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633A - 공간 투수블럭 - Google Patents

공간 투수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633A
KR20080073633A KR1020070139696A KR20070139696A KR20080073633A KR 20080073633 A KR20080073633 A KR 20080073633A KR 1020070139696 A KR1020070139696 A KR 1020070139696A KR 20070139696 A KR20070139696 A KR 20070139696A KR 20080073633 A KR20080073633 A KR 20080073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block
pitcher
mudguar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236B1 (ko
Inventor
김도환
변혜옥
Original Assignee
김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환 filed Critical 김도환
Priority to KR102007013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2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투수블럭에 관한 것으로,
네 모서리 부위에 측면보다 내측으로 걸림턱(11)이 형성되어 대응하는 상대측과의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지면(G)에 고정 설치되는 블럭(1)과; 상기 블럭(1)들 사이의 십자형 공간부(12)에 삽입 고정 설치되어 빗물을 유입하는 빗물 투수판(2)과; 상기 빗물 투수판(2)의 하부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토사 등을 걸러낸 후 빗물만 지면(G)으로 침투시키는 투수용 흙받이(3); 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은, 우천시 빗물을 효과적으로 투수시켜 빗물이 토양에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고갈 및 폭우시 빗물의 급격한 하수유입으로 인한 하천범람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노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하여 보행의 쾌적성을 제공하며,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 등을 걸러내어 제거하는 장치가 되어 있어 투수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블럭, 빗물 투수판, 투수용 흙받이, 십자형 공간부, 투수 구멍, 걸림턱, 분리판, 걸림훅, 고정턱, 흙받이부, 유출부, 흙받이실, 배수통로, 안내홈.

Description

공간 투수블럭{Interspace block of a water permeability}
본 발명은 공간 투수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천시에 빗물을 효과적으로 투수시켜 빗물이 토양에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고갈 및 하천범람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노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보행의 쾌적성을 제공하며,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 등을 걸러내어 제거하는 장치가 되어 있어 투수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주차장, 광장 등에는 블럭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블럭의 설치상태에서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은 전량 맨홀 등 빗물을 수거하는 통로를 통해 하수로 배출되므로 하천범람을 유발하게 되고, 블럭으로 포장된 지면을 통한 침투가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지하수의 고갈 및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방안으로 블럭에 공극을 형성시켜 빗물이 토양에 투수되도록 한 투수블럭이 다수 제안되었다.
그런데,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의 투수블럭은 설치한 후 6개월에서 1년 이내에 도심의 기름 먼지 등으로 공극이 막혀 빗물이 투수가 되지않게 됨에 따라 투수블럭의 원래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천시 빗물을 효과적으로 투수시켜 빗물이 토양에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고갈 및 폭우시 빗물의 급격한 하수유입으로 인한 하천범람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노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하여 보행의 쾌적성을 제공하며,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 등을 걸러내어 제거하는 장치가 되어 있어 투수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할 수 있는 공간 투수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은 네 모서리 부위에 측면보다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대응하는 상대측과의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 블럭과, 상기 블럭들에 의해 형성된 십자형 공간부에 삽입 고정 설치되어 빗물이 유입되도록 투수구가 형성된 빗물 투수판과, 상기 빗물 투수판의 하부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토사 등을 걸러내는 투수용 흙받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은, 기존의 투수블럭들과는 달리 빗물의 투수 기능을 영구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빗물을 땅속에 침투시켜 토양오염을 막고 지하수를 확보하며 집중호우시에는 유출량을 줄여 하천 범람을 적극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보유 수분이 증발하면서 대기온도를 낮추어 한여름 도심의 열대야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공기를 맑게 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환경보호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블럭(1)과 함께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을 구성하는 빗물 투수판(2)과 투수용 흙받이(3)의 결합상태 평면도이며, 도 2b)는 빗물투수판(2)과 투수용흙받이(3)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a)의 A-A'선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은, 네 모서리 부위에 측면보다 내측으로 걸림턱(11)이 형성되어 대응하는 상대측과의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지면(G)에 고정 설치되는 블럭(1)과,
상기 블럭(1)사이의 십자형 공간부(12)에 삽입 고정 설치되어 빗물을 유입하는 빗물 투수판(2)과,
상기 빗물 투수판(2)의 하부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 등을 걸러낸 후 빗물만 지면(G)으로 침투되도록 배출시키는 투수용 흙받이(3)로 구성된다.
상기 블럭(1)은, 콘크리트재 등으로 구성되고 그 외면에는 서로 맞물림 접촉되어 외력에 의한 유동이 방지되도록 요철부가 대응 형성되어 있으며, 그 네 모서리 부위에는 측면보다 내측으로 후술하는 빗물 투수판(2)이 얹혀 고정되는 걸림턱(11)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턱(11)이 있는 모서리 부위는 네개의 블럭(1)이 지 면(G)에 접촉 배열된 상태에서 십자형 공간부(12)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빗물 투수판(2)은, 상기 십자형 공간부(12)에 끼워 고정되고 상면부(22)에 다수의 투수구멍(21)과, 상기 빗물투수판(2)의 측면부(23)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럭(1)의 하면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24)을 구비한 고정편(25)과, 상기 상면부(22)의 아래쪽에 하향 돌출 형성된 분리판(26)과, 상기 측면부(23)의 안쪽에 대향 형성되어 후술하는 투수용 흙받이(3)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훅(27)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수용 흙받이(3)는, 상기 빗물 투수판(2)의 측면부(23) 안쪽에 있는 걸림훅(27)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상단에 형성시킨 고정턱(31)과, 상기 고정턱(31)의 하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흙받이부(32)와, 상기 흙받이부(32)의 외측 상부에 개구 형성된 유출부(33)와, 상기 흙받이부(32)의 내측에 상기 분리판(26)이 끼움 고정되도록 대향 형성되어 상기 흙받이부(32)의 내부를 흙받이실(34)과 배수통로(35)로 구획하는 안내홈(3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은 콘크리트재의 블럭(1)과 합성수지재의 빗물 투수판(2) 및 투수용 흙받이(3)를 각각 제작한 후, 설치대상 장소의 지면(G)을 평탄하게 고르고 모래를 깔아준 상태에서 설치를 시작하게 되는데, 도 4에서는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의 설치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하였다.
우선, 도 4a)는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B)을 구성하는 블럭(1)들을 모래로 평탄하게 정리된 지면(G)에 서로 맞대어 설치함으로써 블럭(1)들의 네 모서리 부위에 측면보다 내측으로 걸림턱(11)이 형성되어 대응하는 상대측과의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12)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우천시에는 블럭(1) 상면에 떨어진 빗물들이 상기 십자형 공간부(12)로 흘러들게 된다.
도 4b)는 설치된 블럭(1)들의 십자형 공간부(12)에 투수용 흙받이(3)가 조립된 빗물 투수판(2)을 끼워 넣은 조립 완료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빗물 투수판(2)과 투수용 흙받이(3)의 조립은 우선, 빗물 투수판(2)의 하부에 투수용 흙받이(3)를 맞추어 약간의 상향 압력을 가하게 되면, 투수용 흙받이(3)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턱(31)들이 빗물 투수판(2)의 측면부(23) 안쪽에 서로 대향 형성된 걸림훅(27)들에 의해 투수용 흙받이(3)는 빗물 투수판(2)에 조립된다.
이때, 빗물 투수판(2) 하부에 연장 형성된 분리판(26)들은 투수용 흙받이(3)에 구비된 안내홈(36) 사이로 삽입되어 투수용 흙받이(3)의 내부를 흙받이실(34)과 배수통로(35)로 구획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투수용 흙받이(3)가 조립된 빗물 투수판(2)을 상기 십자형 공간부(12)에 삽입하게 된다.
한편, 십자형 공간부(12)에 삽입된 빗물 투수판(2)들은 그 외측에 형성된 고정편(25) 하단의 걸림턱(24)들이 도 3에서와 같이 블럭(1)의 하면에 삽입 고정되어 외력없이 빗물 투수판(2)의 분리가 방지된다.
따라서, 우천시에 블럭(1)에 떨어진 빗물들은 빗물 투수판(2)의 상면부(22)에 형성된 투수구멍(21)을 통해 토사 등의 이물질과 함께 흙받이실(34)로 유입되고, 빗물보다 비중이 높은 토사 등은 흙받이실(34)에 쌓이게 되고, 수평을 이루는 물의 성질에 따라 빗물만이 배수통로(35)를 따라 유출부(33)로 넘쳐 지면(G)를 통해 지하로 침투된다.
한편, 설치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흙받이실(34)에 토사 등의 이물이 완전히 충전되는 등의 투수 저해요인이 발생되어 보수가 요구될 경우에는, 빗물 투수판(2)의 분리를 위해 상향으로 당겨주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자체 탄성에 의해 걸림턱(24)이 블럭(1)의 하단에서 이탈되어 빗물 투수판(2)을 십자형 공간부(12)로 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이어서 빗물 투수판(2) 하부의 투수용 흙받이(3)를 하부로 당겨 그 상단의 고정턱(31)이 걸림훅(27)으로부터 분리 되도록 함으로써 빗물 투수판(2)으로부터 투수용 흙받이(3)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투수용 흙받이(3)에 충전된 토사 등의 이물을 깨끗히 털어낸 후 재조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을 구성하는 빗물 투수판과 투수용 흙받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빗물투수판과 투수용흙받이의 결합상태 평면도
b)는 빗물투수판과 투수용흙받이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대한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공간 투수블럭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블럭의 설치상태 평면도
b)는 블럭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 빗물 투수판과 투수용 흙받이를 조립설 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2 : 빗물 투수판
3 : 투수용 흙받이 12 : 십자형 공간부
21 : 투수 구멍 23 : 투수판
24 : 걸림턱 26 : 분리판
27 : 걸림훅 31 : 고정턱
32 : 흙받이부 33 : 유출부
34 : 흙받이실 35 : 배수통로
36 : 안내홈 B : 공간 투수블럭
G : 지면

Claims (4)

  1. 네 모서리 부위에 측면보다 내측으로 걸림턱(11)이 형성되어 대응하는 상대측과의 사이에 십자형 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지면(G)에 고정 설치되는 블럭(1)과;
    상기 블럭(1)들 사이의 십자형 공간부(12)에 삽입 고정 설치되어 빗물을 유입하는 빗물 투수판(2)과;
    상기 빗물 투수판(2)의 하부 내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토사 등을 걸러낸 후 빗물만 지면(G)으로 침투되도록 배출시키는 투수용 흙받이(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투수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투수판(2)은, 상기 십자형 공간부(12)에 끼워 고정되고 그 상면부(22)에 다수의 투수구멍(21)과;
    상기 빗물 투수판(2)의 측면부(23)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럭(1)의 하면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24)을 구비한 고정편(25)과;
    상기 상면부(22)의 아래쪽에 하향 돌출 형성된 분리판(2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투수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2) 안쪽 복수개소에 대향 형성되어 상기 투수용 흙받이(3)를 자체 탄성에 의해 걸어 고정하는 걸림훅(27)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투수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용 흙받이(3)는, 상기 빗물 투수판(2)의 측면부(23) 안쪽에 접촉되어 걸림훅(27)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상단에 형성시킨 고정턱(31)과;
    상기 고정턱(31)의 하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흙받이부(32)와;
    상기 흙받이부(32)의 외측 상부에 개구 형성된 유출부(33)와;
    상기 흙받이부(32)의 내측에 상기 분리판(26)이 끼움 고정되도록 대향 형성되어 상기 흙받이부(32)의 내부를 흙받이실(34)과 배수통로(35)로 구획하는 안내홈(3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투수블럭.
KR1020070139696A 2007-12-28 2007-12-28 공간 투수블럭 KR100864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696A KR100864236B1 (ko) 2007-12-28 2007-12-28 공간 투수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696A KR100864236B1 (ko) 2007-12-28 2007-12-28 공간 투수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633A true KR20080073633A (ko) 2008-08-11
KR100864236B1 KR100864236B1 (ko) 2008-10-17

Family

ID=3988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696A KR100864236B1 (ko) 2007-12-28 2007-12-28 공간 투수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1816A2 (en) * 2009-06-04 2010-12-09 Porous Technologies, Llc Paver for porous pavement
KR101500834B1 (ko) * 2013-05-06 2015-03-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용 블록 조립체
CN105133462A (zh) * 2015-05-21 2015-12-09 健佑混凝土株式会社 透水人行道地砖
CN105714648A (zh) * 2016-02-05 2016-06-29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砖
CN112982074A (zh) * 2021-03-09 2021-06-18 江阴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城市路面透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90Y1 (ko) 2005-09-16 2005-12-14 김도환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1816A2 (en) * 2009-06-04 2010-12-09 Porous Technologies, Llc Paver for porous pavement
WO2010141816A3 (en) * 2009-06-04 2011-03-31 Porous Technologies, Llc Paver for porous pavement
US11371192B2 (en) 2009-06-04 2022-06-28 Porous Technologies, Llc Paver for porous pavement
KR101500834B1 (ko) * 2013-05-06 2015-03-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용 블록 조립체
CN105133462A (zh) * 2015-05-21 2015-12-09 健佑混凝土株式会社 透水人行道地砖
CN105714648A (zh) * 2016-02-05 2016-06-29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砖
CN112982074A (zh) * 2021-03-09 2021-06-18 江阴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城市路面透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236B1 (ko) 200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583B1 (ko) 우수저장 블록
KR100864236B1 (ko) 공간 투수블럭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20190053753A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JP3195244U (ja) 排水舗装用路面排水溝の構造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JPH0786247B2 (ja) 複合機能型側溝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101163130B1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200378186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랩받이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KR100617043B1 (ko) 도로나 철도부근의 산사면에 설치되는 우수저장조의 구조
KR101389479B1 (ko) 식생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빗물 침투·저류 시설구조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