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389A -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389A
KR20080075389A KR1020070014510A KR20070014510A KR20080075389A KR 20080075389 A KR20080075389 A KR 20080075389A KR 1020070014510 A KR1020070014510 A KR 1020070014510A KR 20070014510 A KR20070014510 A KR 20070014510A KR 20080075389 A KR20080075389 A KR 2008007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cnu
lactobacillus
kccm
ashidophilus
lis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904B1 (ko
Inventor
오세종
한경식
김영훈
김광현
김세헌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9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13Acidophi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분리되며, 병원성 미생물 및 부패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약품 조성물, 음료수 등과 같은 식품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항균 조성물 및 생활용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및 그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 애시도필러스, 항균작용, 박테리오신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LACTOBACILLUS ACIDOPHILLUS KCNU}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의 내산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로필러스 KCNU의 내담즙산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처리 후의 지시균의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저분자량 전기영동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NU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분리되며, 병원성 또는 부패성 등의 유해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약품 조성물, 음료수 등과 같은 식품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항균 조성물 및 생활용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에 관한 것이다.
인체나 동물의 장에 서식하면서 여러 가지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들이 있는데 이러한 미생물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고 하며, 여기에 속하는 미생물 중 애시도필러스 유산균(Acidophillus probiotics)은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 중의 하나이다.
유산균이란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 및 이용하여 젖산을 만드는 박테리아로, 지금까지 밝혀진 유산균은 300 내지 400여 종류로 알려지고 있다. 유산균은 사람이나 동물의 소화관, 우유, 요쿠르트, 치즈, 김치, 식물 및 토양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유산균은 인류의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유익한 공생체이다. 발효유 제조 및 발효사업에 이용되고 있는 유산균은 주로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속(Streptococcus), 쌍구균인 류코노스록(Leuconostoc) 및 비피더스속(Bifidobacterium) 등이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이 식품 또는 의약품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선발 기준이 있는데, 콜레스테롤 저하 능력, 항균능력 등을 확인해야 하며 이러한 능력을 지닌 유산균만이 장내 균총의 정상화, 유당 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의 완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의 저하, 항암 효과 및 면역 체계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유산균의 기능성 문제에 관하여 오랜 시간 연구해 오던 중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살아있는 균주를 분리함으로써 종래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균에 비하여 사람에게 안전하며서 생리적 효능이 우수하고 항균물질도 생산하는 균주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분리되며, 병원성과 부패성의 유해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약품 조성물, 음료수 등과 같은 식품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항균 조성물 및 생활용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해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기탁기관 : 한국종균협회부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CCM-10753P호, 수탁일자 : 2006년 5월 22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유해성 미생물이 바실러스 세레우스, 엔테로코커스 에로제네스, 대장균 K21052, 대장균 O157:H7 ATCC 43889, 리스테리아 이노큐아,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제네스, 리스테리아 이바노비, 쉬겔라 소네이, 스타 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KCCM 35494, 스타필로코커스 인터메디우스 KCCM 40149,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KCCM 11363, 엘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이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채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 필러스 KCNU(기탁기관 : 한국종균협회부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CCM-10753P호, 수탁일자 : 2006년 5월 22일)는 돼지의 소장을 채취하여 생리 식염수로 연속적으로 희석한 후 브로로클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이 함유된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노란색을 나타내는 집락을 얻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채취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의 특성은 하기의 표 1과 같으며, 당 발효 특성은 하기의 표 2와 같다.
균의 형태 막대형
집락 색깔 유백색
생육 최적 온도 37℃
운동성 없음
그람염색 양성
카탈라제 음성
산소 영향 편성 혐기성
당 발효성 테스트
당 종류 이용성
Glycerol -
Erythritol -
D-Arabinose -
L-Arabinose -
Ribose -
D-Xylose -
L-Xylose -
Adonitol -
βMethyl-xyloside -
Galactose +
D-Glucose +
D-Frucose +
D-Mannose +
L-Sorbose -
Rhamnose -
Dulcitol -
Inositol +
Mannitol -
Sorbitol -
αMethyl-D-mannoside -
αMethyl-D-glucosie -
N acetyl glucosamine +
Amygdaline +
Arbutine -
Esculin +
Salicine -
Cellobiose -
Maltose +
Lactose +
Melibiose +
Saccharose +
Trehalose -
Inuline -
Melezitose +
D-Raffinose +
Amidon +
Glycogen -
Xylitol -
βGentiobiose +
D-Turanose +
D-Lyxose -
D-Tagatose -
D-Fucose -
L-Fucose +
D-Arabitol -
L-Arabitol -
Gluconate -
2 ceto-gluconate -
5 ceto-gluconate -
<실시 예 1> 내산성 평가
우선, pH(hydrogen ion concentration)를 2.5로 조정하여 멸균된 MRS 액체 배지에 0.22 마이크론 필터로 제균시킨 펩신을 배시 밀리리터당 1000 유닛이 되도록 첨가하여 내산성 측정용 인공위액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을 18℃에서 18시간 항온 수조에서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셀을 침전시킨 후 생리적 식염수로 침전된 셀을 2회 세척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셀을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인공위액에 1, 2 및 3시간 배양시킨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생균수 측정 시에는 2중량부의 베타-글리세로 포스페이트가 함유된 MRS 배지를 이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의 내산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이때, 도 1의 A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H5(상업용 균주)이고, B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NCFM(상업용 균주)이고, C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NOCKS(상업용 균주)이고. D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상업용균주)이고, E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와 기존의 발효유 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들 중 대표적인 4종의 락토바실러스속들 즉, 애시도필러스 CH5, 애시도필러스 NCFM, 애시도필러스 NOCK,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사용되는 카제이 및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들의 내산성을 비교한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내산성 실험은 pH 2.5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는 pH 2.5에서 3시간 처리했을 때에도 사멸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의 내산성은 현재 발효유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유산균 즉, 애시도필러스 CH5, 애시도필러스 NCFM, 애시도필러스 NOCK, 카제이 균주들의 내산성과 비교하여도 유사하거나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및 그의 배양물은 사람 또는 동물이 섭취하여도 사람 또는 동물의 위산에 의해 사멸되지 않음으로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약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로, 사료용 조성물 및 항균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실시 예 2> 내담즙산성 평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로필러스 KCNU의 내담즙산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이때, 도 2의 A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H5(상업용 균주)이고, B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NCFM(상업용 균주)이고, C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NOCKS(상업용 균주)이고. D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상업용균주)이고, E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로필러스 KCNU의 담즙산에 대한 내성은 0.5%의 담즙산(Oxgall)이 함유된 MRS 배지에서의 생육 상태를 조사함으로서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로필러스 KCNU을 18℃에서 18시간 동안 항온수조에서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셀을 침전시킨 후 생리적 식염수로 침전된 셀을 2회 세척한 후 담즙산이 함유된 배지에서 각가 12시간 및 24시간 동안 생육한 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로필러스 KCNU는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5% 담즙산을 함유한 배지에서도 사멸하지 않아 우수한 담즙산 내성을 보였고, 기존의 발효유 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들 중 대표적인 4종의 락토바실러스속들 즉, 애시도필러스 CH5, 애시도필러스 NCFM, 애시도필러스 NOCK, 카제이 균주들과 비교하여도 유사하거나 우수한 생육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및 그의 배양물은 사람 또는 동물이 섭취하여도 사람 또는 동물의 답즙산에 의해 사멸되지 않음으로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약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로, 사료용 조성물 및 항균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실시 예 3> 콜레스테롤 분해능력 평가
우선, MRS 액체배지에 티오라코레이트(Thioglacolate)와 옥스갈 또는 타우로콜린산(Taurocholic acid)을 각각 0.2 내지 0.3 중량% 수준으로 첨가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다음, 1ml 콜레스테롤 미셀을 9ml 제조된 배지에 첨가하여 최종 배지에 콜레스테롤 수준이 100㎍/ml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처리가 된 배지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를 배양시켰으며 배양 후 상징액 내에 잔존하는 콜레스테롤 미셀 함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9.1mg 콜레스테롤과 0.2ml L-α-레시틴(lecithin)를 1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하여 질소 가스로 건조한 후, 0.4M, 10ml 슈크로스를 첨가하여 15분씩 초음파 파쇄를 실시하였다.
이때, 잔류 콜레스테롤의 분석은 0.5ml 상징액에 3ml 97% 에탄올과 2ml 50 중량% 수산화칼륨을 첨가한 후 60℃에서 10분간 가열하였으며 상온에서 냉각된 용액에 5ml 헥산과 함께 30초간 잘 섞어 콜레스테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헥산 2.5ml을 시험관에 분주하여 질소 가스로 건조하되, 60℃ 가열을 통해 건조를 촉진하였다.
상기 건조된 시험관에 4ml O-프탈알데히드(Phthalaldehyde)(50mg/100ml acetic acid, glacial) 용액을 첨가한 후 원활한 발색을 위해 10분간 정치하였으며, 정치 후 2ml 농황산을 첨가하여 발색을 유도하였다. 농황산 첨가 10분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콜레스테롤을 정량하였다.
하기의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균주는 45.05%의 콜레스테롤을 흡착하는 것을 보여 중간 정도의 흡착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애시도필러스 ATCC 43121균주는 57%로 가장 높은 흡착성을 보였고, 락티스 ATCC 4797균주는 16.2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및 그의 배양물은 콜레스테롤 분해 효능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약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의 사료용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균종 분해율(%)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45.05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ATCC 4356 33.24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ATCC 43121 57.50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ATCC 4962 26.14
락토바실러스 델부루엑키 서브스피시스 락티스 ATCC 4797 16.26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33.43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911 24.75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7469 25.13
<실시 예 4> 항균활성 측정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의 항균활성 평가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를 MRS 액체 배지에서 37℃ 항온수조에서 18시간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6000g, 30분, 4℃)를 실시하여 셀을 제거한 다음,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이를 0.45 마이크론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얻어진 상징액을 MRS 고체배지와 TS 고체배지에 각각 20 마이크로리터식 분주하여 지지균을 중층하였다.
각 지시균들의 최적 성장 온도에서 18 내지 24시간 배양한 후, 억제한 생성 여부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유산균은 MRS 배지를 기타 미생물은 TS 배지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1L의 MRS 배지의 조성물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1L의 TS 배지의 조성물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박토 프로테오스 펩톤 10g
박토 비프 엑기스 10g
박토 이스트 엑기스 5g
텍스트로스 20g
폴리소르베이트80(or Tween 80) 1g
암모니움 시트레이트 2g
소듐 아세테이트 5g
황산마그네슘 0.1g
황산화망간 0.05g
인산화제이칼륨 2g
박토 트립톤 17g
박토 소이톤 3g
텍스트로스 2.5g
염화나트륨 5g
인산화제이칼륨 2.5g
이때, 하기의 표 6과 표 7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의 34종의 유산균들과 24종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기존의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과 다른 스펙트럼을 보였으며, 바실러스 세레우스, 엔테로코커스 에로제네스, 대장균 K21052, 대장균 O157:H7 ATCC 43889, 리스테리아 이노큐아,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제네스, 리스테리아 이바노비, 쉬겔라 소네이,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KCCM 35494, 스타필로코커스 인터메디우스 KCCM 40149,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KCCM 11363, 엘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및 그의 배양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음으로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약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또는 동물의 사료용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지시균 저해여부
L. acidophilus 4962 +
L. acidophilus GP1B -
L. acidophilus 606 +
L. acidophilus KU107A +
L. acidophilus 30SC +
L. acidophilus GP2A +
L. acidophilus GP4A +
L. acidophilus A4 -
L. acidophilus ATCC 4356 +
L. acidophilus ATCC 43121 -
L. acidophilus NCFM +
L. casei 9018 +
L. casei 393 -
L. casei sp. +
L. delbrueckii subsp. lactis ATCC 4797 +
L.helveticus 1042 -
L. helveticus KU116 +
L. paracasei subsp. paracasei 910 -
L. paracasei subsp. paracasei 911 -
L. plantarum EH2 +
L. plantarum CS1 -
L. plantarum K 4 -
L. plantarum M 2 -
L. plantarum B 1 +
L. plantarum F7 1 +
L. rhamnosus ATCC 7469 -
L. lactis subsp. lactis ATCC 11454 +
Lactococcus sp. 449 -
Lactococcus sp. LN518 +
Lactococcus sp. LO518 +
Lactococcus sp. HT61 -
Lactococcus sp. HT51 +
Leuconostoc sp. K2 -
Leuconostoc sp. K1 +
(+) 저해됨, (-) 저해되지 않음
Pathogens Strains
GP1B
Acinetobacter baumannii -
Bacillus cereus +
Bacillus subtilis -
Enterococcus aerogenes +
Escherichia coli K11234 -
Escherichia coli K21052 +
Escherichia coli O15:H7 ATCC 43894 -
Escherichia coli O15:H7 ATCC 43895 -
Escherichia coli O15:H7 ATCC 43889 +
Escherichia coli O15:H7 ATCC 43893 -
Fecal streptococcus -
Klebstella pneumoniae -
Listeria inoccua +
Listeria monocytogene +
Listeria ivanovii +
Salmonella typhimurium K11806 -
Shigella sonnei +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35494 +
Staphylococcus intermedius KCCM40149 +
Pseudomonas aeruginosa KCCM11321 +
Pseudomonas chororaphis K11363 -
Pseudomonas fluorescens -
Yersinia enterocolitica +
(+) 저해됨, (-) 저해되지 않음
<실시 예 5> 항균 작용 관찰
항균 작용을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하기 위해 우선 시료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표본대에 부착한 후 그 위에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 분말을 가볍게 떨어뜨렸다. 이어서, 준비된 표본은 전자 현미경용 이온 스퍼터 코팅기(ion sputter coater)를 이용하여 금-팔라듐(gold-palladium) 층으로 진공 상태에서 60초간 코팅시켰다. 그리고, 표본의 형태는 15kV의 가속전압(accelerating voltage)에서 관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처리 후의 지시균의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3의 (A)는 박테리오신의 처리 직후, (B)는 박테리오신의 처리 30분 후 (C)는 박테리오신의 처리 90분 후의 사진이다.
그 결과, 도 3에서 도시된 사진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테리오신의 처리 직후(도 3의 A)에는 세포벽에 아무런 손상이 없어 세포질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가, 박테리오신의 처리 30분 후(도 3의 B)에는 세포벽이 파괴되어 가고, 90분이 경과된 후(도 3의 C)에는 세포벽이 파괴되고, 내부의 세포질 성분이 소실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선발 박테리오신을 처리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벽의 붕괴가 관찰되어 선발 박테리오신은 세포 용해(cell lysis)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시 예 6> 항균 물질의 정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40% 황산 암모늄(Ammonium sulfate)에서 침전시키는 것이 수율(yeild)이 가장 높았으며, 세파로오스(Sepharose) G-50, 옥틸-세파로오스 CL4B 컬럼(Octyl-sepharose CL4B column)으로 분획한 경우 최종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서 단일 픽(peak)으로 나타나 순수하게 정제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40% 황산 암모늄으로 침전시킨 경우 67.9%의 박테리오신을 회수할 수 있었고 비활성(specific activity)은 9.37배로 높아졌다(표 8을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저분자량 전기영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도 4의 (A)는 은염색 후 겔 모습(Lane 1 : 폴리펩타이드 표준 시료, Lane 2 : 박테리오신 시료)이고, (B)는 동일한 겔 위에 지시균이 접종된 0.8% MRS 고체 배지를 중층했을 때의 항균 모습이다.
도 4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최종 정제 후 저분자량 전기영동을 수행한 결과 분자량이 약 3.6kDs로 측정되었고, 동일 위치에서 억제 활성이 나타났다.
이를 회수 하여 N-말단 아미노산 분석 결과, NH2-Pro-Ala-X-Leu-Met-Tyr-Arg의 7개 아미노산 서열이 판독되었으며 NCBI-BLAST 프로그램에서 기존의 박테리오신 시퀀스와 다른 신규박테리오신으로 판명되었다.
황산 암모늄 농도에 따른 박테리오신의 정제 특성
정제단계 Total protein (mg) Total acivity (AU/ml) Specific acivity (AU/mg) Purification fold Recovery (%)
배양액(895ml) 203.2 2,864,000 14,094 1 100
황산 암모늄 농도 30% 1.05 35,840 34,133 2.42 1.25
30~40% 14.73 1,945,600 132,084 9.37 67.9
40~50% 11.94 53,760 4,502 0.32 1.88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및 그 배양물은 병원성 미생물과 부패성 미생물 등의 유해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항균능력이 기존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보다 뛰어나 인체의 생균제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고, 발효제품, 유산균 식품에 유용한 균주로서 활용이 제공되며, 동물사료제로서의 첨가제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약품 조성물, 음료수 등과 같은 식품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항균 조성물 및 생활용품으로 이용될 수 있어 산업상에 매우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유해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기탁기관 : 한국종균협회부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수탁번호 : KCCM-10753P호, 수탁일자 : 2006년 5월 22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는 내산성, 담즙산 내성 및 콜레스테롤 흡착 능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성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 엔테로코커스 에로제네스, 대장균 K21052, 대장균 O157:H7 ATCC 43889, 리스테리아 이노큐아, 리스테리아 모노시토제네스, 리스테리아 이바노비, 쉬겔라 소네이, 스타필로코커스 오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KCCM 35494, 스타필로코커스 인터메디우스 KCCM 40149,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KCCM 11363, 엘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는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채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5.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조성물.
  6.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용 조성물.
  8.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070014510A 2007-02-12 2007-02-12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KR10087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10A KR100871904B1 (ko) 2007-02-12 2007-02-12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10A KR100871904B1 (ko) 2007-02-12 2007-02-12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389A true KR20080075389A (ko) 2008-08-18
KR100871904B1 KR100871904B1 (ko) 2008-12-05

Family

ID=3987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510A KR100871904B1 (ko) 2007-02-12 2007-02-12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2256A1 (fr) * 2014-06-17 2015-12-18 Adisseo France Sas Nouvelles souches d’arthrobacter gandavensi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711A (ko) * 1998-10-22 1999-01-25 이용규 항 콜레스테롤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유 제조 방법
KR100523256B1 (ko) * 2002-02-23 2005-10-24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결장 암 세포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 활성과 장내정착력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Probio-40
TWI241912B (en) 2002-10-30 2005-10-21 Food Industry Res & Dev Inst Novel Acid-and bile salt-resistant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the ability to lower and assimilate cholesterol
KR20080003637A (ko) * 2006-07-03 2008-01-08 한상기 다이어트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유산균발효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2256A1 (fr) * 2014-06-17 2015-12-18 Adisseo France Sas Nouvelles souches d’arthrobacter gandavensis
WO2015193618A1 (fr) * 2014-06-17 2015-12-23 Adisseo France S.A.S. Nouvelles souches d'arthrobacter gandavensis
US10357047B2 (en) 2014-06-17 2019-07-23 Adisseo France S.A.S. Arthrobacter gandavensis stra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904B1 (ko) 200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 et al. Characterization and purifica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a potential probiotic culture, Lactobacillus acidophilus 30SC
Wu et al. Isolation and preliminary probiotic selection of lactobacilli from koumiss in Inner Mongolia
US7241441B2 (en) Microorganism Pediococcus pentosaceus EROM101, having immune enhancement,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US20080267932A1 (en) Lactobacillus Rhamnosus with Body-Fat Reducing Activity and the Foods Containing Them
US20040038379A1 (en) Probiotic strains from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antimicrobial agents obtained therefrom
EP1743042B1 (en)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exhibiting probiotic properti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slam et al. Isolation of acidophilic lactic acid bacteria antagonistic to microbial contaminants
KR20190063795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070710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10086400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KR20030064030A (ko) 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높아 장내 생존력이 우수한한국인 분변 유래 유용 프로바이오틱 생균 및 그의 용도
KR100871904B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cnu
KR101302465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식품
KR101696670B1 (ko) 내산성, 내담즙성 및 세포 부착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lp5193,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품
KR100434610B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30sc
Bae et al.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Acid-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rom Korean Faeces
KR20020088797A (ko) 알콜에 내성있는 신규한 유용 프로바이오틱 생균 및 그의용도
KR100715730B1 (ko) 유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비피도박테리움 롱검 a24
KR100354315B1 (ko) 신규한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Nardi et al. Antagonism against anaerobic and facultative bacteria through a diffusible inhibitory compound produced by a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the rat fecal microbiota
KR101780770B1 (ko) 한국 전통 간장에서 분리된 신규 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KR100808956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엑소폴리사카라이드
JPH05236945A (ja) 新規ラクトバチルス属微生物
Abiona et al.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ursop, cowmilk, goatmilk yoghurts and che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