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렌즈부가 수직면과 직각이 되도록 회절되어 비디오 디스크 삽입부(2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소스를 출력하는 프로젝터로 구동된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명 기구로 사용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스탠드 형 타입을 나타낸다. 스탠드 타입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가 고정 받침대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성을 확보하며 조명 및 프로젝터 기능을 수행한다.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벽면 부착 형 타입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조명 및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모두 지지대와 분리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영상 조명을 출력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의 예시도이다.
(a)는 실내 내부 조명 모드로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를 구동하여 광원부의 빛을 투과시켜 저장된 이미지가 천정에 출력된다. 도 5(b)와 (b-1) 및 (b-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DVD 영상을 출력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예시도이다. (b)는 사용자가 프로젝트 모드로 구동하기 위해 렌즈부 상단을 40도 정도 회절 시킨 후 비디오 디스크를 삽입한다. (b-1)은 게임 CD를 삽입한 후 외부 입력 포트에 조이스틱 USB 포트를 연결하여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게임을 플레이한다. 외부 입력 포트부에는 다수개의 영상 및 음성 신호의 입력 연결 단자로 구비되며 USB 등의 데이터 통신 연결을 제공한다. (b-2)는 삽입된 비디오 디스크의 영상을 스크린에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는 조명 모드와 프로젝터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기 위해 모드 선택부(627)를 포함한다. 모드 선택부(627)에 의해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본체의 회절 면을 따라 힌지를 이용하여 렌즈 부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일정 각도를 이동한다.
저장매체 모듈(601)은 외부 저장 모듈 및 내부 저장 모듈을 포함하고, 조명 모드에서 사용되는 정지 영상 이미지를 내부 저장 모듈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저장 모듈은 삽입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의 영상 데이터를 로딩한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603)은 외부 입력 포트들로 구성되며 외부 매체인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 등의 각종 영상기기로부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다. USB포트, S-Video 케이블, HDMI 케이블, 스피커/앰프 입력 단자 등을 구비한다.
신호 입력부(60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바디의 기능 버튼들에 의해 구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모드 선택, 영상 및 음성 옵션 설정 및 조명 밝기 조절 등의 설정 신호를 입력 받는다.
영상 처리부(607)는 저장매체 모듈(601)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가공하여 출력한다.
제어부(609)는 본 발명에 의해 모드 선택에 따른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의 조명 모드와 프로젝터 모드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전원 구동부(611)는 본 발명의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음향 처리부(617)는 저장매체 모듈(601)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6에 나타난 프로젝터부(613)와 조명부(615)는 그 기능상의 구분을 의미한다.
프로젝터 부(613)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625)과 영상을 만들어 내는 영상 소자(619)를 상기 광원에 의해 생성된 영상 광을 전면의 스크린에 투사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렌즈(6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명부(615)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625)과 방출된 빛을 집속시키는 렌즈를 통 해 전방으로 투사되며 조도 조절부(623)에 의해 빛의 밝기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체형 멀티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고 싶어하는 심리와 실내에 조형적으로 아름다운 오브제를 사용하여 장식을 하는 심리를 모두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원추형의 상단 부분에 천공을 향한 렌즈 부가 삽입되고 상기 원추형의 높이 중심에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된 면으로 상기 렌즈 부가 모드 선택에 근거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절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은 사용자로부터 조명 모드 및 프로젝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은 40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4. 원추형의 상단부분에 삽입되어 모드 선택에 근거하여 회절 면을 따라 이동하고 광원에 의해 생성된 영상 광을 전면의 스크린에 투사하여 화면을 확대하는 렌즈부;
    상기 원추형의 회절 면 하단에 위치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디스크 삽입부;
    상기 비디오 디스크 삽입부와 반대 방향인 원추형 하단에 위치하며 외부 미디어 매체와 연결하는 외부 입력 포트부;
    상기 원추형 하단 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외부 입력 포트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 상태를 감지하여 내부공기를 환풍하는 환풍구를 포함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은 사용자로부터 조명 모드 및 프로젝터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면은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포트부는 게임 player, TV, PC, VCR 및 USB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에 따른 조명 부와 프로젝터 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자동으로 일정 방향 회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수동으로 일정 방향 회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KR1020070014818A 2007-02-13 2007-02-13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KR10142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818A KR101422001B1 (ko) 2007-02-13 2007-02-13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818A KR101422001B1 (ko) 2007-02-13 2007-02-13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639A true KR20080075639A (ko) 2008-08-19
KR101422001B1 KR101422001B1 (ko) 2014-07-23

Family

ID=3987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818A KR101422001B1 (ko) 2007-02-13 2007-02-13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16B1 (ko) * 2012-08-24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101347802B1 (ko) * 2012-05-22 2014-01-02 주식회사 쏠리드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475511Y1 (ko) * 2013-03-22 2014-12-05 (주)재능이아카데미 휴대 가능한 아동용 프로젝터
JP2017142441A (ja) * 2016-02-12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記憶装置
KR20180022627A (ko) * 2016-06-22 2018-03-06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디바이스, 입력/출력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756A1 (ko) * 2022-09-06 202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099A (ja) * 1992-12-02 1994-06-24 Marantz Japan Inc 液晶プロジェクタ−
AU2003218102A1 (en) * 2002-03-13 2003-09-29 Timothy J. Denmeade Digital media source integral with microprocessor, image projection device and audio component as a self-contained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02B1 (ko) * 2012-05-22 2014-01-02 주식회사 쏠리드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12116B1 (ko) * 2012-08-24 2013-09-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빔프로젝터 일체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200475511Y1 (ko) * 2013-03-22 2014-12-05 (주)재능이아카데미 휴대 가능한 아동용 프로젝터
JP2017142441A (ja) * 2016-02-12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記憶装置
KR20180022627A (ko) * 2016-06-22 2018-03-06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디바이스, 입력/출력 장치 및 그 방법
US11360659B2 (en) 2016-06-22 2022-06-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Electronic device, input/out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01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651B2 (en) Portable multimedia projection system
JP5686256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5686255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CN102484688B (zh) 多媒体投影管理
US906339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vent unit
KR20080075639A (ko)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TW200527920A (en) Projector and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having multiple image sizes
US20120079555A1 (en) System for screen dance studio
US11428952B2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50012909A1 (en) Projection system with flexible orientation
JPH09238293A (ja) 液晶表示装置
US9039204B2 (en) Projector having a projector lens part and a cover part
KR101483605B1 (ko) 빔프로젝터를 갖는 태블릿컴퓨터
Collins et al. Experimental sound mixing for The Well, a short film made for tablets
JP2006235156A (ja) プロジェクタの設置スタンド
JP2009025338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映像投写方法
JP2004286815A (ja) プロジェクタ
KR101622109B1 (ko)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JPH09168127A (ja) 液晶テレビ装置
Home SLRShootout
JP2000235445A (ja) 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20160133096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그림자 극장 시스템
JP2005352271A (ja) 映像投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