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109A -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109A
KR20080071109A KR1020080067924A KR20080067924A KR20080071109A KR 20080071109 A KR20080071109 A KR 20080071109A KR 1020080067924 A KR1020080067924 A KR 1020080067924A KR 20080067924 A KR20080067924 A KR 20080067924A KR 20080071109 A KR20080071109 A KR 2008007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tibility
polymer
additive composition
improve
compatibiliz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선
설상인
박기문
김만수
정명수
Original Assignee
유영선
설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선, 설상인 filed Critical 유영선
Priority to KR102008006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109A/ko
Publication of KR2008007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10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화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고분자간의 상용성을 개선시켜 고분자가 상용성이 저하되어 혼합 사용시 강도, 인장, 신장율 등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개선시켜 다양한 플라스틱 고분자간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상용화제, 무기 필러, 윤활제 등의 원료를 투입하여 통상의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상용화 첨가제는 PP, HDPE, LDPE, LLDPE, GPPS, HIPS, PVC, ABS, PHBV, PCL, PBS, PLA, PHA, PHB, 전분수지 등 고분자, 무기필러, 유기 필러, 칼라 마스터배치, 기능성 마스터배치와 적절히 혼합 사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기타 시트 성형시 시트 처짐성 개선, 수축율 개선효과가 기대된다.
상용성 개선, 수축율 개선, 생산성 향상, 이지컷 방지, 강도 증가, 고분자, 물성 개선

Description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MISCIBLE ADDITIVE FOR IMPROVING MISCIBILITY OF HIGHLY POLYMERIZED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올레핀계 및 스티렌계 합성수지 등 두가지 이상의 고분자를 혼합 사용시, 고분자간 결합에 상용성을 부여하여 강도, 인장, 신장율 등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가지 이상을 고분자 재료를 포함한 다성분계 재료를 폴리머 알로이라고 한다. 한편 폴리머 블랜드를 광범위하게 잡아, 폴리머 블랜드중 비상용인 것에서 어떠한 수단에 의해 상용화한 재료, 즉, 비상용성 폴리머 블랜드를 상용한 것을 폴리머 알로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상용화 첨가제의 역할은 계면 활성제적으로 작용하여 양폴리머 간의 계면에 존재하여, 계면장력을 절하, 계면상의 두께를 증가, 분산 입자의 지름을 작게하여 폴리머 간의 조직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고분자 재료(Polymer based material)는 호모폴리머(HomoPolymer), 공중 합체(Copolymer), 폴리머 블랜드(Polymer blend), FRP와 같은 고분자-고분자 복합재료, 고분자와 다른 물성의 복합재료(Polumer based composite)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엔프라라고도 말하여 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간은 형태로 고분자의 특성을 변화시켜 금속을 성질을 능가하는 또는 이에 근접하는 성질을 지닌 고분자를 제조하여 시장에 출시함에 따라 급속히 사용이 확대되어 왔다. 이와 같은 기존 고분자의 물성, 강도, 결합 특성을 변화시켜 새로운 고분자 얼로이를 만들어 내는 데, 상용화제 또는 상용화 첨가제의 사용이 많다.
상용화제(相容化劑)의 종류는 폴리머 블랜드계에 제3성분으로 첨가하는 경우와, 블랜드 과정에서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폴리디메칠실록산(PDMS)-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블록 공중합체는 전자의 일예이고, 나일론과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블랜드계에서의 카본산 변성 EPR은 후자의 예이다.
상용화제를 제3성분으로서 첨가하는 방법은,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이고, 상용화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지만, 코스트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결점이다. 한편, 압출기 속에서 폴리머를 융융 혼련할 때에 상용화제 로서의 그래프트 또는 불록 공중합체를 동시에 생성하는 방식은, 반응조건이나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꾀할 필요가 있는데 경제성면에서 뛰어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등의 방법을 통하여 완제품을 생산할 때 2종 이상의 고분자를 혼합사용하여 물성을 개량하거나, 성형품에 대한 경량, 박육화 제조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콤파운드 형태로 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상용화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두가지 이상의 고분자를 콤파운드로 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기는 하나 콤파운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성의 열화 및 콤파운드 비용이 원가에 포함되는 단점이 있고, 콤파운드화 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수지와 간편하게 혼합 사용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상용화 첨가제는 사용이 간편하고 여러 가지 고분자와 혼용 사용하기 간편하지만 상용화 첨가제가 고가인 관계로 사업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제품을 생산할 때 간편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상용화 첨가제를 보다 저렴하게 제조하는 기술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용화제 관련해서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용화를 이룬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및 그에 사용되는 상용화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고 10-0241818호).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1998-065407에 의하면 기존의 상용화제와 두자지 이상의 폐플라스틱 고분자를 사용하여 펠렛화한 상용화제 조성물의 경우 고가의 기존 상용화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인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여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펠렛 형상의 첨가제로 제품 생산시 간편하게 첨가하여 사용하여 올레핀계 및 스티렌계 합성수지 고분자간의 상용성을 부여하여 경량화, 강도 개선,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분자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방법 대신 첨가제를 제조하여 사용이 간편한 마스터배치 펠렛 형상의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가의 기존 상용화제를 대체하여 가격이 저렴한 고분자 간의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의 제조 방법을 제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기는 상용화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a) 바인더 수지 10 중량% 내지 50 중량%와, (b) 상용화제 0.1 중량% 내지 15 중량 %와, (c) 탄산칼슘, 활석, 일라이트, 점토광물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 필러 2 중량% 내지 80 중량%, (d) 윤활제 0.3 중량%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 1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인더 수지, 상용화제, 무기필러 및 윤활제를 디스퍼션 니더에 투입하여 수분 제거 및 반죽하는 1단계;
상기 반죽을 익스트루더에 투입하고 펠렛을 제조하는 2단계;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 2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인더 수지, 상용화제, 무기필러 및 윤활제를 혼합기에 투입하고 고속 혼합 및 수분을 제거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반죽부(Kneading zone) 1개 이상, 역방향 스크류부(Reverse screw)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원료 가공시 생성될 수 있는 수분 및 휘발성 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통기공(Vent hole)이 1개 이상 설치된 통상의 이축 익스트루더를 사용하여 펠렛 타입으로 제조하는 2단계;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 조성물은 상용화제와 초미세 무기 필러가 플라스틱 고분자 단량체 결합 부분에 상호 작용하여 각각의 성분을 상용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내충격성, 가공유동성이 뛰어나며, 성형가공을 하였을 때 연신성이 우수하여 후가공성이 개선되며 초미세 미립자가가 고분자간 빈공간을 채워주게 되어 물성개선 및 표면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을 제조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중 바인더 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발러레이트(PHBV),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유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전분 수지 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원료간의 바인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성물 원료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펠렛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결합력 약화에 의해 펠렛 형성이 어렵고, 5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어 사업화 가능성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조성물중 상용화제는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프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벤조페논, 과산화벤조일, 구연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삼중부틸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 니트릴, 삼중부틸 히드로 퍼옥사이드, 니큐밀 퍼옥사이드,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고분자 상호간 및 필러와 고분 자 간의 표면결합을 유도하여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상용성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5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상용성은 우수하나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고가의 아틸렌-아크릴산공중합체, 에틸렌-아세테이트, 애텔렌프로필렌러버, PS-PE 블록 등을 대체하여 원가절감에 기여되는 바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탄산칼슘, 활석, 일라이트, 점토광물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중 탄산칼슘은 시멘트, 고무, 플라스틱, 제지 등의 산업분야에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그 입경이 수십 내지 수백 ㎛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탄산칼슘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수분에 취약한 제품에 적용을 하는 경우 지방산, 왁스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여 표면 개질을 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는 무기 필러중 탄산칼슘은 초미세 탄산칼슘 및 마이크로급 미세 탄산칼슘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나노급 초미세 탄산칼슘은 입경이 50 내지 900 nm의 것을 사용하고, 마이크로급 미세 탄산칼슘은 입경이 3 내지 100㎛인 것을 사용하는데, 그 사용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2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완제품 포장재에 적용했을 때 제품의 표면 개질, 물성 증가, 상용성 보조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산성 저하, 원가 상승, 재료 뭉침 현상 등 마스터배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경우에 초미세 입자 탄산칼슘에 의해 표면적 이 증가하고 그 표면에 놓이는 이온의 비율이 증가된다. 따라서 결합력, 응집력 등 고분자 물성에 매우 큰 역할을 하게 되어 물성 개선, 표면 개질, 강도 증가 등 현저한 효과 상승을 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급 미세 탄산칼슘은 초미세 탄산칼슘만 사용하는 경우 강한 자체 응집력에 의해서 탄산칼슘이 덩어리지게 되어 완제품 포장재에 오히려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면 표면상태 악화, 치수안정성 저하, 굴곡 탄성율 저하, 강도 등 물성 저하 및 생산성 저하 등의 단점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윤활제는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의 사용량은 0.2 내지 3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윤활제는 윤활효과가 우수한 탄소수 22의 베헤닌산 계열을 사용하면 재료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어, 가격 대비 생분해제에 분산효과가 우수하고 윤활 효과가 좋은 탄소수 18인 스테아린산 계열을 사용하는 쪽이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지방산 계열 윤활제를 사용하는 경우, 필러같은 무기물에 친화성을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표면이 친수성인 무기물을 코팅하여 표면 개질이 되는 장점이 있다. 윤활제는 문자 그대로 원료간의 마찰을 적게하고 매끄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이다. 모든 마찰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원료 혼합, 용융, 가공시 마찰에 의한 열이 원료를 필요 이상으로 가열하여 분해시키기도 하고, 원료중 전분등 유기 첨가제를 탄화시키기도 하며, 트윈 익스트루더 같은 금속가공기의 표면에 눌러붙기도 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용화 첨가제는 일반 합성수지 고분자, 생분해 전분수지 등과 상용성이 있어, 포장재 완제품을 제조하는데 특별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고, 제품의 생산성이 우수하고 제품 강도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상용화 첨가제를 여타 구분자와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합성수지 고분자, 생분해성 전분수지 등과 상용성이 우수하였고, 또한 본 발명의 상용화 첨가제를 산업화에 적용함에 따라 합성수지 고분자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적게 사용함에 따라 전세계적인 추세인 합성수지 고분자 사용 감량을 이루어 낼 수 있어, 석유자원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고가의 상용화제를 저가의 본 발명의 상용화 첨가제로 대체 사용하여, 고분자 수지의 혼용 사용에 따른 강도 열화 등 문제점이 없이, 최근 계속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고가의 석유자원 유래의 합성수지를 대량으로 대체 사용함에 따라 원가절감 효과가 매우 높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용화제 첨가제는, 통상의 헨셀 믹서, 슈퍼 믹서 또는 디스퍼션 니더를 사용하여 혼합 또는 덩어리 반죽을 만든 후에, 통상의 단축(single) 또는 이축(twin) 압출기를 이용한 용융 압출성형과정을 통해 1-5mm 정도 크기를 갖는 펠렛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통상의 열가소성 중합체 수지 또는 생분해성 수지와 기타 첨가제 조성물을 즉석에서 혼합 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는, 요구되는 수지 원료와 다른 성분들을 용도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미리 콤파운드를 제조한 후 원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할 수 있는 포장재 완제품은 필름, 비닐, 쉬트, 진공성형제품, 사출성형품 등 알려진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해 첨가제용 마스터배치 또는 콤파운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3 내지 75 중량%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제조되는 것이 적당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그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6 중량%, 벤조일퍼옥사이드 0.7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3 중량%, 초미세 탄산칼슘 20 중량%, 미세 탄산칼슘 51 중량%, 스테아린산아연 1.7% 피이왁스 0.3 중량%를 디스퍼션 니더에 투입하고 품온이 150도 이상이 될 때까지 반죽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만든다. 페이스트 상태의 반죽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실린더 온도 130도 이상의 단축 익스트루더에 투입하고 갈라시스템으로 페이스 커팅하여 펠렛 형상의 상용화 첨가제를 제조 하였다.
< 실시예 2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6 중량%, 벤조일퍼옥사이드 0.7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3 중량%, 초미세 탄산칼슘 20 중량%, 미세 탄산칼슘 51 중량%, 스테아린산아연 1.7% 피이왁스 0.3 중량%를 믹서에 투입하여 고속 혼합하여 수분제거 및 혼합을 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벤트홀이 2개 이상인 통상의 이축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펠렛 형상의 상용화 첨가제를 제조 하였다.
< 실시예 3 >
전분 수지 26 중량%, 벤조일퍼옥사이드 0.7 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3 중량%, 초미세 탄산칼슘 20 중량%, 미세 탄산칼슘 51 중량%, 스테아린산아연 1.7% 피이왁스 0.3 중량%를 믹서에 투입하여 고속 혼합하여 수분제거 및 혼합을 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벤트홀이 2개 이상인 통상의 이축 익스트루더를 이용하여 펠렛 형상의 상용화 첨가제를 제조 하였다.
< 실시예 4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상용화 첨가제 5 중량%, HIPS 75 중량%, 폴리프로필렌 15 중량%를 혼합하여 통상의 시트압출기에서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시트를 이용하여 통상의 진공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공성형품을 제조 하였다.
< 실시예 6 >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상용화 첨가제 10 중량%, 폴리스티렌 80 중량%, 폴리프로필렌 15 중량%를 혼합하여 통상의 시트압출기에서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시트를 이용하여 통상의 진공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공성형품을 제조 하였다.
< 실시예 8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마스터배치 조성물 5 중량%, 폴리스티렌 80 중량%, 폴리프로필렌 50 중량%를 혼합하여 통상의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품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본 발명과 비교 실험을 하기 위하여 실시예 4의 배합비중 본 발명의 상용화 첨가제를 시중에서 구입한 통상의 탄산칼슘 마스터배치로 대체하여, 시판되는 탄산칼슘 마스터배치 5 중량%, HIPS 75 중량%, 폴리프로필렌 15를 혼합하여 실시예4와 동일한 시트압출기에서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시트의 기계적 물성 테스트는 유니버셜 테스팅기(미국 인스트론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 항목 당 10 회씩 측정하여 최고 및 최소값을 제외한 평균값을 취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기계적 물성 테스트 결과
구 분 인장강도(N/㎠) 인열강도(㎏/㎠) 신장도(%)
실시예 4 Width 1,659 145 271
Length 1,803 160 523
비교예 1 Width 48 9 32
Length 1,164 85 76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 첨가제에 의한 시트는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장도 등의 물성이 일반 시트(비교예 1)보다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용화 첨가제를 일반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 생분해 전분 수지 등과 혼용하여 완제품 제조에 사용상에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Claims (8)

  1. 바인더 수지 10중량% 내지 50 중량%와, 상용화제 0.1 중량% 내지 15 중량 %와, 무기 필러 2 중량% 내지 80 중량%, 윤활제 0.3 중량% 내지 20 중량 %를 통상의 단축,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발러레이트(PHBV),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유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전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벤조페논, 과산화벤조일, 구연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 -삼중부틸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 니트릴, 삼중부틸 히드로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탄산칼슘, 활석, 일라이트, 점토광물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은 입경이 50 내지 900 nm인 초미세 탄산칼슘 및 입경이 3 내지 100㎛인 마이크로급 미세 탄산칼슘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칼슘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고체 파라핀, 유동 파라핀,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피이 왁스, 피피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
  7. 바인더 수지, 상용화제, 무기필러 및 윤활제를 디스퍼션 니더에 투입하여 수분 제거 및 반죽하는 1단계;
    상기 반죽을 익스트루더에 투입하고 펠렛을 제조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바인더 수지, 상용화제, 무기필러 및 윤활제를 혼합기에 투입하고 고속 혼합 및 수분을 제거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반죽부(Kneading zone) 1개 이상, 역방향 스크류부(Reverse screw)가 1개 이상 장착되고, 원료 가공시 생성될 수 있는 수분 및 휘발성 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통기공(Vent hole)이 1개 이상 설치된 통상의 이축 익스트루더를 사용하여 펠렛 타입으로 제조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80067924A 2008-07-14 2008-07-14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20080071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24A KR20080071109A (ko) 2008-07-14 2008-07-14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24A KR20080071109A (ko) 2008-07-14 2008-07-14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109A true KR20080071109A (ko) 2008-08-01

Family

ID=3988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924A Ceased KR20080071109A (ko) 2008-07-14 2008-07-14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1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54B1 (ko) * 2009-12-30 2012-05-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고분자 간의 블렌드 상용화 방법
CN102504563A (zh) * 2011-10-18 2012-06-20 青阳县三宝塑业有限责任公司 塑料加工功能助剂及其制备方法
WO2012144781A3 (ko) * 2011-04-18 2013-01-17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WO2013100473A1 (ko) * 2011-12-26 2013-07-04 (주)엘지하우시스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KR102357948B1 (ko) * 2021-08-26 2022-02-09 민원기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54B1 (ko) * 2009-12-30 2012-05-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고분자 간의 블렌드 상용화 방법
WO2012144781A3 (ko) * 2011-04-18 2013-01-17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CN103384704A (zh) * 2011-04-18 2013-11-06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可生物降解的聚合物复合材料
US9096757B2 (en) 2011-04-18 2015-08-04 Lg Hausys, Ltd.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e material
CN102504563A (zh) * 2011-10-18 2012-06-20 青阳县三宝塑业有限责任公司 塑料加工功能助剂及其制备方法
CN102504563B (zh) * 2011-10-18 2013-09-11 青阳县三宝塑业有限责任公司 塑料加工功能助剂及其制备方法
WO2013100473A1 (ko) * 2011-12-26 2013-07-04 (주)엘지하우시스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KR101385879B1 (ko) * 2011-12-26 2014-04-16 (주)엘지하우시스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KR102357948B1 (ko) * 2021-08-26 2022-02-09 민원기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5718B2 (ja) 木材パルプを含むセルロース複合材料および同セルロース複合材料を製造するプロセス
CN109929229A (zh) 聚对苯二甲酸-己二酸丁二酯/淀粉全生物降解薄膜以及其制备方法
Albano et al.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behavior of polyolefin blends in the presence of CaCO3
US9238731B2 (en) Reinforcing additives for composite materials
CN106232712B (zh) 高橡胶抗冲击改性剂在热塑性配制品中的用途
KR101281834B1 (ko)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KR100948499B1 (ko) 초미세 탄산칼슘을 이용한 마스타배치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umar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modified biofiller‐polypropylene composites
KR101023650B1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80071109A (ko) 고분자 상용성을 개선시키는 상용화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17264382A (zh) 一种高阻隔高力学性能的全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EP2534193B1 (de) Verwendung von mischungen zur herstellung schlagzähmodifizierter thermoplastischer zusammensetzungen
KR101210156B1 (ko) 우수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9479A (ko)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5760B1 (ko) 도색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187193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품
KR101184735B1 (ko) 광택도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9001739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6045487A5 (ko)
CN113105672B (zh) 一种高淀粉填充的全生物降解薄膜及制备方法
JP2019503411A (ja) 卵殻粉末樹脂組成物
KR101510927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2044168B1 (ko)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균일하게 개선된 생분해성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Dorogato et al. Advanced industrial and engineering polymer research
KR101662370B1 (ko) 아크릴레이트-공액디엔-방향족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