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02B1 -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802B1
KR101347802B1 KR1020120054255A KR20120054255A KR101347802B1 KR 101347802 B1 KR101347802 B1 KR 101347802B1 KR 1020120054255 A KR1020120054255 A KR 1020120054255A KR 20120054255 A KR20120054255 A KR 20120054255A KR 101347802 B1 KR101347802 B1 KR 10134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output
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432A (ko
Inventor
유달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2005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8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기능을 수행하되,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될 경우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며,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장치; 및 상기 영상 출력장치로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장치는,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 및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통신부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신호 감지부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며, 출력 영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영상 제어부;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부; 및 상기 영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NETWORK LIGHTING SYSTEM CAPABLE OF ADVERTISING AND DISCUSSION LEARNING USING LED AND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통신기능을 갖춘 입력장치를 통해 원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및 영상에 관한 실시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 영상 출력을 통한 교육, 첨삭지도 및 토론학습과,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바닥 광고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영상 디스플레이로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빔 프로젝터는 대부분 PC에 연결해서 영상을 보여주는 구조여서 간단한 교육 강의에 PC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휴대폰과 프로젝터 기능을 결합하여 내부에 저장된 문서를 투영해주는 제품이 제품들이 출시되었지만, 그룹 교육용 기능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탁자 위에 놓여 있거나 천정에 붙어서 사용하는 구조로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는 큰 화면을 제공하는 목적이 대부분이었다. 시중에 출시된 스탠드 타입의 제품은 데스크탑(Desk-top) 프로젝트를 부착할 수 있는 지지대 구조로 개발되어 상용화 되었다.
한편, 엘이디 조명 장치와 관련해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7542호(이하, '선행문헌')외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빛의 3원색을 가지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명부의 색상을 조절하는 구동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온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기술에 따른 LED 통신은 LED 파장을 이용한 가시광통신으로 LED 조명의 빛에 정보를 실어 무선통신 하는 기술로 반도체에 의해 발생된 빛으로 켜짐과 꺼짐을 반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LED 조명은 여러 개의 LED를 조합해서 전등을 만드는데 그 중에서 한 개의 LED가 꺼지면 다른 LED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LED 가시광통신은 수신자의 동기화가 쉽고, 전송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반면에 가시광통신 수신 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LED가 있는 위치의 하단 부분에서만 통신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현재 LED 조명과 프로젝터 기능을 결합한 제품은 없었다.
한편, 전자교과서를 이용한 디지털 수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학교에서는 전자교과서와 전자노트, 디지털 펜을 이용한 수업이 진행되고, 가정에서도 디지털 수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디지털 수업과 교육에서 필수적인 교구재는 영상을 볼 수 있는 컴퓨터와 디지털 칠판이 있지만, 대부분 벽면을 보면서 일방적으로 보고 듣는 교육 부자재라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통신기능을 갖춘 입력장치를 통해 원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및 영상에 관한 실시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 영상 출력을 통한 교육, 첨삭지도 및 토론학습과,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이 가능한다. 즉, 일방적인 교육용 교구재로서의 용도가 아닌, 토론, 첨삭 지도 등이 용이한 교구재로서 이용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바닥 광고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영상 디스플레이로서 활용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서버와 연결되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화면 방향을 설정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이디 조명의 과전압 또는 과열을 감지하고, 감지된 경우, 외부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엘이디 조명의 과전압 또는 과열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기능을 수행하되,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될 경우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며,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장치; 및 상기 영상 출력장치로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장치는,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 및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통신부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신호 감지부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며, 출력 영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영상 제어부;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부; 및 상기 영상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부;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프리젠테이션 및 정보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영상 출력장치가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된 경우, 엘이디 광원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 (b) 상기 영상 출력장치가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영상 출력장치가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 출력장치가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화면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영상 출력장치가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영상 출력장치가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 영상의 출력시간, 반복횟수, 음성/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영상 출력장치가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저장된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통신기능을 갖춘 입력장치를 통해 원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및 영상에 관한 실시간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 영상 출력 및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이 가능함으로써 일방적인 교육용 교구재로서의 용도가 아닌, 토론, 첨삭 지도 등이 용이한 교구재로서 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옥상 또는 외벽에 전광판을 부착하여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나 간판, 현수막을 이용한 광고가 주로 이용되던 종래와 달리,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이용자가 많은 보도 위에 바닥 광고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영상 디스플레이로서 활용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다양한 M2M(Machine to Machine) 제품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인터넷 활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출력 화면이 서로 대칭되도록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토론 학습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엘이디 조명의 과전압 또는 과열을 감지하고, 감지된 경우, 외부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엘이디 조명의 과전압 또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설정모듈을 통해 영상의 출력개수 및 화면 방향이 설정된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영상을 2개의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프로젝터부에 관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용으로 설계된 영상 출력장치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프리젠테이션 및 정보 검색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첨삭지도 및 토론학습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영상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광고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S)에 관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장치(100) 및 데이터 입력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영상 출력장치(100)는 일반적인 조명기능을 수행하되,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될 경우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며,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신호 감지부(120), 영상 저장부(130), 영상 제어부(140), 엘이디 조명부(150), 프로젝터부(160), 방열부(170) 및 음성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 출력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그 전단은 엘이디 조명부(150)와 프로젝터부(160)가 배치되며, 그 후단은 천정 또는 벽면 등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통신부(110)는 데이터 입력장치(200) 및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서버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상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신모듈(111) 및 제 2 통신모듈(1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로서,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는, 프리젠테이션 영상, 광고 영상 및 정보검색 영상 등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의 제어신호이다.
또한, 제 2 통신모듈(112)은 와이파이(wi-fi) 모듈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1)을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전환신호가 정보검색 요청신호일 경우,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외부서버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외부서버와 정보검색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1) 및 제 2 통신모듈(112)을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모듈로 각각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감지부(120)는 상기 통신부(110)의 제 1 통신모듈(111)을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한다.
영상 저장부(130)는 상기 통신부(110)의 제 2 통신모듈(112) 또는 USB 포트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모듈(131)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즉, 제 2 통신모듈(112)을 통해 외부 서버 또는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광고 영상을 받을 수도 있으며, USB 포트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모듈(131)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영상 제어부(140)는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며, 출력 영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상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제어모듈(141) 및 영상 설정모듈(142)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된 경우, 프로젝터부(160)의 엘이디 광원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일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통신부(110)의 제 1 통신모듈(111)을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가 아닌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정보검색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정보검색 요청신호일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통신부(110)의 제 2 통신모듈(112)을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에 관한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영상 설정모듈(142)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화면 방향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영상을 2개의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되, 서로 대칭되도록 화면 방향이 설정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화면으로 통합하거나, 2개 이상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으로도 설정 가능하다.
이때, 4개의 화면으로 출력될 경우, 영상 출력장치 그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2개의 화면으로 출력되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서로 대칭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엘이디 조명부(150)를 점등시킨다.
즉, 엘이디 조명부(150)는 프로젝터부(160) 작동 중,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감지되던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의 제어에 따라 점등된다.
또한, 엘이디 조명부(150)는 동작감지센서(151)가 내장되어,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조명 기능을 수행하고, 감지된 경우, 영상 제어부(140)로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제어부(140)의 출력 제어모듈(141)은 영상 저장부(130)에 저장된 광고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종래에는, 건물의 옥상 또는 외벽에 전광판을 부착하여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나 간판, 현수막을 이용한 광고가 주로 이용되었으나, 통행자를 감지함에 따라 바닥 광고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영상 디스플레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설정모듈(142)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 영상의 출력시간, 반복횟수, 음성/음향 등을 설정하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엘이디 조명부(150)의 조명과 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젝터부(160)는 엘이디 광원램프, 조광장치, 광변조장치 및 투사렌즈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영상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프로젝터부(16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 광원램프로부터 방사된 빛을 변조한 후 확대 투사하며, 전반사거울 및 부분반사거울이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영상을 2개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방열부(170)는 상기 엘이디 조명부(150)의 과전압 또는 과열 등을 감지하여, 과전압 또는 과열이 발생한 경우, 외부로 알람을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0)는 상기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따른 음성 및 과전압 또는 과열이 발생에 따른 알람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장치(100)를 외벽 또는 천정 등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스탠드용 등으로도 설계 가능하다.
데이터 입력장치(200)는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로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장치(20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패드(211)와 디지털 펜(212)을 포함하는 입력부(210) 및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로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220)를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와이파이(wi-fi) 모듈로 설정되어 영상 출력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와이파이(wi-fi) 모듈이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210)를 디지털 펜과 패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바, 마우스, 스타일러스 및 이와 연동되는 태블릿 PC 등으로도 설정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에 관하여 도 8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프리젠테이션 및 정보 검색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장치(100)의 영상 제어부(140)의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10), 제S110 단계의 판단결과,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된 경우, 프로젝터부(160)의 엘이디 광원램프를 점등시키고(S120), 상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제S130 단계의 판단결과,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일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통신부(110)의 제 1 통신모듈(111)을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140).
또한, 영상 제어부(140)의 영상 설정모듈(142)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화면 방향을 설정하며(S150), 프로젝터부(160)는 출력 제어모듈(141) 및 영상 설정모듈(142)의 제어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출력한다(S160).
이에 따라,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의실, 책상 등에 프리젠테이션 영상이 출력되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출력 영상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 첨삭지도 및 토론학습 등이 가능하다.
한편, 제S130 단계의 판단결과,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가 아닌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정보검색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제S170 단계의 판단결과, 정보검색 요청신호일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통신부(110)의 제 2 통신모듈(112)을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에 관한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S180), 프로젝터부(160)는 출력 제어모듈(141)의 제어에 따라 정보검색에 관한 영상을 출력하며(S190), 제S170 단계의 판단결과, 정보검색 요청신호가 아닐 경우, 출력 제어모듈(141)은 제S110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이에 따라,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영상이 출력되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출력 영상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제S110 단계의 판단결과,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영상 출력장치(100)의 영상 제어부(140)의 출력 제어모듈(141)은 엘이디 조명부(150)를 점등시키며(S200), 방열부(170)는 상기 엘이디 조명부(150)의 과전압 또는 과열 등을 감지하여, 과전압 또는 과열이 발생한 경우, 외부로 알람을 출력한다(S210).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바닥 광고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출력장치(100)의 영상 저장부(130)는 상기 통신부(110)의 제 2 통신모듈(112) 또는 USB 포트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모듈(131)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한다(S310).
또한, 영상 제어부(140)의 영상 설정모듈(142)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 영상의 출력시간, 반복횟수, 음성/음향 등을 설정한다(S320).
뒤이어, 엘이디 조명부(150)는 동작감지센서(151)를 통해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제S33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될 경우, 엘이디 조명부(150)는 영상 제어부(14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며(S340), 영상 제어부(140)의 출력 제어모듈(141)은 영상 저장부(130)에 저장된 광고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S350), 프로젝터부(160)는 출력 제어모듈(141)의 제어에 따라 광고 영상을 출력하며(S360). 즉, 통행자를 감지함에 따라 바닥 광고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광고 영상 디스플레이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제S330 단계의 판단결과, 감지되지 않을 경우, 엘이디 조명부(150)는 일반적인 조명 기능을 수행한다(S370). 이때, 영상 설정모듈(142)은 엘이디 조명부(150)를 통해 조명이 점등될 경우, 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00: 영상 출력장치 200: 데이터 입력장치
110: 통신부 120: 신호 감지부
130: 영상 저장부 140: 영상 제어부
150: 엘이디 조명부 160: 프로젝터부
170: 방열부 190: 음성 출력부
111: 제 1 통신모듈 112: 제 2 통신모듈
131: 외부 인터페이스모듈 141: 출력 제어모듈
142: 영상 설정모듈 151: 동작감지센서
210: 입력부 220: 통신부
211: 패드 212: 디지털 펜

Claims (25)

  1.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기능을 수행하되,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될 경우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며, 통행자에 대한 동작감지여부에 따라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장치(100); 및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로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입력장치(200); 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는,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200) 및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110);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120);
    상기 통신부(110)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모듈(131)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130);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며, 출력 영상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영상 제어부(140);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엘이디 조명부(150); 및
    상기 영상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는,
    프리젠테이션 영상, 광고 영상 및 정보검색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의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로서,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모듈(111); 및
    와이파이(wi-fi) 모듈로서, 상기 제 1 통신모듈(111)을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전환신호가 정보검색 요청신호일 경우,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외부서버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제 2 통신모듈(1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140)는,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된 경우, 프로젝터부(160)의 엘이디 광원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모듈(141); 및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화면 방향을 설정하는 영상 설정모듈(1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가 아닌 경우, 정보검색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정보검색 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에 관한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모듈(141)은,
    상기 신호 감지부(120)를 통해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엘이디 조명부(150)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설정모듈(142)은,
    영상을 적어도 1개 이상의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설정모듈(142)은,
    짝수개의 화면으로 출력될 경우, 영상 출력장치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화면이 출력되도록 설정하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서로 대칭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설정모듈(142)은,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 영상의 출력시간, 반복횟수, 음성/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설정모듈(142)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엘이디 조명부(150)의 조명과 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조명부(150)는,
    동작감지센서(151)가 내장되어,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조명 기능을 수행하고,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14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영상 제어부(140)는, 영상 저장부(130)에 저장된 광고 영상을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는,
    상기 엘이디 조명부(150)의 과전압 또는 과열을 감지하여, 과전압 또는 과열이 발생한 경우, 외부로 알람을 출력하는 방열부(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는,
    상기 프로젝터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따른 음성 및 과전압 또는 과열이 발생에 따른 알람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는,
    부착형 또는 스탠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200)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패드(211)와 디지털 펜(212)을 포함하는 입력부(210); 및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로 프로젝터 전환 신호 및 프로젝터 출력 영상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17.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프리젠테이션 및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a) 영상 출력장치(100)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된 경우, 엘이디 광원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
    (b)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의 출력 개수 및 화면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프리젠테이션 요청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정보검색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의 판단결과, 정보검색 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에 관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와 데이터 입력장치(200)와의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그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화면이 출력되도록 설정하며, 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서로 대칭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a-1)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프로젝터 전환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엘이디 조명을 점등시키는 단계; 및
    (a-2)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엘이디 조명의 과전압 또는 과열 등을 감지하여, 과전압 또는 과열이 발생한 경우, 외부로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22.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통한 광고 방법에 있어서,
    (a) 영상 출력장치(100)가 광고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데이터 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 영상의 출력시간, 반복횟수, 음성/음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저장된 광고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및
    (d) 통행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일반적인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가 와이파이(wi-fi) 통신방식으로 광고 영상을 입력받거나, USB 포트를 포함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모듈(131)을 통해 광고 영상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장치(100)와 데이터 입력장치(200)와의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운용방법.
  25. 삭제
KR1020120054255A 2012-05-22 2012-05-22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47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55A KR101347802B1 (ko) 2012-05-22 2012-05-22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55A KR101347802B1 (ko) 2012-05-22 2012-05-22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432A KR20130130432A (ko) 2013-12-02
KR101347802B1 true KR101347802B1 (ko) 2014-01-02

Family

ID=4998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255A KR101347802B1 (ko) 2012-05-22 2012-05-22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522A (ko) * 2014-03-14 2015-09-23 유태정 조명장치, 조명장치를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4311B1 (ko) * 2018-06-20 2020-03-03 정헌봉 방범 시스템을 위한 빔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한 보안 카드 리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639A (ko) * 2007-02-13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KR20110133166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639A (ko) * 2007-02-13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멀티 프로젝터
KR20110133166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432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6602B2 (ja) 投影システム及びその投影方法
TWI504931B (zh) 投影系統及其投影方法
JP6225532B2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Schöning et al. Building interactive multi-touch surfaces
US1056589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W201604770A (zh) 顯示設備及顯示設備的控制方法
US9406280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CN103376921A (zh) 激光标注系统及标注方法
US10594993B2 (en) Image projections
KR101347802B1 (ko) 광고 및 토론학습이 가능한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130084555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16011961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n
CN107578656A (zh) 一种远程伴读辅导系统和远程伴读辅导机
JP2020003746A (ja) 電子機器、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68171A (zh) 显示系统及显示系统的显示方法
KR20130130431A (ko) 엘이디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조명 시스템
WO2017150223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EP2424236A3 (en) Video projector
KR200432427Y1 (ko)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광고 제어장치
US115563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circuitry to store position information of users present in a space and control environment effect prod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oom
JP2016148961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コンテンツ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168832A1 (zh) 智能交互装置
KR2022012619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00050355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projection system
KR2022016850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